KR100382136B1 - 디지탈신호다중부호화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탈신호다중부호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2136B1
KR100382136B1 KR1019950012811A KR19950012811A KR100382136B1 KR 100382136 B1 KR100382136 B1 KR 100382136B1 KR 1019950012811 A KR1019950012811 A KR 1019950012811A KR 19950012811 A KR19950012811 A KR 19950012811A KR 100382136 B1 KR100382136 B1 KR 100382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code
bit
bit allocation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5450A (ko
Inventor
마쯔우라요꼬
시오모또쇼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517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222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123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27229A/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5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5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2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21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5Selection of the code volume for a coding unit prior to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9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estimating the code amount by means of a model, e.g. mathematical model or statistical mod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57Assigned coding mode, i.e. the coding mode being predefined or preselected to be further used for selection of another element or parameter
    • H04N19/159Prediction type, e.g. intra-frame, inter-frame or bidirectional frame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04N21/23655Statistical multiplexing, e.g. by controlling the encoder to alter its bitrate to optimize the bandwidth utiliz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52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measuring the fullness of the transmission buffer

Abstract

부호화기마다의 양자화 폭을 설정하고 전체로 본 경우의 화질 저하를 방지한다.
다중 부호화 장치는,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가변 레이트로 부호화하는 복수의 부호화기(1a 내지 1n)와, 부호화기(1a 내지 1n)의 각각에서 출력되는 견적 부호량이 공급되는 비트 할당기(4)와, 부호화기(1a 내지 1n)의 각각에서 출력되는 부호량에 기초하여 전체 비트 할당량을 비트 할당기(4)로 공급하는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디지털 신호 다중 부호화 장치{Digital video compression multiplex encoder for constant bit rate transmission}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컨대, 동화상을 압축 부호화하고, 일정한 비트 레이트(constant bit rate)로 출력하는 다중 부호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움직임 보상 예측 부호화와 DCT 변환에 의해 화상을 압축 부호화하는 고능률 부호화 방식으로서, MPEG(Moving Picture Image Coding Experts Group)이나 MPEG2(Moving Picture Image Coding Experts Group Phase 2)가 제안되어 있다. 예컨대, 미국 특허 제5,226,093호에 개시되어 있다.
MPEG이나 MPEG2에서는 I픽쳐와, B픽쳐와, P픽쳐가 소정의 순서로 보내어진다. I픽쳐에서는, 프레임/필드 내에서의 비디오 데이터가 DCT 변환 및 가변길이 부호화된 후에 전송된다. B픽쳐에서는, 현재 프레임/필드와의 차분 데이터가 DCT 변환 및 가변 길이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P픽쳐에서는, 현재 프레임/필드와, 움직임 보상된 이전 프레임/필드와의 차분 데이터가 DCT 변환 및 가변 길이 부호화되어 전송된다. MPEG이나 MPEG2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레이트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일정한 레이트 제어(constant-rate control)가 행해지고 있다. 일정한 레이트 전송제어에서는, 1화면(픽쳐)을 블록 단위로 하고, 이 블록 단위로 발생 부호량의 목표치를 결정하는 비트 할당을 행하며, 그 목표치에 맞도록 양자화기가 제어됨으로써 실현된다.
제 7 도는 부호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입력 단자(51)를 통한 현재 화상 데이터는 감산기(52) 및 움직임 검출기(64)로 공급된다. 감산기(52)에서는, 현재 화상 데이터로부터 움직임 보상기(63)의 출력 데이터가 제거된다. 감산기(52)의 출력 데이터는, 예컨대 (8X8)화소의 2차원 DCT 변환기(53)에서 DCT 변환된다.
DCT 변환 후의 화상 데이터는, 양자화기(54)에서 양자화된 후 가변길이 부호화기(55) 및 역양자화기(59)로 공급된다. 가변길이 부호화기(55)에서는, 데이터의 출현빈도에 따라 데이터의 부호길이가 변화된다. 이 가변길이 부호화 데이터는, 일정 레이트 버퍼(56)로 공급된다. 일정 레이트 버퍼(56)로부터는, 부호 데이터가 출력 단자(57)에서 일정한 레이트로 출력된다. 또한 일정 레이트 버퍼(56)의 출력은 일정 레이트 제어기(58)로 공급된다. 일정 레이트 제어기(58)에서는 양자화기(54)에 대한 양자화 스케일(scale)이 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정 레이트 제어기(58)에서는 다음의 단위 부호화 영역에 있어서 부호화에 의해 일정 레이트 버퍼(56)로 입력되는 비트량의 비트 할당이 미리 행해진다. 이러한 할당 비트량에 맞도록 일정 레이트 제어기(58)가 양자화기(54)의 양자화 폭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부호화 데이터가 일정한 비트 레이트로 일정 레이트 버퍼(56)로부터 출력되게 된다.
일정 레이트 제어기(58)의 출력은 또한 역양자화기(59)로 공급된다. 역양자화기(59)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는 양자화기(54)에서 행해지는 처리와 역의 처리가 행해져서 역 DCT 변환기(60)에서 역 DCT 변환된다. 이 데이터는 가산기(61)로 공급된다. 가산기(61)에는 움직임 보상기(63)로부터 참조 프레임의 예측 화상 데이터가 공급되고, 이들 데이터가 가산된다. 가산기(61)의 출력 데이터는 프레임 메모리(62)로 공급된다. 프레임 메모리(62)로부터 출력되는 참조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는 움직임 보상기(63) 및 움직임 검출기(64)로 공급된다.
움직임 검출기(64)에서는, 입력단자(51)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 화상 데이터와 프레임 메모리(62)로부터 공급되는 참조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화상의 움직임 벡터가 구해진다. 움직임 검출기(64)의 검출 출력은 움직임 보상기(63)로 공급된다. 움직임 보상기(63)에서는 움직임 검출기(64)의 검출 출력과 프레임 메모리(62)로부터 공급되는 참조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움직임 보상 예측이 행해진다. 움직임 보상기(63)로부터 출력되는 예측 화상 데이터는 감산기(52) 및 가산기(61)로 공급된다.
그런데, 예컨대 1 화면에 복수의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자(子)화면 표시나 다(多)화면 표시 등)에는 상기한 부호화 장치가 복수 사용된다. 제 8 도는 n 개의 입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기와, 각 부호화기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가 공급되는 일정 레이트 버퍼와, 각 일정 레이트 버퍼의 출력에 기초하여 부호화기의 양자화 폭을 제어하는 일정 레이트 제어기와, 각 일정 레이트 버퍼의 출력이 공급되는 멀티플렉서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8 도에서의 부호화기는, DCT 변환기, 양자화기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바와 같이 움직임 보상된 데이터에 대해 양자화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n개의 입력 데이터는 대응하는 부호화기(65a 내지 65n)로 공급된다. 부호화기(65a 내지 65n)에서는 각 채널마다 부호화 처리가 행해진다. 부호화기(65a 내지 65n)에서 처리된 부호화 데이터는 대응하는 일정 레이트 버퍼(56a 내지 56n)로 공급된다. 일정 레이트 버퍼(56a 내지 56n)에서는 부호화 데이터가 일정한 레이트로 된 후 멀티플렉서(66)로 출력된다.
멀티플렉서(66)에서 다중화된 데이터가 출력 단자(67)에 공급된다. 또한, 일정 레이트 버퍼(56a 내지 56n)의 출력은 대응하는 일정 레이트 제어기(58a 내지 58n)로 각각 공급된다. 각 일정 레이트 제어기(58a 내지 58n)에서는 다음의 단위 부호화 영역에 있어서 각 부호화기(65a 내지 65n)로부터 각 일정 레이트 버퍼(56a내지 56n)로 입력하는 비트량의 비트 할당이 행해진다. 이러한 할당 비트량에 맞도록, 일정 레이트 제어기(58a 내지 58n)로부터 부호화기(65a 내지 65n)의 각각의 부호화기에 대해, 양자화 폭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가 공급된다.
이에 의해, 각 채널의 데이터는 각 일정 레이트 버퍼(65a 내지 65n)로부터 일정한 레이트로 출력된다.
또한, MPEG이나 MPEG2로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전송 레이트가 거의 일정하게 되도록 일정한 레이트 제어가 행해지고 있다. 이 일정한 레이트 전송제어는 종래 1화면(픽쳐)을 블록으로 하고, 이 블록단위로 부호 발생량의 목표치를 결정하는 비트 할당을 행하며, 그 목표치에 맞게 양자화기를 제어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종래에는 제 1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는 출력 버퍼(101)로 공급된다. 이 출력버퍼(101)의 버퍼 용량과, 축차 발생 부호량이 양자화기 제어부(102)로 공급된다. 비트 할당부(103)에는, 비트 레이트, 부호화 모드 및 실제의 부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과거의 각종 데이터가 공급된다. 비트 할당부(103)는 이들 비트 레이트, 부호화 모드 및 실제의 부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과거의 각종 데이터에 기초하여 다음에 부호화를 행하는 블록이 어느 정도의 부호 발생량을 목표로 할지를 결정하여 부호 할당을 행한다. 이 비트 할당부(103)의 출력이 양자화기 제어부(102)로 공급된다. 양자화기 제어부(102)는 버퍼(101)로부터의 버퍼 점유량 및 1블록 내에서의 축차 발생 부호량과 비트 할당부(103)로부터의 1 블록 전체의 할당 비트량에 기초하여 양자화기를 제어한다. 이에 의해, 일정한레이트 제어가 실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채널의 부호화 데이터 출력은 일정한 레이트로 출력된다. 즉, 각 채널 출력이 다중화된 부호화 데이터는 최대 통신로 용량을 초과하지 않고서 일정한 레이트로 출력된다. 다중 부호화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각 화면이 어느 순간에 있어서 다른 데이터량을 갖는 것에도 관계없이, 각 채널은 일정한 비트 레이트로 데이터를 양자화하여 출력한다.
따라서, 각각 부여된 비트 레이트에 있었던 화질로 재생되는 데이터가 다중화되어 송출되게 된다. 예컨대, 다중화된 화면 각각의 크기가 모두 같은 경우에, 각 채널 각각에 공통의 출력 레이트를 부여하고, 또한, 각 화면을 부호화하기 전의 데이터량이 각 채널에서 달라지면, 분할한 각 화면간에는 양자화 데이터의 삭감량이 다르게 된다. 이 때문에, 재생한 화면에 대해서는, 화면 전체에서의 주관(主觀) 화질의 균일함이 유지되지 않게 된다.
또한, 각 화면의 엔트로피(entropy)가 화면간에 다른 경우에는, 양자화에 의한 부호량 저감작용(code amount reducing function) 때문에, 각 화면간에 삭감된 정보량에 큰 차가 존재하는 경우가 있고, 재생한 화면의 주관화질에 대해서는 화면간에 불균형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각 화면간에 주관화질이 달라져서, 전체로서 본 경우의 화질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각 입력 데이터에 대해서 독립적인 가변 레이트로 양자화하고,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다중 부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일정한 레이트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는 과거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트 할당을 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법은 예컨대, 장면 변화(scene changing)를 포함하고 움직임이 격렬한 시퀀스를 포함하는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인접하는 단위 부호화 영역간에서의 신호 상관성이 적은 성질을 갖는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는 경우에는, 비트 할당의 정확성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있다. 그 결과 시시각각 변화하는 블록 데이터의 성질에 적합한 양의 부호를 발생하기가 곤란하게 되어 재생신호품질의 열화를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호화 블록 보다 미래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비트 할당을 하는 것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블록 데이터의 성질에 적합한 양의 부호를 발생하도록 한 부호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서 가변 레이트로 부호화하는 가변 레이트 부호화 처리기(1a 내지 1n)와, 가변 레이트 부호화 처리기(1a 내지 1n)의 각각으로부터 견적(見積) 부호량이 공급되는 비트 할당기(4)와, 가변 레이트 부호화 처리기(1a 내지 1n)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부호량에 기초하여 전체 비트 할당량을 비트 할당기(4)로 공급하는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로 이루어지며, 비트 할당기(4)는 견적 부호량 및 비트 할당량에 기초하여 가변 레이트 부호화 처리기(1a 내지 1n)의 각각을 제어하는 다중 부호화 장치이다.
본 발명은, 소정 크기의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는 블록마다 부호 발생량의목표치를 설정하고, 목표치에 맞게 양자화기를 제어하며, 일정한 비트 레이트 제어를 하도록 한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현재 부호화 처리 블록후의 미래 블록의 부호 발생량을 각 블록마다 축차(逐次) 견적하는 수단, 및 각 블록의 부호 발생 견적량을 이용하여 다음 블록에서의 부호 발생량의 목표치를 부여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목표치에 따라 양자화기를 제어하여 일정한 비트 레이트로 부호화 출력을 얻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부호화 장치이다.
작 용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에서 입력 데이터가 부호화된다.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의 각각으로부터 비트 할당기(4)로 견적 부호량이 공급된다. 또한, 각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로부터 출력되는 부호량이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로 공급된다.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에서는, 공급된 부호량에 기초하여 전체 비트 할당량이 설정된다. 비트 할당량은 비트 할당기(4)로 공급된다. 비트 할당기(4)에서는, 견적 부호량 및 전체 부호량에 기초하여 각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로 공급하는 할당 비트량이 계산된다.
미래의 복수 블록의 부호 발생량을 견적함으로써 다음 비트 할당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미래의 블록 데이터 시퀀스에 대응한 비트 할당을 행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
제 2 도는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의 상세 블록도.
제 3 도는 비트 할당기의 상세 블록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부호화 장치를 이용한 다중 화면 전송장치의 블록도.
제 5 도는 다중 화면 전송장치의 변형예의 블록도.
제 6 도는 1화면을 자(子) 화면으로 분할한 도면.
제 7 도는 부호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8 도는 다중 부호화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블록도.
제 9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제 10 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비트 할당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 11 도는 부호화 장치의 일 예의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 내지 1n : 가변 레이트 부호화 장치
2 : 멀티플렉서
3 :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
4 : 비트 할당기
11 : 부호량 견적기
12 : 프레임 메모리
13 : 부호화기
14 : 가변 레이트 제어기
15 : 발생 부호율 산출기
16 : 비트 할당 계산기
18, 20 : 다중 부호화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채널의 부호화 출력을 가변 레이트로 하고, 각 채널을 다중화한 부호화 출력의 최대치를 제한함으로써, 각 채널의 정보량을 삭감할 때, 각 채널간에 균형 잡힌 다중전송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재생화면의 주관 화질의 열화의 차를 보다 적게 할 수 있고,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래의 복수 블록의 부호 발생량을 견적함으로써 다음의 비트 할당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미래의 블록 데이터 시퀀스에 대응한 비트 할당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비교적 정보량이 적은 입력 시퀀스로부터 그에 비해 정보량이 많은 화상 시퀀스로 전환하도록 한 장면 변경(scene change)을 포함하는 경우, 종래의 과거 데이터만을 이용한 비트 할당에서는, 장면 변경직후의 비트 할당이 너무 작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화질열화를 초래하게 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의하면 견적 블록 데이터 수 전체 중에서 그 장면(scene)에 어울리는 비트 할당을 행함으로, 장면 변경직후에서의 순간적인 화질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부호화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다중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 다중 부호화 장치는, n개의 입력 데이터가 각각 공급되는 n개의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의 부호화 데이터가 공급되는멀티플렉서(2), 멀티플렉서(2)에서 다중화된 데이터가 공급되는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의 할당 비트량 및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의 부호 견적량이 공급되는 비트 할당기(4)로 이루어진다. 또한, 비트 할당기(4)는 공급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로 할당 비트량을 송출한다. 또한, 각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에서는, 입력 데이터로부터 움직임 보상기의 출력 데이터가 공제되고 그 결과적 데이터가 부호화된다.
각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에서는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 부호화 처리가 행해지고, 그후 가변 레이트에 의한 부호화 데이터로서 멀티플렉서(2)로 출력된다. 멀티플렉서(2)를 통해 출력된 데이터는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로 송출된다.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에서는, 각 패널의 부호화 처리에 의해 출력하는 단위 영역당 부호량을 맞춘 전체의 부호 발생량에 대해서, 다음 단위 부호화 영역에서의 채널 전체에 대한 비트 할당이 행해진다. 이에 의해, 소정의 최대 통신로 용량을 초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비트 할당기(4)에는, 각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로부터의 견적 부호량과,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로부터의 채널 전체의 할당 비트량이 공급된다. 이들 데이터에 기초하여, 비트 할당기(4)로부터는 각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1a 내지 1n)로 각각 할당 비트량을 송출한다.
제2도는 가변 레이트 부호화기의 상세 블록도이다. 입력 데이터는 부호량 견적기(11) 및 프레임 메모리(12)에 각각 공급된다. 부호량 견적기(11)에서는, 입력 데이터의 엔트로피 계산, 공통의 양자화 폭을 부여했을 때 단위 부호화 영역마다발생하는 부호량 계수가 행해진다. 이에 의해, 그 입력 데이터의 견적 부호량이 예측된다. 부호량 견적기(11)의 출력이 비트 할당기(4)로 출력된다.
한편, 프레임 메모리(12)에서는 데이터가 1프레임분 지연된다. 이 지연은 부호량 견적기(11)에서 부호량을 견적하기 위한 시간 맞춤을 위해 행해진다. 프레임 메모리(12)의 출력 데이터는 부호화기(13)에 공급되어 부호화된다. 또한, 비트 할당기(4)로부터는 다음 단위 부호화 영역에서의 채널 전체에 대한 할당 비트량이 가변 레이트 제어기(14)로 출력된다. 이 할당 비트량은 부호화기(13)의 목표 출력치가 된다. 가변 레이트 제어기(14)는 이 할당 비트량에 기초하여 부호화기(13)로 양자화 폭을 변화시키기 위한 제어 데이터를 송출한다. 이렇게 하여, 부호화기(13)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가 일정한 비트 레이트로 되도록 제어된다.
제3도는 비트 할당기(4)의 상세한 블록도이다. 비트 할당기(4)는 발생 부호율 산출기(15)와 비트 할당 계산기(16)로 이루어진다. 발생 부호율 산출기(15)에는 각 부호량 견적기로부터의 견적 부호량이 공급된다. 또한, 견적 부호량에 기초하여, 발생 부호율 산출기(15)에서 발생 부호율이 산출된다. 이 발생 부호율이란, 채널 전체의 발생 부호량에 대한 각 채널의 발생 부호량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발생 부호율은 예컨대, 각 채널의 비율로 산출되며, 그 비율에 따라 비트 할당이 행해진다. 발생 부호율 산출기(15)의 산출 출력은 비트 할당 계산기(16)로 공급된다.
또한, 비트 할당 계산기(16)에는,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기(3)로부터 채널 전체의 비트 할당량이 공급되며, 발생 부호율 산출기(15)의 산출 출력과 비트 할당량에 기초하여 소정의 계산이 행해진다. 이 계산에 의해, 각 채널에 분배하는 할당 비트량이 구해진다. 이 할당 비트량은 각 가변 레이트 제어기로 송출된다.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되는 다중 부호화 장치를 이용한 다중 화면 전송장치의 블록도이다. 이 다중 화면 전송장치에서는, 입력 채널수 및 채널 전제에서의 최대 전송로 용량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 각 채널의 출력 비트 레이트는 구속되지 않는다. 다중화된 채널의 복수 데이터(17a 내지 17n)는 다중 부호화 장치(18)로 공급된다. 다중 부호화 장치(18)에서는 상술한 처리가 행해진다. 즉, 각 화면의 발생 부호량을 견적한 다음, 이러한 각 견적 발생 부호량에 기초하여 구한 발생 부호율에 의해, 각 채널의 가변 레이트 제어기에 대한 할당 비트를 산출한다. 이에 의해, 화면 전체에서의 주관(主觀) 화질의 균일함을 유지할 수 있고, 따라서 화질을 고품질로 유지할 수 있다.
제5도는 제4도에 도시한 다중 화면 전송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5도에서는 복수의 입력 데이터로서 1화면 전체를 복수 화면으로 균일하게 분할한 각 화면용 입력 데이터(19a 내지 19n)가 다중 부호화 장치(20)로 공급된다. 이 예에서는, 1화면은 제6도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4분할(23a 내지 23d)되어 있고, 제5도에 도시되는 입력 데이터(19a 내지 19n)는 4개의 입력 데이터(23a 내지 23d)에 대응한다. 다중 부호화 장치(20)에서는 상기한 처리가 행해진다. 다중 부호화 장치(20)의 부호화 데이터가 일정 레이트 버퍼(21)로 공급된다. 일정 레이트 버퍼(21)에는 일정 레이트 제어기(22)로부터의 제어 데이터가 공급되고, 이에 의해, 다중 부호화 장치(20)로부터 출력되는 부호화 데이터의 최대 통신로 용량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일정 레이트 버퍼(21)에 대한 버퍼 허용량을 일정 레이트 제어기(22)로 감시함으로써, 버퍼의 점유량을 소정 범위 내로 억제할 수 있고, 일정한 비트 레이트 출력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한 각 화면마다 가변 레이트로 부호화가 가능해지므로, 일정한 비트 레이트로 화면 전송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분할한 화면마다 화질 차이를 적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제9도에 있어서, 입력단자(51)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는 메모리(52)로 공급되는 동시에, 부호량 견적부(53)로 공급된다. 메모리(52)는 그로부터 부호화를 행하게 되는 n블록 (1블록은 1픽쳐 분에 상당)분의 미래의 비디오 데이터를 축적한다. 부호량 견적부(53)는 이 n블록분의 미래의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한 경우의 부호량을 구한다.
메모리(52)의 출력은 부호화부(54)로 공급된다. 부호화부(54)는 움직임 보상 예측 부호화와, DCT에 의해 비디오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한다. 부호화 모드로서는 I픽쳐 모드와 B픽쳐 모드 및 P픽쳐 모드가 있다. I픽쳐에서는 프레임/필드내에서 비디오 데이터가 DCT된다. B픽쳐에서는 현재 프레임/필드와, 움직임 보상되기 이전 및 이후 프레임/필드와의 차분 데이터가 DCT된다. P픽쳐에서는 현재 프레임/필드와, 움직임 보상된 이전 프레임/필드와의 차분 데이터가 DCT된다.
부호화부(54)의 출력은 양자화기(55)로 공급된다. 양자화기(55)의 양자화쪽은 이후 설명하는 바와 같이 양자화기 제어부(56)에 의해 제어된다. 양자화기(55)의 출력은 출력 버퍼(57)로 공급된다. 출력 버퍼(57)에서 출력 데이터는 일정한 레이트로 제어된다. 출력 버퍼(57)의 출력이 출력 단자(58)로부터 출력된다.
부호량 견적부(53)에서 n블록분의 미래의 비디오 데이터의 부호량이 견적된다. 즉, 입력 단자(51)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는 n블록의 메모리(52)를 거쳐 부호화부(54)에 공급되므로, 이 부호량 견적부(53)에서 견적되는 것은 현재의 부호화 대상 블록에 이어지는 미래의 n블록분의 부호 발생량이 된다. 이 부호량 견적부(53)의 출력은 블록 분할부(60)로 공급된다. 블록 분할부(60)에서 부호량이 각 블록마다 분할된다. 이 각 블록마다의 부호량 견적치가 비트 할당부(61)로 공급된다.
비트 할당부(61)에는 비트 레이트와 부호화 모드가 공급된다. 또한, 비트 할당부(61)에는 출력 버퍼(57)로부터 축차 부호 발생량이 공급된다. 또한, 비트 할당부(61)에는 미래의 n블록분의 부호 발생량이 부여된다. 비트 할당부(61)는 부여된 비트 레이트, 부호화 모드와 미래의 n블록분의 부호 견적량으로부터, 다음의 부호화 대상 블록의 비트 할당을 행한다.
비트 할당부(61)의 출력은 양자화기 제어부(56)로 공급된다. 양자화기 제어부(6)는 비트 할당부(61)로부터의 비트 할당에 기초하여, 양자화기(105)의 양자화 폭을 설정함으로써 일정한 레이트 제어를 행한다.
제10도는 비트 할당부(61)의 구체적 구성이다. 제10도에 있어서 71은 n블록분의 비트 할당부이다. 이 n블록분의 비트 할당부(71)는 비트 레이트, 부호화 모드 및 블록마다의 과거의 부호 발생량을 기초하여, n블록분으로 허용해야 할 부호발생량을 구한다. 다음 부호화 블록의 할당부(72)는, n블록분의 부호 발생 견적량 및 다음 블록의 부호화 모드를 기초하여, n블록분의 비트 할당부(71)에서 구한 n블록분의 비트를 다음 블록에서 어떻게 분배할지를 결정하여 비트 할당을 행한다.
즉, 부여된 비트 레이트를 Bit Rate, 단위 시간당 픽쳐수를 PRATE로 하면, n픽쳐분 전송시의 초기치의 비트수 R[0]는 다음식으로 부여된다.
R[0] = Bit Rate X n/PRATE (1)
예컨대, 20Mbps의 전송 레이트로 1초사이에 30매의 픽쳐를 보내고자 하면, 15픽쳐분 전송시의 초기치의 비트수 R[0]는,
R[0] = 20000000 X 15/30 = 10000000 비트로 된다.
n개의 픽쳐 중, 부호화 모드가 I의 수를 1, P의 수를 p로 하면, 부호화 모드가 B의 수 b는 b = n-1-p이다.
각 픽쳐(I, P, B)마다 보충하는 할당 비트량의 비율을 부호화 모드에 따라 g[I]:g[P]:g[B]로 가정하면, 어느 시점 t에서의 n개의 픽쳐분의 할당 비트수 R[t]는, 직전의 부호화에 의한 1픽쳐분의 부호 발생량을 S로 하면, 픽쳐마다 다음식에 의해 갱신된다.
R[t] = R[t-1]-S-g[type]/(g[I]+g[P]×P+g[b] ×(n-p-1) (2)
단, 타입(type)은 I, P 또는 B 이다.
예컨대, g[I]:g[P]:g[B]=4:2:1로 하면, 시점 t에서의 15픽쳐분의 할당 비트수 R[t]의 갱신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n블록분의 비트 할당부(71)는 상기한 (1)식 및 (2)식에 기초한 연산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n개의 픽쳐분의 견적량 EBit[1], EBit[2], ..., EBit[n] 및 R[t]를 이용하여 다음 픽쳐의 비트 할당이 행해진다.
예컨대, 다음 부호화를 행하는 픽쳐의 견적 부호량은 EBit[1]이기 때문에, n픽쳐분 전체에서의 EEit[1]이 점유하는 비율을 구하고, 이것을 식(2)으로 구한 R[t]에 관련시켜 다음 1픽쳐분의 비트 할당이 구해진다.
단, 견적 부호량 EBit[1], EBit[2], ..., EBit[n]에 대해서는, 예측 모드마다 결정된 가중계수를 곱함으로써 수정된다. 즉, 다음 1픽쳐분에서의 할당 비트량 ABit는 다음 식으로 구해진다.
단, k1, .... kn은 예측 모드마다 결정된 계수이다. n블록분의 비트 할당부(71)는 (3)식에 기초하는 연산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비트 할당부(61)는 부호화 대상 블록에 대해서 미래의 블록을 이용하여 부호 할당을 행한다. 이에 기초하여, 양자화기(55)의 양자화 폭이 결정된다.

Claims (7)

  1. 디지털 신호 다중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서 가변 레이트(variable rate)로 부호화하는 복수의 부호화 처리부,
    상기 부호화 처리부의 각각으로부터 견적(見積) 부호량이 공급되는 비트 할당부, 및
    상기 부호화 처리부의 각각으로부터 출력되는 부호량에 기초하여 전체의 비트 할당량을 상기 비트 할당부에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비트 할당부는 상기 견적 부호량 및 상기 비트 할당량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처리부의 각각을 제어하는 최대 통신로 용량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 다중 부호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되는 데이터는 복수의 채널로부터 공급되고, 1화면 중에 동시에 표시되는, 디지털 신호 다중 부호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할당부는 상기 견적 부호량이 공급되는 발생 부호율 산출기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기에 의해 발생 부호율이 산출되는, 디지털 신호 다중 부호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할당부는 비트 할당 계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트 할당 계산부는 상기 발생 부호율 산출기에 의해 산출되는 부호율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채널에 분배하는 할당 비트량을 결정하는, 디지털 신호 다중 부호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 처리부는 프레임 메모리, 부호화기 및 부호량 견적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부호량 견적회로에 의해 부호량을 견적하기 위한 시간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 메모리로부터 데이터가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 다중 부호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멀티플렉서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채널은 상기 멀티플렉서 회로에 의해 표준 디스플레이에 복수의 화면이 축소되어 표시되는, 디지털 신호 다중 부호화 장치.
  7. 소정 크기의 데이터 영역으로 구성되는 블록마다 부호 발생량의 목표치를 설정하고, 상기 목표치에 맞도록 양자화기를 제어하며, 일정한 비트 레이트 제어를 하도록 한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현재 부호화 처리 블록후의 미래 블록의 부호 발생량을 각 블록마다 축차(逐次) 견적하는 수단, 및
    상기 각 블록의 부호 발생 견적량을 이용하여, 다음 블록에서의 부호 발생량의 목표치를 부여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목표치에 따라 상기 양자화기를 제어하여 일정한 비트 레이트로 부호화 출력을 얻도록 한, 부호화 장치.
KR1019950012811A 1994-05-25 1995-05-23 디지탈신호다중부호화장치 KR1003821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17694A JPH07322254A (ja) 1994-05-25 1994-05-25 符号化装置
JP94-135176 1994-05-25
JP14123594A JPH07327229A (ja) 1994-05-31 1994-05-31 多重符号化装置
JP94-141235 1994-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5450A KR950035450A (ko) 1995-12-30
KR100382136B1 true KR100382136B1 (ko) 2003-07-18

Family

ID=26469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811A KR100382136B1 (ko) 1994-05-25 1995-05-23 디지탈신호다중부호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56426A (ko)
EP (1) EP0685971B1 (ko)
KR (1) KR100382136B1 (ko)
CN (1) CN1132430C (ko)
DE (1) DE69527577T2 (ko)
MY (1) MY116350A (ko)
TW (1) TW37428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2252A (ja) * 1994-05-23 1995-12-08 Canon Inc 画像符号化装置
US5940738A (en) 1995-05-26 1999-08-17 Hyundai Electronics America, Inc. Video pedestal network
US5793410A (en) * 1995-05-26 1998-08-11 Hyundai Electronics America Video pedestal network
GB9517130D0 (en) * 1995-08-22 1995-10-25 Nat Transcommunications Ltd Statistical multiplexing
US5963256A (en) * 1996-01-11 1999-10-05 Sony Corporation Coding according to degree of coding difficulty in conformity with a target bit rate
EP0893027B1 (en) * 1996-04-12 2004-08-25 Imedia Corporation Compressed-video distribution system having a statistical multiplexer with transcoders
US6292589B1 (en) * 1996-06-21 2001-09-1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for choosing rate control parameters in motion-compensated transform-based picture coding scheme using non-parametric technique
US6408095B1 (en) * 1996-08-27 2002-06-18 Canon Kabushiki Kaisha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display and output of images
JPH10164581A (ja) * 1996-12-03 1998-06-19 Sony Corp 画像信号符号化方法及び装置、信号記録媒体
KR100571685B1 (ko) * 1996-12-12 2006-11-3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영상 데이터 부호화 장치와 방법 및 영상 데이터 전송 방법
EP0851656A1 (en) * 1996-12-23 1998-07-01 HE HOLDINGS, INC. dba HUGHES ELECTRONICS System and method for high resolution video compression by tiling
GB2327577B (en) * 1997-07-18 2002-09-11 British Broadcasting Corp Re-encoding decoded signals
US6845107B1 (en) * 1997-10-15 2005-01-18 Sony Corporation Video data multiplexer, video data multiplexing control method,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encoded stream, and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6278735B1 (en) * 1998-03-19 2001-08-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Real-time single pass variable bit rate control strategy and encoder
EP1034659B1 (en) * 1998-07-10 2006-11-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Bit-rate modification
GB9815615D0 (en) * 1998-07-18 1998-09-16 Nds Ltd Statistical multiplexing
US6754241B1 (en) * 1999-01-06 2004-06-22 Sarnoff Corporation Computer system for statistical multiplexing of bitstreams
CN1192633C (zh) * 1999-05-26 2005-03-09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数字视频信号编码方法和相应的编码或代码转换系统
US6721957B1 (en) * 1999-08-16 2004-04-13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aximizing bandwidth efficiency in a digital video program stream
KR100635010B1 (ko) * 1999-10-07 2006-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수의 부호기를 이용한 영상부호화장치
CN1322759C (zh) * 2000-04-27 2007-06-20 三菱电机株式会社 编码装置和编码方法
US7418007B1 (en) * 2000-09-20 2008-08-26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bit rate in a statistical multiplexer
US7072393B2 (en) 2001-06-25 2006-07-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parallel encoders and statistical analysis thereof for encoding a video sequence
US7266133B2 (en) 2002-11-13 2007-09-0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statistical multiplexing with distributed multiplexers
CN1973550B (zh) * 2004-07-07 2010-08-18 汤姆森许可贸易公司 使用冗余视频流的通过dsl的数字视频广播系统中的快速频道改变
US9781433B2 (en) * 2005-01-26 2017-10-03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real-time video encoding
US8223845B1 (en) * 2005-03-16 2012-07-17 Apple Inc. Multithread processing of video frames
US8259811B2 (en) * 2007-11-30 2012-09-04 Olympus Imaging Corp Method for determining a number of items of encoded data that can be stored in a memor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izes of items of encoded image data to be stored in a memory
JP5491936B2 (ja) 2010-03-31 2014-05-14 株式会社メガチップス 画像処理装置
US10382789B2 (en) 2013-03-08 2019-08-13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Systems and methods for digital media compression and re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6237A (en) * 1980-12-22 1983-05-31 Intelsat NIC Processor using variable precision block quantization
US4455649A (en) * 1982-01-15 1984-06-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statistical multiplexing of voice and data signals
US5115309A (en) * 1990-09-10 1992-05-19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channel bandwidth allocation among multiple parallel video coders
JP3070110B2 (ja) * 1991-02-27 2000-07-24 日本電気株式会社 動画像信号の伝送システム
JP3109854B2 (ja) * 1991-04-23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JP3164647B2 (ja) * 1992-06-03 2001-05-08 株式会社東芝 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US5506844A (en) * 1994-05-20 1996-04-09 Compression Labs, Inc. Method for configuring a statistical multiplexer to dynamically allocate communication channel bandwid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2430C (zh) 2003-12-24
US5956426A (en) 1999-09-21
EP0685971A2 (en) 1995-12-06
CN1122989A (zh) 1996-05-22
MY116350A (en) 2004-01-31
DE69527577D1 (de) 2002-09-05
EP0685971B1 (en) 2002-07-31
EP0685971A3 (en) 1997-10-22
KR950035450A (ko) 1995-12-30
DE69527577T2 (de) 2003-04-03
TW374283B (en) 199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2136B1 (ko) 디지탈신호다중부호화장치
KR100329892B1 (ko) 다수의 비디오 프레임 스트림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6049629A (en) Coding apparatus for coding image data using one of an interpicture coding method and an interpicture motion-compensated coding method
US6008848A (en) Video compression using multiple computing agents
EP0771120B1 (en) Video encoding apparatus
KR20000071026A (ko) 코딩 시스템내에서 속도 제어를 최적화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10021879A (ko) 코딩 시스템의 매크로 블록 기반 비율을 제어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601615B1 (ko) 네트워크 대역폭에 적응적인 영상 압축 장치
GB2377573A (en) Stor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transmitters in a plurality of frame stores
AU2002321220A1 (en) Video transmission system video transmission unit and methods of encoding decoding video data
KR20030009669A (ko) 다채널 영상 부호화기 및 그 부호화 방법
KR0162203B1 (ko) 양자화스텝사이즈의 가변을 이용한 적응적 부호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53028A (ko) 움직임 보상을 이용한 예측 코딩 방법 및 장치
US6480544B1 (en) Encoding apparatus and encoding method
JP3717956B2 (ja)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コーディングシステム
JPH0662393A (ja) 多重化した動画像符号化方法と装置
KR100340827B1 (ko) 복잡성결정장치
JP3583432B2 (ja) 不足する資源を動的に割り当てるシステム
JP3581382B2 (ja) 符号化装置及びその方法
JP3948597B2 (ja) 動画像圧縮符号化送信装置、受信装置および送受信装置
KR100336497B1 (ko) 공간예측 오차 모델을 이용한 동영상 부호화기의 율제어장치 및 방법
JPH07327229A (ja) 多重符号化装置
JPH07322254A (ja) 符号化装置
KR0185847B1 (ko) 영상부호기의 양자화 스텝 조절장치
JPH0775095A (ja) レート制御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