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438B1 -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438B1
KR100381438B1 KR10-2001-0017818A KR20010017818A KR100381438B1 KR 100381438 B1 KR100381438 B1 KR 100381438B1 KR 20010017818 A KR20010017818 A KR 20010017818A KR 100381438 B1 KR100381438 B1 KR 10038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er
brush
pattern
housing
rect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7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495A (ko
Inventor
이인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20016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5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open/close de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8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 E05F1/1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spring-actuated, e.g. for horizontally sliding wings for swinging wings, e.g. counterbalance
    • E05F1/12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 E05F1/1284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springs with a leaf or similar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4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meshing gear wheels, one of which being mounted at the wing pivot axis; operated by a motor acting directly on the wing pivot axis
    • E05Y2999/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더의 위치를 제어하여 구동장치의 불안정과 부하에 따른 위상차를 보정하여 항상 안정된 위치에서 폴더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폴더 여닫이형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에 구비되며 내부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일측에는 돌기가 타측은 개방된 형상을 갖는 회동부와; 본체에 연결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회동부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부와; 상기 구동수단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끝단부에 형성된 캠이 일측 고정부의 고정홈내에 위치되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캠이 삽입된 고정홈내에 설치되어 캠에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수단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와; 상기 구동수단과 힌지 샤프트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선택적인 통전을 통해 동위상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 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Operating system of mobile device folder}
본 발명은 자동 및 수동을 겸하여 폴더를 개폐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폴더의 위치를 제어하여 구동장치의 불안정과 부하에 따른 위상차를 보정하여 항상 안정된 위치에서 폴더가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의 형태로는 이동체 상호간의 직접통신(무선송수신기), 하나의 기지국과 다수의 이동체 사이의 통신(MCA 무선), 복수의 기지국에서 근처의 기지국을 선택하는 통신(자동차전화) 등이 있으며, 근래에 들어서는 휴대용 주변장치를 이용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컴퓨터 업무와 네트워크 접속을 통해 데이터 송수신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개인용 디지털 보조기), 스마트폰, HPC(Hand Held PC:휴대용 PC) 등이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은 그 사용 단말기의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상의 편리함으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소형화 및 다기능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용 단말기는 그 형상에 따라 숫자(기능)버튼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 있는 바(BaR)타입과, 숫자(기능)버튼을 덮개로 차폐시킨 커버를 갖는 플립(Flip)타입과, 본체가 반으로 접혀지는 폴더(Folder)타입 등으로 분류되며, 소형화 추세에 따라 폴더타입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되고 있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의 폴더타입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크게 본체(110)와 폴더(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110)는 통상 숫자(기능)버튼과 마이크를 포함하며, 내부에 송수화를 위한 각종 구성부품이 내장되고, 일측에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팩이 장착되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폴더(120)는 각종 통화정보 및 기능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창과 스피커 등을 포함하고 이외에도 각종 구성부품이 내장된다.
이와 같은 폴더(120)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폴더(120)가 본체(110)에 대해서 일단이 힌지수단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이 힌지수단을 중심으로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동함으로써 개폐를 이루게 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폴더(120)를 개폐시키는 개폐구조는 통상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폴더(120)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부가 빈 원통형의 하우징(111) 내에 일측의 차폐된 끝단부에는 탄성부재인 코일스프링(112)이 고정되며, 이 코일스프링(112)의 일측 즉, 상기 하우징(111)의 개방된 단부측으로는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양측면에 테이퍼 형성된 수형 커플러(113)가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상기 하우징(111)의 개방된 단부로는 일단이 폴더(120)와 연결되는 연결부(115)가 형성되고, 타단은 수형 커플러(113)의 끝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중앙부가 요입되게 내측으로 테이퍼 형성된 암형 커플러(114)가 본체(110) 일측에 형성되며, 이들 수형 커플러(113)와 암형 커플러(114)는 상호 테이퍼진 부위가 맞춤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수형 커플러(113)와 암형 커플러(114)는 힌지축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더(120)의 회전시 수형 커플러(113)가 연동하게 되며, 이때 암형 커플러(114)는 본체(110)에 형성된 고정부의 고정홈에 의해 회전방향이 제한되지만 수형 커플러(113)가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플러(113)가 코일스프링(112)을 압축시키면서 뒤로 밀리게 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폴더(120)를 개방시키는 경우 이 폴더(120)와 연동하는 수형 커플러(113)의 회전각이 수형 커플러(113)와 암형 커플러(114)의 테이퍼각보다 작을 경우에는 코일스프링(112)의 탄성력에 의해 수형 커플러(113)와 암형 커플러(114) 사이에 결합력이 작용되어 폴더(120)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상기 수형 커플러(113)의 회전각이 테이퍼각보다 클 경우에는 수형 커플러(113)가 약180°회전하면서 암형 커플러(114)와 재결합되는 상태가 되므로 폴더(120)는 개방을 이루게 된다.
이와 반대로 폴더(120)를 닫을 경우에도 상기 수형 커플러(113)의 회전각이 수형 커플러(113)와 암형 커플러(114) 사이의 테이퍼각보다 작을 경우에는 코일스프링(112)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려는 힘이 크게 작용되어 폴더(1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지만, 수형 커플러(113)의 회전각이 테이퍼각 보다 클 경우에는 일정각도 이상에서 급회전하여 수형 커플러(113)와 암형 커플러(114)의 테이퍼진 부위가 재결합되므로 폴더(120)가 닫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은 폴더(120)의 무게가 비교적 무겁기 때문에 폴더(120)를 개폐하기 위해서는 한손으로 본체(110)를 잡은 상태에서 다른 한손으로 폴더(120)를 개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보다 손쉽게 폴더(12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안되었는데, 이에 대표적인 것이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즉, 한손으로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장치를 구동시킴으로써 폴더(120)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여기서 가장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자동뿐만 아니라 수동도 동시에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하우징(111)내에 구동장치가 구성된 이동통신 단말기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일측편에 코일스프링(112)의 탄성 지지력을 받는 모터(116)와, 이 모터(116)의 출력단측에 구성되는 기어박스(117)로 이루어진다.
모터(116)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받는 스위치에 연동하여 작동되는 것으로, 타이머에 의해 설정된 시간동안만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게 된다.
기어박스(117)는 상기 모터(116)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회전비를 감속시킴과 동시에 역전방지를 하는 것으로, 출력단측에 수형 커플러(113)가 결합되어 대향된 암형 커플러(114)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120)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하여 스위치를 조작하면 수형 커플러(113)와 암형 커플러(114)가 상호 맞물려 고정되므로 모터(116)의 본체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이 모터(116)가 고정 설치된 하우징(111)을 구비한 폴더(120) 역시 일정시간동안 회전하게 되어 본체(110)로부터 개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반대로 폴더(120)를 닫기 위해 스위치를 재 조작하게 되면 모터(116)의 본체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폴더(120) 역시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닫혀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수동으로 폴더(120)를 열거나 닫기 위해 폴더(120)를 본체(110)로부터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수형 커플러(113)와 암형 커플러(114) 사이에 슬립이 생기면서 수형 커플러(113)가 모터(116)와 일체로 코일스프링(112)을 압축하여 위치변위을 일으키게 되어 폴더(120)가 회동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120)가 일정위치에 도달하면 코일스프링(112)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수형 커플러(113)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암형 커플러(114)와 재결합됨으로써 폴더(120)가 급속하게 열리거나 닫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폴더(120)를 회전시키는 모터(116)가 타이머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작동되므로 모터(116)의 출력특성 즉, RPM이 변하게 되면 폴더(120)의 완전한 개폐를 이루는 설정된 위치(Open 위치/Close 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로 작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폴더(120)가 개폐되는 동안 폴더(120)를 손으로 잡거나 또는 주머니 등에 수납된 상태에서 스위치가 잘못 조작되어 폴더(120)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면, 특정 위치에서 수형 커플러(113)가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수동모드에서 폴더(120)가 완전히 닫혀지지 않게 되거나 또는 폴더(120)가 개방각도인 150°이상 열리게 되므로 개폐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구동수단의 출력특성이 변화되거나 또는 자동 및 수동 혼용 사용시 발생하는 위상차를 보정함으로써 폴더의 안정된 개폐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에서 위치 감지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동통신 단말기 2 : 폴더
3 : 본체 4 : 배터리팩
5 : 스위치 10 : 회동부
11 : 구동수단 12 : 모터
13 : 감속 기어체 30 : 고정부
31 : 고정홈 40 : 스프링
50 : 감지수단 51 : 브러쉬 하우징
51a,51b : 패턴 52 : 정류 하우징
52a : 브러쉬 60 : 힌지 샤프트
61 : 캠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일측에는 돌기가 타측은 개방된 형상을 갖는 원통형 회동부와;
본체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히동부를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부와;
상기 구동수단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끝단부에 형성된 캠이 일측 고정부의 고정홈내에 위치되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캠이 삽입된 고정홈내에 설치되어 캠에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수단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와;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힌지 샤프트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서로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는 브러쉬 하우징과 정류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될 때 동위상 상태임을 검출하는 위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출력단측에 고정설치되고 브러쉬가 돌출형성된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브러쉬 하우징에 대향하는 힌지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통해 통전되도록 이격된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형성된 하우징; 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회동에 따른 상기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정류 하우징의 상대 회전시 소정 위치에서 상기 브러쉬를 통해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통전될 때 동위상 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브러쉬 하우징은 한 개 이상의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90도와 270도 상에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출력단에 고정설치되고 일면에 통전을 위한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형성된 정류 하우징과;
상기 정류 하우징에 대향하는 힌지 샤프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통전시키는 브러쉬를 구비한 브러쉬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회동에 따른 상기 정류 하우징과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상대회전시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소정위치에서 상기 브러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통전될 때 동위상 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90도와 270도 상에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수단은 스위치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구동수단은 브러쉬 하우징과 정류 하우징의 통전에 의한 동위상 검출에 의하여 구동이 단속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탄성수단은 힌지 샤프트가 삽입된 고정홈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사이에 개재된 캠을 양측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인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대략 동심원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내외측 패턴으로 분리 형성되며, 90도와 270도 상에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대략 동심원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내외측 패턴으로 분리 형성되며, 90도와 270도 상에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고, 어느 하나의 패턴은 인접 패턴과 근접되도록 연장패턱을 갖도록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내외측 패턴 사이에는 더미패턴이 더 마련되며, 상기 내외측 패턴중 어느 하나의 패턴과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브러쉬는 2개의 접촉편을 가지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는 크게 회동부(10)내에 장착되는 구동수단(11)과, 상기 구동수단(11)에 연결되는 힌지 샤프트(60) 그리고 상기 힌지 샤프트에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스프링과(40) 및 위치감지수단(50)으로 구성된다.
구동수단(11)은 폴더(2)의 일측, 즉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고정부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 원통형의 회동부(10)내에 설치되며 폴더(2)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구동수단(11)은 모터(12)와 감속 기어체(13)로 구성되며, 모터(12)는 스위치(5)의 조작력에 연동하여 정,역방향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동통신 단말기(1)에 장착되는 배터리팩(4)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감속 기어체(13)는 모터(12)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받아 감속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감속 기어체(13)는 복수개의 유성기어군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성기어군은 일정비율의 감속비를 가짐으로써 감속기능과 역전방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구동수단(11)은 모터(12)에서 생성된 구동력이 유성기어군을 통해 감속된 상태로 후술할 힌지 샤프트(60)에 전달된다.
힌지 샤프트(60)는 상기 구동수단(11)의 출력단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것으로 끝단부에는 장방형의 캠(61)이 형성되며, 이 캠(61)은 본체(3)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 한쌍의 고정부(30) 중 한쪽의, 즉 폴더 회동부의 개방단과 대향하는 고정부(30)에 형성된 고정홈(31)내에 삽입되며, 스프링(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스프링(40)은 통상적으로 탄성 변형률 및 복원력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힌지 샤프트(60)의 캠(61)이 삽입된 고정홈(31)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판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한쌍의 판스프링은 캠(61)을 사이에두고 양측편에 접촉되어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판스프링 사이의 간격은 캠(61)이 갖는 최단폭에 비례하도록 이루어지며, 또한 캠(61)이 회전하는 경우 캠(61)이 갖는 최장폭만큼 외측방향으로 신장된다.
따라서, 전술한 판스프링과 같은 스프링(40)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 힌지 샤프트(60)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자동모드에서 모터(12)는 최종 출력단인 힌지 샤프트(60)을 고정점으로 하여 외체가 회전하면서 구동수단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는 폴더부가 회전하게 되고, 수동모드에서 힌지 샤프트(60)는 감속 기어체(13)에 의해 역전방지되므로 폴더의 수동 개폐시 힌지 샤프트가 폴더의 개폐방향에 따라 폴더와 함께 회전하면서 스프링(40)을 변형시키게 된다.
스위치(5)는 사용자의 조작력을 입력받아 구동수단(11)을 작동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스위치(5)를 조작하면 출력단에 연결된 모터(12)로 소정의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위치(5)는 본 발명에서 본체(3)의 일측면에 통상의 온/오프 스위치(5) 형태로 제공되고 있으나, 이동통신 단말기(1)의 형상이나 사용자의 조작력이 용이한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위치(5)의 조작에 따라 폴더가 닫힌 상태에서는 폴더가 열리도록, 폴더가 열린 상태에서는 폴더가 닫히도록 구동수단의 정역작동이 제어된다.
위치 감지수단(50)은 구동수단(11)과 힌지 샤프트(60)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수단의 회동시 일체로 회동되는 소정각도에서 통전을 이루도록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을 포함한 정류 하우징(51)과 브러쉬(52a)를 포함한 브러쉬 하우징(52)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정류 하우징(51)과 브러쉬 하우징(52)은 구동수단(11)에 고정 설치되어 구동수단(11)의 회동시 일체로 회동하는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과 힌지 샤프트(60)에 고정 설치된 브러쉬 하우징(52)의 브러쉬(52a)가 서로 접촉하여 통전하게 될 때 이를 동위상 상태로서 검출하여 구동수단(11)에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위치 감지수단(50)은 회동부(10)와 힌지 샤프트(60)가 동위상이 되었을 경우, 즉 회동부(10)내에 일체로 고정설치된 구동수단(11)에 고정되는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이 힌지 샤프트(60)에 고정되는 브러쉬 하우징(52)의 브러쉬(52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되는 경우, 또는 구동수단(11)에 고정되는 브러쉬 하우징(52)의 브러쉬(52a)가 힌지 샤프트(60)에 고정되는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경우, 이를 감지한 뒤 구동수단(11)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은 위치 감지수단(50)의 정류 하우징(51)과 브러쉬 하우징(52)는 회동부(10)와 고정부(30)의 동위상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첨부도면 도 6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감지수단(5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부(10)측에 마련된 구동수단(11)의 일측면에 정류 하우징(51)이 설치되고, 이 정류 하우징(51)에 마주보는 힌지 샤프트(60)의 일측면에 브러쉬 하우징(52)을 설치하여 동위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류 하우징(51)은 판재형의 박막 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며 힌지 샤프트(60) 측에 설치되는 브러쉬 하우징(52)과 마주보는 일측면으로 통전을 위한 +/-패턴 즉,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 또는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 샤프트(60)에 설치되는 브러쉬 하우징(52)은 정류 하우징(51)에 구비되는 +/-패턴 즉, 제1패턴(51a)과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킴으로써 통전시키는 일종의 철편인 브러쉬(52a)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정류 하우징(51) 및 브러쉬 하우징(52)은 힌지 샤프트(6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앙에 소정크기의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위치 감지수단(50)은 회동부(10)측에 마련된 구동수단(11)의 감속기어체(13)의 일측면에 브러쉬 하우징(52)이 설치되고, 이 브러쉬 하우징(52)에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된 힌지 샤프트(60)의 일측면에 정류 하우징(51)을 설치하여 동위상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52)은 일측면에 하나 이상의 브러쉬(52a)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브러쉬(52a)는 통상 하나 이상 구비되며 끝단부가 벤딩됨으로써 정류 하우징(51)의 일면에 안정되게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정류 하우징(51)은 일면에 상기 브러쉬 하우징(52)의 브러쉬(52a)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통전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패턴 즉,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 또는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이 형성되며, 중앙에는 소정크기의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됨으로써 힌지 샤프트(6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위치 감지수단(50)은 도 10내지 도 11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때의 정류 하우징(51)은 일면에 통전을 위한 +/-패턴, 즉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 또는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을 갖도록 이루어지며, 브러쉬 하우징(52)은 상기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과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소정각도에서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한 개 이상의 브러쉬(52a)로 구성된다.
즉, 첨부된 도면 도 10에는 브러쉬 하우징(52)에 구비되는 단일의 브러쉬(52a)와, 이 브러쉬(52a)와의 접촉에 의해 90도와 270도 사이에서 통전되도록 제1패턴(51a)과 제2패턴(51b)이 형성된 정류 하우징(51)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정류 하우징(51)에 형성되는 제1패턴(51a)과 제2패턴(51b)은 전술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일예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류 하우징(51)에 형성되는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은 대략 동심원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내외측 패턴으로 분리 형성되며, 특히 90도와 270도 상에서 브러쉬 하우징(52)에 의해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내,외측 패턴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어느 한 지점 즉, 90도와 270도 상에서만 브러쉬 하우징(52)의 브러쉬(52a)를 통해 통전되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브러쉬(52a)의 높이차가 발생되므로 이를 미연에 방지하고 안정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외패턴 사이에 더미패턴(51c)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류 하우징(50)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이 내,외패턴을 동심원상으로 형성함에 의해서는 브러쉬 하우징(52)의 브러쉬(52a) 역시 두 갈래로 갈라진 브러쉬(52a)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52)의 브러쉬(52a)은 통상 전도성을 갖는 일종의 철편으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정류 하우징(50)의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에 접촉될 수 있도록 굽힘되어 돌출 가공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위치 감지수단(50)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폴더(2)를 수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폴더(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폴더(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부(1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동부(10)에 설치된 힌지 샤프트(60) 역시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 샤프트(60)의 캠(61)은 구동수단(11)의 감속 기어체(13)가 역전방지를 이루므로 스프링(40)을 강제 신장시키면서 회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력에 의해 폴더(2)로부터 발생한 회전력은 힌지 샤프트(60)의 캠(61)을 지지하는 스프링(40)이 탄력적으로 신장되면서 폴더(2)가 수동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폴더(2)를 자동으로 개방시키기 위해서는 본체(3)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5)를 조작하게 되면, 이 스위치(5)는 소정의 전기신호를 구동수단(11)의 모터(12)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모터(12)는 이동통신 단말기(1)에 장착되는 배터리팩(4)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폴더(2)를 개방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모터(12)의 회전력은 감속 기어체(13)를 통해 일정비율로 감속된 상태로 출력단에 결합된 힌지 샤프트(60)에 전달된다.
한편, 폴더(2)가 본체(3)에 닫혀 있는 상태에서의 캠(61)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에서 바라보면 일측으로 기울어져 스프링(40)을 신장시킨 상태의 위상을 가지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의 캠(61)은 스프링(40)의 복원력이 작용되므로 결과적으로 폴더(2)가 본체(3)에 탄력적으로 닫혀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2)가 폴더(2)를 개방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캠(61)은 스프링(40)의 지지력에 의해 수평상태로 복귀된다.
그러므로, 상기 힌지 샤프트(60)는 캠(61)이 고정부(30)의 고정홈(31)에 설치된 스프링(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힌지 샤프트(60)는 회전되지 못하고 구동수단(11)을 이루는 외체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11)이 장착된 회동부(10)를 구비한 폴더(2)가 일방향 회전되어 개방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 샤프트(60)가 회전하면서 그 일측에 구비된 위치 감지수단(50) 즉, 구동수단(11)에 설치된 정류 하우징(51)과, 이 정류 하우징(51)과 대응하여 힌지 샤프트(60)에 설치된 브러쉬 하우징(52)이 동위상에 되면 소정의 전기신호가 모터(12)에 인가되어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폴더(2)의 개방이 완료된다.
한편, 사용자가 자동으로 폴더(2)를 닫기 위해 본체(3) 일측에 제공된 스위치(5)를 조작하게 되면, 이 스위치(5)에서 발생된 전기신호가 구동수단(11)의 모터(12)에 인가된다.
이때 모터(12)는 이동통신 단말기(1)에 장착되는 배터리팩(4)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폴더(2)를 차폐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모터(12)의 회전력은 감속 기어체(13)를 통해 일정 비율로 감속된 상태로 출력단에 결합된 힌지 샤프트(60)으로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 샤프트(60)는 캠(61)이 고정부(30)의 고정홈(31)에 설치된 스프링(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힌지 샤프트(60)는 회전되지 못하고 구동수단(11)을 이루는 외체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수단(11)은 폴더(2)의 회동부(10)에 장착되므로 폴더(2)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차폐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폴더(2)가 차폐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본체(3)와의 접촉으로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게 되므로 구동수단(11)에 부하가 작용함과 동시에 힌지 샤프트(60)의 캠(61)이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60)가 회전함에 따라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에 의해 정류 하우징(51)과 브러쉬 하우징(52)이 통전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감지수단(50)은 동위상 검출에 따른 소정의 전기신호를 모터(12)에 인가하여 구동을 정지시켜 폴더(2)의 차폐동작을 완료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구동수단(11)에 정류 하우징(51)이 고정되고 이에 대향하여 힌지 샤프트(60)에 브러쉬 하우징(52)이 고정된 경우 폴더(2)의 개방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5)를 조작하게 되면, 먼저 구동수단(11)이 작동하여 폴더(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폴더(2)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구동수단(11)이 함께 회전하게 되며, 구동수단(11)에 고정된 정류 하우징(5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수단(11)에 고정된 정류 하우징(51)에는 +극의 제1패턴(51a)과 -극의 제2패턴(51b)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폴더(2)가 완전히 닫혀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하면 닫힌 상태에서 부하를 받게 되고, 모터(12)는 계속 작동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힌지 샤프트(60)가 탄성수단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정류 하우징(51)과 대향하여 힌지 샤프트(60)에 고정 설치된 브러쉬 하우징(5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브러쉬 하우징(52)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브러쉬(52a)도 함께 회전하게 되어, 구동수단(11)에 고정되어 회전정지된 상태의 상기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통전에 의해 구동수단(11)의 모터(12)는 작동 정지되는데 이때의 상태가 바로 동위상 상태이고, 이때 힌지샤프트(60)는 그 캠(61)이 스프링(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또한, 폴더(2)의 닫힘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5)를 조작하면 구동수단(11)이 작동하여 먼지 힌지 샤프트(60)가 폴더(2)의 개방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스프링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는 위치) 회전하고, 이어서 힌지 샤프트(60)는 판스프링(40)에 의해 회전 정지되며 폴더(2)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폴더(2)에 일체로 고정설치된 구동수단(11)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수단(11)에 고정된 정류 하우징(5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수단(11)에 고정된 정류 하우징(51)에는 브러쉬(52a)에 의해 통전되는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향하여 힌지 샤프트(60)에 고정된 브러쉬 하우징(52)에는 일단이 자유단으로서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브러쉬(52a)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폴더(2)가 완전히 개방된 각도를 갖게 되면 브러쉬(52a)가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전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통전에 의해 구동수단(11)의 모터(12)는 작동 정지된다. 이때의 상태 또한 바로 동위상 상태이며, 이때의 힌지샤프트(60)는 스프링(40)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는 위치에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구동수단(11)에 브러쉬 하우징(52)이 고정되고 이에 대향하여 힌지 샤프트(60)에 정류 하우징(51)이 고정된 경우, 폴더(2)의 개방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 스위치(5)를 조작하면 구동수단(11)이 작동하여 폴더(2)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폴더(2)에 일체로 고정설치된 구동수단(11)이 함께 회전하게 되며, 구동수단(11)에 고정된 브러쉬 하우징(5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구동수단(11)에 고정된 브러쉬 하우징(52)에는 일단이 자유단으로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브러쉬(52a)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한편, 상기 폴더(2)가 완전히 닫혀 더 이상 회전이 불가능하면 닫힌 상태에서 부하를 받게 되고, 모터(12)는 계속 작동하고 있으므로 이에 따라 힌지 샤프트(60)가 탄성수단 즉 스프링(4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며, 상기 브러쉬 하우징(52)과 대향하여 힌지 샤프트(60)에 고정 설치된 정류 하우징(51)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정류 하우징(51)에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는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은 구동수단(11)에 고정되어 회전정지된 상태의 상기 브러쉬(52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하게 된다. 이러한 통전에 의해 구동수단(11)의 모터(12)는 작동 정지된다. 이때의 상태가 바로 동위상 상태이고, 이때 힌지샤프트(60)는 그 캠(61)가 스프링(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이다.
또한, 폴더(2)의 닫힘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의 동작을 위해 사용자가스위치(5)를 조작하면 구동수단(11)이 작동하여 먼저 힌지 샤프트(60)가 폴더(2)의 개방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판스프링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되는 위치) 회전하고, 이어서 힌지 샤프트(60)는 판스프링에 의해 회전정지되며 폴더(2)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폴더(2)에 일체로 고정설치된 구동수단(11)이 함께 회전하게 되고, 구동수단(11)에 고정된 브러쉬 하우징(5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11)에 고정된 브러쉬 하우징(52)에는 일단이 자유단으로서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전시키는 브러쉬(52a)의 타단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폴더(2)가 완전히 개방되면 이 위치에서 상기 브러쉬(52a)가 브러쉬 하우징(52)과 대향하여 힌지 샤프트(60)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 및 제2패턴(51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통전하게 된다.
이러한 통전에 의해 구동수단(11)의 모터(12)는 작동이 정지되는데 이때의 상태도 또한 바로 동위상 상태이다.
한편, 자동모드에서 폴더(2)가 개방되는 동작중 부하를 받게되면, 폴더(2)는 고정되고 동시에 힌지 샤프트(60)는 스프링(40)의 탄성 지지력을 극복하고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정류 하우징(51)의 제1패턴(51a)과 제2패턴(51b)이 브러쉬 하우징(52)의 브러쉬(52a)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되므로 모터(12)의 구동이 정지되고, 힌지 샤프트(60)와 폴더(2)의 위치가 수동모드와 동일한 위치를 갖게 된다.
그러므로 스프링(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폴더(2)는 개방 및 차폐의 위치중 가까운 위치로 이동하여 개폐를 이루게 된다.
한편 자동모드로 폴더(2)가 닫히는 동작 중 폴더(2)에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에도 전술한 예와 동일한 작용으로 폴더(2)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더를 자동으로 개방 및 차폐시키는 작동과정에서 폴더에 외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도 폴더를 초기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자동 이송시키게 되므로 동작의 연속성이 보장된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체(3)와 폴더(2)가 연결되는 부분 즉, 고정부(30)와 회동부(10)측에 상호 일정각도에서 통전을 이루는 정류 하우징(51)과 브러쉬 하우징(52)를 구성하여, 이들 정류 하우징(51)과 브러쉬 하우징(52)의 통전신호에 의해 모터(12)의 구동을 단속하므로 모터(12)의 불안정한 구동력과 부하에 따른 위상차를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는 폴더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작동 과정에서 폴더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폴더를 초기 위치 또는 개방위치로 자동 이송시키게 되므로 동작의 연속성이 보장되며, 특히 위치 감지수단에 의해 폴더가 항상 바른 위치에서 개폐를 이룰 수 있게 되므로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전술한 본 발명이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실시예로 나타냈지만,본 발명은 반드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체에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있는 커버(플립)를 구비한 이동통신장치 및 다양한 형태의 휴대용 전자제품에도 응용 가능하다.

Claims (13)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폴더의 일단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수단이 설치되고 일측에는 돌기가 타측은 개방된 형상을 갖는 원통형 회동부와;
    본체에 일체로 연결되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히동부를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쌍의 고정부와;
    상기 구동수단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끝단부에 형성된 캠이 일측 고정부의 고정홈내에 위치되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캠이 삽입된 고정홈내에 설치되어 캠에 소정의 탄성 지지력을 작용하는 탄성수단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며 구동수단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스위치와;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힌지 샤프트의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서로 대응하여 각각 설치되는 브러쉬 하우징과 정류 하우징으로 이루어져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통전될 때 동위상 상태임을 검출하는 위치감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출력단측에 고정설치되고 브러쉬가 돌출형성된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브러쉬 하우징에 대향하는 힌지 샤프트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브러쉬에 대한 전기적 접촉을 통해 통전되도록 이격된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형성된 하우징; 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회동에 따른 상기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정류 하우징의 상대 회전시 소정 위치에서 상기 브러쉬를 통해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통전될 때 동위상 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구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은 한 개 이상의 브러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90도와 270도 상에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감지수단은
    상기 구동수단의 출력단에 고정설치되고 일면에 통전을 위한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형성된 정류 하우징과;
    상기 정류 하우징에 대향하는 힌지 샤프트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통전시키는 브러쉬를 구비한 브러쉬 하우징;을 구비하여 상기 구동수단의 회동에 따른 상기 정류 하우징과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상대회전시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이 소정위치에서 상기 브러쉬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통전될 때 동위상 상태임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구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한쌍으로 마련되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90도와 270도 상에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스위치에 연결되어 정역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브러쉬 하우징과 정류 하우징의 통전에 의한 동위상 검출에 의하여 구동이 단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힌지 샤프트가 삽입된 고정홈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사이에 개재된 캠을 양측에서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쌍의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대략 동심원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내외측 패턴으로 분리 형성되며, 90도와 270도 상에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 하우징의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대략 동심원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내외측 패턴으로 분리 형성되며, 90도와 270도 상에서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브러쉬에 의해 통전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내외측 패턴 사이에는 더미패턴이 더 마련되며, 상기 내외측 패턴중 어느 하나의 패턴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2개의 접촉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2001-0017818A 2000-08-24 2001-04-04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381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49166 2000-08-24
KR1020000049166 2000-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495A KR20020016495A (ko) 2002-03-04
KR100381438B1 true KR100381438B1 (ko) 2003-04-26

Family

ID=19684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7818A KR100381438B1 (ko) 2000-08-24 2001-04-04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751488B2 (ko)
KR (1) KR1003814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28974B1 (en) * 2000-06-27 2003-09-3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Folder operating apparatus for cellular phone
KR100350867B1 (ko) * 2000-11-23 2002-09-05 삼성전자 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에서의서브바디 개폐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425094B1 (ko) * 2001-07-02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KR100396271B1 (ko) * 2001-08-23 2003-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JP2003120655A (ja) * 2001-10-15 2003-04-23 Ohashi Technica Inc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携帯電話機
FI113130B (fi) * 2002-04-17 2004-02-27 Nokia Corp Kannettava, taitettava elektroninen laite, joka on varustettu puhelintoiminnoilla ja kameratoiminnoilla
KR100469361B1 (ko) * 2002-07-24 2005-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485345B1 (ko) * 2002-08-22 2005-04-27 삼성전기주식회사 개폐 속도 가변형 오토 폴더형 휴대전화기
US20040040503A1 (en) * 2002-08-29 2004-03-04 Micron Technology, Inc. Micromachines for delivering precursors and gases for film deposition
US20040040502A1 (en) * 2002-08-29 2004-03-04 Micron Technology, Inc. Micromachines for delivering precursors and gases for film deposition
JP4070574B2 (ja) * 2002-10-21 2008-04-02 三洋電機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4371258B2 (ja) * 2002-11-06 2009-11-25 株式会社エンプラス 電動開閉機構
KR100463432B1 (ko) * 2002-12-10 2004-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회전가능한 카메라를 갖는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KR100498981B1 (ko) * 2003-02-10 2005-07-01 삼성전기주식회사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JP4366965B2 (ja) * 2003-03-10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WO2005053287A1 (en) * 2003-11-21 2005-06-09 Nokia Corporation Two step activation of phone
KR100664983B1 (ko) * 2004-06-23 2007-01-09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반자동/수동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100586979B1 (ko) * 2004-09-02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수동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
GB0422394D0 (en) * 2004-10-08 2004-11-10 Nokia Corp Coding selection method
KR100703459B1 (ko) * 2005-07-06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키패드를 구비하여 데이터 입력이 편리한 휴대장치
KR100683868B1 (ko) * 2005-12-05 2007-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적용되는 안테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85A (ko) * 1999-11-08 2001-06-05 윤종용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10064903A (ko) * 1999-12-20 2001-07-11 서평원 휴대 전화기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0087743A (ko) * 2000-06-27 2001-09-26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20010087744A (ko) * 2000-07-13 2001-09-26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20010097895A (ko) * 2000-04-27 2001-11-08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9793A (ja) * 1994-11-15 1996-05-31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用電話器の開閉装置
JPH09153931A (ja) * 1995-11-30 1997-06-10 Mitsubishi Electric Corp 開閉機構
US6011699A (en) * 1997-10-15 2000-01-04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outing flexible circuit conductor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5785A (ko) * 1999-11-08 2001-06-05 윤종용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10064903A (ko) * 1999-12-20 2001-07-11 서평원 휴대 전화기의 자동 개폐장치
KR20010097895A (ko) * 2000-04-27 2001-11-08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20010087743A (ko) * 2000-06-27 2001-09-26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20010087744A (ko) * 2000-07-13 2001-09-26 이형도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25787A1 (en) 2002-02-28
KR20020016495A (ko) 2002-03-04
US6751488B2 (en) 2004-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143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폴더 구동장치
JP3639203B2 (ja) 携帯電話機のフォルダー駆動装置及びそのフォルダー駆動方法
EP1528757B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20060160582A1 (en)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20070151078A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EP1871079B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stopper
KR100318830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442595B1 (ko) 자성을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318831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359078B1 (ko) 휴대 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342418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483608B1 (ko)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0405214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361839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위상차보정 장치
KR100607813B1 (ko) 슬라이딩 개방되는 폴더형 휴대폰
KR100422041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10087746A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112642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 축 힌지 장치
KR100485346B1 (ko) 오토 폴더형 휴대전화기
KR100337087B1 (ko) 휴대전화기의 자동폴더 안전장치
KR100724873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20049809A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200600871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성 카메라 모듈
KR20070035230A (ko)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