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5230A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5230A
KR20070035230A KR1020050089849A KR20050089849A KR20070035230A KR 20070035230 A KR20070035230 A KR 20070035230A KR 1020050089849 A KR1020050089849 A KR 1020050089849A KR 20050089849 A KR20050089849 A KR 20050089849A KR 20070035230 A KR20070035230 A KR 20070035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hinge device
elastic member
protrusion
f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9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훈
손연호
강윤모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5230A/ko
Publication of KR20070035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52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장치가 사용된 휴대폰을 수동으로 개폐시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 가능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제 1 캠과 제 2 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포함하며, 이에 수동으로 개폐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개폐하여 정지할 수 있다.
하우징, 힌지장치, 제 1 캠, 제 2 캠, 탄성부재

Description

힌지장치 {Hinge Device}
도 1은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종래의 힌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캠을 확대한 확대도;
도 4는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캠을 확대한 확대도;
도 6은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및
도 7은 도 6에 따른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0, 200', 300, 300' : 휴대폰 힌지장치
110, 210 : 폴더 120, 220 : 본체
130, 230 : 회동부
132, 132', 232, 232' : 제 1 캠
134, 134', 234 : 제 2 캠 136, 236 : 탄성부재
150, 250 : 탄성부재 238 : 감쇠기어결합체
240 : 모터 242 : 샤프트
246 : 커플링부재
본 발명은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힌지장치가 사용된 휴대폰을 수동으로 개방할 때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 가능한 힌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이 점차 확대되어 문자 메시지 및 각종 정보 전송은 물론이고, 인터넷 접속도 가능하며 화상통화나 화상정보의 전송도 가능하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그 형태도 매우 다양한 종류의 단말기들이 있으며, 현재 출시되고 있는 휴대폰은 하나의 본체에 입력수단 및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는 바형(bar type)과, 입력수단 및 송수신부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를 개폐하는 플립이 구비된 플립형(flip type)과, 두 부분으로 분리된 송신부와 수신부가 접히도록 되어 있는 폴더형(folder type)과, 본체와 커버가 상호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드형(slide type)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휴대폰 중에서, 폴더형 휴대폰은 힌지장치로 결합된 두 개의 부재를 구비한다. 한쪽 부재에는 버튼이 마련되는 키패드가 구비되며, 다른 쪽 부재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보통이다. 전화기를 사용할 때에는 키 패드와 액정 디스플레이가 노출되도록 펼쳐져 사용한다. 힌지장치는 이 두 부재 사이를 결합해 줌과 동시에 두 부재를 원활하게 접고 펼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종래의 힌지장치(100)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힌지장치(10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힌지장치는 폴더(10)와 연결되는 회동부(30) 그리고 본체(20)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부(50)로 구성된다.
회동부(3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회동부(30)의 일측에 동력전달수단과 동력전달수단에 탄성력이 작용하는 탄성부재(36)가 구비된다.
동력전달수단은 제 1 캠(32)과 제 2 캠(34)으로 구성되고, 제 1 캠(32)의 일측에는 제 2 캠(34)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설비되며, 제 2 캠(34)의 일측 또한 제 1 캠(32)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설비되고, 타측은 고정부재(40)로 이루어진 캠 하우징(38)과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캠(34)은 탄성부재(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탄성부재(36)는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된 코일스프링으로 캠 하우징(38) 내에 구비되며, 탄성부재(36)를 캠 하우징(38) 내에 설치할 때 탄성부재(36)가 적당히 압축된 상태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제 2 캠(34)을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한편, 고정부(50)는 본체(20)의 상측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고정부재(40)의 일부가 고정부(50)와 결합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휴대폰의 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폴더(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이 폴더(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부(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일측에 설치된 탄성부재(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제 2 캠(34)은 제 1 캠(32)과 상호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형상이므로, 수동으로 폴더(10)를 개폐시키는 경우 폴더(10)에 가해지는 외력이 탄성부재(36)의 탄성력보다 크게 되어 제 1 캠(32)과 제 2 캠(34)은 상호 슬립되어 이격되고 동시에 탄성부재(36)가 압축되어 후퇴하게 되므로 폴더(10)가 수동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는 클릭힌지장치로서, 사용자가 수동형으로 개방할 때 원하는 각도에서의 정지가 불가능하였으며, 장기간 사용시 제 2 캠과 제 1 캠의 마모로 인해 폴더가 닫혀 있을 경우에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수동으로 개폐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폴더를 정지할 수 있는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연결해주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 제 2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 회동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캠; 제 1 캠과 맞물려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 2 캠; 및 제 1 캠과 상기 제 2 캠이 맞물리도록 제 1 캠과 제 2 캠 중 어느 하나를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제 1 캠과 제 2 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 돌기에 대응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캠과 제 2 캠의 표면은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캠과 제 2 캠에 형성된 돌기와 돌기 수용부는 소정의 위치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캠은 소정의 구간에서 회전하며, 소정의 위치는 제 1 캠이 소정의 구간에서 회전이 시작할 때와 회전이 끝났을 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회동부의 내부에서 제 1 캠의 일측에 설비는 동력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제 1 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력발생수단과 제 1 캠 사이에 형성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샤프트는 동력발생수단에서 동력을 받아 제 1 캠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캠과 샤프트 사이에 커플링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동력발생수단은 감쇠기어결합체와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힌지장치가 사용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2는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은 본체와 폴더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와 폴더는 힌지장치로 연결된다.
힌지장치(200)는 폴더(110)와 연결되는 회동부(130) 그리고 본체(120)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부(150)로 구성된다.
회동부(13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회동부(130)의 일측에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다.
동력전달수단은 제 1 캠(132)과 제 2 캠(134)으로 구성되고, 제 1 캠(132)의 일측에는 제 2 캠(134)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설비되며, 제 2 캠(134)의 일측 또한 제 1 캠(132)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설비되고, 타측은 고정부(150)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캠(134)은 탄성부재(1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제 1 캠(132)과 제 2 캠(134)이 서로 맞물리는 표면들은 요철로 형성되며, 제 1 캠(132)의 표면에는 제 2 캠(134)과 맞물리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고, 제 2 캠(134)의 표면에는 제 1 캠(132)의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 된다.
탄성부재(136)는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된 코일스프링으로 고정부(150) 내에 구비되며, 탄성부재(136)의 일단은 고정부(150)를 지지하고, 타단은 제 2 캠(134)을 지지한다.
또한, 탄성부재(136)를 고정부(150) 내에 설치할 때 탄성부재(136)가 적당히 압축된 상태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제 2 캠(134)을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한편, 도면에서 탄성부재가 고정부 내에 설비되도록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힌지장치의 구성에 따라, 회동부 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제 2 캠을 탄성 지지력을 가한다는 전제하에서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제 1 캠과 제 2 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동으로 개방할 때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2의 캠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캠은 원통형의 제 1 캠(132)과 제 2 캠(134)으로 구성되며, 제 1 캠(132)과 제 2 캠(134)이 맞물리는 표면들은 요철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캠(132)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캠(134)은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힌지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술하겠다.
한편, 도면에서 제 1 캠의 돌기와 제 2 캠의 돌기 수용부가 두 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캠의 돌기와 제 2 캠의 돌기 수용부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돌기 수용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1 캠과 제 2 캠이 폴더의 특정 위치에서(예컨대, 폴더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또는 완전히 닫힌 경우)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는 전제하에서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2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4의 실시예는 캠이 평면으로 형성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의 실시예(제 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이에 유사 구성요소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200')는 폴더(110)와 연결되는 회동부(130) 그리고 본체(120)와 일체로 연결되는 고정부(150)로 구성된다.
회동부(13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 회동부(130)의 일측에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다.
동력전달수단은 제 1 캠(132')과 제 2 캠(134')으로 구성되고, 제 1 캠(132')의 일측에는 제 2 캠(134')과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설비되며, 제 2 캠(134')의 일측 또한 제 1 캠(132')의 일측에 대응되도록 설비되고, 타측은 고정부(150)와 결합된다.
그리고, 제 2 캠(134')은 탄성부재(1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제 1 캠(132')과 제 2 캠(134')이 서로 맞물리는 표면들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제 1 캠(132')의 표면에는 제 2 캠(134')과 맞물리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캠(134')의 표면에는 제 1 캠(132')의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36)는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된 코일스프링으로 고정부(150) 내에 구비되며, 탄성부재(136)의 일단은 고정부(150)를 지지하고, 타단은 제 2 캠(134)을 지지한다.
또한, 탄성부재(136)를 고정부(150) 내에 설치할 때 탄성부재(136)가 적당히 압축된 상태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제 2 캠(136)을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위에 설명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제 1 캠과 제 2 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동으로 개방할 때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가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캠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캠은 원통형으로 제 1 캠(132')과 제 2 캠(134')이 서로 맞물리는 표면들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제 1 캠(132')의 표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캠(134')은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힌지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 설명하면서 기술하겠다.
한편, 도면에서 제 1 캠의 돌기와 제 2 캠의 돌기 수용부가 두 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구성이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 1 캠의 돌기와 제 2 캠의 돌기 수용부는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돌기와 돌기 수용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 1 캠과 제 2 캠이 폴더의 특정 위치에서(예컨대, 폴더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또는 완전히 닫힌 경우)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는 전제하에서 자유롭게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힌지장치가 구비된 휴대폰의 구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폴더(110)를 수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폴더(1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폴더(1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부(1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캠(132, 132')의 돌기와 제 2 캠(134, 134')의 돌기 수용부가 선택적으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탄성부재(136)에 의한 탄성력보다 회동부(13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커지면 제 1 캠(132, 132')의 돌기와 제 2 캠(134, 134')의 돌기 수용부가 슬립되어 이격되고 동시에 탄성부재(136)가 압축되고 후퇴하게 되므로 회동부(130)가 회전하게 되어 개폐된다.
제 1 캠(132, 132')의 돌기와 제 2 캠(134, 134')의 돌기 수용부는 폴더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와 그리고 폴더가 닫혀있을 때 맞물려 있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폴더를 개방하게 되면, 제 1 캠(132, 132')의 돌기와 제 2 캠(134, 134')의 돌기 수용부가 이격되어 회전하며, 이에 제 1 캠(132, 132')의 돌기가 제 2 캠 (134, 134')의 표면에 놓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폴더가 개방되어 정지되지만, 탄성부재(136)가 제 2 캠(134, 134')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캠(132, 132')의 돌기가 제 2 캠(134, 134')의 표면에 더 안전하게 정지될 수 있다.
도 6은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힌지장치(3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300)는 폴더(210)와 연결되는 회동부(230)와, 회동부(230)의 양측에 구비되며 본체(220)와 연결되는 고정부(250)로 구성된다.
회동부(23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서, 회동부(230)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동력발생수단에 맞물리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다.
동력발생수단은 폴더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며, 구체적으로는 모터(238)와 감쇠기어결합체(240)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238)는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배터리팩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소정의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감쇠기어결합체(240)는 모터(238)의 일측에 구비되어 모터(238)의 회전력을 일정속도로 감속시키고, 다수의 유성기어군(미도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유성기어군은 일정비율로 감속비를 가짐으로써, 감속기능과 역전방지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감쇠기어결합체(240)의 말단에는 샤프트(2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샤프트(242)의 일부는 제 1 캠(232)에 삽입되어 감쇠기어결합체(240)에서 받은 회전력을 제 1 캠(232)으로 전달한다.
또한, 제 1 캠(232)의 표면에는 제 2 캠(234)과 맞물리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제 2 캠(234)의 표면에는 제 1 캠(232)의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 2 캠(234)은 고정부(250)와 결합되고, 제 2 캠(234)은 탄성부재(2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도면에서 제 1 캠과 제 2 캠의 표면이 요철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휴대폰에 모터가 구비된 경우에도 제 1 캠과 제 2 캠의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236)는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된 코일스프링으로 고정부(250) 내에 구비되며, 탄성부재(236)를 고정부(250) 내에 설치할 때 탄성부재(236)가 적당히 압축된 상태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제 2 캠(234)을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위에 설명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는 제 1 캠과 제 2 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동으로 개방할 때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가 가능하다.
도 7은 폴더형 휴대폰에 사용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힌지장치(3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참고로 도 7의 실시예는 커플링부(244)를 형성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6의 실시예(제 3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이에 유사 구성요소는 동일한 번 호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회동부(230)는 중공의 원통형으로서, 회동부(230)의 내부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수단과, 동력발생수단에 맞물리는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다.
동력발생수단의 그 형태는 도 6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바와 같다.
감쇠기어결합체(238)의 말단에는 샤프트(24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샤프트(242)와 제 1 캠(232')이 회전시 샤프트의 회전력을 부드럽게 하기 위하여 즉, 샤프트의 부하를 적게 하기 위하여 샤프트(242)와 제 1 캠(232') 사이에 커플링부(244)가 결합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커플링부(244)의 앞면에 제 1 캠(232')이 결합되며, 커플링부(244)의 뒷면에 샤프트(242)가 결합된다. 커플링부(244)에 제 1 캠(232')이 삽입될 때 커플링부(244)에 샤프트(242)가 결합될 공간은 충분히 두고 제 1 캠(232')을 삽입한다.
제 1 캠(232')의 표면에는 제 2 캠(234)과 맞물리도록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며, 또한 제 2 캠(234)의 표면에는 제 1 캠(234')의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고, 제 2 캠(234)은 고정부(150)와 결합되며, 제 2 캠(234)은 탄성부재(23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탄성부재(236)는 탄성력이 우수한 재질로 성형된 코일스프링으로 고정부(250) 내에 구비되며, 탄성부재(236)를 고정부(250) 내에 설치할 때 탄성부재(236)가 적당히 압축된 상태에서 설치되기 때문에, 제 2 캠(234)을 밀어주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
위에 설명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폴더형 휴대폰 힌지 장치는 제 1 캠과 샤프트 사이에 커플링부가 결합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샤프트와 제 1 캠이 회전할 때 커플링부로 인하여 더욱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자동형 힌지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폴더(210)를 수동으로 개폐시키기 위해 폴더(210)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 폴더(2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부(23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제 1 캠(232, 232')의 돌기와 제 2 캠(234)의 돌기 수용부가 선택적으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탄성부재(236)에 의한 탄성력보다 회동부(230)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커지면 제 1 캠(232, 232')의 돌기와 제 2 캠(234)의 돌기 수용부가 슬립되어 이격되고, 동시에 탄성부재(240)가 압축되어 후퇴하게 되므로 회동부(230)가 회전하게 되어 개폐된다.
제 1 캠(232, 232')의 돌기와 제 2 캠(234)의 돌기 수용부는 폴더가 완전히 개방되었을 때와 그리고 폴더가 닫혀있을 때 맞물려 있지만, 사용자가 수동으로 폴더를 개방하게 되면, 제 1 캠(232, 232')의 돌기와 제 2 캠(234)의 돌기 수용부가 이격되어 회전하며, 이에 제 1 캠(232, 232')의 돌기가 제 2 캠(234)의 표면에 놓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서 폴더가 개방되어 정지되지만, 탄성부재(236)가 제 2 캠(234)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캠(232, 232')의 돌기가 제 2 캠(234) 의 표면에 더 안전하게 정지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는 제 1 캠과 제 2 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동으로 개방할 때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가 가능하며, 폴더가 닫혀 있을 경우에 완전히 닫힌다. 즉, 캠의 일부가 마모되는 경우에도 돌기와 돌기 수용부의 맞물림에 의해 폴더가 개방 위치 또는 닫힌 위치에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폴더형 휴대폰 힌치장치에 따르면, 제 1 캠과 제 2 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돌기에 대응하는 돌기 수용부를 제작함으로써, 폴더가 닫혀있을 때나 완전히 개방되어 있을 때 돌기와 돌기 수용부이 맞물리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이에 수동으로 개폐시 원하는 각도에서 정지가 가능하며, 폴더가 닫혀 있을 경우에 완전히 닫힐 수 있다.

Claims (8)

  1.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연결해주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제 1 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
    제 2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캠;
    상기 제 1 캠과 맞물려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이격되는 제 2 캠; 및
    상기 제 1 캠과 상기 제 2 캠이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캠과 상기 제 2 캠 중 어느 하나를 탄성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캠과 상기 제 2 캠 중 어느 하나에 적어도 하나의 돌기가 형성되며, 다른 하나에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돌기 수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과 제 2 캠의 표면은 평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과 제 2 캠에 형성된 돌기와 돌기 수용부는 소정의 위치에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은 소정의 구간에서 회전하며, 상기 소정의 위치는 상기 제 1 캠이 소정의 구간에서 회전이 시작할 때와 회전이 끝났을 때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의 내부에서 제 1 캠의 일측에 설비는 동력발생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상기 제 1 캠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과 상기 제 1 캠 사이에 형성된 샤프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는 상기 동력발생수단에서 동력을 받아 제 1 캠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캠과 샤프트 사이에 커플링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수단은 감쇠기어결합체와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1020050089849A 2005-09-27 2005-09-27 힌지장치 KR200700352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849A KR20070035230A (ko) 2005-09-27 2005-09-27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9849A KR20070035230A (ko) 2005-09-27 2005-09-27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5230A true KR20070035230A (ko) 2007-03-30

Family

ID=43656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9849A KR20070035230A (ko) 2005-09-27 2005-09-27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52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8757A1 (en) Swivel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KR10050414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200174766Y1 (ko)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20050054755A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20040072294A (ko)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KR100318830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20070035230A (ko) 힌지장치
KR100337086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733206B1 (ko) 이중 탄성부재를 이용한 힌지장치
KR100483608B1 (ko)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KR10042842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커버 개폐장치
KR200392956Y1 (ko)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326771B1 (ko)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KR100359077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20070021728A (ko) 슬라이드 구동형 휴대용 단말기
KR100703152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200389766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100342418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405214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
KR20070042714A (ko) 이동 통신 단말기
KR100332715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KR100361839B1 (ko) 오토폴더형 휴대전화기의 위상차보정 장치
KR100318831B1 (ko) 휴대전화기의 폴더 구동장치
KR100466076B1 (ko)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