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076B1 -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66076B1 KR100466076B1 KR10-2003-0017057A KR20030017057A KR100466076B1 KR 100466076 B1 KR100466076 B1 KR 100466076B1 KR 20030017057 A KR20030017057 A KR 20030017057A KR 100466076 B1 KR100466076 B1 KR 1004660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body
- motor
- reducer
- main body
- parall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체(102) 및 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110)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100)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고정 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 돌출되는 고정부(104, 106); 상기 서브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108); 일부가 상기 회동부 안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바디 내에 설치되며, 모터(116) 및 이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120)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일단이 상기 회동부 내에서 상기 감속기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커플링(122, 128)을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은 상기 구동부의 모터와 병렬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감속기의 적어도 일부와 병렬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서브바디 구동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회동부 밖의 서브바디 내에 배치됨으로써 여유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으며 더욱 견고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본체 및 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서브바디의 회동부의 여유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서브바디 구동 장치 및 이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이용한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는 휴대 및 사용이 편리하므로 그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는 보다 간편한 휴대를 위해 소형화되고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더 많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 전화기는 그 형상에 따라 바, 플립, 폴더 및 슬라이드 타입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다양한 휴대 전화기 가운데,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는 키보드 등이 내장된 본체 및 이 본체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를 장착한 서브바디로 구성된다. 이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는 최근 보다 큰 디스플레이 면적을 원하는 소비자의 경향에 따라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는 휴대 전화기를 잡은 손으로 서브바디를 회동시키기가 까다롭기 때문에, 사용자는 통상 한 손으로 휴대 전화기의 본체를 잡고 다른 손으로 서브바디를 회동시키는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부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에는 본체와 서브바디의 대향된 양쪽 길이 방향 모서리에 안쪽으로 만입된 홈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 전화기를 쥔 손의 엄지 및 다른 손가락을 이들 홈에 대고 양쪽에서 안쪽으로 누르면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를 비교적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은 개폐의 까다로움 정도를 다소 완화시켜준 것뿐이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개폐의 불편함을 완전히 해결하지는 못한다.
이와 같은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다른 방안으로서,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에 모터를 장착하고 이 모터의 구동력으로 서브바디를 회동시켜 휴대 전화기를 개폐하는 여러 가지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기술을 채용하는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는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라고도 불리며, 이러한 휴대 전화기는 통상 서브바디가 모터뿐만 아니라 수동으로도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10)는 수동 개폐되는 통상의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와 그 외형 및 구성이 거의 동일하며, 크게 본체(12) 및 이 본체(1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20)를 구비한다. 본체(12)는 통상 기능 버튼과 마이크를 포함하고, 송수화를 위한 각종 구성요소를 내장하며,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팩을 일측에 장착한다. 서브바디(20)는 통화 및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 등을 포함하고, 이들을 동작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요소가 내장된다.
본체(12)의 일단에는 한 쌍의 돌출부(14, 16)가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14, 16)에 서브바디(20)의 회동부(18)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12)의 일측부에는 개폐 스위치(22)가 장착된다. 사용자가 이 개폐 스위치(22)를 누르면, 서브바디(20)는 내장 모터의 동작에 의해 본체(12)에 대해 회동하여 휴대 전화기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스위치(22)는 단일의 버튼으로 구성하고 버튼의 누름 횟수나 누를 때의 서브바디(2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따라 닫힘 또는 열림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개폐 스위치(22)는 열림 버튼과 닫힘 버튼을 별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브바디(20)의 회동부(18)는 중공형 하우징 형태이며, 일단이 힌지 더미(24, hinge dummy)에 의해 제1 돌출부(1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돌출부(14)는 힌지 더미(2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회동부(18)의 내부에는 모터(26)가 설치되며, 이 모터(26)의 출력측에는 선 기어, 유성 기어 및 링 기어(가이드 기어)등으로 이루어진 감속기(28)가 연결되고 이 감속기(28)의 출력단에는 힌지 샤프트(30)가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모터(26)의 회전이 감속기(28)에 의해 감속된 다음 힌지 샤프트(30)로 전달된다.
힌지 샤프트(30)는 감속기(28)의 반대편 단부에는 테이퍼진 볼록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32)는 힌지 캠(36)의 오목부(34)와 상응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힌지 캠(36)은 스프링(38)과 같은 탄성 수단에 의해 제2 돌출부(16)와 결합된다.
한편, 감속기(28)의 힌지 샤프트(30) 쪽의 단부에는 서브바디(20)의 개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판(40) 및 이 감지판(40)에 접촉되는 접점(42)이 설치된다. 또한, 회동부(18)의 제2 돌출부(16) 쪽의 내주에는 힌지 캠(36)의 외주와 접촉하여 힌지 캠(36)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44)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에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서브바디(20)를 개폐할 때 즉 서브바디(20)에 직접 힘을 가하면, 이 힘의 방향에 따라 서브바디(20) 및 회동부(18)가 회동하려고 하게 된다. 이때, 가해진 힘이 힌지 샤프트(30)와 힌지 캠(36) 사이의 구속력보다 더 크면 힌지 샤프트(30)는 힌지 캠(36)으로부터 분리되고, 회동부(18) 및 그에 따른 서브바디(20)는 상기 힘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자동 모드로 서브바디(20)를 개폐하는 경우 즉 개폐 스위치(22)를 누르는 경우, 이에 상응하여 모터(26)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 회전은 감속기(28)에 의해 감속된 후 힌지 샤프트(30)에 전달된다. 이때힌지 샤프트(30)는 힌지 캠(36)과 상호 구속되어 커플링을 형성하므로, 모터(26)를 둘러싸는 회동부(18) 및 일체로 연결된 서브바디(20)는 모터(26)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감속기(28)는 서브바디(20)를 회동시키는데 충분한 토크를 내는 감속비를 가져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구성은 모터와 감속기가 하나의 하우징 즉 회동부 내에 직렬로 배치되므로 회동부의 폭이 일정 치수 이상으로 확보되어야 한다는 단점을 지닌다. 즉 서브바디의 회동에 필요한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 모터와 감속기가 차지하는 길이는 여러 가지 기술적 사항 및 경제적 여건을 고려할 때 일정 치수 이상이어야 하는데, 이는 모터와 감속기의 소형화가 기술적 한계를 가질 뿐만 아니라 초소형 모터 및 감속기의 개발 및 장착은 많은 비용을 요하기 때문이다.
한편, 현재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는 그 외적 미감을 좋게 하기 위해 회동부의 폭이 좁아지고 있는 추세이므로, 모터와 감속기를 장착하기 위한 공간은 더욱 제약을 받고 있다.
아울러, 휴대 전화기에 카메라를 장착한 이른바 카메라폰의 경우에는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해 돌출부 하나를 회동부 쪽으로 더 연장시키므로 회동부의 폭이 더 짧아지고, 그에 따라 모터와 감속기를 위한 회동부 내의 공간도 역시 제한된다. 이러한 카메라폰은 현재 상당량 유통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 더욱 보편화될 것이므로, 축소되는 회동부 내에서의 자동 회동을 위한 공간 확보는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 및 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에 개선된 구조를 제공하여 본체에 힌지 연결되는 서브바디의 회동부의 여유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동부의 여유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함으로써 모터와 감속기를 더욱 견고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잇는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동부를 구성하는 모터 및 가속기를 동일 하우징 내에 장착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갖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이용하는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요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채용한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채용한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서브바디 구동 장치에서 커버 플레이트를 분리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5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의 도 8에 상응하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의 도 8 및 9에 상응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102: 본체 104, 106: 돌출부
108: 회동부 110: 서브바디
112: 개폐 스위치 116, 216, 316: 모터
120, 220A, 220B, 320: 감속기 122, 222, 322: 힌지 샤프트
128: 힌지 캠 158, 258, 358: 구동 기어
162, 262, 362: 피동 기어 164, 264, 364: 링 기어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본체 및 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 돌출되는 고정부; 상기 서브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일부가 상기 회동부 안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바디 내에 설치되며, 모터 및 이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 일단이 상기 회동부 내에서 상기 감속기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커플링을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은 상기 구동 장치의 적어도 일부와 병렬 배치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본체 및 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는 상기 본체의 일단에 돌출되는 고정부; 상기 서브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 상기 서브바디 내에 상기 회동부에 인접 설치되는 모터; 일단이 상기 모터의 출력측과 병렬 연결되도록 상기 회동부 내에 설치되는 감속기;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의 일단을 병렬 연결시키는 전동 수단; 및 일단이 상기 회동부 내에서 상기 감속기의 출력측에 직렬 연결되고 타단이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커플링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 및 전술한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과 연계되어 설명되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특징 및 장점은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채용한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100)는 종래의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와 그 외형 및 구성이 거의 동일하며, 크게 본체(102) 및 이 본체(102)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110)를 구비한다.
본체(102)의 일단에는 고정된 한 쌍의 돌출부(104, 106)가 형성되고, 이들 돌기부(104, 106)에 서브바디(110)의 회동부(108)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체(102)의 일측부에는 개폐 스위치(112)가 장착된다. 사용자가 이 개폐 스위치(112)를 누르면, 서브바디(110)는 내장 모터의 동작에 의해 본체(102)에 대해 회동되어 휴대 전화기(100)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스위치(102)는 열림 버튼과 닫힘 버튼을 따로따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단일의 버튼으로 구성하고 버튼의 누름 횟수나 누를 때의 서브바디(110)의 개방 또는 폐쇄 상태에 따라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채용한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100)의 부분 단면도로, 도 4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는 블록으로 개념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브바디(110)의 회동부(108)는 중공형 하우징 형태이며, 일단이 힌지 더미(114)에 의해 제1 돌출부(104)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돌출부(104)는 힌지 더미(114)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서브바디(110)의 회동부(108)에 인접한 부분에는 모터(116)가 설치되며, 이 모터(116)는 전동수단(118)에 의해 회동부(108) 내부의 감속기(120)에 병렬 연결된다. 이들 모터(116) 및 감속기(120)는 함께 구동부를 형성한다. 감속기(120)는 선 기어, 유성 기어 및 링 기어로 이루어진 복수 단의 감속 기어군으로 이루어진다. 감속 기어군은 단수가 작고 감속비가 클수록 유리하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4단 감속 기어군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 감속기(120)의 출력단에는 힌지 샤프트(122)가 연결된다. 이렇게 하면, 모터(116)의 회전이 전동 수단(118)을 거쳐 감속기(120)에 의해 감속된 다음 힌지 샤프트(122)로 전달된다.
힌지 샤프트(122)는 감속기(120)의 반대편 단부에는 테이퍼진 볼록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124)는 힌지 캠(128)의 오목부(126)와 상응하는 형상을 하고 있으며, 힌지 캠(128)은 스프링(130)과 같은 탄성 수단에 의해 제2 돌출부(106)와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 샤프트(122)와 힌지 캠(128)은 선택적으로 체결 및 해제 되는 커플링을 형성한다.
한편, 감속기(120)의 힌지 샤프트(122) 쪽의 단부에는 서브바디(110)의 개폐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판(132) 및 이 감지판(132)에 접촉되는 접점(134)이 설치된다. 또한, 회동부(108)의 제2 돌출부(106) 쪽의 내주에는 힌지 캠(128)의 외주와 접촉하여 힌지 캠(128)의 축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링(136)이 설치된다.
한편, 이와 같이 모터(116)가 서브바디(110) 내에 배치되고 전동 수단(118)에 의해 감속기(120)에 병렬 연결됨에 따라, 전동 수단(118)과 힌지 더미(114) 사이에는 빈 여유 공간(138)이 형성된다. 이러한 여유 공간(138)은 도 2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회동부(18) 내에서 모터(16)가 차지하던 공간에 상응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여유 공간(138)만큼 회동부(108)의 폭을 더 줄일 수도 있으므로 이 여유 공간(138) 쪽으로 돌출부(104)를 더 연장시키고, 이 돌출부(104)에 휴대 전화기용 카메라와 같은 광학 기기 및 다른 장치를 장착할 수 있다. 물론, 회동부(108)의 여유 공간(138)에 카메라와 같은 광학 기기 및 다른 장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여유 공간(138)에 해당하는 만큼 모터 및 감속기의 축방향 길이를 보다 여유 있게 설계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모터와 감속기의 설치 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100)는 전술한 개폐 스위치(112)를 동작시키면 모터(116)의 구동에 의해 자동으로 개방 및 폐쇄된다. 또한,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서브바디(110)에 힘을 가하면 힌지 샤프트(122)와 힌지 캠(128) 사이의 결합 및 해제가 이루어지면서 서브바디(110)가 본체(102)에 대해 회동하여 개폐 동작이 수행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서브바디 구동 장치에서 커버 플레이트를 분리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며, 도 8은 도 5의 C-C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는 구성 요소를 내장하는 상자 형태의 하우징(140)과 이 하우징(140)의 일측에 결합되는 커버(142)를 포함한다. 하우징(140)의 상부 및 하부에는 각각 공간이 형성되어 전술한 모터(116) 및 감속기(120)가 도 8에서와 같이 내장된다.
하우징(140)의 전면에는 대체로 둥근 수용부를 형성하면서 한 쌍의 리브(144)가 돌출한다. 이들 리브(144)에는 한 쌍의 가이드(146) 및 네 개의 나사 구멍(148)이 형성된다. 한편, 커버(142)에는 리브(144)의 가이드(146)에 상응하는 한 쌍의 홈(154)이 형성되며, 나사 구멍(148)에 상응하는 나사 구멍(도시 생략) 둘레에는 나사 체결을 보조하기 위한 2쌍의 오목부(150, 152)가 형성된다. 따라서, 커버(142)를 하우징(140)에 결합할 때 먼저 홈(154)을 가이드(146)에 대고 커버(142)를 밀어 하우징(140)에 부착시킨 다음, 나사(166)를 커버(142)의 나사 구멍(도시 생략) 및 하우징(140)의 나사 구멍(148)에 각각 나사 체결한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모터(116)에서 연장된 모터 샤프트(156)는 모터측 구동 기어(158)에 연결되고, 이 구동 기어(158)는 감속기측 기어(160)와 결합된다. 이들 기어(158, 160)는 전술한 전동 수단(118)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감속기측 기어(160)는 감속기 샤프트(162)에 의해 감속기(120)에 모터(116)로부터의 동력을 전달하게 한다. 이렇게 감속되면 회전력은 큰 토크를 갖고 힌지 샤프트(122)에 전달되어, 회동부(108) 및 그에 따라 서브바디(110)를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도면부호 164는 하우징(140)의 하부 공간에 설치된 감속기(120)의 링 기어 또는 가이드 기어를 나타낸다. 링 기어(164)는 하우징(140)의 내벽에 일체로 형성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동부를 구성하는 모터(116) 및 감속기(120)를 단일 하우징(140) 내에 장착하고 감속기(120)의 링 기어(164)를 하우징(140)의 내벽에 형성하면 전체 구동장치를 보다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의 도 8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서브바디 구동 장치에서, 1단 감속기(220A)가 서브바디 내부에 있는 하우징(240)의 상부 공간에서 모터(216)와 직렬 연결되고, 3단 감속기(220B)가 회동부 내에 있는 하우징(240)의 하부 공간에 설치된다. 또한, 링 기어(264)도 하우징(240)의 상부 및 하부 공간 양쪽에 형성된다. 따라서, 모터(216)의 회전은 1단 감속기(220A)에 의해 1차 감속된 다음, 1단 감속기측의 구동 기어(258)와 3단 감속기측의 피동 기어(260)를 통해 3단 감속기(220B)에 전달된다.
이와 같이, 1단 감속기(220A)를 서브바디 내부에서 모터(116)에 직렬로 연결함으로써, 서브바디 구동장치의 전체 길이를 더욱 축소할 스 있으며 회동부에는 더욱 큰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역으로 3단 감속기를 모터측에 직렬로 연결하고 1단 감속기를 힌지 샤프트측에 연결하거나, 전체 감속기를 각각 2단씩 모터측과 힌지 샤프트측에 배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의 도 8 및 9에 상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는 서브바디 내의 하우징(340)에 형성된 동축의 내부 공간 내에 모터(316)와 감속기(320)가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내부에 직렬로 연결된 구성을 개시한다. 감속기(320)의 출력측에는 구동 기어(358)가 연결되고, 이 구동 기어(358)는 회동부 내부의 피동 기어(360)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316)의 회전은 감속기(320)에 의해 감속된 다음 전동 수단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기어(358, 360)에 의해 힌지 샤프트(322)에 전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동부 내부에는 힌지 샤프트(322)와 힌지 캠(도 4 참조) 만이 설치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에 비해 더 큰 여유 공간을 회동부 내에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는 적어도 일부가 회동부 밖의 서브바디 내에 배치됨으로써 회동부 내의 여유 공간을 더욱 크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부의 치수가 작아지는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디자인 경향에도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기용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따라 모터와 감속기를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여유 있게 형성되기 때문에, 모터와 감속기를 더욱 견고한 구조로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모터와 감속기를 하나의 하우징 내에 설치하므로 구동 장치가 더욱 견고하게 구성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 본체 및 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일단에 돌출되는 고정부;상기 서브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일부가 상기 회동부 안에 위치하도록 상기 서브바디 내에 설치되며, 모터 및 이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시키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구동부; 및일단이 상기 회동부 내에서 상기 감속기의 출력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커플링을 포함하며,상기 커플링은 상기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와 병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는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 사이에서 이들을병렬 연결시키는 전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는 복수의 감속 기어군을 포함하며, 상기 감속 기어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모터와 병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감속기의 일부 기어군과 잔여 기어군 사이에서 상기 일부 기어군과 잔여 기어군을 병렬 연결시키는 전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는 직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감속기의 출력측과 상기 힌지 샤프트의 입력측 사이에서 상기 구동 장치와 상기 힌지 샤프트를 병렬 연결시키는 전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및 감속기는 일체형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상기 감속기는 상기 하우징 내벽에 형성되는 링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본체 및 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를 포함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에 있어서,상기 본체의 일단에 돌출되는 고정부;상기 서브바디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고정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상기 서브바디 내에 상기 회동부에 인접 설치되는 모터;일단이 상기 모터의 출력측과 병렬 연결되도록 상기 회동부 내에 설치되는 감속기;상기 모터와 상기 감속기의 일단을 병렬 연결시키는 전동 수단; 및일단이 상기 회동부 내에서 상기 감속기의 출력측에 직렬 연결되고 타단이 탄성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체결 및 해제 가능한 커플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일단은 힌지 샤프트를 형성하고 상기 커플링의 타단은 힌지 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기능 버튼과 마이크를 포함하고, 송수화를 위한 구성요소를 내장하며, 전원을 일측에 장착한 본체;통화 및 기능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의 동작을 위한 구성요소를 내장하며,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서브바디; 및제1항 또는 제9항에 따른 서브바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17057A KR100466076B1 (ko) | 2003-03-19 | 2003-03-19 |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17057A KR100466076B1 (ko) | 2003-03-19 | 2003-03-19 |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82500A KR20040082500A (ko) | 2004-09-30 |
KR100466076B1 true KR100466076B1 (ko) | 2005-01-13 |
Family
ID=3736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17057A KR100466076B1 (ko) | 2003-03-19 | 2003-03-19 |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6607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233B1 (ko) * | 2005-12-02 | 2012-03-23 |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 기어드 스테핑 모터 및 그것을 사용한 통신기기 |
-
2003
- 2003-03-19 KR KR10-2003-0017057A patent/KR10046607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233B1 (ko) * | 2005-12-02 | 2012-03-23 | 니덱 코팔 가부시키가이샤 | 기어드 스테핑 모터 및 그것을 사용한 통신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82500A (ko) | 2004-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25684B2 (en) | One step automatic hinge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 |
KR100663572B1 (ko) | 자동 접이형 휴대용 단말기 | |
KR100584436B1 (ko) |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 |
KR100663486B1 (ko) |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 커버 개폐장치 | |
KR100396271B1 (ko) | 자동 및 수동 겸용 접이형 휴대용 무선단말기 | |
KR100498981B1 (ko) |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 | |
KR100466076B1 (ko) | 휴대 전화기의 서브바디 구동 장치 | |
JP2006144892A (ja) |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 |
KR100337086B1 (ko) |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 |
KR100483608B1 (ko) | 폴더형 휴대폰 힌지장치 | |
KR101160262B1 (ko) | 슬라이드 구동형 휴대용 단말기 | |
KR100332715B1 (ko) |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 |
KR100359077B1 (ko) | 휴대전화기의 폴더 개폐장치 | |
KR100326771B1 (ko) | 핸드폰용 커버 개폐장치 | |
KR100733206B1 (ko) | 이중 탄성부재를 이용한 힌지장치 | |
KR100422035B1 (ko) | 폴더형 휴대 전화기 | |
KR100652627B1 (ko) | 휴대폰의 자동 개폐 장치 | |
KR100688084B1 (ko) | 폴더형 휴대폰의 자동 개폐 모듈 | |
KR20070042714A (ko) |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0337087B1 (ko) | 휴대전화기의 자동폴더 안전장치 | |
KR100614528B1 (ko) |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276837Y1 (ko) | 폴더형 휴대전화기 | |
KR200372884Y1 (ko) | 회전형 폴더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20050036142A (ko) | 스윙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의 개폐 구동 장치 및 이 개폐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스윙 폴더 타입 휴대 전화기 | |
JP2004036882A (ja) | オートフォルダー型携帯電話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