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0459B1 -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0459B1
KR100380459B1 KR10-2000-0073883A KR20000073883A KR100380459B1 KR 100380459 B1 KR100380459 B1 KR 100380459B1 KR 20000073883 A KR20000073883 A KR 20000073883A KR 100380459 B1 KR100380459 B1 KR 100380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tensioner
airbag
vehicle
airbag device
air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467A (ko
Inventor
손영동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459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4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11Expansion of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021/01204Actuation parameters of safety arrangents
    • B60R2021/01252Devices other than bags
    • B60R2021/01265Seat belts
    • B60R2021/01272Belt tensio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의 프리텐셔너가 차량의 충돌이 없어도 오동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제의 충돌이 있을 때만 반응하도록 벨트록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 상기 충돌 감지부의 신호를 받아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의 작동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를 전개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 작동회로, 및 물리적 충격이 있을 때만 상기 에어백 장치 및 상기 프리텐셔너가 작동되게 하는 벨트 록 스위치를 포함함으로써, 오동작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Air bag system having false operation preventing device for air bag}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승객을 차량의 외부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승객보호장치로서 에어백 시스템이 차량에 탑재되고 있다. 이러한 에어백 시스템은 도 1에 개략적인 블록도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충격은 에어백 시스템(1)에 설치된 x축 및 y축 센서(2, 3)에 의해서 감지된다. 이들 센서(2, 3)로부터 감지된 충격량이 차량 특성에 맞게 사전에 설정된 소정의 제한값 이상이라고 판정된 경우에, 에어백 시스템(1)의 마이크로컴퓨터(4)는 이에 접속된 에어백 작동 회로(5, 6) 및 프리텐셔너 작동 회로(7, 8)를 작동시키게 된다. 이들 모듈 작동 회로(5 내지 8)는 각각 운전자용 모듈(9), 승객용 모듈(10), 운전자용 프리텐셔너(11), 및 승객용 프리텐셔너(12)에 관련된 것이다. 통상, 프리텐셔너는 에어백이 전개될 때 운전자의 상체를 안정하게 해 주고 에어백을 정확히 전개시킬 수 있도록 운전자의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안전벨트를 잡아당겨 주도록 한 것으로 선택적으로 설치되는 요소이다.
센서(2, 3)로부터 검출된 충격량이 에어백을 전개시켜야 할 정도로 큰 충격이면 마이크로컴퓨터(4)에 의해 이것이 판정되어 마이크로컴퓨터(4)는 각각의 에어백 작동회로(5, 내지 8)를 통해 에어백을 작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마이크로컴퓨터(4)는 이를테면 서지전압 입력 등의 전기적 충격이나 접지전압 레벨 변동 등에 의해서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다. 오동작은 충격이 없는 상태에서도 에어백이 전개되어버려 운전자의 부상 및 안정운전의 장애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오동작에 기인한 에어백 전개의 방지를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1)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제너레이터및 에너지 보유장치(13)와 안전센서(14)를 더 구비하고 있다. 즉, 운전자 및 승객용 에어백일 경우 전류를 a -> b -> c, 즉 전압 제너레이터 및 에너지 보유장치(13)에서 안전센서(14)를 거쳐 운전자용 모듈(9)로 흐르게 함으로써, 마이크로컴퓨터(4)가 오동작에 의한 충격으로 인식하도록 물리적 센서인 안전 센서(14)가 충격을 감지하지 않으면 운전자 및 승객용 에어백(9, 10)이 전개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운전자 및 승객용 프리텐셔너(11, 12)에 대해서는 운전자 및 승객용 에어백(9, 10)에 연관된 안전센서(14)와 같은 물리적 센서 없이 전압 제너레이터 및 에너지 보유장치(13) -> 프리텐셔너 작동 회로(7) -> 운전자용 프리텐셔너(12)로 전류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에어백 시스템(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하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4)가 전기적 충격, 예를 들면 서지전압 입력 혹은 접지전압 레벨 변동으로 실제의 충격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충격으로 오인하여 에어백쪽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 제너레이터 및 에너지 보유장치(13) -> 프리텐셔너 작동 회로(7) -> 운전자용 프리텐셔너(12)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에어백이 오전개됨으로서 운전자의 부상 및 안전운전의 장애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사실상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서만 프리텐셔서가 작동될 수 있게 하는 벨트록 스위치를 구조를 채택함으로서 에어백 오동작을 방지하게 한 것으로,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록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3 : 센서 4 : 마이크로컴퓨터
5, 6 : 에어백 작동 회로 7, 8, 17, 18 : 프리텐셔너 작동회로
15, 16 : 프리텐셔너 록 센서 21 : 볼
22 : 록 핀 24 : 이동접점
25 : 고정점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를 구비한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 상기 충돌 감지부의 신호를 받아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의 작동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를 전개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 작동회로; 및 물리적 충격이 있을 때만 상기 에어백 장치 및 상기 프리텐셔너가 작동되게 하는 벨트 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개략도로서, 도 2(a)는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b)는 이다.
도 2에서 도 1과 동일한 참조부호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a)에서 도 1과의 차이점은 프리텐셔너 작동 회로(17, 18)와 운전자 및 승객용 프리텐셔너(11, 12) 사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PT 록 센서(15, 16)이 각각설치된 점이다.
에어백 시스템의 에어백 장치는 충격량을 체크하여 제한값 이상이라고 판단된 때에 에어백을 전개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이 충돌하였을 때, X축으로부터 센서의 충돌신호를 마이크로컴퓨터(4)에서 받는다. 그러면 마이크로컴퓨터(4)는 프리텐셔너(11, 12)의 전개여부를 판단하여 이들을 전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한 경우 출력회로를 구동하여 전개전류를 보냄으로써 프리텐셔너(11, 12)가 작동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전기적 충격, 예를 들면 서지전압 입력 혹은 접지전압 레벨 변동으로 실제의 충격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충격으로 오인하여 에어백쪽으로 전압 제너레이터 및 에너지 보유장치(13)에서 신호가 프리텐셔너 작동 회로(7)를, 마이크로컴퓨터(4)와 관계없이 인가됨으로써 프리텐셔서너 작동되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서는 프리텐셔너 록 센서의 채택으로 이러한 오동작이 미연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실제의 물리적인 충격이 있을 때만 프리텐셔너가 작동될 수 있게 도 2(b)와 같은 벨트 록 스위치를 사용한다. 이 벨트 록 스위치는 사실상의 물리적인 충격에 응답하여 작동됨으로써 에어백 장치와 프리텐션서를 동시에 작동시키며, 그 외의 경우에는 스위칭 작용이 되지 않으므로 종래의 경우와 같은 오동작은 미연에 방지되는 것이다.
다음에, 벨트 록 스위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벨트 록 스위치는 도 2(a)에 프리텐셔서 록 센서로서 채용될 수 있다.
이 벨트 록 스위치는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이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20),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볼(21), 상기 볼에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단부에 벨트 어셈블리를 로킹시키도록 되어 있고 타단부에 이동접점부(24)를 가진 록 핀(22), 상기 본체부(20)에 상기 록 핀(22)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23), 상기 록 핀(22)의 이동접점부(24)에 접촉되어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가 동작되게 하기 위한 고정접점(25)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7은 프리텐셔너 스큅이고 28은 에어백 장치이다.
본체부(20)에 형성된 홈 내에 놓인 볼(21)은 전기적인 이상 신호에 의해 움직임이 유발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의 차량의 충격에 의해 움직인다. 따라서, 실제적인 충격이 있을 때, 볼의 움직임에 의해서 이에 응하여 록핀(22)은 상단으로 위치변형된다. 이것은 안전벨트 어셈블리(26)를 고정시키는 작용을 하여 탑승자를 안전벨트에 고정시키게 한다. 이러한 록핀(22)의 움직임에 수반하여 록핀(22)의 이동접점부(24)는 고정접점(25)에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프리텐셔서 및 에어백 모듈을 동작시키게 하는 스위칭 작용에 대응한다.
이와 같이 벨트 록 스위치는 물리적인 충격량에 의해서 반응하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전기적인 오류신호는 벨트 록 스위치를 스위칭 동작을 유발시키지 못하여 프리텐셔너의 오동작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적 충격, 예를 들면 서지전압 입력 혹은 접지전압 레벨 변동으로 실제의 충격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충격으로오인하여 에어백쪽으로 오류신호가 프리텐셔너 작동 회로를 오작동되게 하는 문제를 실제의 충격에 의해서만 프리텐셔서나 작동할 수 있게 벨트록 스위치 구조가 채택됨으로써 오동작이 미연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를 구비한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
    상기 충돌 감지부의 신호를 받아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의 작동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를 전개시키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 작동회로; 및
    물리적 충격이 있을 때만 상기 에어백 장치 및 상기 프리텐셔너가 작동되게 하는 벨트 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록 스위치는, 홈이 내부에 형성된 본체부, 상기 홈 내에 위치하는 볼, 상기 볼에 움직임에 응답하여 동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볼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일단부에 벨트 어셈블리를 로킹시키도록 되어 있고 타단부에 이동접점부를 가진 록 핀, 상기 본체부에 상기 록 핀의 일단부를 고정시키는 고정핀, 상기 록 핀의 이동접점부에 접촉되어 에어백 장치 및 프리텐셔너가 동작되게 하기 위한 고정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KR10-2000-0073883A 2000-12-06 2000-12-06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KR100380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883A KR100380459B1 (ko) 2000-12-06 2000-12-06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883A KR100380459B1 (ko) 2000-12-06 2000-12-06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67A KR20020044467A (ko) 2002-06-15
KR100380459B1 true KR100380459B1 (ko) 2003-04-26

Family

ID=27680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883A KR100380459B1 (ko) 2000-12-06 2000-12-06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4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67A (ko)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815B1 (ko) 승객속박장치용 에어백점화회로
JP2577139B2 (ja) 自動車の安全装置に対する作動回路
US20040045760A1 (en) Device for the control of an active element of an occupant retention system in a vehicle
WO2006038355A1 (ja) 乗員保護起動装置
US4438424A (en) Electric apparatus for a vehicle safety device
KR20030031473A (ko) 차량 탑승자 보호 안전 시스템을 위한 안전화 방법
US6209910B1 (en) Ignition control system for a passive safety device
KR100380459B1 (ko) 차량의 에어백 오동작 방지장치를 구비한 에어백 시스템
US5326146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plurality of vehicle safety devices
JP4916099B2 (ja) エアバッグ制御装置
GB2339048A (en) Presettable component matching initiation controller for an occupant protectionsystem
KR200288845Y1 (ko) 홀 센서를 이용한 에어백의 제어장치
WO2001032475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ontrol system
US6672615B2 (en) System for deactivating an airbag firing device
KR100422535B1 (ko) 차량용 에어백시스템의 충돌감지장치
US20030075987A1 (en) Airbag initiator safety mechanism
JP2704752B2 (ja) 乗員保護装置の着火回路
JP3461015B2 (ja) 乗員保護装置
KR0134416B1 (ko) 차량의 에어백 제어장치
JP2006513909A (ja) 車両のボンネットを監視する装置
KR100239641B1 (ko) 에어백 모듈 도난방지수단을 갖는 에어백 시스템
KR0117379Y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휠에 장착된 에어백의 작동장치
JPH03121952A (ja) エアバツグ起動制御装置
KR19980029329A (ko) 조수석 에어백 시스템
KR19980061954A (ko) 승객의 위치에 따라 전개 조건이 보강된 에어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