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791B1 - 판재연속주조기용측벽체 - Google Patents

판재연속주조기용측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791B1
KR100379791B1 KR1019960707545A KR19960707545A KR100379791B1 KR 100379791 B1 KR100379791 B1 KR 100379791B1 KR 1019960707545 A KR1019960707545 A KR 1019960707545A KR 19960707545 A KR19960707545 A KR 19960707545A KR 100379791 B1 KR100379791 B1 KR 10037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wall
metal
refractory
continuous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7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828A (ko
Inventor
프레드릭 까일로
필립 귈로
자끄 바브
뤽 벵드빌
삐에르 델라쉬
Original Assignee
베수비우스 프랑스, 에스. 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FR9505535A external-priority patent/FR2722124A1/fr
Application filed by 베수비우스 프랑스, 에스. 아. filed Critical 베수비우스 프랑스, 에스. 아.
Priority claimed from PCT/FR1995/00084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6000626A1/fr
Publication of KR970703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8Casting surfaces
    • B22D11/066Side d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판재 금속용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는, 장착된 두 개의 대향회전 롤러(2)가 있는 장착된 프레임과, 롤러(2)의 각 단부에 설치된 두 개의 측벽체(10)와, 롤러 단부에 대하여 측벽체를 미는 장치를 구비한다. 롤러는 측벽체와 더불어 소정량의 유동금속을 담는 연속 주조 주형을 형성한다. 측벽체는, 롤러 단부와 맞닿는 비금속 내화재로 만들어진 내화재 평판(12)과, 이 측벽체를 연속 주조기의 프레임에 고정시키는 금속 테두리(14)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부는 내화재 평판의 가장자리만을 둘러 싸는 테두리를 이룬다.

Description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
고정 벽체를 가진 주형내에서 박판을 연속 주조하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약 50mm 이하의 두께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았다. 보다 얇은 제품을 생산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주형에서 나오는 판재를 압연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수년동안 두께가 3mm이하인 제품을 직접 생산하기 위한 판재 연속 주조법을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있었다. 이에 따라,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법에 의해 필수 열연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생산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소요동력을 절감하여 최종 생산품의 단가를 절감한다.
통상의 판재 연속 주조기는 상호 대면하는 두 개의 가동 벽체를 구비하여 이 가동 벽체와 함께 주형을 한정한다. 분배기에서 나오는 유동 강재는 적절한 형상의 노즐에 의해 상기 주형으로 유입된다.
이러한 형태의 판재 연속 주조기는 이미 존재한다(유럽특허 0 546 206). 이 판재 연속 주조기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수평 평행 축을 가진 두 개의 롤러로 이루어진다. 두 개의 측벽체는 상기 두 롤러의 각 양단에 배치되어 유동강재가 분배기로부터 유입되는 연속 주조기를 구성한다. 상기 측벽체에는 실린더의 일단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이나 잭 등으로 구성된 기계적인 시스템이 작용되어 유동 강재를 밀봉시킨다. 주조기의 작동 모드와 상기 측벽체의 구성 재료에 따라 주조 전에 이 측벽체가 예열될 수 있다. 상기 문헌에 의하면, 측벽체는 내화재로 만들어진 기저평판과, 실린더의 단부의 마찰면과 접촉되고 기저평판에 묻혀져 있는 세라믹재로 만들어진 부재로 형성된다. 이들 모든 부재들은 세라믹 부재만을 남겨놓고서 지지평판의 뒷면을 덮는 금속성 덮개내에 장착된다. 이 덮개 바닥은 측벽체의 뒷쪽에 위치한 기계적 시스템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을 확실히 전달하고 측벽체를 실린더에 대하여 밀봉시켜 상기 실린더와 측벽과의 사이에서 발생되는 어떠한 유동 강재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측벽체에서는 덮개의 금속성 바닥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된다.
이러한 연속 주조 중에는, 내화성 평판을 통해 유동금속으로부터 유출되는 열흐름으로 인하여 덮개 바닥의 온도가 현저히 증가되는 문제가 야기된다. 만일 덮개 냉각 장치가 없다면, 이러한 온도 증가는 팽윤 현상과 같은 바닥의 뒤틀림을 야기한다. 다른 인자들은 고려하지 않더라도, 이러한 뒤틀림은 내화성 평판의 뒷면에 기계적인 시스템에 의해 인가되는 압력을 잘못 전달시키는 원인이 된다. 바닥이 뒤틀려지면, 압력이 불균일하게 내화재 평판에 인가되어 평판의 특정부에 집중되게 된다. 예컨대, 평판이 팽윤되면, 금속덮개의 바닥이 단지 이 팽윤된 부분의 상부만에 의해 내화재 평판에 닿게 될 것이다. 합응력의 집중은 내화재 평판을 파손시킬 수 있다. 덮개의 뒤틀림으로 인하여 측벽체의 앞면(내화재)에 대한 그 뒷면(금속재 바닥)의 평행성에 변형이 생기게 될 수도 있다. 이처럼 평행성이 변형 되면, 마찰면은 더 이상 실린더의 단부에 일정 압력으로 균일하게 작용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실린더와 측벽체의 마찰면과의 사이로 유동 강재가 스며들게 된다.
금속재 덮개, 특히 이 덮개 바닥을 냉각하는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상술한 단점을 제한할 수 있기는 하나, 유동강재와 접촉하는 측벽체의 내화재의 표면을 냉각시키게 된다. 이것은 상기 표면상에 강재를 응고시키는 위험성을 증가시켜 적절한 주조공정을 방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측벽체을 생산할 때, 앞면(내화재)과 뒷면(금속재 바닥부)사이에 적절한 평행성을 확보하기가 어렵다. 사실상 내화재로 만들어진 기저평판은 금속재 덮개 내에 견고히 접합되어 정 위치에 고정된다. 이 접합제는 200°C에 이르러 이를 초과할 수 있는 열 사이클에 의해 구워진다. 이러한 굽는 사이클은 금속재 덮개의 뒤틀림을 야기하여 접합제를 굽기 전에 지녔던 평행성을 파기시킨다. 새로운 연삭 공정에 의해 앞면과 뒷면간의 평행성을 재확립하는 것은, 연삭중에 윤활을 수행하여 접합제를 축축하게 하므로 다시 구울 필요가 있기 때문에 쉽지가 않다.
1998 년 6 월 29 일자의 일본 초록 제 12 권 제 229 호 (M-714) [307(1)] 에는 저면을 형성하는 개방 등자내로 안내되는 두개의 절반형 평판으로 형성된 측벽체가 개시되어 있다.
프랑스 특허 제 2 693 135 호에는 저면이 제공된 금속 케이싱내에 장착되어 있는 섬유 내화 평판을 구비하는 측벽체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lateral fa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실린더와 같은 두 개의 가동 벽체가 장착된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들의 각 단부에 위치한 두 개의 측벽체로 형성되어 소정량의 유동금속을 담는 연속 주조 주형을 한정하는 판재 연속 주조기에 사용되는 측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린더사이의 판재 주조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판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두 개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이다.
도 6은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에 관한 것으로 상술한 선행기술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측벽체는 그 뒷면상에 가해지는 인가 압력을 전달하여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어 유동 강재 누설의 어떠한 위험성도 피할 수 있다. 또한 그 앞면과 뒷면간에 적절한 평행성도 제공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러한 결과는 측벽체를 연속 주조기의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는 금속재 부분이 그 둘레 상에서만 내화재 평판을 둘러 싼 테두리로 형성된다는 사실 때문에 얻어지는 것이다.
본 해결책은 내화재 평판에 양호한 형상의 지지물을 제공하고, 측벽체를 연속 주조기에 쉽게 고정시키도록 하며, 온도와 무관하게 측벽의 양 면사이에 적합한 평행성을 준다. 또한 본 해결책은 압력 인가 장치 뿐만 아니라 유동 강재 또는 실린더와 접촉하는 모든 영역의 높이까지 전부 내화재로 만들어진 측벽체을 형성하도록 만들 수도 있다.
금속재 테두리와 내화재 평판의 조립공정은 열간 대강 압연(hot hooping)이나 접합공정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 조립공정이 접합공정에 의하여 수행된다면, 금속재 테두리 및/또는 내화재 평판이 테두리내에 내화재 평판을 확실히 유지시키는 것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합제를 채울 수 있는 홈이나 버팀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화재 평판은 금속재 테두리 내부의 영역에 대하여 접합된다. 또한 고정용 접합제는 금속재 테두리의 형상에 따라 내화재 부재의 전체 둘레상에 배치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테두리와 내화재 평판의 내부 형상이 실린더에 동심인 원의 두 개의 원호로 이루어질 경우, 테두리와 내화재 평판간의 팽창 차이로 인해 평판에 균열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 평판의 전체 둘레가 접합되지는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이러한 구조에서 실린더 축 높이까지 양 측벽체 상에 접합제가 존재함으로 인해 고온에서 내화재 평판이 이 높이에서 클램핑 된다. 테두리는 평판을 구성하는 내화재의 열 팽창 계수보다 더 높은 열 팽창 계수의 금속(강철, 주철, 등)으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고온에서 금속이 더 많이 팽창된다. 이때 테두리는 내화재 평판이 파손될 정도까지 내화재 평판을 끌어 당기게 된다.
사용되는 접합제는 실리케이트 결합제를 가진 실리코-고 알루미나(silico-high alumina) 접합제일 수도 있고, 그 목적은 테두리에 내화재 평판을 항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내화재 뒷면의 표면 편평도는 적어도 0.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뒷면의 표면은 최대 0.5mm 떨어진 두 평행판 사이에 완전히 들어가게 될 필요가 있다.
내화재 평판은 단일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특히 연속 주조 주형내에 담겨진 유동 강재하고만 접촉하는 중앙 영역과 마찰 영역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중앙 영역은 탄소 결합제를 가진 세라믹 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가지 유용한 특징에 따르면, 마찰 영역의 적어도 한 부분은 두 실린더의 각 회전 축에 의해 규정되는 평면밑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실린더가 장착된 프레임뿐만 아니라, 두 실린더의 각 단부에 위치한 두 개의 분해가능한 측벽체와, 이 측벽체를 두 실린더의 각 단부에 접촉 압력으로 가하는 수단으로 형성되는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에 관한 것이다.
실린더의 단부에 측벽체의 접촉 압력을 인가하는 수단은, 상기 내화재 평판의 금속 테두리와 접촉되지 않고서 내화재 평판의 뒷면에 부착되는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평판 두께가 테두리 두께보다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측벽체상에 인가되어서 이 측벽체의 마찰면과 실린더사이를 밀봉시키는 압력은 가능하다면 금속성이고 측벽체 그 자체와는 독립적인 부재에 의해 인가되어진다. 물론 이 평판은 내화재 평판을 통과하는 열흐름을 받는다. 결과적으로 연속 주조기의 작동중에 그 온도가 상승한다. 그러나, 스러스트 평판과 실제 측벽체간에 (실리카 폼 평판(silica foam plate)과 같은) 독립적인 부도체를 둘 수 있고 내화재 평판을 지지하는 금속 테두리와 내화재 평판의 뒷면에 압력을 가하는 스러스트 평판간에 전열부(thermal bridge)가 없다는 사실에 의해 금속재 평판의 온도 상승은 제한된다. 사실상, 전술한 바와 같이, 금속 테두리의 두께가 내화재 평판의 두께 보다 작아서 테두리의 표면은 내화재 평판의 표면에 대하여 낮게 들어가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두 개의 냉각된 대향 회전 실린더와, 두 개의 측벽체 밀봉 벽체와, 상기 실린더의 좁은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밀봉 벽체의 압력을 인가하고 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실린더사이로 박판 금속 제품을 연속 주조 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 밀봉 벽체는 내화재 평판과 연결된 금속 테두리에 둘러싸인 경성 내화재 평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이점은 후술하는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여 질 것이다.
도 1은 판재 주조기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 판재 주조기는 수평축(6) 주위의 화살표(4)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실린더(2)를 구비한다. 이 실린더의 각 단부에 닿아 있는 평판(10)은 주형을 이루어 그 속으로 유동 강재가 부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의 제 1 실시예를 보여준다. 총괄 참조 번호(10)로 표시된 상기 측벽체는 두 부분, 즉 내화재 평판(12)과금속 테두리(14)로 형성된다. 이 도면은 내화재 평판이 연속 주조기의 실린더의 형상에 맞는 형상을 가짐을 보여준다. 이것은 주조기 실린더의 중심 축상에 곡률 중심이 위치한 대략 원호 형상을 가진 두 개의 큰 측부를 구비하고 있다. 평판(12)은 그 하부는 작은 변이고 그 상부는 큰 변으로 된 것이다.
평판(12)은 도시된 예에서 평판(12)의 전체 주위를 둘러싼 금속 테두리(14)에 의해 정 위치에 유지되고, 금속 테두리는 대강 압연에 의해 장착될 수 있다. 금속 테두리(14)는 스크류, 볼트, 스터드 볼트 또는 다른 유사 수단과 같이 연속 주조기의 프레임에 금속 테두리를 체결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이들 고정 수단은 공지기술이므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재 평판(12)의 두께는 금속 테두리(14)의 두께보다 더 두껍다. 따라서, 내화재는 테두리의 양면으로부터 튀어나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테두리는 내화재(12)의 앞뒤 각 면에 대하여 3mm 만큼 낮은 높이가 되도록 측벽체가 구현되어 있다. 달리 표현하면, 내화재 평판의 두께는 금속 테두리(14)의 두께보다 6mm 가 더 크다.
금속 테두리(14)의 단면과 내화재 평판(12)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속 테두리(14)는 홈(14a)을 포함하고, 내화재 평판은 홈(12a)를 포함한다. 이 홈들(12a,14a)은 테두리(14)내에 평판(12)을 정 위치시키는 접합제(16)로 채워진다.
스러스트 평판(15)은 작용 부재(17)에 의해 전달되는 작용력을 전달한다. 평판(12)의 두께는 금속 테두리(14)의 두께보다 더 두꺼움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러스트 평판(15)과 테두리 사이에 또는 테두리와 실린더(12)의 좁은 가장자리 사이에 전열부(thermal bridge)가 없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화재 평판(12)은 단일 부재로 이루어진다. 도 4에서 평판(12)은, 두 부분, 즉 마찰부(11)에 작용하는 평판 부분을 구비하는 영역(18)과 중앙 영역(20)으로 각각 형성된다. 마찰 영역(18)은, 적어도 15% 붕소 질화물을 포함하는 재료와 같이, 금속에 대해 양호한 마찰 특성을 구비하여, 현저한 경도와 양호한 마찰 계수를 가지는 내화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중앙 영역은 유동 금속과 접촉하는 내화재 평판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중앙 영역은 강재에 대해 강한 내부식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탄소 결합제를 가진 세라믹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마찰 영역(18)은 단일 부재로 형성된다. 이 부재는 대략 Y자 형상을 가진다. 이것은 일측 롤러에 동심인 크라운 원호(crown arc)와 타측 롤러에 동심인 크라운 원호로 이루어진 마찰 영역(18)을 구비한다. Y자로 된 이들 두 개의 가지 모양은 그 하부에서 만나 중심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찰 영역의 일 부분은, 여러 가지 선으로 도시한 두 개의 연속 주조기 실린더의 축(22) 높이 밑에 위치한다(도 1 참조). 실린더 축 밑에 위치한 마찰 영역의 단부는 바람직하게는 모따기부나 라운드부로 된 적어도 2mm 의 전위부(shift) (24)에 의해 판재 강철 응고 영역에서 종단되므로, 응고후의 강철 판재는 전위부 하부에 위치한 내화재 하단부(26)를 마찰하지는 않는다.
두 실린더의 각 측벽체에 위치한 마찰 영역(18)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2mm 씩의 치수로 된 모따기부(28)나 라운드부를 구비하므로 상기 가장자리 평면에서의 기계적 응력의 수준을 제한한다. 만일 모따기부가 없는 경우에는, 결국 가장자리가 규칙적으로 벗겨져 그 결과 유동 금속의 누설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찰 영역(18)과 실린더간에 밀봉이 필요하다는 사실 때문에, 전체 마찰 영역(10)에 의해 이루어지는 평판의 편평도는 적어도 0.5mm 임이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마찰 영역(18)의 평면과 내화재 평판(12)의 뒷면 사이에는 적어도 0.5mm 의 평행성이 있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연속 주조기와 이 주조기의 프레임에 금속 테두리(14)를 고정시키는 장치에 의하면, 마찰 표면(18)의 평면은 또한 압력 인가 장치의 평면에 평행하게 될 필요가 있다. 마찬가지로, 압력의 작용력을 내화재 평판(12)에 전달해야하는 동일한 이유 때문에, 내화재 평판(12)의 뒷면의 편평도는 적어도 0.5mm 일 필요가 있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실시예에서 마찰 영역은 실린더에 동심인 네 개의 크라운 원호 형상 부재(30)와 크라운 단면(30)과 접하는 블록(32)으로 형성된다. 제 3도의 마찰 영역(18)과 같이, 블록(32)은 실린더 축 높이(22) 밑에 위치한 부분을 구비한다.
크라운 원호(30)와 중앙 영역(20)은 세 개의 접합 영역(34)에 의해 금속 테두리(14)내에 정 위치된다. 실제로는, 중앙 영역(20) 및 각 부재들(30,32)을 구성하는 내화재와 금속 테두리(14) 사이의 팽창 차이로 인해 평판이 균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판(12)의 전체 둘레가 접합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평판 둘레의 나머지 부분은 예컨대 섬유요소(36)로 라이닝된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내화재 평판(12)에 비금속 내화재로 형성된 독립적인 뒷면 평판(38)이 포함되는 변형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평판(38)은, 전술한 다른 부재들 즉 크라운 원호(30)와 중앙 블록(32)과 중앙 영역(20)을 위한 지지부로서 사용된다. 이들 모든 부재들은 뒷면 평판(38)상에 간편하게 배치되거나 또는 예컨대 실리코-고 알루미나 접합제나 유사 물질로써 상기 평판에 부착될 수도 있다.

Claims (18)

  1. 두 개의 실린더(2)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장착된 프레임과, 상기 실린더(2)의 각 단부에 위치한 두 개의 측벽체(10)와, 상기 측벽체를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접촉 압력으로 가하는 수단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실린더는 상기 측벽체와 상호 작용하여 소정량의 유동 금속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 주형을 한정하고, 상기 측벽체는, 상기 두 실린더의 단부와 접촉하는 비금속 내화재로 만들어진 평판(12)과, 상기 측벽체를 연속 주조기의 프레임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금속부(14)를 포함하는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는 내화재 평판(12) 주위만을 둘러싸는 테두리로 형성되며, 상기 내화재 평판(12)의 두께는 상기 테두리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4) 또는 상기 내화재 평판(12)은, 접합제(16)를 채울 수 있는 홈이나 버팀대(12a,14a)를 구비하여, 상기 내화재 평판(12)이 금속 테두리(14)에 보다 견고히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 평판(12)은 상기 금속 테두리(14)내의 영역(34)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 평판(12)의 뒷면 편평도는 적어도 0.5mm 이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 평판(12)은, 연속 주조 주형내에 담겨 있는 유동금속과 접촉되게 위치된 중앙 영역(20)과 마찰 영역(1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20)은 카본 결합제를 가진 세라믹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영역(18)의 한 부분은 상기 두 실린더 각각의 회전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밑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두 실린더 각각의 회전축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 밑에 위치되는 마찰 영역(18)의 상기 부분은 마찰면에 대하여 적어도 2mm 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큰 깊이의 전위부에 의해 종단 되며, 상기 전위부는 모따기부나 라운드부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영역(18)은 부분적으로 상기 실린더에 동심인 원호들을 형성하는 부재들(30)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영역(18)의 마찰에 작용하는 부분의 표면 평면과 상기 내화재 평판의 뒷면과의 사이의 평행도는 적어도 0.5mm 와 같거나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영역(18)의 편평도는 적어도 0.5mm 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테두리의 윗면 평면이 마찰면 평면에 대하여 적어도 3mm 이거나 또는 그보다 크게 들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13. 제5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단부의 맞은편에 위치한 마찰 영역(18)의 가장자리는 적어도 2mm 이거나 또는 그보다 큰 깊이의 틈새로 종단되며, 이 틈새는 모따기부나 라운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14. 제5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영역(18)은 중량비로 15% 이거나 또는 그보다 큰 붕소 질화물(BN)을 포함하는 재료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15. 제5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영역은 복수의 인접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 평판은, 상기 평판을 이루는 타 부재의 지지물로 사용되는 비금속 내화재로 만들어진 독립적인 뒷면 평판(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체.
  17.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두 개의 실린더가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과, 상기 두 실린더의 각 단부에 위치한 두 개의 분해가능한 측벽체와, 상기 측벽체를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접촉 압력으로 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서, 상기 두 실린더가 상기 측벽체와 상호 작용하여 소정량의 유동 금속을 보유하는 연속 주조 주형을 한정하는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에 있어서,
    상기 측벽체의 접촉 압력을 상기 실린더의 단부에 접촉 압력으로 가하는 수단은, 상기 내화재 평판(12)의 뒷면에 상기 내화재 평판(12)의 금속성 평판과 접촉되지 않고서 인가되는 평판을 포함하며, 상기 내화재 평판(12) 두께가 금속 테두리(14)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연속 주조기용 측벽체.
  18. 두 개의 냉각된 대향 회전 실린더(2)와, 두 개의 측벽체 밀봉 벽체와, 상기 실린더의 좁은 가장자리에 대해 상기 밀봉 벽체를 압력 인가하고 지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사이로 박판 금속 제품을 연속 주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각 벽체는 경질의 내화재 평판(12)과, 상기 내화재 평판에 연결되어 상기 내화재 평판을 둘러싸는 금속 테두리(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주조 장치.
KR1019960707545A 1994-06-30 1995-06-23 판재연속주조기용측벽체 KR1003797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05535 1994-06-03
FR94/09611 1994-08-01
FR9409611A FR2723013B1 (fr) 1994-08-01 1994-08-01 Face laterale pour une machine de coulee en continu de tole mince
FR9505535A FR2722124A1 (fr) 1994-06-30 1995-05-11 Dispositif de coulee continue entre cylindres a parois d'obturation laterale appliquees.
PCT/FR1995/000842 WO1996000626A1 (fr) 1994-06-30 1995-06-23 Face laterale pour une machine de coulee en continu de tole min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828A KR970703828A (ko) 1997-08-09
KR100379791B1 true KR100379791B1 (ko) 2003-07-12

Family

ID=9466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7545A KR100379791B1 (ko) 1994-06-30 1995-06-23 판재연속주조기용측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79791B1 (ko)
FR (1) FR2723013B1 (ko)
UA (1) UA45347C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241A (ja) * 1986-07-17 1988-02-03 Nippon Yakin Kogyo Co Ltd 金属薄板帯の直接鋳造装置
JPH03207554A (ja) * 1990-01-05 1991-09-10 Nippon Steel Corp ツインドラム式連続鋳造機のサイド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2557A (ja) * 1984-02-03 1985-08-24 Mitsubishi Heavy Ind Ltd 薄板連続鋳造装置
US5091606A (en) * 1988-04-25 1992-02-25 Peter J. Balsells Gasket for sealing electromagnetic waves fill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FR2655577B1 (fr) * 1989-12-07 1992-01-24 Siderurgie Fse Inst Rech Installation de coulee continue de produits metalliques minces entre deux cylindres.
JP2981582B2 (ja) * 1992-02-26 1999-11-22 農林水産省食品総合研究所長 有機酸・糖複合体の製造法
FR2693135B1 (fr) * 1992-07-03 1994-08-19 Usinor Sacilor Installation de coulée continue entre parois mobiles, et procédé de coulée utilisant l'installation.
JPH06326241A (ja) * 1993-05-17 1994-11-25 Fujitsu Ltd 電子部品の梱包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241A (ja) * 1986-07-17 1988-02-03 Nippon Yakin Kogyo Co Ltd 金属薄板帯の直接鋳造装置
JPH03207554A (ja) * 1990-01-05 1991-09-10 Nippon Steel Corp ツインドラム式連続鋳造機のサイド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828A (ko) 1997-08-09
UA45347C2 (uk) 2002-04-15
FR2723013A1 (fr) 1996-02-02
FR2723013B1 (fr) 1996-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5332B2 (en) Side wall for a continuous sheet metal casting machine
CA1122775A (en) Continuous casting mold and means for securing mold liners therein
RU2157294C1 (ru) Способ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тонких металлических издели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KR100379791B1 (ko) 판재연속주조기용측벽체
US2863192A (en) Hot top and mould assembly
RU2305611C2 (ru) Боковая стенка установки непрерывного литья металлических лент между двумя цилиндрами
JP2725576B2 (ja) 高炉炉壁補修用の水冷型耐火物パネル
MXPA97000088A (en) Side side for a machine for the constant colada of a metal plate delg
CA1229716A (en) Mold link of a caterpillar type mold
KR200246546Y1 (ko) 박판주조기용 용탕공급노즐의 고정구조
US5143144A (en) Rear spacer of a mould for pressure casting flat metal products such as slabs
JPH0344363Y2 (ko)
SU1227317A1 (ru) Способ облицовки прибыльной части изложницы
JPH02247059A (ja) 連続鋳造用鋳型の短辺テーパ制御方法と装置
JP4567200B2 (ja) 金属ストリップ連続鋳造機用の側壁
JPH054926Y2 (ko)
JP3540079B2 (ja) 超塑性成形方法及びその成形装置
JPH1177252A (ja) ロール式横注ぎ連続鋳造装置のサイド堰
JPH0716769B2 (ja) ツインドラム式連続鋳造機のサイド堰
JPS63303661A (ja) 注湯装置
SU893400A1 (ru) Литейна форма
JPH0353783Y2 (ko)
JPH0519163Y2 (ko)
JPH0515402Y2 (ko)
JPS622731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