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758B1 - 실록산기를 함유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실록산기를 함유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758B1
KR100379758B1 KR10-2001-0005957A KR20010005957A KR100379758B1 KR 100379758 B1 KR100379758 B1 KR 100379758B1 KR 20010005957 A KR20010005957 A KR 20010005957A KR 100379758 B1 KR100379758 B1 KR 100379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organic material
organic
layered inorganic
aluminosilicate
aluminosilicate lay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5776A (ko
Inventor
최길영
이미혜
이선순
김은경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05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758B1/ko
Publication of KR20020065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5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7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ilicates, Zeolites, And Molecular Sie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폴리실록산 아민과 같은 저극성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가 도입되어 있어 내열성 및 유기 친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낮은 흡습성을 가지고 있어 각종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로 유용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록산기를 함유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Novel Organosilicate powders containing oligomeric siloxane moiet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m}
본 발명은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폴리실록산 아민과 같은 저극성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가 도입되어 있어 내열성 및 유기 친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낮은 흡습성을 가지고 있어 각종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로 유용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고분자 재료의 기계적·열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유기고분자와 층상 무기소재를 복합화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사용되는 층상 무기소재가 유기 고분자와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기 위해서는 층상 무기소재의 친유기화 특성의 향상이 요구된다. 층상 무기소재의 친유기화 특성의 향상을 위한 대표적인 시도로서,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금속이온 대신 친유기화기의 도입을 들 수 있으며, 이 결과 친유기화도의 증가 뿐만 아니라 층상 무기소재 층간 거리의 확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기존에 보고되어 있는 탄소수 6개 이상의 알킬기 혹은 아릴기가 측쇄로서 도입된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는 폴리실록산, 폴리옥시알킬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비극성 고분자와의 상용성이 낮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무기 층상 구조에 도입된 알킬 그룹은 무기 층상 고유의 내열성을 크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200 ℃ 이상의 용융 혼합에 의한 복합화를 어렵게 하고 있다.
또, 비극성 유기 고분자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일본특허공개 평1-198645호에서는 폴리올레핀 말단에 오늄(onium)기를 도입하여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된 바 있으나, 폴리올레핀에 오늄(onium)기를 도입하는 화학 반응은 실제적 적용에는 많은 어려움을 안고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평1-198645호에서는 폴리실록산과 같은 고분자 소재 중에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를 분자 수준으로 분산한 후 이를 다른 고분자와 혼합하는 방법 등을 보고하기도 하였으나, 이 역시 공정상의 단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비극성 고분자와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내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실록산기를 함유한 아민 올리고머를 용액 내에서 양이온 교환 반응시킴으로써, 기존의 알킬기 혹은 아릴기가 치환된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에 비해 내열성, 유기 친화성 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낮은 흡수성의 장점을 가지는 신규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를 제조하므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제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친유기화 특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여 각종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첨단산업의 핵심 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는 신규 내열성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에 특정 분자량 분포 및 관능기 단량을 가지는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가 도입됨으로써 각종 전기·전자, 우주·항공 등 첨단산업의 핵심 복합 소재로 사용될 수 있는 내열성, 유기화 특성이 개선된 신규 친유기화된 무기소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양이온 교환에 의한 친유기화 반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림이고,
도 2는 Na-MMT와 HDA-MMT의 열분해 거동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HDA-MMT와 PSIO-MMT-1의 내열성을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유기 고분자가 도입된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도입되는 유기 고분자가 다음 화학식 1a, 1b 및 1c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아민중에서 선택된 저극성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인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a, 1b 및 1c에서 : R1및 R2는 각각 -(CH2)nX(CH2)k-, 혹은이고; X는 -CH2- 혹은 -O-이고; ℓ, m, n, k는 각각 1 ∼ 300 사이의 정수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에, 상기 화학식 1a, 1b 및 1c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아민(이하 "PSIO" 라 칭함) 등과 같은 저극성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를 도입하여, 우수한 유기기 친화력을 가지는 신규 실록산기 함유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친수성 감소 및 층간거리의 확대를 위해서, 1000 ∼ 50,000 g/mol의 분자량을 갖는 유기 고분자 구조를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도입하였으며, 동시에 기존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내열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폴리 실록산 그룹을 도입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오늄염(onium salt)의 형태의 저극성 유기 고분자 측쇄 구조를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구조의 비극성 고분자와 우수한 상용성을 가질 수 있는 신규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에 적용되는 무기소재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로서,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듐 몬모릴로나이트(Sodium Montmorillonite, Na-MMT; 이온 교환량 140 meq/100g) 이외에도 카오린나이트(kaolinite), 스멕타이트(smectite), 버미큐라이트(vermiculi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Nay(Al2-yMgy)(Si4)O10(OH)2
상기 화학식 2에서 : y 는 0.1 ∼ 1.9 범위에 있는 유리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도입한 폴리실록산기는 극성이 매우 낮은 친유기화기로서,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친수성을 크게 저하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이 사용하는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는 1,000 ∼ 50,000 g/mol 정도의 중량평균 분자량(Mw)을 가지며, 500 ∼ 25,000 g/eq의 관능기 당량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금속 이온을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 함유 오늄이온(onium ion)으로 양이온 교환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첨부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 제조방법에 따른 양이온 교환에 의한 친유기화 반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계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를 극성이 높은 단일 용제 혹은 한 종류 이상의 혼합 용액에 잘 분산시킨다. 분산 용제로서는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2-부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글리콜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등의 아미드류, 또한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메타 크레졸(m-cresol) 등의 유기 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다. 온도는 10 ∼ 100 ℃의 범위로, 전체 용액에 대한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함량은 1 ∼ 50 중량%로 조정한다.
이어서, 상기 화학식 1a, 1b 및 1c 중에서 선택된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를 물,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2-뷰톡시에탄올 등의 알코올류,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글리콜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디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등의 에테르류,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의 아미드류, 또한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메타 크레졸 등의 유기 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유기 용매에 용해한다. 반응온도는 10 ∼ 100 ℃ 범위로, 전체 용액에 대한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의 함량은 1 ∼ 50 중량%로 조정한다.
상기에서 제조한 두 용액을 혼합하여 1 ∼ 2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한다. 생성된 고체화합물을 물,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메탄올, 2-부톡시에탄올,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메타 크레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2회 이상 세척한 후, 냉동 건조기에서 12 ∼ 24 시간 동안 건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친유기화 폴리실록산계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합성을 위해 사용한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 소재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에 대하여 1 ∼ 90 중량% 정도 첨가하는 것이 적합하다.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도입되는 폴리실록산계 올리고머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친유기화기로서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으며, 90 중량%를 초과하면 무기소재로서의 장점을 나타낼 수 없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친유기화 폴리실록산계 층상 무기소재는 층간 두께가 5 ∼ 50 Å이고, 길이가 1,000 ∼ 5,000 Å인 층상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층간 거리는 10 ∼ 200 Å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친유기화 폴리실록산계 층상 무기소재는 분말상으로 얻어지며, 반응 후 여과에 의해 간단히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열분해온도가 200 ∼ 300 ℃ 정도로서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용융 혼합에 의한 복합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제조(PSIO-MMT-1)
교반기, 온도계가 부착된 2000 mL의 반응기에 260 mL의 디옥산을 넣고, 12 mL의 염산 및 67 g의 PSIO-1(ℓ= 30∼40의 정수, m= 1∼10의 정수; 일본 신에츠사 제품, 제품명 "KF-8004")을 첨가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25∼30 ℃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380 mL의 물과 250 mL의 디옥산의 혼합 용제에 분산시킨 15 g의 소듐 몬트모릴로나이트(Na-MMT)를 서서히 첨가한 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물과 디옥산의 혼합 용제로 수 차례 세척한 후, 여과하여, 냉동건조기에서 감압건조하여 친유기화 무기소재(PSIO-MMT-1)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제조(PSIO-MMT-2)
교반기, 온도계가 부착된 2000 mL의 반응기에 140 mL의 디옥산을 넣고,12 mL의 염산 및 36 g의 PSIO-2(m= 150∼160의 정수)를 첨가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25∼30 ℃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380 mL의 물과 250 mL의 디옥산의 혼합 용제에 분산시킨 15 g의 소듐 몬트모릴로나이트(Na-MMT)를 서서히 첨가한 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물과 디옥산의 혼합 용제로 수 차례 세척한 후, 여과하여, 냉동건조기에서 감압건조하여 친유기화 무기소재(PSIO-MMT-2)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제조(PSIO-MMT-3)
상기식에서 m은 70~80 사이의 정수이다.
교반기, 온도계가 부착된 2000 mL의 반응기에 630 mL의 디옥산을 넣고, 12 mL의 염산 및 160 g의 PSIO-3(m= 70∼80의 정수)를 첨가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25∼30 ℃로 유지하였다. 여기에, 380 mL의 물과 250 mL의 디옥산의 혼합 용제에 분산시킨 15 g의 소듐 몬트모릴로나이트(Na-MMT)를 서서히 첨가한 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물과 디옥산의 혼합 용제로 수 차례 세척한 후, 여과하여, 냉동건조기에서 감압건조하여 친유기화 무기소재(PSIO-MMT-3)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 유기화 무기소재의 제조(HDA-MMT)
교반기 및 온도계가 부착된 2000 mL의 반응기에 증류수(100 mL)를 넣고, 염산(5.0 mL) 및 헥사데실아민(HDA; 12.0 g)을 첨가한 후, 반응기의 온도를 80℃까지 승온하였다. 여기에 물(500 mL)에 분산시킨 소듐 몬트모릴로나이트(20 g)를 서서히 첨가한 후 격렬하게 교반하였다. 침전된 생성물을 물로 수 차례 세척한 후 여과하고 10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유기화 무기소재(HDA-MMT)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제조 및 분석
상기 실시예 1 ∼ 3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제조 및 특성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유기화 층상 소재의 층간 거리는 X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하였는 바, 본 발명에서 제조한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는 유기층과 무기층이 교대로 반복되는 층상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가 있었으며, 반복되는 유기층의 두께는 60 ∼ 150 Å의 범위에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제조한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특성
친유기화층상 무기소재 아민류 치환율(%) 아민분자량(g/mol) 2θ(°) d spacing(Å)
Na-MMT - - - 7.2 12.3
HDA-MMT 헥사데실아민 96 - 5.8, 3.0 15.3, 29.4
PSIO-MMT-1 PSIO-1 90 3,200 0.6, 1.6 147.0, 57.0
PSIO-MMT-2 PSIO-2 85 11,600 1.0 125
PSIO-MMT-3 PSIO-3 90 5,800 0.6 15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제조한 친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 거리는 Na-MMT 및 HDA-MMT의 그것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였다. 즉, 분자량이 큰 PSIO가 치환된 상기 실시예 1 ∼ 3에서 제조한 PSIO-MMT-1, PSIO-MMT-2,PSIO-MMT-3의 경우, 치환도는 다소 낮은 반면 층간 거리는 60 ∼150 Å 정도로 현격히 증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 3에서 제조한 PSIO-MMT-1, PSIO-MMT-2, PSIO-MMT-3의 수분 흡수율은 2 ∼ 3%의 범위에 있었으며 이는 기존의 HDA-MMT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값으로서, 본 발명의 신규 유기화 MMT의 경우 기존의 유기화 MMT에 비교해 극성이 크게 감소하였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친유기화 MMT의 내열성은 TGA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치환기의 구조와 열분해 거동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첨부도면 도 2에 도시하였듯이 유기기 구조가 도입되지 않은 Na-MMT의 경우, 600 ℃ 이상의 우수한 열안정성을 나타낸 반면, 헥사데실 아민이 치환된 HDA-MMT의 경우, 200 ℃ 이하의 온도에서 열분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HDA-MMT의 200 ℃에서의 열분해 부산물을 TGA-IR 스펙트럼에 의해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분해 생성물은 알킬고리의 분해에 의한 탄화수소 화합물임이 확인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라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 구조가 도입된 PSIO-MMT-1, PSIO-MMT-2, PSIO-MMT-3의 경우에는 열분해 개시 온도가 300 ℃ 이상으로서 매우 우수한 열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제조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층상 무기소재는 기존의 알킬기가 도입된 친유기화 무기소재에 비해 친유기화 특성 및 내열성이 크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폴리올레핀과 같은 비극성 고분자 및 높은 공정 온도가 요구되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과의 복합화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각종 산업 기계 부품, 반도체 장비 부품 제조를 위한 첨단 내열구조 재료의 핵심 소재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이 제조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층상 무기소재의 구체적인 활용범위는 다음과 같다: 범용고분자/무기 복합 소재용 무기소재, 엘라스토머 고기능 복합 소재용 무기소재, 반도체 장비 부품용 복합 소재, 산업기계 부품용 복합 소재.

Claims (10)

  1.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유기 고분자가 도입된 유기화 층상 무기소재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층간에 도입되는 유기 고분자가 다음 화학식 1a, 1b 및 1c로 표시되는 폴리실록산 아민중에서 선택된 저극성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상기 화학식 1a, 1b 및 1c에서 : R1및 R2는 각각 -(CH2)nX(CH2)k-, 혹은이고; X는 -CH2- 혹은 -O-이고; ℓ, m, n, k는 각각 1 ∼ 300 사이의 정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는 1,000 ∼ 50,000 g/mol의 중량평균분자량(Mw)을 가지며, 500 ∼ 25,000 g/eq 범위의 관능기 당량을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에 대하여 1 ∼ 90 중량%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가 도입되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가 소듐 몬모릴로나이트(Sodium Montmorillonite), 카오린나이트(kaolinite), 스멕타이트(smectite) 및 버미큐라이트(vermiculite)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화된 무기소재는 분말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화된 무기소재는 층간 두께 5 ∼ 50 Å, 길이 1,000 ∼ 5,000 Å의 층상 구조를 갖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화된 무기소재는 층간거리가 10 ∼ 200 Å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화된 무기소재는 열분해온도가 200 ∼ 300 ℃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9. 소듐 몬모릴로나이트(Sodium Montmorillonite), 카오린나이트(kaolinite), 스멕타이트(smectite) 및 버미큐라이트(vermiculite) 중에서 선택된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다음 화학식 1a, 1b 및 1c로 표시되는 실록산 아민 올리고머를 분산용제 하에서 혼합 교반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제조방법.
    화학식 1a
    화학식 1b
    화학식 1c
    상기 화학식 1a, 1b 및 1c에서 : R1및 R2는 각각 -(CH2)nX(CH2)k-, 혹은이고; X는 -CH2- 혹은 -O-이고; ℓ, m, n, k는 각각 1 ∼ 300 사이의 정수이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용제가 물, 디옥산, 아세토니트릴, 피리딘, 2-부톡시에탄올,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디메틸포름아미드(DMF), 메타 크레졸(m-cres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및 메탄올 중에서 선택된 단독용매 또는 2종 이상의 혼합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의 제조방법.
KR10-2001-0005957A 2001-02-07 2001-02-07 실록산기를 함유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KR100379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957A KR100379758B1 (ko) 2001-02-07 2001-02-07 실록산기를 함유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5957A KR100379758B1 (ko) 2001-02-07 2001-02-07 실록산기를 함유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776A KR20020065776A (ko) 2002-08-14
KR100379758B1 true KR100379758B1 (ko) 2003-04-10

Family

ID=27693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957A KR100379758B1 (ko) 2001-02-07 2001-02-07 실록산기를 함유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7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293B1 (ko) * 2006-08-29 2007-08-20 한국화학연구원 친유기화 무기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나노복합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9016A (ja) * 1997-03-18 1998-09-2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粘土層間化合物、粘土層間化合物と熱可塑性樹脂からな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製法
US5853886A (en) * 1996-06-17 1998-12-29 Claytec, Inc. Hybrid nanocomposites comprising layered inorganic material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5866645A (en) * 1996-11-14 1999-02-02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Homostructured mixed organic and inorganic cation exchanged tapered compositio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3886A (en) * 1996-06-17 1998-12-29 Claytec, Inc. Hybrid nanocomposites comprising layered inorganic material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6017632A (en) * 1996-06-17 2000-01-25 Claytec, Inc. Hybrid organic-inorganic nanocomposite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5866645A (en) * 1996-11-14 1999-02-02 Board Of Trustees Operating Michigan State University Homostructured mixed organic and inorganic cation exchanged tapered compositions
JPH10259016A (ja) * 1997-03-18 1998-09-29 Kanegafuchi Chem Ind Co Ltd 粘土層間化合物、粘土層間化合物と熱可塑性樹脂からなる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5776A (ko)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23270B1 (en) Polybenzoxazine nanocomposites of clay and method for making same
Meenakshi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novel DOPO based phosphorus tetraglycidyl epoxy nanocomposites for aerospace applications
KR100624613B1 (ko) 난연제 조성물
Sethuraman et al. Thermo-mechanical and surface properties of POSS reinforced structurally different diamine cured epoxy nanocomposites
Kurinchyselvan et al. Fluorinated polyimide nanocomposites for low K dielectric applications
KR20220025836A (ko) 화학적으로 상용화된 플루오로중합체 블렌드
Chozha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1, 1-bis (3-methyl-4-hydroxy phenyl) cyclohexane polybenzoxazine–organoclay hybrid nanocomposites
Shabanian et al. Clay-reinforced semi-aromatic polyether-amide nanocomposites containing phosphine oxide moietie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Hajibeygi et al. New heat resistant nanocomposites reinforced silicate nanolayers containing triazine rings based on polyamide: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flame retardancy study
KR100379758B1 (ko) 실록산기를 함유한 유기화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Meenakshi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new phosphorus based flame retardant tetraglycidyl epoxy nanocomposites for aerospace application
KR100435512B1 (ko) 알킬 실록산 올리고머 구조를 함유한 유기화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와 이의 제조방법
KR100366147B1 (ko) 고결정성 폴리이미드계 나노복합소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50292B1 (ko) 폴리카보네이트계 고분자를 함유한 친유기성 알루미노실리케이트계 층상 무기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15280B1 (ko)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복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53332B1 (ko) 신규의 아믹산 올리고머와 이를 이용하여 개질된 친유기성층상실리케이트를 함유하는 폴리이미드 나노복합재
KR100811934B1 (ko) 포스포늄계 반응성 유기화제로 치환된 친유기화 무기 층상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변성폴리페닐렌옥사이드/점토나노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Balasubramanian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alkyl chain containing polytriazoleimide/reduced graphene oxide nanocomposites
KR102296595B1 (ko) 이미다졸륨계 전도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이온 교환막 연료전지
KR20050040542A (ko) 고내열 친유기성 층상 실리케이트 및 이를 이용한폴리이미드 나노 복합재
JP5790250B2 (ja) 新規スルホン化トリアリールアミンポリ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469080B1 (ko) 1-(3',5'-비스(플루오로알킬)벤젠)피로멜리틱다이안하이드라이드 및 이의 제조방법
EP3549972B1 (en) Polymerizable composition
Ayad et al. Polyaniline–organoclay nanocomposites as curing agent for epoxy: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Nail et a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study electrical conductivity of new Poly 4-methoxy aniline/manganese dioxide nano composi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