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502B1 -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 Google Patents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502B1
KR100379502B1 KR10-2001-0011965A KR20010011965A KR100379502B1 KR 100379502 B1 KR100379502 B1 KR 100379502B1 KR 20010011965 A KR20010011965 A KR 20010011965A KR 100379502 B1 KR100379502 B1 KR 100379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ump
frequency
compressor
defrosting operation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018A (ko
Inventor
장세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1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502B1/ko
Publication of KR20020072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25B41/26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of fluid flow revers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12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3Expansio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03Temperatures near a heat exchang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트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열교환기 표면상에 발생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이 완료되고 다시 난방운전이 시작될 때에 압축기 내부에 액체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상운전은 압축기(11)의 주파수를 최소주파수로 낮추고 전자팽창변(22)의 개도를 완전 개방하여 히트 펌프 시스템 전체의 압력차를 저감시키는 단계와, 리버싱 밸브(12)를 냉방모드로 전환한 후에 압축기(11)의 주파수를 최대주파수로 증가시켜 서리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제상해제운전은 실외열교환기(14)의 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제상해제조건이 만족되면 압축기(11)의 주파수를 최소주파수로 낮추어 히트 펌프 시스템 전체의 압력차를 저감시키는 단계와, 제상이 완료되면 전자팽창변(22)을 완전히 닫고 리버싱 밸브(12)를 난방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압축기(11)의 주파수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전자팽창변(22)의 개도를 점차적으로 개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method for defrosting operation in the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히트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외열교환기 표면상에 발생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이 완료되고 다시 난방운전단계로 전환될 때에 압축기 내부에 액체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히트 펌프는 냉방 능력과 난방 능력이 겸비된 것으로서 실외기와 실내기가 각각 1대씩 연결된다.
이에 비해, 멀티 히트 펌프는 실외기 1대 당 다수개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실내기를 선택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냉방운전 및 난방운전이 가능한 멀티 히트 펌프에 관해 참조도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낸 도 1에서 실선 화살표는 냉방운전시 냉매의 흐름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점선 화살표는 난방운전시 냉매의 흐름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종래 멀티 히트 펌프의 구성 및 사이클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멀티 히트 펌프의 실외기(10)는 압축기(11), 리버싱 밸브(12)(reserving valve), 어큐뮬레이터(13)(accumulator), 실외열교환기(14), 리시버(16)(receiver), 난방용 전자팽창변(15), 냉방용 전자팽창변(17), 다수개의 온도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실내기(20)는 실내열교환기(21), 실내팬(21a) 등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멀티 히트 펌프의 구성 및 작용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압축기(11)는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상태인 냉매로 바꾸어 리버싱 밸브(12)로 보낸다.
상기 리버싱 밸브(12)는 히트 펌프의 운전에 따라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냉방운전 또는 난방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먼저, 상기 히트 펌프의 냉방운전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압축기(11)로부터 리버싱 밸브(12)에 보내진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4)에 보내진다.
상기 실외열교환기(14)는 기체냉매와 외부공기를 열교환시킴에 의해 기체냉매를 액체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로서의 기능을 한다.
실외열교환기(14)를 통과한 냉매는 난방용 전자팽창변(15), 리시버(16) 및 냉방용 전자팽창변(17)를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때, 상기 난방용 전자팽창변(15)은 완전히 개방되는 반면에 냉방용 전자팽창변(17)은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소정의 개도로 개방된다.
한편, 상기 두 개의 전자팽창변(15,17)(electric driven expention valve)은 전기전 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스텝 모터(미도시) 끝에 장착된 니들(needle)을 상하로 움직여 팽창구멍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유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상기 냉방용 전자팽창변(17)에 의해 팽창된 냉매는 실내열교환기(21)로 보내지는데, 상기 실내열교환기(21)는 저온저압의 액체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로서기능한다.
이어,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3)를 통과하여 기체상태의 냉매로 압축기(11)에 보내짐으로써 냉매의 1 싸이클(cycle)을 이룬다.
다음으로, 멀티 히트 펌프의 난방운전은 냉매를 냉방운전과 반대로 순환시키는 것이다.
즉, 리버싱 밸브(12)를 통과한 냉매는 실내기(20)의 실내열교환기(21)에 보내지는데, 상기 실내열교환기(21)는 냉매를 응축시키는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실내열교환기(21)를 통과한 냉매는 완전히 개방된 냉방용 전자팽창변(17), 리시버(16) 및 냉매를 팽창시킬 수 있도록 소정 개도로 개방된 난방용 전자팽창변(15)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상기 난방용 전자팽창변(15)를 통과하면서 팽창된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4)에 보내지는데, 상기 실외열교환기(14)는 팽창된 냉매와 실외공기를 열교환시키는 기능을 갖는 증발기로서 작용한다.
실외열교환기(14)를 통과한 냉매는 어큐뮬레이터(13)를 통과하고, 상기 어큐뮬레이터(13)는 기체상태의 냉매만을 압축기(11)에 보낸다.
한편, 히트 펌프의 난방운전은 주로 겨울철에 실내를 따뜻하게 하기 위해 운전되는 것이므로, 상기 실외에 위치한 실외열교환기(14)는 저온의 외부공기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실외공기의 수분이 실외열교환기(14)의 표면에서 결빙되어 표면에 점착되며, 실외열교환기(14)의 운전이 계속됨에 따라 실외열교환기(14)의 표면에 결빙되는 서리의 양은 더욱 많아지게 된다.
이 서리는 실외열교환기(14)의 표면과 외부공기의 열교환을 상당히 저감시키며, 이러한 현상이 심화되면 히트 펌프의 난방능력이 감소되어 실내에서는 거의 난방감을 느낄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시간이 일정시간 계속되면, 실외열교환기(14)의 배관에 설치된 제 1 온도센서(14b)에 의해 실외열교환기(14)의 표면에 결빙된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운전이 시작된다.
상기 제상운전은 난방운전에서 냉방운전으로 냉매의 흐름을 전환하여 실외열교환기(14)의 서리를 제거하는 것이다.
즉, 압축기(11)로부터 압송된 고온고압의 기체냉매가 리버싱 밸브(12)를 통하여 상기 실외열교환기(14)에 압송된다.
이 고온고압의 냉매가 실외열교환기(14)의 표면에 점착된 서리를 녹여줌으로써 제상운전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상운전이 완료되면 상기 히트 펌프를 다시 난방운전으로 전환시키는 제상해제운전이 시작된다.
그러나, 상기 히트 펌프가 제상운전 완료 후에 다시 난방운전을 시작하는 제상해제운전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상기 히트 펌프는 제상운전시에 냉방운전되기 때문에 실외열교환기(14)와 난방용 전자팽창변(15) 사이에는 액체냉매가 존재하게 된다.
이어, 제상해제운전이 시작되면 냉매의 순환이 반대로 바뀌게 되므로, 상기실외열교환기(14)와 난방용 전자팽창변(15) 사이의 구간에 위치하는 액체냉매는 어큐뮬레이터(13)에 유입되게 된다.
이에 따라, 어큐뮬레이터(13)의 수용량을 넘는 액체냉매는 압축기(11)로 유입되어 압축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11)의 운전전류가 갑자기 상승함과 동시에 많은 소음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1) 내부에 액체냉매의 양이 보다 증가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11)의 윤활작용을 하는 오일이 액냉매에 의해 희석되어 압축기(11)의 기구부(미도시)가 마모되거나 파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큐뮬레이터(13)의 크기를 그 용량보다 충분히 크게 설치하면 상기 압축기(11)로의 액체냉매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어큐뮬레이터(13) 내부의 압력이 저감된다.
이러한 어큐뮬레이터(13) 내부의 압력 감소는 압축기(11) 입구배관의 유동저항으로 작용하여 상기 히트 펌프의 효율을 저감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멀티 히트 펌프는 다수대의 실내기중에서 일부의 실내기(20)를 선택적으로 운전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되는 실내기의 수에 따라 광범위한 운전범위를 가진다.
운전되는 실내기(20)의 수가 적게 운전될 경우 상기 어큐뮬레이터(13)에는 액체냉매량이 점점 증가하게 된다.
이때, 히트 펌프의 제상해제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어큐뮬레이터(13)에 액체냉매의 유입량이 보다 증가되므로, 상기 액체냉매가 압축기(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상운전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외열교환기 표면상에 결빙된 서리를 제거하기 위한 제상운전이 완료되고 다시 난방운전으로 전환될 때에 압축기 내부에 액체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멀티 히트 펌프의 구성 및 사이클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히트 펌프의 구성 및 사이클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2의 히트 펌프의 운전 단계에 따라 압축기, 전자팽창변 및 리버싱 밸브 등의 동작상태에 대한 변화를 나타낸 동작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실외기 11 : 압축기
12 : 리버싱 밸브 13 : 어큐뮬레이터
14 : 실외열교환기 14a : 실외팬
14b : 제 1 온도센서 15 : 난방용 전자팽창변
16 : 리시버 17 : 냉방용 전자팽창변
20 : 실내기 21 : 실내열교환기
21a : 실내팬 21b : 제 2 온도센서
22 : 전자팽창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매가 압축기에 연결된 리버싱 밸브를 통과하여 실내열교환기, 전자팽창변, 리시버, 실외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흐르는 난방운전과; 상기 리버싱 밸브에 의해 난방운전에서 냉방운전으로 전환되어 실외열교환기의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운전과; 상기 제상운전이 완료된 후에 다시 난방운전으로 전환되는 제상해제운전을 포함하는 히트 펌프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은 압축기의 주파수를 최소주파수로 낮추고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완전 개방하여 히트 펌프 시스템 전체의 압력차를 저감시키는 단계와, 리버싱 밸브를 냉방모드로 전환한 후에 압축기의 주파수를 최대주파수로 증가시켜 서리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상해제운전은 실외열교환기의 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제상해제조건이 만족되면 압축기의 주파수를 최소주파수로 낮추어 히트 펌프 시스템 전체의 압력차를 저감시키는 단계와, 제상이 완료되면 전자팽창변을 완전히 닫고 리버싱 밸브를 난방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압축기의 주파수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전자팽창변을 점차적으로 개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펌프 운전 방법에 관해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번을 부여하고 동일한 구조 및 작용에 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히트 펌프의 운전 방법에 관해 참조도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히트 펌프의 구성 및 사이클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히트 펌프의 운전 단계에 따라 압축기, 전자팽창변 및 리버싱 밸브 등의 동작상태에 대한 변화를 나타낸 동작선도이다.
히트 펌프 시스템을 나타낸 도 2에서 실선 화살표는 냉방운전시의 냉매 흐름방향을 나타낸 것이고 점선 화살표는 난방운전시의 냉매 흐름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히트 펌프는 압축기(11), 리버싱 밸브(12), 실외열교환기(14), 전자팽창변(22), 리시버(16) 및 실내열교환기(21) 등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히트 펌프는 겨울철에 실내를 따뜻하게 하도록 난방운전을 하게된다.
이때, 상기 실외열교환기(14)는 증발기로 작용하여 실외에서 차가운 공기와 접촉하므로, 상기 실외열교환기(14)의 표면에는 공기의 수분이 결빙되어 서리가 생성된다.
이어,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조건을 만족하는 온도가 연속해서 일정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실외열교환기(14)의 배관에 설치된 제 1 온도센서(14b)에 의해 제상운전이 시작된다.
먼저, 상기 제상운전이 시작되면 상기 압축기(11)의 주파수를 최저주파수로 낮춤과 동시에 전자팽창변(22)를 완전 개방시킨다.
이때, 다수개의 실내기(20) 중에서 운전되지 않는 실내기(20)와 연결된 전자팽창변(22)을 완전히 개방한다.
또한, 히트 펌프의 실내기(20)가 실내의 온도를 충족시켜 실내기(20)의 운전이 일시적으로 멈춘 상태인 써모 오프(thermo-off) 상태에 있을 경우, 상기 써모 오프 상태에 있는 실내기(20)의 전자팽창변(22)도 완전히 개방된다.
이는 상기 히트 펌프 시스템의 전체적인 압력차를 다소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이렇게 하면 실내열교환기(21)측의 고압 냉매는 실외열교환기(14)측으로 유동되며, 이 유동에 의해 실외열교환기(14)와 전자팽창변(22) 사이에 위치하는 리시버(16)에 액체냉매가 고이게 된다.
상기 압축기의 주파수가 최소주파수로 낮아진 후에 상기 리버싱 밸브(12)를 난방모드에서 냉방모드로 전환시킨다.
이때, 상기 실외공기의 온도가 낮기 때문에 상기 실외열교환기(14)의 온도 및 압력을 보다 빨리 상승시킬 수 있도록 실외팬(14a) 및 실내팬(21a)을 정지시킨다.
이어, 상기 리버싱 밸브(12)를 냉방단계로 전환시키고, 압축기(11)를 최대주파수로 올려 난방운전으로 전환시킨다.
이러한 난방운전에 의해 상기 실외열교환기(14)에 고온고압의 기체가 도달하게 되어 실외열교환기(14)의 표면에 결빙된 서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서리가 제거되면 상기 실외열교환기(14)의 배관에 설치된 제 1 온도센서(14b)에 의해 제상해제 조건이 만족된다.
상기 제상해제 조건이 만족되면 압축기(11)의 주파수를 다시 최저주파수로 낮춘다.
이렇게 하여 난방운전 재시작전에 실외열교환기(14)의 고온고압의 냉매와 실내열교환기(21)의 저온저압의 액체냉매 사이의 압력차를 저감시킨다.
이에 따라, 시스템 전체의 냉매간의 압력차가 줄어듬과 동시에 액체냉매가 실내기(20)측으로 유동된다.
상기 제상운전이 완료되면, 리버싱 밸브(12)를 난방모드로 전환시키고 전자팽창변(22)을 완전히 닫는다.
이와 동시에, 다수개의 실내기(20) 중에서 운전되지 않는 실내기(20)와 연결된 전자팽창변(22)의 개도를 완전히 닫는다.
또한, 히트 펌프의 써모 오프 상태에 있는 실내기(20)와 연결된 전자팽창변(22)의 개도를 완전히 닫는다.
그리고, 상기 실외팬(14a)를 회전시켜 실외열교환기(14)가 외부 공기와 열교환되게 한다.
이렇게 하여 난방운전을 다시 시작하는 때에 어큐뮬레이터(13) 및 압축기(11)로 액체냉매가 갑자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어큐뮬레이터(13)의 크기를 줄일 수 있으므로 상기 압축기(11)의 입구 배관에서 발생되는 압력차에 의한 냉매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실외열교환기(14)의 제상이 완료되면 실내열교환기(21)의 배관에 설치된 제 2 온도센서(21b)에 의해 제상해제운전이 시작된다,
상기 압축기(11)의 주파수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전자팽창변(22)의 개도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이는 제상운전단계 종료시 실내기(20)측으로 이동된 액체냉매가 급작스럽게 실외열교환기(14)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실내팬(21a)을 동작시켜 실내열교환기(21)가 외부공기와 열교환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실내기(20) 중에서 동작되지 않는 실내기(20) 및 써모 오프된 실내기(20)에 연결된 각 전자팽창변(22)를 닫는다.
한편, 상기 압축기(11)의 주파수는 다단계에 걸쳐 각 단계씩 주파수를 증가시켜 기준 주파수에 도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자팽창변(22)의 개도는 다단계에 걸쳐 각 단계씩 소정의 비율로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리버싱 밸브(12)에서 실내열교환기(21) 구간의 냉매 압력이 다량의 액체냉매를 충분히 팽창시킬 수 있을 만큼 크지 않기 때문에 전자팽창변(22)의 개도를 점차적으로 확장시킴에 따라 이 구간의 압력을 보다 빨리 증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압축기(11)가 정상 주파수에서 운전되도록 상기 압축기(11)의 운전 주파수를 7단계에 나누어 점차적으로 상승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전자팽창변(22)의 개도를 압축기(11)의 주파수에 대응되도록 4단계에 걸쳐 단계적으로 확장시킨다.
이때, 도 3과 같이 압축기(11)의 기준주파수(FB:frequency base)는 각 시스템에 적용되는 압축기(11)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전자팽창변(22)의 기준펄스(PB:base pulse)도 전자팽창변(22)의 용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멀티 히트펌프의 제상운전 방법으로 인하여 상기 압축기(11)에 액체냉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어큐뮬레이터(13)의 크기를 과대하게 설계하는 것을 방지하여 어큐뮬레이터(13)로 인한 압축기(11) 입구측의 유동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압축기(11)가 안정되게 운전될 수 있도록 하고, 압축기의 운전소음을 상당히 저감시켜 압축기의 고품질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상운전 방법에 의해 전자팽창변을 1개만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멀티 히트 펌프의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축기의 운전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압축기의 운전소음을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어큐뮬레이터의 크기를 과대하게 설계할 필요가 없으며 난방용 전자팽창변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어 제품의 제조단가를 상당히 저감시킬 수 있다.

Claims (13)

  1. 냉매가 압축기에 연결된 리버싱 밸브를 통과하여 실내열교환기, 전자팽창변, 리시버, 실외열교환기를 순차적으로 흐르는 난방운전과; 상기 리버싱 밸브에 의해 난방운전에서 냉방운전으로 전환되어 실외열교환기의 서리를 제거하는 제상운전과; 상기 제상운전이 완료된 후에 다시 난방운전으로 전환되는 제상해제운전을 포함하는 히트 펌프의 운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은 압축기의 주파수를 최소주파수로 낮추고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완전 개방하여 히트 펌프 시스템 전체의 압력차를 저감시키는 단계와, 리버싱 밸브를 냉방모드로 전환한 후에 압축기의 주파수를 최대주파수로 증가시켜 서리를 제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상해제운전은 실외열교환기의 배관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제상해제조건이 만족되면 압축기의 주파수를 최소주파수로 낮추어 히트 펌프 시스템 전체의 압력차를 저감시키는 단계와, 제상이 완료되면 전자팽창변을 완전히 닫고 리버싱 밸브를 난방모드로 전환하는 단계와, 압축기의 주파수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고 전자팽창변의 개도를 점차적으로 개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에서 히트 펌프 시스템의 압력차를 감소시키는 단계에서는 다수대의 실내기 중 운전되지 않는 실내기와 연결된 전자팽창변을 완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에서 히트 펌프 시스템의 압력차를 감소시키는 단계에서는 실내공기의 온도조건을 만족하여 소정 시간동안 냉매의 공급이 정지되는 써모 오프된 실내기와 연결된 전자팽창변을 완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운전에서 리버싱 밸브를 냉방모드로 전환시킬 때에 실내열교환기의 실내팬과 실외열교환기의 실외팬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해제운전에서 제상이 완료되면 다수대의 실내기 중에서 운전되지 않는 실내기와 연결된 전자팽창변을 완전히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해제운전에서 제상이 완료되면 써모 오프된 실내기와 연결된 전자팽창변을 완전히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해제운전에서 제상이 완료되면 실외팬을 다시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해제운전에서 난방이 재시작되면 압축기는 그 주파수를 최저주파수로부터 기준주파수까지 다수 번에 걸쳐 각 단계씩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는 그 주파수를 최저주파수로부터 기준주파수까지 7단계에 걸져 각 단계씩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해제운전에서 난방이 재시작되면 전자팽창변은 개도를 다수 번에 걸쳐 소정 비율로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는 4단계에 걸쳐 각 단계씩 소정 비율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팽창변의 개도는 압축기의 주파수 변화에 대응되도록 소정 비율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상해제운전에서 난방이 시작되면 실내열교환기의 배관에 설치된 실내팬을 운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KR10-2001-0011965A 2001-03-08 2001-03-08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KR100379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965A KR100379502B1 (ko) 2001-03-08 2001-03-08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965A KR100379502B1 (ko) 2001-03-08 2001-03-08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018A KR20020072018A (ko) 2002-09-14
KR100379502B1 true KR100379502B1 (ko) 2003-04-10

Family

ID=2769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965A KR100379502B1 (ko) 2001-03-08 2001-03-08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5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3194A (zh) * 2012-03-31 2013-05-29 宁波奥克斯电气有限公司 多联式空调机组的除霜方法
CN112033056A (zh) * 2020-08-19 2020-12-04 三菱重工海尔(青岛)空调机有限公司 一种降低多联内机侧冷媒流动音的方法
CN114739065A (zh) * 2022-04-28 2022-07-12 浙江中广电器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空气源变频热泵不停机除霜的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018A (ko) 200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1785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systems having a cooling mode and a free-cooling mode
KR100717444B1 (ko) 멀티 에어컨 및 에어컨 제어방법
US20100036530A1 (en) Air conditioning systems and methods having free-cooling pump starting sequences
JP4475655B2 (ja) 空気調和機
JP3975664B2 (ja) 冷凍冷蔵庫、冷凍冷蔵庫の運転方法
US7574872B2 (en) Capacity-variable air conditioner
US20040103676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oling/heating of heat pump system
JP3843331B2 (ja) 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機及び室外機
KR100379502B1 (ko) 히트 펌프의 제상운전 방법
JP2003021089A (ja) 2段圧縮冷凍機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2002081779A (ja) 空気調和機
JP2007247997A (ja) 空気調和装置
JP2013108729A (ja) 空気調和装置
JPH07139857A (ja) 空気調和機
KR20070039282A (ko) 차량용 히트 펌프 시스템
KR20110001992A (ko) 히트펌프 시스템의 성에제거방법
KR100652799B1 (ko) 멀티형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JP2008020181A (ja) 空気調和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4104519B2 (ja) 冷凍システム
JP2007147228A (ja) 冷凍装置
JPH06337176A (ja) 空気調和装置
KR101128797B1 (ko)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WO2022259302A1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冷蔵庫
JPH11294881A (ja) 二元冷凍装置
KR101004635B1 (ko) 히트펌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