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442B1 - 유기전계발광소자 - Google Patents

유기전계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442B1
KR100379442B1 KR10-2000-0075635A KR20000075635A KR100379442B1 KR 100379442 B1 KR100379442 B1 KR 100379442B1 KR 20000075635 A KR20000075635 A KR 20000075635A KR 100379442 B1 KR100379442 B1 KR 100379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organic
transport layer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5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315A (ko
Inventor
오형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5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442B1/ko
Publication of KR20020046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4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 주입 및 수송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테트라페닐메탄(tetraphenylmethane)을 주골격으로 하는 화합물로 구성된 정공 주입 및 수송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전자 주입 전극과 정공 주입 전극 사이에 형성된 유기막에 전하를 주입함으로써 전자와 정공이 쌍을 이룬 후 소멸하면서 빛을 낸다.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플라스틱과 같이 휠 수 있는 투명 기판 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무기전계발광소자에 비해 낮은 전압, 즉 10V 이하에서 상기 유기전계발광소자는 구동이 가능하고, 전력 소모가 비교적 적으며, 색감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녹색, 청색 및 적색의 세가지 색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풀 칼라 디스플레이 소자(full color display device)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단계는 다음의 단계: (1) 투명기판 위에 양극을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양극 위에 정공주입층 및 정공수송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4) 상기 정공수송층 위에 유기발광층을 형성하는 단계, (5) 상기 발광층 위에 전자수송층 및 전자주입층을 차례로 형성하는 단계, 및 (6) 상기 전자주입층 위에 음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양극 물질로는 ITO(induim tin oxide), 상기 정공주입층으로는 10 내지 30㎚ 두께의 CuPc(copper phthalocyanine), 상기 정공수송층으로는 30 내지 60㎚ 두께의 NPD (4,4'-bis[N-(1-naphthyl)- N-phenylamino]-biphenyl)를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유기발광층에는 필요에 따라 도펀트를 첨가한다. 예를들면, 녹색발광의 경우 유기발광층으로 30 내지 60㎚ 두께의 Alq3(tris(8-hydroxy-quinolate)aluminum)를, 도펀트로는 MQD(N-methylquinacridone)를 사용한다.
종래 정공 주입 및 수송층을 이루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소자의 수명과 효율이 감소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공 주입 및 수송층을 이루는 물질을 제공함으로써 소자의 수명을 증가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주입 및 수송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R은 하기의 화학식을 가지며:
상기 화학식의 R1및 R2는 각각 지방족 치환기, 방향족 치환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R1및 R2가 방향족 치환기인 경우, 상기 방향족 치환기는 페닐기, 나프틸기 및 페난트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질은 하기 화학식 2일 수 있다.
상기 물질은 하기 화학식 3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합성될 수 있다.
즉, 2.5g(3mmol)의 테트라(p-아이오도페닐)메탄(tetra(p-iodophenyl) methane)을 톨루엔 60ml에 녹인다. 3.32g(15mmol)의 N-페닐-1-나프틸-아민(N-phenyl-1-naphthyl-amine)과 0.109g(0.6mmol)의 1,10-페난트롤린, 0.06g(0.6mmol)의 CuCl 및 0.12mol의 KOH을 넣은 후 dean-stock flask를 설치하고 24시간 환류시킨다.
반응이 끝나면 상온으로 냉각하고 물로 여러 번 세척한 후 THF/메탄올에서 재결정한다.
상기 화학식 3의 물질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N-페닐-1-나프틸-아민대신에 디페닐아민을 사용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은 테트라페닐메탄(tetraphenylmethane)을 주골격으로 한다. 상기 테트라페닐메탄을 주골격으로 하는 화합물은 정공을 주입하고 수송하는 특성을 가지며 열안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이용함으로써 얻어지는 이점은 소자의 안정성을 높여 수명을 증가시키고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Claims (4)

  1.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정공 주입 및 수송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이때, 상기 R은 하기의 화학식을
    상기 R1및 R2는 각각 지방족 치환기, 방향족 치환기 및 수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어느 하나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치환기는 페닐기, 나프틸기, 및 페난트릴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하기 화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하기 화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00-0075635A 2000-12-12 2000-12-12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379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635A KR100379442B1 (ko) 2000-12-12 2000-12-12 유기전계발광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5635A KR100379442B1 (ko) 2000-12-12 2000-12-12 유기전계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315A KR20020046315A (ko) 2002-06-21
KR100379442B1 true KR100379442B1 (ko) 2003-04-11

Family

ID=2768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5635A KR100379442B1 (ko) 2000-12-12 2000-12-12 유기전계발광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88B1 (ko) * 2001-09-07 2004-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공 수송/주입 능력이 있는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분자자기조립막을 갖춘 유기 전기발광 소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412A (en) * 1975-12-09 1978-11-28 Eastman Kodak Company Photoconductive compositions and elements
US4361636A (en) * 1981-04-22 1982-11-30 Eastman Kodak Company Ionic polyesters for electrically photosensitive composite particles, materials, elements and photoelectrophotoretic imaging methods
JPS63223033A (ja) * 1987-03-12 1988-09-16 Idemitsu Kosan Co Ltd 耐透湿性材料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7412A (en) * 1975-12-09 1978-11-28 Eastman Kodak Company Photoconductive compositions and elements
US4361636A (en) * 1981-04-22 1982-11-30 Eastman Kodak Company Ionic polyesters for electrically photosensitive composite particles, materials, elements and photoelectrophotoretic imaging methods
JPS63223033A (ja) * 1987-03-12 1988-09-16 Idemitsu Kosan Co Ltd 耐透湿性材料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8888B1 (ko) * 2001-09-07 2004-07-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공 수송/주입 능력이 있는 화합물과 이를 포함하는분자자기조립막을 갖춘 유기 전기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315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1750B1 (ko) 적색 인광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EP1586616B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8592614B2 (en) Mixtures of organic emissive semiconductors and matrix materials, their use and electronic components comprising said materials
KR10057726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326668B1 (ko) 전자 수송-주입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JP2003055652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発光材料
KR20110076018A (ko) 청색 형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30133515A (ko) 유기 전기 발광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140023589A (ko) 인광 호스트 물질 및 이를 이용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20056418A (ko) 전자수송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0525409B1 (ko)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20110070180A (ko) 청색 형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
KR20110041330A (ko) 유기전계발광소자용 적색 인광 호스트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US6737532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materials
US20030228487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CN109988166A (zh) 一种以菲啶衍生物为受体的化合物及其应用
KR10037944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10054192A (ko) 청색 형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1519860B1 (ko) 녹색 인광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30044525A (ko)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US20050208333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KR20060117038A (ko) 발광 화합물 및 그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561554B1 (ko) 전자 수송-주입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60118913A (ko) 호스트 물질 및 그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080105870A (ko) 적색 인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