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409B1 -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409B1
KR100379409B1 KR10-1998-0054178A KR19980054178A KR100379409B1 KR 100379409 B1 KR100379409 B1 KR 100379409B1 KR 19980054178 A KR19980054178 A KR 19980054178A KR 100379409 B1 KR100379409 B1 KR 100379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network
provisioning
local exchange
protocol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4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8990A (ko
Inventor
최승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54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409B1/ko
Publication of KR2000003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4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컬 교환기와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타이머를 설정하여 서로의 상태를 동일하게 만든 이후에 메시지를 주고 받도록 하는 V5.2 프로토콜에서 재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V5.2 프로토콜에서 재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은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로컬 교환기에서 시작한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절차를 시행할 경우 스타트-업(start-up)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상태가 같아질 수 있는 설정된 대기 시간을 갖는다.

Description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본 발명은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WLL)에 적용되는 액세스 V5.2 프로토콜에서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상태를 일치시킨 후 재 프로비져닝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V5.2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사용자 라인에 종단되는 교환기를 로컬 교환기(Local Exchange)라 하고, 로컬 교환기와 가입자 사이에서 구현된 분배방의 일부 혹은 전부를 대체하는 시스템을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라 한다. V5.2 프로토콜의 리-프로비져닝(Re-provision) 과정에서 스타트-업(Start-up)을 할 때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 시스템의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스타트-업 과정 이후의 메시지가 분실될 수도 있다. 따라서,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못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세스 네트워크(100)와 로컬 교환기(200)는 E1 링크로 연결되고 이때 V5.2 프로토콜이 사용된다. 그리고, 액세스 네트워크(100)와 로컬 교환기(200)는 Q-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관리가 된다. 프로비젼은 Q-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어떤 V5.2의 파라미터를 검증하고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파라미터는 디폴트 값을 가지고 있거나 로컬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변경될 수 있다. 프로비젼을 재설정하는 과정이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이다.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은 액세스 네트워크(100)이나 로컬 교환기(200)에서 각각 요구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V5.2 프로토콜 스택은 E1 링크의 상태 관리 및 제어하는 하위 계층1(106a,106b)과, 액세스 네트워크(100)와 로컬 교환기(200)사이의 정보를 신뢰성 있게 주고받기 위하여 상위 계층2(104a, 104b)에서 데이터의 흐름 제어와 에러 제어를 한다. 그리고, 로컬 교환기(200)와 액세스 네트워크(100) 사이의 상태 관리 및 교환기의 자원을 관리하는 상위 계층3(103a, 103b)과 하위 계층1(106a,106b)에서 상위 계층3(103a, 103b)까지를 제어하는 관리자(Manager)(101a, 101b) 및 호처리 프로그램(102a, 102b)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보인 통신 관리 네트워크(300)에서 Q-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WLL 시스템을 관리한다. 이때, Q-인터페이스를 통하여 WLL 시스템의 어떤 변수를 검증하고 변경할 수 있다면 이 변수는 프로비젼 될 수 있다. 이러한 변수를 변경하는 절차를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이라 한다. 이러한 절차는 ESTI 표준화 규격의 하나인 ETS 300 347에 정의되어 있다.
도 3은 종래의 로컬 교환기가 기동하는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절차를 보이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 전에 새로운 프로비젼 베리언트가 액세스 네트워크(100)와 로컬 교환기(200) 양측에서 이용 가능한지를 검증하는 절차가 먼저 진행된다.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을 원하는 측은 VERIFY RE-PROVISIONING 메시지를 송신하고(S1, S2), READY FOR RE-PROVISIONING 또는 NOT READY FOR RE-PROVISIONING 메시지를 수신한다(S3, S4). 관리자((101a, 101b)는 NOT READY FOR RE-PROVISIONING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에 적절한 동작을 취한다.
이와 같은 동작이 로컬 교환기(200)에서 시작한 Re-Provisioning 절차일 경우, 액세스 네트워크(100)와 로컬 교환기(200) 양측에서 새로운 베리언트가 이용이 가능하다면 로컬 교환기(200)는 관련된 모든 포트를 차단한다. 로컬 교환기(200)가 SWITCH-OVER TO NEW VARIANT 메시지를 송신하면(S5), 액세스 네트워크(100)로부터 RE-PROVISIONING STARTED 또는 CANNOT RE-PROVISION 메시지를 수신한다(S6). 여기서, Variant는 Q-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공되는 완전한 프로비젼닝 데이터 세트의 라벨(label)을 의미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00)는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이 가능한 경우 RE-PROVISIONING STARTED 메시지를 송신하고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을 시작하며(S7), 로컬 교환기(200)는 RE-PROVISIONING STARTED 메시지를 수신시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을 시작한다(S8). 로컬 교환기(200)가 CANNOT RE-PROVISION 메시지를 수신시, 로컬 교환기(200)는 관리 실체에 통보하고, 포트의 차단해제를 개시한다.
이어,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시 스타트-업(Start-up) 절차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된다. 여기서, 동일한 링크를 사용할 경우는 SABME와 UA 메시지의 전송(S11,S12)은 생략될 수 있다.
먼저, 베리언트와 인터페이스 ID의 동일함을 검증하기 위하여 REQUEST-VARIANT_& INTERFACE-ID를 보내고(S15), 이에 Variant와 Interface Id를 서로 주고받는다(S16). 그후 링크의 번호를 검증하기 위하여 FE-ID를 주고 받는다(S17, S18). 이때, FE-ID의 명령은 생략 가능하다.
이후, 스타트-업을 위하여 RESTART-REQUEST를 보내고(S20), 로컬 교환기(200)와 액세스 네트워크(100)에서 각각 RESTART-COMPLETE Message를 주고받는다(S21, S22). 이후, 모든 포트의 상태를 맞추기 위하여 UNBLOCK-REQUEST 메시지를 보내고(S22) 이를 받아들인다는 UNBLOCK-REQUEST-ACCEPT를 보낸다(S23). 이후 모든 포트를 해제하였다는 UNBLOCK-REQUEST-COMPLETE 메시지를 주고받는다(S26-S30).
또한, 액세스 네트워크(100)에서 시작한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절차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액세스 네트워크(100) SWITCH-OVER-TO-NEW-VARIANT 메시지를 로컬 교환기(200)에 전송한다(S35). 만약 로컬 교환기(200)가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이 가능하다면, 관련된 포트의 차단을 개시하고, BLOCKING STARTED 메시지로 응답한다(S37). 만약 로컬 교환기(200)가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 할 수 없으면, SWITCH-OVER-TO-NEW-VARIANT 메시지에 대하여 CANNOT RE-PROVISION 메시지로 응답한다. 액세스 네트워크(100)가 CANNOT RE-PROVISION 메시지를 수신시, 액세스 네트워크(100)는 관리 실체에 통보한다. 이후에 진행되는 절차는 로컬 교환기(200)에서 시작한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 절차와 같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행할 경우 도 3의 스타트-업 절차인 절차A와 도 4의 스타트-업 절차인 절차 B를 수행할 때 액세스 네트워크(100)와 로컬 교환기(200) 시스템의 구조 차이로 인하여 어느 한쪽이 준비가 되지 않았을 경우에도 스타트-업 절차를 수행한다.
따라서, Varient를 변경하게 되는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의 경우에 Variant가 변화하는 로컬 교환기(200)나 액세스 네트워크(100)에서 Variant가 아직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Request Variant & Interface ID 정보를 서로 주고받는다.
이때, 한쪽은 상태가 변화를 완료한 상태이고, 한쪽은 상태가 변화하지 않았을 경우 도 5의 상태 C이후는 로컬 교환기(200)와 액세스 네트워크(100)의 Varient가 서로 다르므로 더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E1 링크의 주 링크(Primary)나 부 링크(Secondary Link)를 변화시키는 경우 상태 C나 상태 D 이후에 자원이 할당되면 어느 한쪽은 C상태에 있고 다른 한쪽은 스타트-업을 다시 수행하게 되어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이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없어, 시스템의 성능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여기서, 주 링크는 타임슬럿 16의 물리 C-채널이 보호 프로토콜을 위한 C-경로를 전달하는 다중-링크 V5.2인터페이스의 2048 kbit/s 링크를 말한다. V5.2인터페이스 초기화시에 제어와 링크 제어, BCC 프로토콜을 위한 C-경로를 전달한다. 또한, 부 링크는 타임슬럿 16의 물리 C-채널이 보호 프로토콜을 위한 C-경로를 전달하는 다중-링크 V5.2인터페이스의 2048 kbit/s 링크를 말한다. V5.2인터페이스 초기화시에, 제어와 링크 제어, BCC 프로토콜, 또한 주 링크의 타임슬럿 16에서 전달하는 기타 C-경로를 위한 스탠바이 C-채널로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로컬 교환기와 액세스 네트워크에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타이머를 설정하여 서로의 상태를 동일하게 만든 이후에 메시지를 주고받도록 하는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이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로컬 교환기에서 시작한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절차를 시행할 경우 스타트-업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상태가 같아질 수 있는 설정된 대기 시간을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연결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도.
도 3은 종래의 로컬 교환기가 기동하는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절차를 보이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종래의 액세스 네트워크가 기동하는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절차를 보이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종래의 로컬 교환기 또는 액세스 네트워크의 기동시 스타트-업(Start-up) 절차를 보이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로컬 교환기가 기동하는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절차를 보이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이 액세스 네트워크가 기동하는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절차를 보이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세스 네트워크 101a,101b : 관리자
102a, 102b : 호처리 프로그램 103a, 103b, 104a, 104b : 상위 계층
105a, 105b : 운용 시스템 106a, 106b : 하위 계층
200 : 로컬 교환기 300 : 통신 관리 네트워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로컬 교환기가 기동하는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절차를 보이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액세스 네트워크(100) 또는 로컬 교환기(200)에서 시작한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절차를 시행할 경우, 스타트-업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액세스 네트워크(100)와 로컬 교환기(200)의 상태가 같아질 수 있는 설정된 대기 시간을 갖는 다.
즉, 도 4와 도 5의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과정에서 시작 메지지 이후에 로컬 교환기(200)와 액세스 네트워크(100) 사이에 재 프로비져닝(Re-Provisioning) 타이머를 설정하여 타이머가 종료된 이후에 스타트-업 절차를 수행시킨다. 따라서, 액세스 네트워크(100)와 로컬 교환기(200)의 시스템 구조가 다르더라도 서로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는 시간을 갖으므로 스타트-업 절차 메시지를 분실하지 않는다. 결국, 본 발명의 적용으로 인하여 V5.2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시스템이 안정되게 운용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WLL 시스템과 공중 교환 전화 통신망(PSTN)과는 V5.2 Protocol을 사용하도록 권고되고 있는 상황에서 시스템의 운용중 E1 링크의 고장 등의 이유로 V5.2 프로토콜의 Variant를 변경할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을 수행하게 되는데, 스타트-업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상태가 같아질 수 있는 설정된 대기 시간을 타이머를 적용하여 갖는다. 따라서, WLL 시스템을 신뢰성 있게 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액세스 네트워크 또는 로컬 교환기에서 시작한 재 프로비져닝 (Re-Provisioning)절차를 시행할 경우 스타트-업 과정을 시작하기 전에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와 로컬 교환기의 상태가 같아질 수 있는 설정된 대기 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시간은 타이머의 동작에 의해 카운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KR10-1998-0054178A 1998-12-10 1998-12-10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KR100379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178A KR100379409B1 (ko) 1998-12-10 1998-12-10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4178A KR100379409B1 (ko) 1998-12-10 1998-12-10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990A KR20000038990A (ko) 2000-07-05
KR100379409B1 true KR100379409B1 (ko) 2003-06-18

Family

ID=19562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4178A KR100379409B1 (ko) 1998-12-10 1998-12-10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4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6114B1 (ko) * 1999-12-29 2002-03-07 윤종용 브이5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장치의 가입자 포트 상태관리방법
KR100451785B1 (ko) * 2000-11-22 2004-10-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리링크(e1) 수 변동에 따른 v5.2리 프로비젼 절차방법
KR100419014B1 (ko) * 2001-02-22 2004-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전자교환기와 전송장비 간의 하나의 링크 스타트업지원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8990A (ko) 2000-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264287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と通信管理ネットワークを統合した通信システム
CN1653847B (zh) 防止重配置结构消息引起的光纤通道结构扰乱的装置和方法
KR100658241B1 (ko) 무선 atm 라디오 통신 네트워크의 atm 이동 단말기및 atm 액세스 노드간의 보안 통신을 위한 인증 방법및 인증 장치
CN101009588B (zh) 配置分布式代理服务器信息的方法及系统
USH1964H1 (en) Resource management sub-system of a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system
US7099333B2 (en) Automatic protocol version detection and call processing reconfigu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389579B2 (en) Method for management of communication devices in an access network and a related access unit
KR100379409B1 (ko) V5.2 프로토콜에서 재 프로비져닝시 액세스 네트워크와 교환기의 상태 운용방법
JP2000501911A (ja) 補助リソースのための構成方法
US66311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a V5 interface
EP0835038B1 (en) ISDN BRI link restoration without loss of calls
US6647110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configuration of an interface
KR100431201B1 (ko) 가입자망 및 광대역 종합통신망(b-isdn)에서 vb5.2인터페이스 기동방법
JP3543639B2 (ja) Vインターフェース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のホスト側交換装置の切替方法
JP3263736B2 (ja) サービス論理プログラム更改システム
KR100431200B1 (ko) 가입자망 및 광대역 종합통신망(b-isdn)에서vb5.1인터페이스 기동방법
JP3614613B2 (ja) 端末アダプタ
KR100311643B1 (ko) V5.2 종합정보통신망 포트블럭 절차변경방법
KR100606096B1 (ko) 브이5.2 프로토콜 규격의 링크 식별 절차 수행방법
KR100451785B1 (ko) 물리링크(e1) 수 변동에 따른 v5.2리 프로비젼 절차방법
KR100237378B1 (ko) 서비스플랫폼 교환기 사용자 단말의 호 접속방법
KR100301728B1 (ko) Wll 시스템에서의 베어러 채널접속 참조번호 할당 및 해제방법
KR100237473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에서 패킷 영구 가상채널 설정방법
KR100333995B1 (ko) 호출을손실함이없이isdnbri링크를복구하는방법및장치
CN118158081A (zh) 一种接入方法、系统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