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8297B1 - 신속커넥터접속구용결합검사수단 - Google Patents

신속커넥터접속구용결합검사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8297B1
KR100378297B1 KR1019950031927A KR19950031927A KR100378297B1 KR 100378297 B1 KR100378297 B1 KR 100378297B1 KR 1019950031927 A KR1019950031927 A KR 1019950031927A KR 19950031927 A KR19950031927 A KR 19950031927A KR 100378297 B1 KR100378297 B1 KR 100378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dy
male member
retainer
indicating means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238A (ko
Inventor
릭크에이쿠야우스키
Original Assignee
번디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번디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번디 코오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60011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16L37/0987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the flexible hook being progressively compressed by axial tensile loads acting o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201/00Special arrangements for pipe couplings
    • F16L2201/10Indicators for correct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유체 도관용 신솔 커넥터 접속구는 반경반향으로 내부 지지면을 형성하는 중공 암형 커넥터 본체를 구비한다. 숫형 부재는 반경방향 확대 업셋부를 가지며 제 1 위치까지 커넥터 본체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제 1 위치로부터 커넥터 본체 내부의 개 2 위치까지 철수가능하다. 리테이너가 커넥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리테이너와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업셋부와 지지면 사이를 연장하는 보유 빔을 구비한다. 링형 지시 수단이 커넥터 본체의 한 단부에 찰달식으로 고정된다. 숫형 부재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철수하면 지시 수단은 커넥터 본체로 부터 분리되고 적정 접속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신속 커넥터 접속구 용 결합 검사 수단
본 발명은 신속 커넥터 접속구를 구비하는 유체 도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신속 커넥터의 숫형부와 암형부가 적절하게 결합되었는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수단을 갖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및 기타 분야에서, 암형 커넥터 본체에 수납 및 밀봉식으로 보유되는 숫형 부재를 구비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는 두개의 부품 또는 도관 사이에 유체 접속을 제공하여, 상기 두개의 부품 사이에 유체 도관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적은 시간과 비용으로 충분히 밀봉되고 안전한 도관을 설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신속 커넥터 접속구를 사용하는 것이 유익하다.
신속 커넥터 접속구의 숫형 부재와 암형 커넥터 본체 사이의 부적절하거나 불완전한 결합은 유체 도관 시스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유체 시스템에서의 누설은 최소한 부적절한 연결부에서 발생한다. 유체가 가압 상태인 경우에는 보다 중대하고 잠재적인 위험이 있는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경우는 자동차 유체 시스템에서 종종 일어난다. 따라서, 숫형 부재와 암형 커넥터 본체 사이의 적절한 결합이 이루어졌는가를 검사할 수 있는 신뢰성이 있고 정확한 수단이 요구되고 있다.
숫형 부재를 힘껏 잡아 당기거나 견인하여 적정 결합을 물리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숫형 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부적절하게 결합된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결합 검사법에 관한 신뢰는 여러가지 단점이 있다. 숫형 부재상에부과된 견인력 또는 당기는 힘은 부분적으로 결합된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로부터 압출시키기에 불출분하므로 적정 결합이라고 잘못 인식할 수 있다. 물리적 검사에 관한 신뢰와 관련된 또다른 문제점은 접속구가 실제로 검사되고 적절하다고 인식되는 신호를 타인에게 제공하지 못하는 것이다.
적정 결합에 관한 청각적 확인은 때때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숫형 부재가 암형 커넥터 본체에 삽입되면, 숫형 부재가 적소에 고정될 때 "딸깍"이라는 소리가 발생한다. 딸깍 소리는 숫형 부재상에 형성된 확대 업셋부 후방의 적소에 스냅 결합하는 암형 커넥터 본체 내부에 수납된 리테이너의 탄성 빔에 의하여 발생한다. 이러한 검사법은 여러가지 관점에서 불충분하다. 딸깍 소리는 상당히 저음이거나 들리지 않기 때문에, 그 검사를 곤란하게 한다. 리테이너로 제조되는 재료는 딸깍 소리의 가청성에 영향을 미친다. 작업장에서의 배경 잡음은 그러한 작업을 더욱 곤란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검사법은 설치자의 청력에 의하여 제한받는다. 일반적으로, 적정 결합 여부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결합 검사법이 가장 신뢰될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보편적인 타입의 시각적 결합 지시 수단에 있어서, 암형 커넥터 본체에 대한 지시 수단의 위치는 적정 결합이 이루어 졌는가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지시 수단은 커넥터 본체와 관련이 있으며 숫형 부재의 내향 이동 또는 삽입에 의하여 커넥터 본체에 대해 위치가 변형된다. 지시 수단은 커넥터 본체로 부터 분리되지 않고 오히려 커넥터 본체에 대한 지시 수단의 위치가 변경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5,228,728 호, 제 226,679 호, 제 4,948,176 호, 제 4,925,217 호, 제 4,913,467호, 제 4,895,396 호, 제 4,793,637 호 및 제 4,753,458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 2 타입의 시각적 결합 저시 수단은 접속구로 부터 지시 수단의 완전한 분리에 의한 적정 결합을 나타낸다. 숫형 부재의 내향 이동 또는 삽입에 의하여 분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시 수단의 부재는 적정 결합을 나타낸다. 이러한 제 2 타입의 시각적 지시 수단의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5,152,555 호, 제 4,946,205 호 및 제 4,915,240 호에 개시되어 있다.
제 3 타입의 시각적 연결 지시 수단은 숫형 부재의 내향 이동 또는 삽입이 커넥터 본체로 부터 지시 수단을 분리시키는 점에서 제 2 타입의 시각적 지시 수단과 유사하다. 그러나, 통상 O 링형 세그먼트인 착탈식 지시 수단은 커넥터 본체로부터 분리된 후에 숫형 부재상에 자유 이동가능하게 보유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따라서, 숫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튜브상에 지시 수단이 존재하면 적정 결합을 나타낸다. 제 3 타입의 시각적 지시 수단의 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5,297,818 호 및 제 5,178,424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3가지 타입의 시각적 결합 지시 수단은 다음과 같은 공통 특징을 공유한다. 즉, 지시 수단의 위치를 변경하거나 분리시키고 숫형 부재를 고정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숫형 부재의 내향 이동 또는 삽입에 관한 신뢰와, 숫형 부재를 고정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지시 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하여 내향 또는 삽입력에 관한 신뢰가 문제가 될 수 있다. 엉뚱하게, 부주의하게 또는 과도한 힘으로 숫형 부재를 삽입하여 지시 수단을 작동시키지 않고 적정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이와 반대로 적정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지시 수단이 작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숫형 부재를 적정 결합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결합 검사 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개별적 이동 또는 힘을 이용하는 시각적 결합 지시 수단에 대한 필요성에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적정 접속이 이루어진 이후에만 작동가능하며 그리고 접속구의 숫형 부재상에 외향 또는 후방 견인력이 적용되는 경우에만 작동가능한 신속 커넥터 접속구용 결합 검사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속 커넥터 접속구는 중공 암형 커넥터 본체, 반경방향 확대 업셋부를 갖는 커넥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숫형 부재, 상기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상기 업셋부와 접촉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연결된 리테이너, 그리고 숫형 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보유되는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커넥터 본체와 연결된 지시 수단을 포함한다.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고정 위치까지 이동 가능하다. 고정 위치에서, 리테이너와 업셋부 사이의 집촉에 의하여 숫형 부재는 커넥터 본체 내부에 보유된다. 지시 수단은 고정 위치 까지의 이동중에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었으며, 고정 위치의 획득시에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숫형 부재는 고정 위치로 부터 제 2 방향으로 검사 위치까지 이동가능하다. 검사 위치에서, 업셋부와 리테이너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숫형 부재는 커넥터 본체 내부에 계속 보유된다. 지시 수단은 적정 접속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정 위치로 부터 검사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이동한다.
유체 도관 시스템내 형성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는 제 1-3 도에 10으로 지시되어 있다. 신속 커넥터 접속구(10)는 일반적인 실린더형 암형 커넥터 본체(20) 및 숫형 부재(200)로 구성된다. 숫형 부재(200)는 유체 도관 시스템 일부를 형성하는 중공 튜브(210)의 단부에 형성된다. 사용시에, 암형 커넥터 본체(20)는 교대로 유연한 튜빙 또는 호스(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되며, 이는 또한 유체 도관 시스템의 일부이다. 암형 커넥터 본체(20) 및 숫형 부재(200)은 유체 도관 내 영구적으로 그러나 절단가능한 연결관을 형성하도록 결합가능하다.
암형 커넥터 본체(20)는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단계적 외부 벽부(22) 및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단계적 내부 벽부(24)로 정의된다. 커넥터 본체(20)는 축(25)을 중심으로 하며,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물질, 예를 들면 나일론-12로 제조된다. 내부 벽부(24)는 보어(26)을 정의한다. 보어(26)는 커넥터 본체(20)를 완전히 통과하여, 더욱 넓은 직경, 숫형 부재 수용체 단부(28)으로부터 더욱 좁은 직경, 호스 결합 단부(30)으로 뻗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은 필수적으로 접속구의 다양한 요소의 상대적 위치 및/또는 이동의 설명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하기의 청구범위를 통해 용어 "내부에의" 또는 "삽입"은 숫형 부재 수용체 단부(28)으로부터 호스 결합 단부(30)을 향하는 축 이동 또는 상대적 위치를 지적한다. 용어 "외부에의" 또는 "도로 끌어오기(pull-back)"는 호스 결합 단부(30)으로부터 숫형 부재 수용체 단부(28)을 향하는 축 이동 보는 상대적 위치를 지적한다. 따라서, 숫형 부재의 "내부에의 이동", 또는 "삽입"은 커넥터 본체의 호스 결합 단부를 향하는 숫형 부재 이동을 지적하나, 리테이너의 "외부로" 위치된 지시수단이 커넥터 본체의 숫형 부재 수용체단부에 리테이너 보다 더욱 근접하게 위치된다.
커넥터 본체(20)의 내부 벽부(24)의 직경의 편차는 보어(26)를 5개의 떨어진 구획으로 나눈다. 숫형 부재 수용체 단부(28)으로부터 내부로 이동할 때, 이들은 지시수단 포켓부(40), 리테이너 챔버(50), 밀봉 챔버(60), 튜브 단부 리셉터클(70), 및 유체 통로(80)이다.
지시수단 포켓부(40)는 숫형 부재 수용체 단부(28)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말단(28)으로부터 방사상 견부(42)로 안으로 뻗어 있는 실린더형 내부 벽부(24)의 넓은 직경 부분에 의해 정의된다. 방사상 견부(42)는 단부(28)에 면한다. 포켓부(40)는 부가로 단부(28)에 직접 인접한 벽부(24)에 형성된 챔버(44), 및 견부(42) 및 단부(28) 사이의 벽부(24)에 형성된 환형 홈(46)을 특징으로 한다.
리테이너 챔버(50)는 지시수단 포켓부(40)의 안으로 형성된다. 상기는 내부 벽부(24)의 감소된 직경 부분에 의해 한정되며, 상기는 방사상 견부(42)로부터 원뿔형 견부(52)에 안으로 뻗어 있다. 원뿔형 견부(52)의 넓은 직경 단부는 리테이너 챔버(50)에 가장 근접하며, 견부(52)의 보다 좁은 직경 단부는 밀봉 챔버(60)에 가장 근접하다.
또한, 리테이너 챔버(50)은 커넥터 본체(20)을 통해 형성된 2개의 배향되고, 축으로 정렬되고, 직사각형인 윈도우(54)를 특징으로 한다. 윈도우(54)는 호스 결합 단부(30)에 면한 외부 벽부(22) 및 내부 벽부(24) 사이에 뻗어있는 한쌍의 방사상 베어링 표면(56) 및 수용체 단부(28)에 면한 한쌍의 방사상 표면(58)을 정의한다. 또한 윈도우(54)는 리테이너 챔버(50)로의 외부 통로를 제공하며, 적합한 도구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여 리테이너 챔버로부터 리테이너를 분리시킨다.
밀봉 챔버(60)는 리테이너 챔버(50)의 안으로 형성된다. 상기는 리테이너 챔버(50)에 대해 벽부(24)의 감소된 직경 부분에 의해 정의되며, 이는 원뿔형 견부(52)의 좁은 직경 단부로부터 방사상 견부(62)로 안으로 뻗어있다.
튜브 단부 리셉터클(70)은 밀붕 챔버(60)에 대해 벽부(24)의 감소된 직경 부분에 의해 정의되며, 이는 방사상 견부(62)의 좁은 직경 단부로부터 방사상 견부(72)로 안으로 뻗어있다.
유체 통로(80)는 내부 벽부(24)의 가장 작은 직경 부분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는 방사상 견부(62)의 좁은 직경 단부로부터 호스 결합 단부(30)로 유도된다. 유체 통로 챔버(80)를 둘러싼 외부 벽부(22) 일부는 유체 도관 내 또 다른 부품에 연결이 용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설명된 커넥터 본체(20)는 특별히 유연한 호스로의 결합을 위해 형성된다. 테이퍼드 노우즈(82)는 단부(30)에 인접하게 형성되어 유연한 호스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고, 바아브(84)는 커넥터 본체상의 호스를 보유하며 지지하도록 형성된다. 대안적인 외부 배치는 다른 시스템 배열에 결합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은 외부 벽부(22)에 형성되어 시스탬 부품을 함유하는 하우징의 관통된 보어 내에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견고한 튜브(210)의 말단에 형성되는 숫형 부재(200)는 커넥터 본체(20)내 수용된다. 상기는 열린 튜브 단부(204)로부터 주어진 거리가 형성되는 방사상으로 확장된 업셋부(202)를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튜브 단부(204)는 둥글게되고 테이퍼링되어 숫형 부재(200)가 커넥터 본체(20)로 보다 쉽게 삽입되도록 한다. 부드러운 실린더형 밀봉면(206)은 업셋부(202) 및 튜브 단부(204)사이에 뻗어 있다. 숫형 부재(200)의 비-업셋부의 외부 직경은 숫형 부재(200)의 단부가 튜브 단부 리셉터클(70)내에 꼭 맞는 정도이다.
스페이서 고리(94)로 분리된 O-고리 밀봉부(90 및 92)이다. 전형적으로, O-고리(90)는 플루오로카본/플루오로실리콘 혼합물로 제조되며, O-고리(92)는 미정제된 플루오로실리콘으로 제조된다. 스페이서 고리(94)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물질로 제조된다. O-고리는 숫형 부재(200)의 밀봉면(206) 주위에 꼭 맞고 밀봉 챔버(60)에 꼭 맞는 크기이어야 한다.
O-고리(90 및 92) 및 스페이서 고리(94)는 스페이서 슬리브(96)에의해 밀봉 챔버(60)내 위치되어 고정된다. 스페이서 슬리브(96)는 내부 벽부(24)의 원뿔형 견부(52)에 대향하여 위치한 원뿔형으로 확장된 단부(98)를 가지며, 슬리브(96)를 보어(26) 내 위치시킨다. 스페이서 고리(94)와 같이, 스페이서 슬리브(96)는 플라스틱과 같은 단단한 물질로 제조된다. 보어(26)내 스페이서 슬리브(96)의 고정을 강화시키기 위해, 상승된 환형 부분은 슬리브(96)의 외부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상응하는 환형 리세스는 내부 벽부(24)에 형성될 수 있다. 상승된 스페이서 부분은 내부 벽부(24)에 형성된 리세스 내 접촉하도록 수용되어 슬리브(96)를 위치로 고정시킨다.
스페이서 슬리브(96)은 몇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는 밀봉 요소를 상대적으로 고정된 위치 내 밀봉 챔버(60)내에 보유시키고, 이들이 보어(26)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 한다. 또한, 슬리이브(96)의 내부 직경이 숫형부재(200)의 외부 직경에 근접하면, 커넥터 본체(20)에 대해 숫형 부재(200)의 방사상 이동이 잠재적으로 약화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최종적으로, 스페이서 슬리이브(96)는 (하기 서술된) 리테이너(100)의 내향 이동을 제한하고, 이는 교대로, 숫형 부재(200)의 내향 이동을 제한한다.
바람직하게 가요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리테이너(100)는 리테이너 챔버(50)내에 배치된다. 그것은 기저부(102)로 부터 외향으로 뻗어있는 두 보유 빔 지지체 구조물(110)로 구성된다.
기저부(102)는 스페이서 슬리이브(96)의 바로 밖에 위치된다. 그것은 숫형 부재 원통형 밀봉면(206)의 외부 직경보다 약간 더 크나, 숫형 부재 업셋부(202)의 직경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가진 중앙 환형 개구를 가진다. 이리하여, 시일링 표면(206)은 기저부(102)를 통해 통과할 수 있으나, 업셋부(202)는 통과할 수 없다. 기저부(102)는 스페이서 슬리이브(96)의 말단(98)에 면해있는 방사상 인접부 표면(104)를 한정한다. 슬리이브 말단(98)에 대해 표면(104)의 인접부는 리테이너(100)의 내향 이동을 제한한다. 숫형 부재 업셋부(202)가 기저부(102)를 통해 통과하지 않기 때문에, 표면(104) 및 슬리이브 말단(98) 사이의 접촉부는 궁극적으로 숫형 부재(200)의 결합기 본체(20)내로의 삽입에 최대 제한을 확립한다.
비교적 짧은 환형 플랜지(106)은 리테이너 기저부(102)의 내부 주변으로부터 내향으로 뻗어있다. 스페이서 슬리이브(96)의 원뿔형으로 확대된 말단(98)에 의해 한정된 리세스는 기저부(102)가 슬리이브(96)에 대해 압축될 때 플랜지(106)를 수용한다. 플랜지(106)는 숫형 부재 밀봉면(206)의 외부 직경에 인접한 내부 직경을가지고, 숫형 부재(200) 주위에 기저부(102)의 방사상 안정성을 제공한다.
보유 빔 지지체 구조물(110)은 리테이너 기저부(102)에 일체로 결합되고, 그로 부터 외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지지체 구조물(110)은 숫형 부재 수용 말단(28)을 향해 기저부(102)로부터 뻗어있는 두 평행 지지체 빔(112)을 포함한다. 지지체 빔(112)은 반-원형 교차 빔(114)에 의해 기저부(102)로부터 먼 그들의 말단에서 결합된다. 기저부(102)가 스페이서 슬리이브(96)와 접촉될때, 교차 빔(114)의 외부 표면(116)은 견부(42)의 외향으로 및 지시 수단 포켓부(40) 약간 내로 뻗어있다.
보유 빔(120)은 지지체 빔(112)에 의해 벌려진 각각의 교차 빔(114)상에 중앙으로 장착된다. 보유 빔(120)은 전환 각에서 교차 빔(114)으로부터 내향으로 뻗어있고, 자유 단부(122)에서 종결된다. 자유 단부(122) 사이의 방사상 간격은 숫형 부재 업셋부(202)의 직경보다 더 적다. 이리하여, 보유 빔(120)은 업셋부(202)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외향으로 가압되어야 한다. 보유 빔(120)은 이 목적을 만족시키기 위해 교차 빔(114)에 그들의 부착점 주위에 가요성이다. 보유 빔 자유 단부(122)와 리테이너 기저부(102) 사이의 축 방향 이격은 업셋부(202)의 축 방향 너비와 적어도 같아야 한다.
각 보유 빔(120)은 두 방사상 고정 표면으로 형성된다. 외향으로 면해 있는 로킹 표면(124)은 인접하고, 교차 빔(114)에 보유 빔(120)의 부착점 위에 형성된다. 사용에서, 고정 표면(124)은 결합기 본체(20)의 방사상 지지면(56)과 접촉하여, 보어(26)로부터 리테이너(100)의 인출을 방지한다. 내향으로 면한 고정표면(126)은 보유 빔(120)의 자유 단부(122)에서 형성된다. 업셋부(202)가 보유 빔(120)의 내향으로 이동한 후에, 로킹 표면(126)은 업셋부(202)와 접촉하여, 보어(26)로 부터 숫형 부재(200)의 인출을 방지한다.
리테이너(100)는 제 1 맨 안쪽과 제 2 맨 바깥쪽 위치사이에서 보어(26)내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제 1 위치에서 (제 1 도에서 보이는) 리테이너 기저부(102)는 스페이서 단부(98)에 접촉하여, 리테이너(100)의 부가의 내향 이동을 방지하고, 고정 표면(124)은 지지면(56)으로부터 이격된다. 제 2 위치에서 (제 3 도에서 보이는), 고정 표면(124)은 지지면(56)에 접촉하여, 리테이너(100)의 부가의 외향 이동을 방지하고, 리테이너 기저부(102)는 스페이서(96)로 부터 이격된다.
"C" 모양 스냅-고리의 형태로의 결합 지시 수단(130)은 지시 수단 포켓부(40)에서 배치된다. 이는 제 4 및 5 도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지시 수단(130)은 플라스틱과 같이 견고하나, 가요성인 물질로 형성된다. 이는 외향 방사상 엣지(134) 및 내향 방사상 엣지(136) 사이의 축방향으로 뻗어있는 환상 "C" 모양 본체(132)를 포함한다. 상승된, 환상 엣지(138)는 본체(132)를 둘러싼다. 제 5 도에서 가장 잘 보이는 바와 같이, 릿지(138)는 분체 엣지(134)와 (136) 사이에 중심적으로 위치된다.
지시 수단(130)은 포켓부(40)의 내부 직경보다 유의하게 더 큰 외부 직경을 가진다. 이리하여, 이는 포켓(40)내로 맞추기위해 약간 압축되어야 한다. 지시 수단(130)의 "C" 모양은 이 압축을 허용한다. 챔퍼(44)는 포켓부(40)내 지시수단(130)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압축의 성취를 용이하게 하고, 실제적으로 그를 돕는다.
지시 수단(130)의 설치는, 그의 환상 릿지(138)가 내부 벽(24)내에 형성된 환상 홈(46)내에 맞물리게 수용될 때, 완결된다. 홈(46) 및 릿지(138)의 협동으로, 지시 수단(130)의 압축된 상태는 포켓부(40)내에 지시 수단(130)의 단단한 맞춤을 초래한다. 이 설치된 상태에서, 지시 수단(130)의 내향 엣지(136)은 방사상 견부(42)의 약간 외향으로 이격되어 있고, 견부(42)의 내부 방사상 주위 너머 보어(26)내로 방사상으로 뻗어있다. 리테이너 교차 빔(114)의 외부 엣지(116)는 지시 수단 엣지(136)와 견부(42) 사이에 이격된 상응하는 거리로 포켓부(40)내로 뻗어있다. 이리하여, 리테이너(100)는 지시수단(130)에 접촉되나, 그 위에 외향 압력을 미치지 않는다.
접속구(10)의 조립은 숫형 부재(200)이 내향으로 이동되고, 로킹된 위치로 삽입되는 고정 단계 및 결합 본체(20)로 부터 지시 수단(130)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숫형 부재(200)는 외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다시-당겨지는 결합 검사 단계를 포함한다.
고정 단계의 개시전에, 리테이너(100)는 그의 제 1 맨 안쪽 위치에 존재한다. 리테이너 기저부 표면(104)은 스페이서 단부(98)에 접촉되고, 리테이너 교차 빔(114)의 외부 엣지(116)은 지시 수단(130)의 내향 엣지(136)에 접촉한다.
지시 수단(130)은, 그의 압축된 내부 직경이 업셋부(202)의 직경보다 더 클때 숫형 부재 삽입부에 저항을 부여하지 않는다.
업셋부(202) 직경 미만으로 위치하는 반경을 갖는 보유 빔(120)의 자유 단부(122)가 업셋부(202)와 접촉할 때, 저항이 발생한다. 빔(120)이 유연하므로, 숫형 부재(200)로 충분한 내부 힘의 제공은 상기의 외부 유연성을 초래하고, 및 업셋부(202)를 빔(12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일단 상기가 발생하면, 보유 빔(120)은 이완하고 업셋부(202) 뒤의 자리로 스냅핑된다. 내부로 면한 잠금 주변(126)은 커넥터 본체(20)로부터 숫형 부재(200)의 연속 축소를 막는다. 숫형 부재(200)는 잠금 위치 내에 있다.
잠금 위치 내에서, O-고리(90 및 92)는 숫형 부재(200)의 밀봉면(206) 및 밀봉 챔버(60)의 내부 벽(24) 사이에 유체 밀봉을 형성한다. 또한, 튜브 단부(204)는 부분적으로 튜브 단부 리셉터클(70)내로 연장한다.
결합 검사 단계는 고정 단계의 완결 후에 개시된다. 상기 검사 단계는 숫형 부재(200)의 외향 이동, 또는 후방 견인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면, 숫형 부재가 러테이너 빔(120)에 접촉할 때까지 업셋부(202)가 외부로 이동된다. 리테이너(100)의 외향 이동에 대한 저항은 지시 수단(130)에의해 제공되는데 상기의 내부 주변(136)은 리테이너 교차 빔(114)에 인접한다. 그러나, 숫형 부재(200)로 충분한 외부 힘의 적용은 리테이너(100)의 외부 이동 및 커넥터 본체(120)로부터 지시 수단(130)의 궁극적인 부착에 영향을 끼치면서 지시 수단(130)의 저항을 극복한다. 그러나, 요구된 후퇴력은 압축되거나, 또는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의 지시 수단(130) 때문에 중요할 수 있다. 실제로, 이것은 숫형 부재(200)를 고정 위치로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내력보다 클 수 있다.
지시 수단(130)은 커넥터 본체(20)로부터의 부착 이전에 제 2도에 예시된다. 환상 릿지(138)는 환상 홈(46) 밖으로 거의 슬라이딩되었고, 모서리 면(44)에 근접한다. 일단 릿지(138)가 홈(46)을 통과하여 모서리 면(44)과 만나면(제 3도), 지시 수단(130)는 즉시 압축되지않은 상태로 연장한다. 저장된 스프링 힘은 지시 수단(130)이 포켓(40)으로부터 되튀게하거나 상기를 "튀어 나오게"하고 적합한 결합을 신호하고 결합 검사 단계를 완성하면서 튜브(210) 상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지시 수단(130)의 밝고 선명한 채색은 상기의 시각적인 검출을 돕기에 바람직할 것이다.
결합 검사 단계의 완성 후에, 리테이너(100) 및 숫형 부재(200)의 부가의 외부로의 이동은 커넥터 본체(20)의 지지면(56)에 반대하는 보유 빔 고정면(124)의 접촉부 및 숫형 부재 업셋부(202)에 반대되는 보유 빔 고정면(126)의 접촉부에의해 방지된다.
상기 서술된 배열은 실질적으로 적합한 결합의 잘못된 지시에대한 전위를 감소시킨다. 잠기지않은 숫형 부재의 후퇴, 즉 상기의 업셋부가 여전히 보유 빔 자유 단부의 외부에 있는 숫형 부재는 지시계의 부착에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다. 업셋부(202)가 보유 빔 자유 단부(122)의 외부에 있으므로, 숫형 부재의 외부 이동(200)은 리테이너(100)에 어떤 외부 힘도 전하지 않고, 역으로 지시 수단(130)에 어떤 외부 힘도 전하지 않는다. 따라서, 숫형 부재(200)는 지시 수단(130)의 부착을 초래하지 않고, 부적절한 결합을 나타내면서 커넥터 본체(20)로부터 철수한다. 또한 숫형 부재(200)의 불규칙적인 또는 격렬한 삽입은 삽입 보다는 후퇴력이요구되므로 지시 수단(130)의 부대적인 부착에 영향을 미칠 것 같지않다.
다른 결합 지시 수단이 제 6도에 예시된다. 접속(300)은 실질적으로 제1-3도의 신속 커넥터 접속구와 동일하다. 상기는 숫형 부재 상에 형성된 업셋부(312) 및 커넥터 본체 내 정의된 방사상 지지면(322) 사이에 연장하는 보유 빔을 갖는 리테이너(330)에 의해 암형 커넥터 본체(320) 내 보유된 숫형 부재(310)를 포함한다. 차이는 지시수단 포켓(340) 및 지시수단(350)의 형성에 있다.
지시수단 포켓(340)은 지시계 포켓(40) 내 형성된 환형 홈(46)에 반대하여 환형 릿지(342)를 정의한다. 지시 수단(350)은 여전히 C-형 고리 형태로서, 상보적인 환형 홈(352)을 정의한다. 지시 수단(352)은 홈(352)에 알맞는 릿지(342)를 갖는 포켓(340) 내에 둔다. 첫번째 실시양태의 접속에서와같이, 숫형 부재(310)의 외부 이동은 리테이너(330)의 외부 이동을 초래하고, 상기는 지시 수단(340)을 포켓(340) 밖으로 밀어내어 적합한 결합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성이 제시되고 서술된 실시양태를 참고로 설명되어져왔다. 그러나,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않고 수정을 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한다.
예를들면, 지시 수단(130)은 고리-형 부재로서 서술되었다. 상기 형상은 부착 후에 지시 수단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나, 숫형 튜브 상에 보유된다. 그러나, 특정 적용 및 특수한 필요에 따라, 지시 수단(130)은 커넥터 본체(20)에 적합한 수정을 갖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영역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숫형 부재 상 보유가 바람직하지 않다면 상기는 고리형일 필요가 없다. 부가로, 커넥터본체로부터의 부착은 필요하지 않거나 전혀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지시 수단 부재의 위치의 변화를 초래시키지만 부착을 완성하지는 않는 후퇴 운동은 몇몇 적용에서 충분하고, 및 심지어는 바람직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검사 이전 상태의 신속 커넥터 접속구의 부분 단면도.
제 2 도는 결합 검사 진행 상태의 제 1 도의 접속구의 부분 단면도.
제 3 도는 결합 검사 완료 상태의 제 1 도의 접속구의 부분 단면도.
제 4 도는 제 1 도 내지 제 3 도의 결합 지시 수단의 확대 전단면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결합 지시 수단의 확대 평면도.
제 6 도는 결합 검사 수단의 변형예에 따른 신속 커넥터 접속구의 부분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유체 도관 시스템 20 : 암형 커넥터 본체
26 : 보어 40 : 포켓부
42 : 반경 반향 견부 52 : 원추형 견부
96 : 스패이서 슬리브 100 : 리테이너
200 : 숫형 부재 202 : 업셋부

Claims (13)

  1. 중공 암형 커넥터 본체 ; 반경방향 확대 업셋부를 가지고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에 수납되는 숫형 부재 ; 상기 커넥터 본체와 연결되며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상기 업셋부와 접촉가능한 리테이너 ; 및 상기 커넥터 본체와 연결되며 숫형 부재가 커넥터 본체에 보유되는 여부를 나타내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한 지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숫형 부재는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제 1 방향으로 고정 위치까지 이동가능하고, 상기 고정 위치에서 리테이너와 업셋부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숫형 부재는 커넥터 본체 내부에 보유되며, 상기 지시 수단은 고정 위치까지의 이동중에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며, 고정 위치의 획득시에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숫형 부재는 고정 위치로 부터 제 2 방향으로 검사 위치까지 이동가능하고, 상기 검사 위치에서 업셋부와 리테이너 사이의 접촉에 의하여 숫형 부재는 커넥터 본체 내부에 계속 보유되며, 상기 지시 수단은 적정 접속을 나타내기 위하여 고정 위치로 부터 검사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커넥터 본체에 대하여 이동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지시 수단과 접촉가능하며, 상기 숫형 부재가 제 2 방향으로 검사 위치까지 이동하면 리테이너는 제 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지시 수단이 제 2 방향으로 이동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수단은 숫형 부재가 검사 위치까지 이동하기 전에 커넥터 본체 내부에 고정되며 그리고 숫형 부재가 검사 위치로 이동할 시에 커넥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링형 부재인 신속 커넥터 접속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수단은 커넥터 본체로부터의 분리후에 숫형 부재상에 보유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본체는 반경방향 내부면을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업셋부와 반경방향면 사이를 연장하는 보유 빔을 구비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형 지시 수단을 수납하기 위하여 커넥터 본체의 단부에 환형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링형 지시 수단은 포켓부의 내경 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그리고 포켓부 내부에 억지 끼워 맞춤되도록 압축 가능한 신속 커넥터 접속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포켓부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며, 상기 지시 수단 내부에는 릿지가 형성되고, 상기 릿지는 지시 수단을 포켓부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상기 홈내에 수납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포켓부 내부에는 릿지가 형성되며, 상기 지시 수단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지시 수단을 포켓부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릿지를 수납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9. 중공 암형 커넥터 본체 ;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에 수납되며 반경반향 확대 업셋부를 갖는 숫형 부재 ; 및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업셋부가 예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리테이너가 업셋부와 접촉하도록 상기 수형 부재는 제 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업셋부가 예정된 위치에 도달한 후에 적정 결합을 시각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제 1 방향과 반대방향의 제 2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신속 커넥터 접속구.
  10. 반경 방향 내부 지지면을 형성하는 중공 암형 커넥터 본체 ;
    반경방향 확대 업셋부를 가지며, 제 1 위치로 커넥터 본체까지 삽입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제 1 위치로 부터 커넥터 본체 내부의 제 2 위치까지 철수가능한 숫형 부재 ;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리테이너와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 내부에 고정하기 위하여 업셋부와 지지면 사이를 연장하는 보유 빔을 갖는 리테이너 ; 및
    상기 커넥터 본체의 한 단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숫형 부재가 제 1 위치로 부터 제 2 위치까지 철수하면 지시 수단이 커텍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11. 중공 암형 커넥터 본체 ;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에 수납되며 반경반향 확대 업셋부를 갖는 숫형 부재 ; 및 상기 커넥터 본체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업셋부가 예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숫형 부재를 커넥터 본체 내부에 보유하기 위하여 상기 업셋부와 접촉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업셋부가 예정된 위치에 도달한 후에 리테이너와의 접촉에 반응하여 지시 수단을 상기 커넥터로부터 탈착시키기 위해 상기 숫형 부재와 함께 이동가능하게 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 수단은 커넥터 본체의 단부내로 스프링 하중되는 링형 부재인 신속 커넥터 접속구.
  13. 제 1 지지면을 형성하는 커넥터 본체 ; 제 2 지지면을 형성하는 숫형 부재 ; 상기 숫형 부재를 상기 커넥터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지지면과 상기 제 2 지지면사이에서 연장하는 리테이너 ; 및 상기 커넥터 본체로부터 상기 부재의 철수를 시도함으로서 상기 커텍터 본체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만들어진 지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지시 수단은 상기 리테이너와 접촉가능하게 되어, 상기 수형 부재가 철수하면 상기 리테이너가 이동하게 되고, 상기 리테이너가 이동하면 상기 지시 수단이 이동하게 되는 신속 커넥터 접속구.
KR1019950031927A 1994-09-26 1995-09-26 신속커넥터접속구용결합검사수단 KR100378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12,457 US5499848A (en) 1994-09-26 1994-09-26 Connection 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coupling
US08/312457 1994-09-26
US08/312,457 1994-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238A KR960011238A (ko) 1996-04-20
KR100378297B1 true KR100378297B1 (ko) 2003-08-19

Family

ID=2321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927A KR100378297B1 (ko) 1994-09-26 1995-09-26 신속커넥터접속구용결합검사수단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499848A (ko)
EP (1) EP0703398B1 (ko)
JP (1) JP3648644B2 (ko)
KR (1) KR100378297B1 (ko)
CN (1) CN1049960C (ko)
AT (1) ATE177179T1 (ko)
AU (1) AU700109B2 (ko)
BR (1) BR9504168A (ko)
CA (1) CA2158875C (ko)
DE (1) DE69508021T2 (ko)
ES (1) ES212976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85358A (en) * 1994-09-26 1998-07-28 Bundy Corporation Connection 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coupling
US5779278A (en) * 1995-12-27 1998-07-14 Itt Automotive, Inc. Pop off insertion indicator for metal quick connectors
US6349977B1 (en) * 1996-07-01 2002-02-26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Quick connect retainer having tolerance for wide band of male tube dimensions
US5897145A (en) * 1996-12-05 1999-04-27 Tokai Rubber Industries, Ltd. Connector
EP0975912B1 (en) * 1997-04-22 2002-05-08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Inc. Metal quick connector with "pop off" insertion indicator
GB9724521D0 (en) * 1997-11-20 1998-01-21 Munster Simms Engineering Limi Pipe connections
JP3674390B2 (ja) * 1998-07-09 2005-07-20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クィックコネクターカップリング及び雌ハウジング
US6340180B1 (en) 1999-01-19 2002-01-22 David M. Wisniewski Releasable coupling assembly for securing a vehicle fuel line
GB0027357D0 (en) 2000-11-09 2000-12-27 Bradford Particle Design Plc Particle formation methods and their products
US9339459B2 (en) 2003-04-24 2016-05-17 Nektar Therapeutics Particulate materials
US20060108705A1 (en) * 2004-11-23 2006-05-25 Rowley William W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component fittings on extrudates
FR2881811B1 (fr) * 2005-02-10 2007-04-20 Legris Sa Dispositif de raccordement instantane avec moyen de verrouillage et/ou de deconnexion
DE202008009931U1 (de) * 2008-07-23 2009-12-10 Voss Automotive Gmbh Verbinder für Fluid-Leitungen
CA2767773C (en) 2011-02-11 2015-11-24 Grain Processing Corporation Composition comprising a salt and a crystallization interrupter
US8297659B2 (en) 2011-02-22 2012-10-30 Miniature Precision Component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US8941731B2 (en) * 2011-11-22 2015-01-27 Hitachi Automotive Systems Americas, Inc. System and method to verify complete connection of two connectors
EP3399220B1 (de) * 2013-01-15 2019-05-15 TI Automotive (Fuldabrück) GmbH Schnellkupplung
CN103725987A (zh) * 2013-11-28 2014-04-16 旅顺华通耐腐蚀泵配件厂 一种硫胺母液中高耐腐蚀和磨蚀的合金钢
CN105382006B (zh) * 2015-12-05 2017-06-23 杭州迈尔科技有限公司 内镜清洗机连接检测装置
FR3046452B1 (fr) * 2015-12-31 2018-02-16 Technip France Embout de connexion d'une ligne flexible, dispositif de mesure et procede associe
DE102018219932A1 (de) 2018-11-21 2020-05-28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Kopplung
DE102018220521A1 (de) 2018-11-28 2020-05-28 Fränkische Industrial Pipes GmbH & Co. KG Fluidverbindung
DE102019111865A1 (de) 2019-05-07 2020-11-12 Illinois Tool Works Inc. Kopplungs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61768A (en) * 1949-10-29 1953-12-08 Standard Oil Dev Co Indicating orifice plate for threaded orifice union
US4046387A (en) * 1976-09-16 1977-09-06 Lee Dalton I Device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f a gasket
US4979765A (en) * 1980-10-29 1990-12-25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SE443434B (sv) * 1983-03-31 1986-02-24 Ericsson Telefon Ab L M Klemma for ror, slang eller dylikt
US4753458A (en) * 1986-08-28 1988-06-28 Harvard Industries, Inc. Quick connector assembly
US4793637A (en) * 1987-09-14 1988-12-27 Aeroquip Corporation Tube connector with indicator and release
US4948176A (en) * 1987-09-14 1990-08-14 Proprietary Technology, Inc.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JPH01148191A (ja) * 1987-12-04 1989-06-09 Nisshin Oil Mills Ltd:The カカオ代用脂の製法
JP2691550B2 (ja) * 1988-03-01 1997-12-17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細径配管接続用コネクター
JPH0538317Y2 (ko) * 1988-03-03 1993-09-28
JP2588417B2 (ja) * 1988-03-05 1997-03-05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配管接続用コネクタ
JPH0538318Y2 (ko) * 1988-03-08 1993-09-28
GB2217417A (en) * 1988-04-13 1989-10-25 Ford Motor Co A snap-locking releasable pipe connector
US4875715A (en) * 1988-04-22 1989-10-24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connector
US4925217A (en) * 1988-10-24 1990-05-15 Huron Products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visual checking method
US4915240A (en) 1989-02-16 1990-04-10 Konstant Products, Inc. Multiple pallet rack
GB2242281A (en) * 1990-03-21 1991-09-25 Ford Motor Co Security test device
FR2665507B1 (fr) * 1990-07-31 1992-11-27 Hutchinson Sa Dispositif pour l'assemblage rapide d'une durite a un echangeur de chaleur d'un vehicule automobile.
US5069424A (en) * 1990-10-17 1991-12-03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US5152555A (en) * 1991-03-26 1992-10-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clip
US5226679A (en) * 1991-05-16 1993-07-13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US5178424A (en) * 1991-07-01 1993-01-12 Itt Corporation Pop-off quick connect indicator
DE4139124C1 (ko) * 1991-11-28 1993-04-01 Rasmussen Gmbh, 6457 Maintal, De
US5228728A (en) * 1991-12-17 1993-07-20 Huron Products Industries, Inc. Tube retainer release sleeve
US5542712A (en) * 1991-12-18 1996-08-06 Itt Corporation Quick connector housing with elongated barb design
US5297818A (en) * 1991-12-18 1994-03-29 Itt Corporation Retainer for pop-top indicator
DE4205661C1 (ko) * 1992-02-25 1993-06-09 Rasmussen Gmbh, 6457 Maintal, De
US5518276A (en) * 1994-09-16 1996-05-21 Bundy Corporation Quick connector with pull back verif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58875C (en) 1999-05-25
JP3648644B2 (ja) 2005-05-18
US5499848A (en) 1996-03-19
ATE177179T1 (de) 1999-03-15
EP0703398A1 (en) 1996-03-27
JPH08178143A (ja) 1996-07-12
EP0703398B1 (en) 1999-03-03
AU3174095A (en) 1996-04-04
MX9504088A (es) 1998-05-31
CN1129298A (zh) 1996-08-21
ES2129761T3 (es) 1999-06-16
DE69508021D1 (de) 1999-04-08
AU700109B2 (en) 1998-12-24
BR9504168A (pt) 1996-10-22
DE69508021T2 (de) 1999-08-05
CN1049960C (zh) 2000-03-01
CA2158875A1 (en) 1996-03-27
KR960011238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8297B1 (ko) 신속커넥터접속구용결합검사수단
US5441313A (en) Insertion indicator for quick connector
US5226679A (en) Quick connect insertion indicator
US4948176A (en) Swivelable quick connector assembly
KR100349810B1 (ko) 후방견인검사법을갖는신속커넥터
EP1154190B1 (en) Apparatus relating to tube couplings
US7494156B2 (en) Quick connector
US4067534A (en) Pipe coupler assembly
EP0317249B1 (en) Swivelable connector for tubular conduits
JP2714337B2 (ja) 迅速コネクタ継合表示具と迅速コネクタ組体
EP0901592B1 (en) Connection verifier for a quick connector coupling
US6183020B1 (en) Coupling device
EP1099895B1 (en) Connector
US5232252A (en) Adaptive connector assembly
US6428055B1 (en) Releasable quick coupling for metal pipes
JPH0320637B2 (ko)
US5485982A (en) Quick connector with tube activated check valve
JPH03288093A (ja) コネクタ
US4487437A (en) Threadless connector
US20230349495A1 (en) Device for connecting a tubular element
US5779278A (en) Pop off insertion indicator for metal quick connectors
GB2268238A (en) A snap fit tube connector
RU2413120C2 (ru) Уплотнение дл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WO1997012170A1 (en) Quick connector with confirmation feature
JP4125719B2 (ja) 安全性を増したクイックコネク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