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831B1 - 전방차량및후방차량사이의각도설정을수정하기위한관절연결구조의조인트 - Google Patents

전방차량및후방차량사이의각도설정을수정하기위한관절연결구조의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831B1
KR100377831B1 KR1019960707100A KR19960707100A KR100377831B1 KR 100377831 B1 KR100377831 B1 KR 100377831B1 KR 1019960707100 A KR1019960707100 A KR 1019960707100A KR 19960707100 A KR19960707100 A KR 19960707100A KR 100377831 B1 KR100377831 B1 KR 10037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vehicle
angle setting
front vehicle
rea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7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867A (ko
Inventor
쟝-뤼끄 앙드레
Original Assignee
로르 앵뒤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르 앵뒤스트리 filed Critical 로르 앵뒤스트리
Publication of KR970703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01Traction couplings or hitch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07Multi-hitch devices, i.e. comprising several hitches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type; Hitch-adaptors, i.e. for converting hitches from one type to another
    • B60D1/075Hitch-adap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sway control, e.g. stabilising or anti-fishtail devices; Sway 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3/00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trailers
    • B62D13/02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trailers for centrally-pivoted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3/00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trailers
    • B62D13/02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trailers for centrally-pivoted axles
    • B62D13/025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trailers for centrally-pivoted axles the pivoted movement being initiated by the coupling means between tractor and trai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1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 B62D7/142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e.g. tractors, carts, earth-moving vehicles, trucks
    • B62D7/144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more than on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e.g. all-wheel steer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e.g. tractors, carts, earth-moving vehicles, trucks for vehicles with more than two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andcart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Manipulator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중간동력 유닛(C)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차량 유닛 A와 B사이에서 각 편차를 제어하기 위한 커플링. 유닛 A와 B각각은 각 α와 각β로 중간 독립 유닛을 향하고, 중간유닛(C)은 두 개의 회전 접합부 D와 E에 의하여 유닛 A,B와 관절식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전이 지대에 의해 각각의 단부에서 끝나는 약간 경사진 면을 가지는 중심지대를 포함하면서, 각 α의 함수로서 각 β의 각 교정 법칙에 기초한 요우잉 각 편차제어를 위한 캠 작동기(I)에 의해 제어되는 변환기(H)에 의해 연장된 사선 커플링(F)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관절식으로 이어진 차량 제조업자를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곡선경로위에서 이상적으로 주행하기 위하여, 액슬들이 영구적으로 회전중심을 향하도록, 여러 개의 차량들이 직렬로 구성되고 관절연결된 도로차량들은 각도 이탈작용을 가진 중간차량의 관절연결부를 요구한다.
싱기 목적을 위해 반경방향의 액슬을을 가진 차량들이 이용된다.
상기 작용에 의하면 곡선경로들에서 동역학적으로 도로견인력이 최소화되기 때문에, 상기 작용이 도심운반차량들에서 이용된다.
그러나 관절연결된 일련의 차량들이 곡선경로를 주행완료할 때 상당히 비틀려지고 횡방향변위가 현저해지기 때문에, 상기 차량들사이에 배열된 중간차량들에 대해 상기 작용은 부적합하다.
피봇연결식 조인트에 의해 모든 차량이 근접한 위치의 모든 차량들과 연결되고 액슬지지기능의 중간차량에 의해 근접한 차량과 이격되는 관절연결구조의 도로차량들에도 상기 작용은 부적합하며, 비스듬한 배열의 강성조인트로 구성된 보조적인 운동구속체가 상기 피봇연결식 조인트에 구성되고, 상기 강성조인트에 의해 연속적인 두 개의 차량들이 모든 차량의 단부들에서 볼조인트(ball-joint)연결부와 직접 연결된다.
비스듬한 배열의 강성조인트가 제공되더라도, 관절연결구조의 도로차량들의 성능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며, 따라 본 발명이 제공된다.
첫째, 상기 도로차량의 유니트들이 특정속도이상에서 직선으로 운동할 떼, 상기 유니트들은 승객안전을 위협하는 정도로 진동한다.
둘째, 관절연결된 중간차량의 조인트들의 운동학적 성능에 의하면, 차량이 곡선경로를 주행완료할 때, 이탈작용이 발생하고 특히 특정조건에서 안전한계를 초과할 수 있는 외측스위핑작용이 곡선경로에서 발생한다. 상기 첫 번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봇운동의 관절연결부들중 한 개, 예를 들어, 전방차량의 관절연결부의 피봇연결을 방해하여 트럭 및 트레일러에 대한 구성을 변화시긴다. 경험에 의하면, 최대허용속도한계까지 트럭 및 트레일러의 연결은 안정하다.
관절연걸부를 구속하는 기계적 작용은 큰 폭의 곡선경로에서 차량의 견인력에 역효과를 준다.
그러나 상기 설명과 같이, 최근에 도심운송조건은 곡선경로들에서 최소의 차량견인력을 가진다.
상기 기술만을 이용하고 즉 곡선경로들에서 관절연결된 도심운반 승용차량들에 구성된 한 개의 관절연결부를 구속하면, 관절연결구조의 상기 요건에 의해, 전체경로에 걸쳐 요구되는 견인력이 최소값이 제공되지 못하므로, 불충분한다.
본 발명은 관절연결구조의 도로차량들 중 한 개로 구성되고 자체지지기능을 가진 중간차량에 의해 근접하게 위치한 두 개의 운반차량들이 서로 피봇연결되며, 상기 운반차량들사이의 각도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조인트에 관련된다.
도 1은 연속적인 두 개의 차량들을 연결하고 관절연결된 조인트를 도시한 개략블록선도.
도 2는 캠작동식 변형예 및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평면도.
도 3은 각도(α) 및 각도(β)를 도시한 도면.
도 4, 도 5 및 도 6은 슬롯(slot) 또는 핀을 가지고 캠의 실제형상과 일치하는 관절연결식 조인트의 평면도.
도 7, 도8 및 도 9는 직선으로 배열된 세 개의 차량들을 도시한 평면도 및 관절연결된 중간차량의 조인트를 도시한 상세도.
도 10내지 도 14는 캠기구의 기능 및 각도(α,β)들의 변화를 도시한 일련과정들의 개략도.
도 15는 각도(α,β)들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을 도시한 도면.
*부호설명*
1 ... 구성요소 2,3 ... 안내휠
5,13 ... 캠 8,10 ... 로드
15,16 ... 캠구성부 19,20 ... 상향경사부
21,22 ... 원형부 25,26 ... 오목부분
38 ... 중앙영역 39,40 ... 전이영역
G ... 수정장치 H ... 전환장치
I ... 액츄에이터
본 발명의 목적은 공공도심교통체계의 규정 및 요건에 적합하고 이상적으로 작동하는 차량에서, 상기 두 가지 문제점들 즉 특정속도이상에서 직선으로 운동할 때 발생하는 불안정상태 및 곡선경로를 주행완료할 때 발생하는 횡방향 이탈작용을 동시에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절연결된 도로차량에 연속적으로 구성된 두 개의 차량들사이에 서 관절연결된 조인트를 개선하는 것이고, 상기 차량들은 구동되거나 견인되고 자체지지기능을 가진 중간차량과 서로 연결된다.
연속적으로 구성된 전방차량 및 연속되는 차량이 피봇운동하는 조인트에 의해 연결된 중간차량에 의해 분리되며, 상기 차량들사이에서 관절연결된 형태의 조인트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직전방향의 양쪽측부 및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중앙영역에서 각도설정을 제어하고 따라서 전방차량의 회전운동을 후방차량의 회전운동과 별도로 제어하는 조인트에 의해, 중간차량 및 피봇회전운동의 관절연결부에 걸쳐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가 완성된다.
본 발명은 중간차량구조의 관절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복수개의 차량들이 구성된 도로차량들에서 유용하다. 기본적으로 전방차량(A) 및 후방차량(B)사이에 위치한 중간차량구조의 관절연결부가 자체지지기능을 가진 중간차량(C)으로 구성되고, 수직축주위에서 피봇운동하는 관절연결부(D,E)들에 의해 상기 중간차량(C)이 상기 전방차량(A) 및 후방차량(B)에 관절연결된다.
중간차량구조의 관절연결부에 관련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예에 의하면, 단부들에서 전방차량(A)후방차량(B)에 연결되고 비스듬한 배열을 가지며 관절연결되는 견고한 조인트가 상기 관절연결부(D,E)에 추가로 제공되며, 상기 관절연결부는 도로차량의 일부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차량(C)에 의해 서로 관절연결된 전방차량(A) 및 후방차량(B)사이의 각도설정이 상기 조인트에 의해 제어되고, (도 3을 참고할 때,)중간차량(C) 및 연속적으로 배열된 후방차량(B)사이의 각도의 함수로서 적합한 각도 이탈작용에 따라 전방차량(A) 및 중간차량(C)사이의 각도(β)를 형성하고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하여 전방차량(A) 및 후방차량(B)사이에 조인트가 구성된다. 도 15를 참고할 때, 미리 정해진 값이하에서 각도(α)에 대해 경미한 기울기를 가지거나 기울기가 영인 중앙영역(38)에 의해 상기 각도이탈작용이 제공되고, 차량들에서 비틀림현상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중앙영역이 각도(α) 및 각도(β)사이의 함수를 따른다.
회전각이 작을 때, 관절연결상태의 관절연결부가 아직까기 직선형태의 트럭 및 트레일러 관절연결부를 형성하고 즉, 각도한계까지 전방차량 및 중간차량사이의 중실연결부가 전방의 관절연결부(D)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관절연결부(D)는 구속되며, 상기 각도한계에서 각도(β)는 회전각의 증가함수가 된다.
일단 각도변화에 관하여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상기 중앙영역을 벗어나면, 상기 구성은 두 가지 모드 즉 트럭 및 트레일러 모드 및 이탈모드로서 작동한다.
구성상 관절연결부(D,E)들사이에 구속거리(d)의 직선부분이 제공된다.
상기 설명과 같이, 관절연결된 차량들에서 관절연결되는 중간차량의 조인트 가 가지는 비틀림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곡선경로들을 탈출할 때 적합한 각도수정작용이 상기 형태의 조인트에서 필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정기능을 가진 연쇄구조가 수정장치(G) 및 전방차량(A)사이에서 비스듬하게 배열된 강성의 조인트(F)를 가지고, 중간차량(C)에 대하여 후방차량(B)의 회전운동에 관한 함수로서 중간차량(C)에 대하여 전방차량(A)의 회전운동이 상기 수정장치(G)에 의해 수정된다.
상기 수정장치(G)는 완전히 기계장치이고 기계적으로 제어되며, 센서를 가진 컴퓨터칩 또는 다른 제어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중간차량의 조인트가 단지 공지기술의 구성요소들로 구성되며, 상기 수정장치(G)에 의해 곡선경로들 특히 곡선경로들을 주행완료할 때, 차량들의 회전운동이 수정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징이 도 1의 개략도에 도시된다.
일반적으로, 곡선경로 및 상기 곡선경로를 주행완료할 때, 구체적으로 중간차량(C)에 대한 후방차량(B)의 방향위치 또는 각도(α)의 함수로서, 중간차량(C)에 대한 전방차량(A)의 각도(β)가 상기 수정장치(G)와 같은 각도수정장치에 의해 조정된다. 전방차량(A) 및 수정장치(G)사이에서 비스듬하게 배열된 조인트(F) 또는 각도센서 또는 각도(α)의 수치를 제공하기 위한 다른 수단에 의해 방향제어가 수행된다.
전방차량(A)으로부터 수정장치(G)까지 연결하고 비스듬하게 배열된 조인트(F)에 의해 상기 각도(α)가 제공되고,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차량들에 대해 단부들에서 관절연결되는 막대에 의해 상기 조인트가 구성된다.
상기 수정장치(G)가 두 개의 구성조립체들 즉 전환장치(H) 및 서로 함께 작동하는 액츄에이터(I)로 구성된다.
전방의 차량(A)에 대해 각도회전명령을 기계적으로 전달하는 조인트(F)에 의해 상기 전환장치(H)가 상기 전방차량(A)에 관절연결된다. 상기 조인트는 이동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I)와 함께 작동한다.
상기 액츄에이터(I)는 연속구성된 후방차량(B)과 일체구성된다. 각도수정작용이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형성된다. 관절연결되고 각도수정기능을 가진 조인트내에서 상기 액츄에이터의 역할은 각도(β)를 수정하여 각도균형을 제어하는 것이고, 그 결과 경미한 좌회전 및 우회전각도들에 대해 상대적으로 덜 민감한 중앙영역(38)에서 적합한 각도조정작용에 의하여, 곡선경로를 주행완료할 때, 이탈하려는 경향을 더욱 양호하게 제거하는 것이다.
회전각의 크기에 따라, 관절연견될 중간차량의 조인트는 두 가지 모드들로 작동한다. 즉,
연속적으로 구성된 후방차량(B) 및 중간차량(C)사이의 각도(α)에 대해 크기가 작은 이탈각도에 대해 트럭 및 트레일러모드가 제공되고, 상기 트럭 및 트레일러 모드에서, 상기 후방차량(B) 및 중간차량(C)사이의 상기 각도(α)가 작을 때, 각도(β)에 따라 전방차량(A)에 대한 중간차량(C)의 피봇운동이 거의 제거된다.
연속적으로 구성된 후방차량(B) 및 중간차량(C)사이의 각도가 상대적으로 큰 이탈각도에 대해 제어모드가 제공되고, 상기 제어모드에서, 전방차량(A)에 대해 상기 중간차량(C)의 피봇운동은 각도(α)의 함수로서 제어된다.
도 15를 참고할 때, 중앙영역(38)의 단부들에 형성된 전이영역(39,40)에서 상기 트럭 및 트레일러 모드 및 제어모드사이의 변환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이 여러 가지 기계적 변형예들에 관한 설명을 참고하여 제공된다.
우선 도 2, 도 4 및 도 5를 참고한다.
수정기능을 가진 연쇄구조가 관절연결되고 비스듬하게 배열된 조인트(F)를 가지고, 상기 조인트(F)는 회전제어작용을 전달하고 제 1 연결단부(J) 및 연결단부(K)사이에서 관절연결되며, 상기 제 1 연결단부(J)는 전방 차량(A)의 몸체와 일체 구성되고, 수직방향의 회전축(L)위에서 피봇운동하고 상기 중간차량(C)에 의해 지지되는 전환장치(H)와 상기 연결단부(K)가 일체구성되며, 균형상태를 위하여 상기 회진축(L)은 관절연결부(D,E)들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한다.
비스듬하게 배열된 조인트(F)와 연결되고 관절연결된 유니트애 의해 상기 전환장치(H)가 구성되고, 안내트랙을 추종하는 한 개이상의 운동요소에 의해 상기 전환장치가 액츄에이터(I)와 접촉한다.
(도 4를 참고할 때,)회전축(L)위에서 피봇회전운동하고 기저부에서 예를 들어 안내휠(2,3)들과 같은 구름운동요소들을 가진 삼각형구조의 구성요소(1)가 제 공되고, 상기 구름운동요소가 변부(4) 및 액츄에이터(I)를 따라 이동하여, 제어수단(6)을 구성하는 캠(5)위의 접촉점(M,N)들에서 상기 안내휠(2,3)들이 상기 액츄에이터와 접촉하고, 상기 제어수단(6)이 후방차량(B)의 몸체와 일체구성되며, 상기 캠이 상기 구름운동요소들위에 작용한다.
(도 5를 참고할 때,)전환장치(H)는 또한 관절연결상태로 관절연결유니트(7)를 가지고, 상기 유니트는 상기 회전축(L)주위에서 피봇회전운동하는 로드(8)를 가지며, 상기 로드(8)의 한쪽 단부가 비스듬하게 배열된 조인트(F)의 연결단부(K)와 관절연결되고, 상기 로드(8)의 다른 한쪽 단부가 안내휠(9)과 같은 구름운동요소를 가진다. 상기 회전축(L)과 피봇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고 보조적인 로드(10)가 안내휠(11)과 같은 또 다른 구름운동요소 및 회전축(L)사이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접촉점(M,N)들에서 제어수단(6)의 캠(5)과 상기 안내휠(9,11)들이 접촉한다.
도 2를 참고할 때, 상기 연결구성이 과도하게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로드(8, 10)들이 상기 안내휠(9,11)들과 계속적으로 접촉하면 스프링(1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도 2, 도 4, 도 5 및 도 6을 참고할 때,)도시된 변형예에서 액츄에이터(I)가 상기 후방차량(B)과 일체로 구성된 캠(13) 또는 안내장치(14)로서 구성된다.
여러 개의 중간차량들이 구성되면, 관절연결된 도로차량위에서 캠(5)의 구성위치에 따라 캠의 형상이 변화할 수 있다.
두 개의 안내휠들이 구성될 때 회전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캠(5)은 대칭형상을 가진 두 개의 캠구성부(15, 16)들로 형성된다. 캠중심부(17)가 중앙의 오목부(18)를 가지고, V자형상을 가지며 확대되는 구조를 가진다. 모든캠구성부(15, 16)는 캠(13)의 각 단부를 향해 상향경사부(19, 20)들을 가지고, 원형부(21,22)들을 가지며, 상기 원형부 다음에 후방영역(23, 24)들이 구성되고,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의 경사부(27, 28) 또는 상기 오목부(18)와 동일한 방향으로 구부러져 구성된 오목부분(25, 26)들이 구성된다.
좌측 및 우측에 구성된 원형부(21, 22)들이 원호형상부(29, 30)들을 가진다. 상기 원호형상부(29, 30)들은 동일하고 관절연결부(E)에서 중심을 가진다. 상기 원형부(21,22)들이 화살표로 도시된다.
캠의 프로파일이 특정작용에 따라 변화한다.
관절연결된 차량들내에서 중간차량의 여러 가지 조인트에 따라 캠의 프로파일이 변화하지만, 동일한 외형을 유지한다. 실제로 차량들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인 한 이탈작용을 회피하기 위하여, 도 7, 도8 및 도 9에 도시된, 캠프로파일의 수정 예들을 참고하면, 각도들사이의 변화 및 결과적으로 캠 또는 기계적 등가장치들의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도 6의 변형예에 있어서, 캠기구와 기능적으로 등가한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변형예에 따르면, 전환장치(H)는 수직의 회전축(L)위에서 피봇회전운동하는 판(31)이고, 상기 회전축(L)은 액츄에이터(I)의 영향을 받으며 선분(D-E)과 교차점(32)에서 교차한다.
예를 들어, 돌출핀(33), 액슬팁 또는 안내부를 추종하기 위한 다른 등가수단과 같이 상기 판(31)과 수직인 횡방향의 요소가 판(31)의 단부에 구성된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슬롯(34)형태의 슬라이더와 같은 안내수단으로서 액츄에이터(I)거 작동하고, 상기 슬롯(34)을 따라 돌출핀(33)이 운동한다. 상기 후방차량(B)과 일체구성되는 수평판내에 상기 슬롯(34)이 구성된다. 캠구성부(15)와 같이, 상기 슬롯(34)의 윤곽은 대칭구조를 이루는 캠구성부(15,16)들 중 한 개의 윤곽과 일치 한다.
중심의 원형부(36)에 구성된 경사부(35)들 중 한 개가 상기 슬롯에 구성되고, 원호형상부(37)의 원형부(36)는 캠의 중심과 동일한 중심을 가진다.
도 3을 참고할 때, 중간차량에 형성되고 피봇회전운동하는 관절연결부(D,E)들의 연결선 및 전방차량(A)의 축사이에 각도(β)가 형성된디. 중간차량에 형성되고 피봇회전운동하는 관절연결부(D,E)들의 연결선 및 후방차량(B)의 축사이에 각도(α)가 형성된다.
각도(β)는 전방차량(A) 및 중간차량(C)사이의 기울기에 해당하고, 각도(α)는 중간차량(C) 및 후방차량(B)사이의 기울기에 해당한다. 도 3에 상기 각도(α,β)들이 도시된다.
(도 15를 참고할 때)α1 및 α2가 동일한 절대값을 가지고,
α1 <α <α2 이면 β=0 또는 상당히 작은 값이고,
α≥α2 또는 α ≤α1이면 β = β(α)이 되도록 각도(β)가 함수를 형성한다.
그 결과 수치가 작거나 영이고 상기 α1 및 α2 사이에서 경미한 경사를 가진 중앙영역(38) 및 α1 및 α2에서 전이영역(39,40)들이 형성된다,
비스듬하게 배열된 조인트(F), 전환장치(H) 및 액츄에이터(I)로 구성된 기계장치가 상기 원리에 따라 작동하고, 각도(α1), 각도(α2)를 초과하는 한계값 및 각도함수는 캠의 프로파일에 의존한다.
상기 작동을 위하여, 대칭구조를 가진 두 개의 캠구성부들을 가진 프로파일이 상기 캠에 구성된다. 캠구성부가 한 개인 (도 6의)프로파일에 의해 동일한 효과가 구해진다.
도 6을 참고할 때, 우선 상기 조인트(F)가 가압되거나 끌어당기는 운동 즉 각도(α)에 해당하는 운동이 각도(β)를 단지 경미하게 수정하거나 전혀 수정하지 않는다. 이 경우, 각도이탈작용은 전방차량(A) 및 중간차량(C)이 트럭을 구성하고 후방차량(B)이 트레일러를 구성하는 조인트의 각도이탈작용과 유사하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할 때, 관절연결부(E)의 피봇회전중심에 해당하는 중심을 가진 원호부분에서 원형의 곡선캠프로파일의 전체부분을 따라, 안내휠(M,N)들이 부분원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피봇회전운동이 변환되고, 상기 부분원의 중심은 연속적으로 구성된 후방차량(B)의 피봇회전중심 즉 관절연결부(E)의 피봇회전중심과 일치한다. 상대적으로 가파른 경사에 의해 안내휠들의 쌍이 더욱 크게 이탈한다. 상기 안내휠들 중 한 개가 캠프로파일의 단부에 배열되고, 다른 한 개가 오목부의 경사부분에 배열된다. 따라서 상기안내휠들이 목적한 대로 각도(α)를 수정한다.
도 6의 변형예 있어서, 트럭 및 트레일러 모드일 때, 슬롯프로파일은 작은 각도에 해당하는 동일한 원형부분을 가진다.
트랙에 구성된 상기 원형부분에서 중간차량(C)에 대한 전방차량(A)의 회전운동이 전환장치에 구성된 안내휠들의 경미한 운동에 의해 수정되지 않는다. 캠프로파일위에서 아크부분에 관련된 경미한 각도에 대하여 제어작용이 형성되지 않는다.피봇회전운동하는 관절연결부(D)가 구속된것과 같이 운동한다.
각도(α)가 증가하면, 캠기구의 모드가 변경된다. 모든 안내휠들이 상기 원형부를 너머 연장구성되고, 각도(β)를 수정하는 프로파일을 가진 트랙의 일부분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곡선경로를 주행완료할 때, 종속변수인 각도(β)가 횡방향 이탈운동을 제한하도록 제어된다.
변형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하는 보조기능모드가 비스듬하게 배열의 조인트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개의 조인트는 두 개의 모드를 가지고, 제 1 모드에서 조인트의 길이는 고정되고 본 발명의 수정장치가 작동하며,제 2 모드에서 각도수정수단이 작동하지 못하며 조인트의 길이가 가변적이고 조립체는 다른 수단에 의해 안내된다. 한 개의 방향모드로부터 다른 한 개의 방향모드로 변환시키기 위한 수단이 상기 조인트를 자유롭게 유지하거나 고정상태로 만들 수 있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공된다.

Claims (26)

  1. 중간차량(C)을 가로질러 전방차량(B)을 서로 연결시키는 두 개의 관절연결부(D,E)들로 구성되고 관절연결된 한 개의 조인트에 의해 전방차량(A) 및 후방차량(B)이 관절연결되고, 곡선을 따라 전방차량(A) 및 중간차량(C)사이에 각도(β)가 형성되며 중간차량(C)및 후방차량(B)사이에 각도(α)가 형성되고, 액슬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차량(C)에 의해 분리되는 전방차량(A) 및 후방차량(B)사이의 각도 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에 있어서,
    후방차량(B)의 회전운동으로부터 전방차량(A)의 회전운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직선방향의 양쪽측부들에 대하여 중앙영역(38)에서 저감도영역을 가지는 수정작용에 의해 각도설정을 수정하는 연결부가 상기 관절연결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2. 제 1항에 있어서, 각도(α)의 함수인 각도(β)에 의해 상기 수정작용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각도설정을 수정하는 연결부가 중간차량(C)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중앙영역(38)에서 저감도영역의 기울기가 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영역(38)의 저감도영역이 단부들에서 전이영역(39, 40)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 중 한 개의 차량에 장착되는 전환장치(H) 및 비스듬한 배열의 조인트(F)에 의해 상기 연결부가 구성되고, 다른 한 개의 차량위에 장착된 액츄에이터(I)에 의해 상기 전환장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I)가 후방차량(B)과 강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 구조의 조인트.
  8. 제 6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I)의 제어수단과 함께 작동하는 회전축(L)주위에서 회전운동하고 관절연결된 록커형태의 관절연결유니트에 의해 전환장치(H)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9. 제 8항에 있어서, 회전축(L)이 중간차량(C)위에 배열되고 관절연결부(D,E)들사이의 연결선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0. 제 8항에 있어서, 전환장치(H)의 관절연결유니트(7) 및 전방차량(A)사이의 관절연결을 위해 장착되고 비스듬하게 배열된 조인트(F)에 의해 전환장치(H)의 전달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1. 제 8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I)가 캠(13)으로 구성되고, 제어수단이 캠(13)의 프로파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2. 제 8항에 있어서, 관절연결유니트가 삼각형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삼각형의 관절연결유니트가 삼각형의 구성요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요소의 일부분이 안내휠(2,3)에 의해 캠(5)의 프로파일을 따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5. 제 14항에 있어서, 록커형태인 상기 구성요소(1)의 기저부가 형성하는 각도가 안내휠(2,3)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조인트의 단부들중 한 개와 관절연결된 연결단부(K)가 구성요소의 정점부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6. 제 11항에 있어서, 캠(5)의 프로파일은 대칭구조인 두 개의 캠구성부(15, 16)들을 가지고, 중앙에 위치한 V 자형상의 오목부(18)에 의해 상기 캠구성부(15,16)들이 분리되며, 중앙의 오목부(18)로부터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상향경사부(19, 20) 및 원형부(21, 22)가 상기 캠구성부(15, 16)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7. 제 16항에 있어서, 원형부(21,22)의 중심과 관절연결부(E)의 중심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8.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차량들이 직렬로 구성되고 관절연결된 차량을 따라 배열된 중간차량의 연결부들마다 캠(13)의 프로파일이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19. 제 6항에 있어서, 차량들 중 한 개의 차량위에 연결단부에서 관절연결된 조인트(F)의 단부가 상기 차량과 강하게 연결된 관절연결부의 몸체위에 관절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빛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20. 제 6 항에 있어서, 회전축(L)주위에 관절연결된 로드(8) 및, 회전축(L)주위에서 회전하도록 장착된 로드(10)에 의해 전환장치(H)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21. 제 2O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8)의 단부들 중 한 개의 단부가 안내휠(9)과 끼워맞춤되고, 다른 한 개의 단부가 조인트(F)의 연결단부(K)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22.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8) 및 로드(10)가 스프링(12)에 의해 탄성복원운동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23. 제 6항에 있어서, 액츄에이터(I)내부에 형성된 안내장치를 따르는 종동요소로 구성되는 판(31)에 의해 전환장치(H)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장치가 슬롯(34)으로 구성되고, 상기 종동요소가 전환장치(H)에 구성된 돌출핀(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25. 제 24항에 있어서, 캠(13)의 프로파일에 구성된 캠구성부(15, 16)들 중 한 개가 상기 안내장치의 안내경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26. 제 6 항에 있어서, 비스듬한 배열의 조인트(F)가 다단접힘식 로드이고, 각도설정을 수정하는 연결부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로드의 종방향고정기능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방차량 및 후방차량사이의 각도설정을 수정하기 위한 관절연결구조의 조인트.
KR1019960707100A 1994-06-16 1995-06-13 전방차량및후방차량사이의각도설정을수정하기위한관절연결구조의조인트 KR1003778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07555A FR2721279B1 (fr) 1994-06-16 1994-06-16 Liaison à correcteur angulaire entre deux modules routiers reliés entre eux par un module intermédiaire autoporté.
FR94/07555 1994-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867A KR970703867A (ko) 1997-08-09
KR100377831B1 true KR100377831B1 (ko) 2003-10-10

Family

ID=946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7100A KR100377831B1 (ko) 1994-06-16 1995-06-13 전방차량및후방차량사이의각도설정을수정하기위한관절연결구조의조인트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860667A (ko)
EP (1) EP0765251B1 (ko)
KR (1) KR100377831B1 (ko)
CN (1) CN1065485C (ko)
AT (1) ATE170803T1 (ko)
CA (1) CA2192654A1 (ko)
DE (1) DE69504667T2 (ko)
ES (1) ES2122635T3 (ko)
FR (1) FR2721279B1 (ko)
RU (1) RU2140856C1 (ko)
UA (1) UA43367C2 (ko)
WO (1) WO19950344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51603B1 (fr) * 1996-07-26 1998-10-09 Lohr Ind Liaison composite articulee entre deux voitures successives d'un vehicule de transport en commun separees par un module intermediaire porte par un essieu
GB9823758D0 (en) * 1998-10-31 1998-12-23 Knight Brian G Tractor draw bar
US6273447B1 (en) * 1998-12-24 2001-08-14 David M. Vande Berg Trailer support with articulating, free castering wheels
EP1255654A1 (en) * 2000-02-14 2002-11-13 Len Booysen Stabilizer unit
US6796572B1 (en) * 2002-05-24 2004-09-28 American Heavy Moving & Rigging Inc. Method for steering a transport vehicle and apparatus therefor
DE10343536A1 (de) * 2003-09-19 2005-05-04 Siemens Ag Großräumiges Fahrzeug zur Personenbeförderung, insbesondere Schienenfahrzeug, mit gelenkig verbundenen Wagenkästen
US7137643B1 (en) * 2005-05-23 2006-11-21 Paul Y J Hsueh Anti-sway trailer hitch
GB2477127B (en) 2010-01-22 2016-08-31 Messier-Dowty Ltd Landing gear
HU229757B1 (hu) * 2011-11-02 2014-06-30 Istvan Dr Szabo Két forgáspontú futómûves csuklóegység közúti jármûvekhez
FI124938B (fi) * 2012-06-04 2015-03-31 Helsingin Kaupungin Liikennelaitos Liikelaitos Kiskokulkuneuvo
DE102014106928B4 (de) * 2014-05-16 2017-08-24 Hamburg Innovation Gmbh Gleisloser Routenzug
KR101693938B1 (ko) * 2014-11-25 2017-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자식 도킹 차량
CN104773204A (zh) * 2015-04-23 2015-07-15 北京福田戴姆勒汽车有限公司 一种拖挂车及其主动转向装置
CN105128613B (zh) * 2015-09-09 2017-05-17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用于车辆自动联接装置的挂钩机构
CN105150783B (zh) * 2015-09-09 2017-05-17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自动联接装置
DE102016216591A1 (de) * 2016-09-01 2018-03-01 Jost-Werke Deutschland Gmbh Mechanische Lenkvorrichtung zur Zwangslenkung von Nutzfahrzeug-Einzelradaufhängungen an Sattelaufliegern abhängig vom Relativgierwinkel zwischen Zugfahrzeug und Nachlauffahrzeug
EP3379222B1 (en) 2017-03-22 2020-12-30 Methode Electronics Malta Ltd. Magnetoelastic based sensor assembly
RU2657163C1 (ru) * 2017-05-24 2018-06-08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Мытищинский прибор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Механизм передачи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с запаздыванием и механизм рулевого управления колесами заднего моста с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US11135882B2 (en) 2018-02-27 2021-10-05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US11221262B2 (en) 2018-02-27 2022-01-11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US11491832B2 (en) 2018-02-27 2022-11-08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EP3758959A4 (en) 2018-02-27 2022-03-09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SENSING
US11084342B2 (en) 2018-02-27 2021-08-10 Methode Electronics, Inc. Towing systems and methods using magnetic field sensing
GB2579248B (en) * 2018-11-28 2021-05-12 Arrival Ltd Two wheel automatic guided vehicles used in combination
RU194142U1 (ru) * 2019-07-04 2019-11-29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Казенное Во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Образования "Военный Учебно-Научный Центр Сухопутных Войск "Общевойсковая Академия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Жесткий буксир для буксирования машин с бульдозерным оборудованием
CN112776885B (zh) * 2019-11-05 2022-07-08 中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一种串联连接的多节列车的转向控制方法及其装置
CN114312174B (zh) * 2021-12-10 2024-01-26 中国煤炭科工集团太原研究院有限公司 牵引装置和矿用运输列车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0198E (en) * 1932-10-26 1936-12-08 Steering apparatus for multiwheel
US3062170A (en) * 1957-04-08 1962-11-06 Chantiers Navals Franco Belges Method of pushing trains of pushed elements and couplers between element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3550802A (en) * 1969-04-14 1970-12-29 Charles J Ellerd Power-driven container transporting device
CH623783A5 (ko) * 1978-06-26 1981-06-30 Leriverend Jean Paul Marcel
US4127202A (en) * 1977-10-31 1978-11-28 Jennings Frederick R True tracking trailer
DE2952405A1 (de) * 1979-12-27 1981-07-02 Emil Doll KG, Fahrzeug- u. Karosseriebau, 7603 Oppenau Lenkung fuer anhaenger-fahrzeuge mit drehkranzgelagerter anhaenger-vorderachse
FR2549436B1 (fr) * 1983-07-21 1985-10-04 Renault Vehicules Ind Vehicule routier articule, notamment pour le transport de passagers
CN2120051U (zh) * 1992-03-23 1992-10-28 兰成甲 载重汽车自动导向装置
FR2705620B1 (fr) * 1993-04-19 1995-07-07 Lohr Ind Véhicule formé d'une suite de modules reliés entre eux par une liaison composite articulée.
US5531468A (en) * 1995-01-04 1996-07-02 Sail D. White Enterprises, Inc. Trailer articul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A43367C2 (uk) 2001-12-17
RU2140856C1 (ru) 1999-11-10
EP0765251A1 (fr) 1997-04-02
DE69504667D1 (de) 1998-10-15
ATE170803T1 (de) 1998-09-15
WO1995034435A1 (fr) 1995-12-21
CN1150406A (zh) 1997-05-21
US5860667A (en) 1999-01-19
DE69504667T2 (de) 1999-04-22
CN1065485C (zh) 2001-05-09
EP0765251B1 (fr) 1998-09-09
CA2192654A1 (fr) 1995-12-21
FR2721279A1 (fr) 1995-12-22
ES2122635T3 (es) 1998-12-16
FR2721279B1 (fr) 1996-08-02
KR970703867A (ko) 199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7831B1 (ko) 전방차량및후방차량사이의각도설정을수정하기위한관절연결구조의조인트
US4842296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for a steerable wheel
US5046577A (en) Steering mechanism for tractors
US647796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eering a guideway vehicle
JP7092436B2 (ja) 車両サスペンションシステム
DE68924509T2 (de) Fahrgestell für ein lenkbares Element, besonders für einen Rollschuh.
US4941671A (en) Four-wheel steerable vehicle having a fore/aft sliding link
US5297648A (en) Compound steering mechanism
NZ229101A (en) Multiple axle trailer: front wheels steering linkage guided by forwardly extending telescopic arm
US5322309A (en) Oscillation stops for tractors with compound steering mechanism
US5836415A (en) Compound steering mechanism
CA2047976C (en) Railway vehicle bogie
US5171035A (en) Articulated vehicle with steering linkage
EP0598425B1 (en) Oscillation stops for tractors with compound steering mechanism
JPH042511A (ja) キャンバー角制御装置
US6966266B1 (en) Device for the radial control of a rail vehicle
KR100456883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 장치
JPH04121215A (ja) 車両用懸架装置
US4903976A (en) Locking mechanism for self steering semi-trailer
EP0894696B1 (en) Steering correction mechanism
GB2328658A (en) Steering correction mechanism
EP0634315B1 (en) Tie rod configuration for compound steering mechanism
GB2298693A (en) A linear-motion Watts linkage for a vehicle suspension
KR0180361B1 (ko) 차량용 후륜2축 셀프 조향장치
EP0235402A1 (en) Steering for the swivel-supported wheels of a trai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