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7365B1 - 스태커용 리프트 - Google Patents

스태커용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7365B1
KR100377365B1 KR10-2000-0051134A KR20000051134A KR100377365B1 KR 100377365 B1 KR100377365 B1 KR 100377365B1 KR 20000051134 A KR20000051134 A KR 20000051134A KR 100377365 B1 KR100377365 B1 KR 100377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s
stacker
pair
cargo
slid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5994A (ko
Inventor
정 도 서
Original Assignee
한성물류운반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물류운반기계(주) filed Critical 한성물류운반기계(주)
Priority to KR10-2000-005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7365B1/ko
Publication of KR20010015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5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73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4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laterally movable, e.g. swingable, for slewing or transverse movements
    • B66F9/142Movements of forks either individually or relative to each other
    • B66F9/143Movements of forks relative to each other - symme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12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 B66F9/16Platforms; Forks; Other load supporting or gripping members inclinable relative to m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을 적재하여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스태커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태커(Stacker)의 전방측에서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트(Lift)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포크(Fork)를 핸들의 회전에 따라 나사식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화물의 크기에 따라 포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포크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원통형이나 구형의 화물까지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스태커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는 상, 하부프레임(11)(12)과 좌우의 측면프레임(13)(13')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틀체 형상의 몸체 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한 쌍의 포크(18)(18')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상,하부프레임(11)(12)과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롤러지지대(14)에 승하강롤러(1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태커(30)의 전방측에서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고정플랜지(16)(16')가 상부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중앙부에는 보강플랜지(19a)가 상부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16)와 고정플랜지(16')의 사이에는 몸체를 양분하여 왼나사부(25a)와 오른나사부(25b)가 형성된 슬라이드봉(25)이 보강플랜지(19a)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일측의 고정플랜지(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봉(25)의 일단에는 슬라이드봉(25)을 회전시키는 핸들(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봉(25)에 형성된 왼나사부(25a)와 오른나사부(25b)에는 상기한 한 쌍의 포크(18)(18')가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포크(18)(18')의 하단부에는 포크(18)(18')의 몸체를 관통하여 하부프레임(12)과 일체로 형성된 박판프레임(12a)에 지지되는 각도조절나사(18b)(18b')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태커용 리프트{A lift for a stacker}
본 발명은 화물을 적재하여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스태커용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태커(Stacker)의 전방측에서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트(Lift)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포크(Fork)를 핸들의 회전에 따라 나사식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화물의 크기에 따라 포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며, 포크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원통형이나 구형의 화물까지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스태커용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팔레트(Pallet)나 상자 등과 같은 화물을 적재하여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스태커(3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포크(18)(18')를 구비하는 리프트(10)가 스태커(30)의 전방측에서 승하강 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포크(18)(18')에 화물을 일정량 적재한 다음, 리프트(10)를 소정 높이만큼 승강시켜 바닥에 놓여 있는 다른 여러 가지의 장애물에 구애됨이 없이 화물을 지정된 장소로 운반하고, 승강된 리프트(10)를 다시 하강시켜 지정된 장소에 화물을 내려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스태커(30)에 설치되는 종래의 스태커용 리프트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 및 좌우의 측면프레임(13)(13')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틀체 형상의 몸체 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포크(18)(18')가 설치되고, 전기한 몸체의 후방에는 상,하부프레임(11)(12)과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지지대(14)에 승하강롤러(1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단에는 한 쌍의 고정플랜지(16)(16')가 상부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고정플랜지(16)(16') 사이에는 몸체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고정공(17a)이 형성된 행거봉(17)이 삽입되어 고정 설치되며, 이 행거봉(17)에는 한 쌍의 포크(18)(18')가 양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포크(18)(18')의 상부에는 행거봉(17)에 형성된 상기의 고정공(17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나사(18a)가 체결되어 있어,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포크(18)(18')를 행거봉(17)을 따라 슬라이딩시켜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의 길이에 맞도록 포크(18)(18')의 간격을 조절한 다음, 각각의 포크(18)(18')에 체결되어 있는 고정나사(18a)를 행거봉(17)의 고정공(17a)에 체결하여 고정하므로써, 화물을 포크(18)(18')에 적재한 상태로 리프트(10)가 스태커(30)의 전방측에서 상하로 승강작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태커용 리프트는 포크(18)(18')에 팔레트나 상자 등과 같은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하기 위하여 우선, 적재되는 화물의 길이에 맞도록 포크(18)와 포크(18')사이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여야 하며, 각 포크(18)(18')사이의 간격 조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일차적으로 포크(18)(18')에 체결된 각각의 고정나사(18a)를 행거봉(17)의 고정공(17a)으로부터 풀어내어 포크(18)(18')가 행거봉(17)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로 한 다음, 각각의포크(18)(18')를 적재하고자 하는 화물의 길이에 맞도록 좌우로 이동시켜 포크(18)(18')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고, 풀어낸 포크(18)(18')의 고정나사(18a)를 행거봉(17)의 고정공(17a)에 다시 체결하여야 하는 번거러운 절차를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크기나 길이가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화물을 1대의 스태커(30)로 운반하여야 할 경우에는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종류(길이나 크기)가 달라짐에 따라 매 번 포크(18)(18')의 고정나사(17a)를 풀고 조여야 하므로써 작업절차의 번거러움 뿐만 아니라, 전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포크(18)와 포크(18')사이의 간격 조절 또한, 행거봉(17)에 형성된 고정공(17a)의 간격만큼으로만 조절할 수밖에 없으므로 다양한 화물의 적재 및 운반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하여, 행거봉(17)에 다수의 고정공(17a)을 형성시키게 되면, 각 고정공(17a) 사이의 간격이 매우 좁아지게 되어 행거봉(17)의 전체적인 강도가 저하되므로, 리프트(10)에 화물을 다소 무겁게 적재한 상태로 스태커(30)를 이동시킬 경우, 각 고정공(17a) 사이에 쉽게 균열이 발생하게 되어 포크(18)(18')의 고정나사(18a)를 행거봉(17)의 고정공(17a)에 강하게 체결시킬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할 경우에는 행거봉 (17)자체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단순히 고정공(17a)의 수만을 증가시킬 수는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태커용 리프트는 화물을 적재시키는 포크(18)(18')가 지면과 거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면과 이루는 포크(18)(18')의 각도는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있으므로, 팔레트나 상자와 같이 바닥이 평평한 화물의 운반에는 별다른 지장이 없으나, 원통형이나 구형의 화물을 포크(18)(18')에 적재하여 운반할 경우에는, 조그만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포크(18)(18')에 적재된 원통형이나 구형의 화물이 포크(18)(18')로부터 굴러 떨어지게 되어, 화물의 파손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까지 위협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태커의 전방측에서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포크를 핸들의 회전에 따라 나사식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므로서, 화물의 크기에 따라 포크의 간격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포크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 또한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원통형이나 구형의 화물까지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는 상, 하부프레임과 좌우의 측면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틀체 형상의 몸체 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한 쌍의 포크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상,하부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롤러지지대에 승하강롤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태커의 전방측에서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고정플랜지가 상부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보강플랜지가 상부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의 사이에는 몸체를 양분하여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가 형성된 슬라이드봉이 보강플랜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일측의 고정플랜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봉의 일단에는 슬라이드봉을 회전시키는 핸들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봉에 형성된 왼나사부와 오른나사부에는 상기한 한 쌍의 포크가 핸들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포크의 하단부에는 포크의 몸체를 관통하여 하부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박판프레임에 지지되는 각도조절나사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태커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스태커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스태커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프트 11 : 상부프레임 12 : 하부프레임
12a : 박판프레임 13,13' : 측면프레임 14 : 롤러지지대
15 : 승하강롤러 16,16' : 고정플랜지 17 : 행거봉
17a : 고정공 18,18' : 포크 18a : 고정나사
18b,18b' : 각도조절나사 18c : 나사부 19 : 보강프레임
19a : 보강플랜지 20 : 핸들 25 : 슬라이드봉
25a : 왼나사부 25b : 오른나사부 30 : 스태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구성 및 작용관계를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요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a는 박판프레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구성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 및 좌우의 측면프레임(13)(13')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틀체 형상의 몸체 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포크(18)(18')가 설치되고, 전기한 몸체의 후방에는 상,하부프레임(11)(12)과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롤러지지대(14)에 승하강롤러(1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 끝단에는 고정플랜지(16)(16')가 상부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프레임(11)의 중앙부에는 보강플랜지(19a)가 상부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며, 각각의 고정플랜지(16)(16')와 보강플랜지(19a)에는 동일한 중심축 상에 배열되는 구멍을 형성하며, 원형단면을 가지는 봉재와 같은 부재를 고정플랜지(16)(16')와 보강플랜지(19a)에 축의 형태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플랜지(16)(16')의 사이에는 원형단면을 가지는 봉재와 같은 부재는 몸체를 양분하여 좌우로 왼나사부(25a)와 오른나사부(25b)가 각각 형성된 슬라이드봉(25)으로 이루어지며, 이 슬라이드봉(25)은 중앙의 보강플랜지(19a)를 관통하여 각각의 고정플랜지(16)(1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고정플랜지(16)(16')와 보강플랜지(19a)에 의하여 지지되는 슬라이드봉(25)의 양단부와 중앙 부분에는 슬라이드봉(25)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나사부를 형성하지 않은 것으로 되고, 각각의 플랜지(16)(16')(19a)에 형성된 구멍의 내측에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을 설치하므로서 슬라이드봉(25)의 회전을 지지토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의 고정플랜지(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봉(25)의 일단에는 슬라이드봉(25)을 회전시키는 핸들(20)이 슬라이드봉(25)과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봉(25)에 형성된 왼나사부(25a)와 오른나사부(25b)에는 상기한 한 쌍의 포크(18)(18')가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드봉(25)에 나사결합되는 각각의 포크(18)(18')는 보강플랜지(19a)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되는 왼나사부(25a)와 오른나사부(25b)의 동일한 위치상에서 각각 나사결합되어,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동일한 폭으로 벌어졌다 오므라졌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크(18)(18')의 하단부에는 포크(18)(18')의 몸체를 관통하여 하부프레임(12)과 일체로 형성된 박판프레임(12a)에 의하여 지지되는 각도조절나사(18b)(18b')가 나사결합되어, 각도조절나사(18b)(18b')의 회전에 의하여 포크(18)(18')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전기한 박판프레임(12a)은 각도조절나사(18b)(18b')의 말단부를 지지하는 보강판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용접 또는 기타 여러 가지의 방법으로 하부프레임(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의 작용관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운반하고자 하는 팔레트나 상자와 같은 화물의 크기에 맞도록 포크(18)와 포크(18')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핸들(20)을 회전시키게 되면, 핸들(20)과 연결된 슬라이드봉(25)이 고정플랜지(16)(16')와 보강플랜지(19a)에 의하여 지지되는 상태로 핸들(20)과 함께 연동 회전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핸들(20)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드봉(25)이 연동 회전을 하게 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봉(25)의 왼나사부(25a)와 오른나사부(25b)에 각각 나사결합된 포크(18)(18')의 나사부(18c)가 슬라이드봉(25)의 나사면을 따라 좌우로 슬라이딩 되고, 이로 인하여 각각의포크(18)(18')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포크(18)(18')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며, 이 과정에서 포크(18)(18')는 자체 하중으로 인하여 슬라이드봉(25)의 회전과 함께 전후로 요동하지 않고 슬라이드봉(25)을 따라서 좌우로만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핸들(20)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포크(18)(18')를 슬라이드봉(25)상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소 무거운 하중의 포크(18)(18')를 핸들(20)의 회전에 의하여 나사식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작업자가 별다른 힘을 기울이지 않더라도 포크(18)(18')사이의 간격을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길이나 크기에 맞도록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크기나 길이가 다른 여러 가지 종류의 화물을 1대의 스태커(30)로 운반하여야 할 경우라도,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종류(길이나 크기)에 따라 매우 빠르고 손쉽게 포크(18)(18')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화물운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며, 포크(18)와 포크(18')사이의 간격이 나사이송에 의하여 조절되므로, 핸들(20)의 회전조작에 따라 각 포크(18)(18')사이의 간격을 슬라이드봉(25)에 형성된 나사부(25a)(25b)의 나사 폭만큼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크기나 길이가 다양한 화물의 운반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슬라이드봉(25)이 삽입되는 상기의 보강플랜지(19a)는 포크(18)(18') 자체의 무게와 포크(18)(18')에 적재된 화물에 무게에 의하여 슬라이드봉(25)이 받는 하중을 분산시키므로서 슬라이드봉(25)이 과도한 작업하중에 의하여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장시간 동안리프트(10)를 사용하더라도 슬라이드봉(25)이 항상 직선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포크(18)(18')가 슬라이드봉(25)을 따라서 항상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의 중앙부 사이에 별도의 보강프레임(19)을 설치하게 되면, 상부프레임(11)과 하부프레임(12) 뿐 만 아니라, 리프트(10)의 전체적인 내구성을 증가시켜 리프트(10)에 다소 무거운 하물을 적재하여 장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리프트(10)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어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운반할 화물이 원통형이나 구형일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포크(18)(18')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의 각도조절나사(18b)(18b')를 박판프레임(12a)측 방향으로 조이게 되면, 각도조절나사(18b)(18b')가 포크(18)(18')의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포크(18)(18')의 선단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상부로 회전하게 되므로서, 원통형이나 구형의 화물이 포크(18)(18')의 절곡된 부분에 안정적으로 거치되어, 화물의 운반시에 화물이 포크(18)(18')의 전방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이나 구형의 화물을 운반할 시에는 일차적으로 핸들(20)을 조작하여 화물의 길이에 맞도록 포크(18)(18') 간격을 먼저 조절한 다음, 각도조절나사(18b)(18b')를 조작하여 원통형이나 구형의 화물을 포크(18)(18')에 적재하는 순서를 거치는 것이 조작의 측면이나 박판프레임(12a)의 사용수명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태커용 리프트는, 스태커의 전방측에서 승하강 작동하는 리프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포크를 핸들의 회전에 따라 나사식으로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함과 동시에 포크와 지면이 이루는 각도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핸들을 회전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포크사이의 간격을 운반하고자 하는 화물의 길이나 크기에 맞도록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화물운반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포크 사이의 간격을 매우 섬세한 범위까지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하나의 스태커만으로도 크기나 길이가 다양한 화물의 운반에 매우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구형이나 원통형의 화물을 운반할 시에도 화물이 포크의 전방으로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므로써, 화물의 파손과 작업자의 부상을 사전에 미리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 정 정 ) 상, 하부프레임(11)(12)과 좌우의 측면프레임(13)(13')으로 이루어지는 사각틀체 형상의 몸체 전방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한 쌍의 포크(18)(18')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후방에는 상,하부프레임(11)(12)과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롤러지지대(14)에 승하강롤러(15)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태커(30)의 전방측에서 승하강 작동할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고정플랜지(16)(16')가 상부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1)의 중앙부에는 보강플랜지(19a)가 상부프레임(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16)(16')의 사이에는 몸체를 양분하여 왼나사부(25a)와 오른나사부(25b)가 형성된 슬라이드봉(25)이 보강플랜지(19a)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삽입 설치되고,
    상기 일측의 고정플랜지(16)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드봉(25)의 일단에는 슬라이드봉(25)을 회전시키는 핸들(20)이 고정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봉(25)에 형성된 왼나사부(25a)와 오른나사부(25b)에는 상기한 한 쌍의 포크(18)(18')가 핸들(20)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나사결합되고,
    상기 포크(18)(18')의 하단부에는 포크(18)(18')의 몸체를 관통하여 하부프레임(12)과 일체로 형성된 박판프레임(12a)에 지지되는 각도조절나사(18b)(18b')가 나사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커용 리프트.
KR10-2000-0051134A 2000-08-31 2000-08-31 스태커용 리프트 KR10037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34A KR100377365B1 (ko) 2000-08-31 2000-08-31 스태커용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134A KR100377365B1 (ko) 2000-08-31 2000-08-31 스태커용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994A KR20010015994A (ko) 2001-03-05
KR100377365B1 true KR100377365B1 (ko) 2003-03-26

Family

ID=1968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134A KR100377365B1 (ko) 2000-08-31 2000-08-31 스태커용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736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1066A1 (en) * 2007-01-23 2008-07-31 S.M Metal Co.Ltd Device for driving foldable forks of forklif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5692A (zh) * 2016-06-28 2017-02-15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工程机械用货叉总成
CN106395691A (zh) * 2016-06-28 2017-02-15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科技分公司 一种工程机械用货叉托架总成
CN111170209B (zh) * 2018-08-31 2021-04-09 杨华 一种具有悬臂导向定位机构的叉车
CN111483946B (zh) * 2018-08-31 2021-10-22 诸暨市奔宝弹簧有限公司 一种叉车悬臂导向定位机构
CN112794244A (zh) * 2018-11-08 2021-05-14 泉州台商投资区长芳设计有限公司 一种叉装车活动伸缩臂及使用方法
CN109502516A (zh) * 2018-12-27 2019-03-22 江苏中天华宇智能科技有限公司 高速堆垛机货叉上高稳定性的偏摆装置
CN115215256A (zh) * 2022-02-23 2022-10-21 上海羿仑叉车有限公司 一种可通过联网计算机远程自动操作控制的叉车
CN114669989A (zh) * 2022-05-17 2022-06-28 拓荆科技(北京)有限公司 旋转工装、移动工装、辅助工装系统、控制方法和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91066A1 (en) * 2007-01-23 2008-07-31 S.M Metal Co.Ltd Device for driving foldable forks of forkli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5994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45418B2 (en) Fork-lift truck with loading system
US5421451A (en) Conveyor construction
US9260125B2 (en) Pallet transportation assembly and processes of transporting pallets using the same
US4240773A (en) Roll handling apparatus
KR100377365B1 (ko) 스태커용 리프트
US9255625B2 (en) Attachment device for attaching slinging or lashing means
US11097757B2 (en) Load-bearing assembly
US6250655B1 (en) Leveraging transport system for tables plasterboard sheets and the like
US7497326B2 (en) Pivotable support for a conveyor and method of replacing a damaged conveyor belt
JP2006232548A (ja) リフター
CA2189403A1 (en) Tiltable portable pallet
US20070029170A1 (en) Rolling conveyor support
US4854807A (en) Freight container lifting means
US5746564A (en) Lift truck side loading attachment
US3777923A (en) Pallet removing truck
KR101318018B1 (ko) 핑거 프레임 기구
EP0376720B1 (en) Carrier pallet
US7673915B1 (en) Coil handling assembly
FI96291C (fi) Rullakko
FI130588B (en) Load handling device and loader
KR102543730B1 (ko) 화물 이송용 구조체
KR200250772Y1 (ko) 화물 이송용 사다리 차
FR2527556A1 (fr) Plate-forme a surface d&#39;appui pour le transport de marchandises cylindriques et de marchandises a surfaces libres planes
US2792141A (en) Vehicle mounted container for handling pallets
KR940001906Y1 (ko) 덤핑 호퍼(Dumping hopp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