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6709B1 -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6709B1
KR100376709B1 KR10-2000-0083971A KR20000083971A KR100376709B1 KR 100376709 B1 KR100376709 B1 KR 100376709B1 KR 20000083971 A KR20000083971 A KR 20000083971A KR 100376709 B1 KR100376709 B1 KR 100376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pening amount
continuously variable
sudden stop
shif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3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4771A (ko
Inventor
김성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3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70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4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4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0Preventing gear creeping ; Transmission control during standstill, e.g. hill hold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65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66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 F16H2061/6604Special control features generally applicable to continuously variable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차속을 측정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차량의 기어비를 산출하여 차량의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인지를 판단하며, 차량이 정지 상태이고 차량의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이 아닌 경우에 차량의 스로틀 개도량을 측정하여 차량의 출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 개도량을 비교한다. 다음에 측정된 스로틀 개도량이 설정 개도량보다 커서 차량이 출발하는 상태로 판단되면, 변속기의 구동 풀리로 인가되는 유압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시에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에 도달하기도 전에 출발하는 경우, 구동 풀리가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차량의 출발성이 향상되며, 또한 구동 풀리가 뒤로 밀리면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 등이 방지되어 차량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CONTROL METHOD FOR STARTING AFTER SUDDEN STOP I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VEHICLES}
본 발명은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단 변속 차량에서 급정지한 다음에 차량이 출발하고자 하는 경우에 출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변속 장치는 엔진의 구동력을 구동륜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변속 장치에는 운전자 의지대로 직접 변속단을 선택하는 수동 변속기와, 차량의 주행 조건에 따라 자동적으로 변속이 이루어지는 자동 변속기와, 각 변속단 사이에 특정한 변속 영역이 없이 무단으로 연속적 변속이 이루어지는 무단 변속기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변속기 중에서, 무단 변속 장치는 유압을 이용하는 자동 변속 장치의 단점을 보안하여 연비 및 동력 전달 성능, 그리고 중량면에서 큰 장점을 갖으며, 입력축과 출력축에 장착되는 풀리의 직경 변위를 이용하는 벨트-풀리식 무단 변속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벨트-풀리 시스템을 적용하는 무단 변속기는 직경이 가변되는 구동 풀리와 종동 풀리, 그리고 이들 풀리에 걸리어 동력을 전달하면서 무단 변속을 실현하는 벨트를 주 구성요소로 하고 있으며, 구동 풀리로 공급되는 라인압 및 구동 풀리에서 배출되는 라인압을 제어하여 변속비를 제어한다.
이러한 무단 변속기가 적용되어 있는 차량이 급정지하는 경우에는 변속기가 최저 변속단(full low)까지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 차량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최저 변속단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이 출발하게 되면 출발성이 떨어지게 되며, 또한 급출발하는 경우에는 풀리가 뒤로 밀리면서 슬립이 발생하여 내구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 기술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무단 변속 차량에서 급정지 후에 차량이 출발하는 경우에 출발 성능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장치에 적용된 변속부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에서의 변속 듀티비 제어 타이밍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은, 차량의 차속을 측정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기어비를 산출하여 차량의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서 차량이 정지 상태이고 차량의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이 아닌 경우에 차량의 스로틀 개도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에서 측정된 스로틀 개도량과 차량의 출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 개도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측정된 스로틀 개도량이 설정 개도량보다 커서 차량이 출발하는 상태로 판단되면, 변속기의 구동 풀리로 인가되는 유압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차량의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 감지부(10), 변속기의 입력측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1 회전수 감지부(20), 변속기의 출력측 회전수를 측정하는 제2 회전수 감지부(30),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측정하는 스로틀 개도량 감지부(40), 감지부(10∼40)의 출력단에 연결된 변속 제어부(50)와, 변속 제어부(50)의 출력단에 연결된 변속부(60)를 포함한다.
차속 감지부(10)와 스로틀 개도량 감지부(20), 제1 및 제2 회전수 감지부(30)는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변속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변속부(60)는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변속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는 변속 제어 밸브(61), 풀리 센서(62), 및 스텝 모터(63)를 포함한다. 여기서, 변속 제어 밸브(61)는 무단 변속기의 구동 풀리로 공급되는 라인압을 제어하는 밸브이며, 구동 풀리(64)의 이동 쉬브(65)에 설치된 풀리 센서(62)와 변속 제어부(50)에 스텝 모터(63)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지렛대(66)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변속부(60)에서는 이동 쉬브(65)의 이동에 따라 풀리 센서(62)가 저속 및 고속 측으로 작동되어 변속 제어 밸브(61)를 업/다운 제어하여 구동 풀리(64)로 공급되는 라인압 및 구동 풀리(64)에서 배출되는 라인압을 제어하여 변속비를 제어한다. 또한 이 라인압은 풀리 센서(62)의 작동에 상응하는 스텝 모터(63)의 작동에 의해서도 제어되므로, 변속비는 풀리 센서(62)와 스텝 모터(63)의 상호 작용에 의한 라인압 제어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변속부는 위에 기술된 구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장치를 토대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 후의 출발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 후의 출발 제어방법의 동작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 출발 제어방법에 따른 변속 듀티비제어 타이밍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변속 제어부(50)는 무단 변속 차량의 주행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차량의 차속을 체크한다(S100∼110).
차속 감지부(10)는 차륜의 출력측에 장착되어 차량의 주행 속도 즉, 차속을 측정하여 그에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변속 제어부(50)로 출력하며, 변속 제어부(50)는 이 신호에 따른 현재 차량의 차속과 차량의 급정지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 차속(a1)을 비교한다(S120).
현재 차량의 차속이 설정 차속(a1)보다 작은 경우에는 차량이 정지한 상태로 판단하고, 다음에는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최저 변속단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체크한다.
구체적으로 변속 제어부(50)는 제1 회전수 감지부(20)에서 출력되는 변속기의 입력측 회전수와 제2 회전수 감지부(30)에서 출력되는 변속기의 출력측 회전수의 관계를 비교하여 기어비를 산출한 다음에, 산출된 기어비와 최저 변속단 상태에 해당하는 설정 기어비(R1)를 비교하여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인지를 판단한다(S130∼S140).
현재 차량 상태에 따라 산출된 기어비가 설정 기어비(R1)보다 작은 경우에는 현재 차량의 변속단이 정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최저 변속단이 아닌 상태로 판단한다. 그리고 스로틀 밸브 개도량을 측정하여 차량의 출발 여부를 체크한다(S150).
이와 같이 차량이 정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운전자가 출발하기 위하여 가속 페달을 밟으면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증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로틀 개도량감지부(40)가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면, 변속 제어부(50)는 입력되는 스로틀 밸브 개도량과 출발시에 해당하는 설정 스로틀 개도량(T1)을 비교하여 차량의 출발 여부를 판단한다.
측정된 스로틀 밸브의 개도량이 설정 스로틀 개도량(T1)보다 작은 경우에는 운전자가 가속 페달을 밟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 스로틀 개도량(T1)보다 큰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기 위하여 가속 페달을 밟은 상태로 판단한다(S160).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차량이 급정지되어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에 도달하지 않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을 출발시키는 경우, 변속 제어부(50)는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변속비의 듀티를 감소시켜 구동 풀리(64)로 인가되는 유압이 증가되도록 한다(S170∼S180).
구체적으로 변속 제어부(50)는 유압이 증가되도록 듀티비가 일정값 감소된 상태에 해당하는 구동 신호를 변속부(60)로 출력하며, 이에 따라 변속부(60)의 변속 제어 밸브(61)의 듀티비를 감소시켜 구동 풀리(64)로 인가되는 유압이 증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구동 풀리(64)로 인가되는 라인압이 증가되어 구동 풀리(64)가 차량 출발에 따라 뒤로 밀리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본 발명은 다음의 기술되는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시에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에 도달하기도 전에 출발하는 경우, 구동 풀리가 뒤로 밀리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차량의 출발성이 향상되며, 또한 구동 풀리가 뒤로 밀리면서 발생될 수 있는 마찰 등이 방지되어 차량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Claims (1)

  1. 차량의 차속을 측정하여 차량이 정지 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차량의 기어비를 산출하여 차량의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에서 차량이 정지 상태이고 차량의 변속단이 최저 변속단이 아닌 경우에 차량의 스로틀 개도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에서 측정된 스로틀 개도량과 차량의 출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설정 개도량을 비교하는 단계; 및
    측정된 스로틀 개도량이 설정 개도량보다 커서 차량이 출발하는 상태로 판단되면, 변속기의 구동 풀리로 인가되는 유압을 증가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
KR10-2000-0083971A 2000-12-28 2000-12-28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 KR10037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971A KR100376709B1 (ko) 2000-12-28 2000-12-28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3971A KR100376709B1 (ko) 2000-12-28 2000-12-28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771A KR20020054771A (ko) 2002-07-08
KR100376709B1 true KR100376709B1 (ko) 2003-03-17

Family

ID=27687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3971A KR100376709B1 (ko) 2000-12-28 2000-12-28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70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4771A (ko) 2002-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5610B1 (ko) 자동변속기부착차량의 클러치제어방법 및 장치
US5259272A (en) Control device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1263474A (ja) 無段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US6336888B1 (en) Vehicular transmission stop control system
US8262539B2 (en)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JP2722856B2 (ja) 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制御装置
JP3730204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ベルト滑り防止システム
US6960153B2 (en) Clutch engagement control of automatic transmission
JP3856309B2 (ja) 車両用変速システムのエンジン出力制御装置
KR100376709B1 (ko) 무단 변속 차량의 급정지후의 출발 제어방법
JP3821764B2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のベルト滑り防止システム
JP6307486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08116005A (ja)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を備えた自動変速機を搭載した車両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ならびに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3910123B2 (ja) 車両用変速システムのエンジン出力トルク制御装置
JP3453986B2 (ja) 無段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9210093A (ja) 発進クラッチの制御装置
US20070197323A1 (en) Hydraulic pressure control device for vehicl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3348594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984454B2 (ja) クラッチの制御方法
KR19990081036A (ko) 자동 변속기의 오조작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040107771A1 (en) Reverse torque input detection system for V-belt 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290356B1 (ko) 자동변속기차량의브레이킹시변속제어방법
KR19980047636A (ko) 경사로에서의 후진 미끄러짐 방지방법 및 그 장치
JP2609876B2 (ja) 連続可変変速機の発進制御方法
JP3353592B2 (ja) 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