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4454B1 - 포장용기에양각선을새기는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용기에양각선을새기는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4454B1
KR100374454B1 KR10-1998-0703628A KR19980703628A KR100374454B1 KR 100374454 B1 KR100374454 B1 KR 100374454B1 KR 19980703628 A KR19980703628 A KR 19980703628A KR 100374454 B1 KR100374454 B1 KR 10037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packaging
molding
container
mol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602A (ko
Inventor
랄스-에릭크 팜
Original Assignee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테트라 라발 홀딩스 앤드 피낭스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1999006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4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1/00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 B65B61/24Auxiliary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operating on sheets, blanks, webs, binding material, containers or packages for shaping or reshaping completed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Containers And Plastic Fillers For Packag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Cartons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Package Closures (AREA)
  • Supplying Of Containers To The Packaging St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우유 등의 액상 내용물을 담는 포장용기는 통상, 그 양면이 플라스틱층으로 코팅된 섬유재 캐리어 또는 코어층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 포장재로 제조된다. 상기 재료를 쉽게 접을 수 있도록, 해당 포장재 상에는 목적하는 포장용기 형태의 성형을 쉽게 하는 연화 주름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정확한 최종형상, 더욱 예리한 접힘선을 제공하여 해당 포장 용기에 견고성 및 안정성 개선 효과를 주기 위한 포장용기의 후굴-가공 방법 즉, 포장 용기에 양각선을 새기는 방법은, 상기 포장용기(1)를 그 최종 형상에 맞도록 된 성형 장치(11)로 둘러싸는 단계, 및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포장 용기용 자유 공간을 간단히 감소시키는 성형부품(12, 13)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는, 폐쇄위치에 있어서 완성된 포상 용기의 이론적인 최소 체적의 100% 내지 110%인 성형 공동 체적을 형성하는 가동형 성형 부품을 갖는 성형 장치(1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장용기에 양각선을 새기는 방법 및 장치
유연성 방수재로서 제조된 1회용 포장용기에 쥬스 또는 우유 등의 액상 내용물을 포장하는 것은 식품산업 분야의 관례이다. Tetra Brik이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고 있는 실질적 평행육면체 포장용기가 유럽특허 EP 91712호 (참조문헌으로 인용)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폴리에틸렌을 주로 하는 비교적 얇은 열가소성 재료층이 각 측면에 코팅된 섬유재(예를 들면, 종이)의 캐리어(carrier) 또는 코어층(core layer)을 포함하는 유연성있는 포장 라미네이트 (laminate)로 만들어진다. 또한, 상기 포장 라미네이트는, 특히 민감한 제품을 포장하는 경우에 빛 또는 산소에 대한 방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차단층 또는 기타 차단물질 같은 추가의 재료층을 포함하는 수도 있다.
상기 개략적으로 언급한 종래의 포장용기 생산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웹-형상의 포장 라미네이트를 개개의 충전된 포장용기로 단계별로 재성형(reforming)해 나가는 포장기 또는 충전기가 사용된다. 상기 재성형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연동 능선부(cooperating ridges)와 함몰부 (depressions) 사이로 포장 라미네이트를 가압함으로써 형성되는 접힘선 (fold 또는 crease lines) 패턴을 상기 포장 라미네이트에 제공한다. 이는, 무엇보다도 상기한 섬유층의 연화에 기인하여, 상기 공정에서 발생하는 약한 직선 부분을 따라 상기 물질이 잘 접혀지도록 한 것이다. 최초의 실질적으로 쿠션(cushion)형의 충진 밀봉 포장용기를 평행 육면체 형태로 재성형하는 작업이 이로 인해 용이해질 것이다. 상기 이른바 최종 성형작업은, 무엇보다도, 평탄 프레싱(flat pressing), 내향 절곡(inward folding) 및 형성된 모서리 날개부를 상기 포장용기 외측에 밀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사실상 평행 육면체 형상이 얻어진다. 주로 경제적 이유로 인해, 상기 포장 라미네이트에 포함되는 재료의 양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온 결과, 상기 포장 라미네이트 자체가 상대적으로 얇아져서, 접힘선이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간의 접힘성에 있어서 차이가 상대적으로 미약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 포장 라미네이트를 포장용기로 재성형하는 작업 및 특히 소위 최종 성형 공정을 통해, 항상 원하는 바의 제대로 형성된 가장자리 및 모서리부를 가지는 포장 용기 보다는, 서로간에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위치되어 있는 포장용기의 상이한 벽면 사이의 교차부가 보다 둥그스럼한 경향을 가지는 포장 용기를 수득할 수 있다. 최종 완성 상태가 이처럼 형상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상기 포장 용기의 경우, 내용물을 상기 용기로부터 붓는 것과 주로 관련하여, 소비자는 해당 포장용기가 매우 불안정하고 잘구부러지는 것으로 인식하여 용기 취급에 지장을 초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유연성 포장재를 접고 밀봉하여 제조되는 기타의 포장 용기 (예를 들면, 각주형 포장 용기)에도 당연히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제대로 형상을 이루고 (또는 양각선이 새겨진) 견고성 및 안정성이 향상된 상기 개략적으로 설명된 포장 용기에 대한 필요성이 당해 분야에서는 인식되어 있다. 이를 위해, 재료 및 물성치가 상이한 여러 층을 일체화하여 상기 포장 라미네이트를 변형시키려는 시도가 당업계에서 시도되어 왔었으나, 이는 일반적으로 포장 라미네이트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한, 상기 재료를 약화시켜 접힘 및 성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형태의 접힘선 (cease lines) 또는 취약선 (weakening lines)을 사용하는 경우, 눈에 띄는 개선 효과가 없었다. 제대로 형상을 이루고 (또는 양각선이 새겨진) 안정성이 향상된 포장 용기를 얻기위한 공지 기술에서 개시되어 있는 하나의 방법은, 포장 라미네이트 (특히, 섬유층)의 두께를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자연히 비용상승 문제가 뒤따르게 되어 제한된 정도로만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유연성 포장재로 만들어지며 유연성/비압축성 내용물을 담는 밀봉 포장용기를 후굴-성형(retroforming) 즉, 포장용기에 양각선을 새기는(calibrating)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액상 내용물이 채워지며 유연성 포장재로 제조되는 형태의 밀봉 포상용기를 후굴-성형, 즉 해당 용기에 양각선을 새기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현될 수 있는 유형의 종래 포장 용기의 투시도.
도 2A는 접힘선 또는 주름선을 갖는 공지된 포장 라미네이트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2B는 접은 이후의 상기 도 2A의 포장 라미네이트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장치 일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포장 용기의 접힘 부위를 통한 확대 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유연성 포장재로 제조되며, 바람직하게는 액상 내용물을 담도록 된, 포장용기를 후굴-성형시키는 방법 또는 포장 용기에 양각선을 새기는 방법; 상기 결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 및 제대로 정의된 외관뿐 아니라 상당히 향상된 견고함 및 안정성을 갖춘 포장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공정에 의해 포장 용기에 양각선을 새김으로써 고도의 정확도를 갖춘 소정의 (predetermined) 형상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관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장용기에 예리한 가장자리선 및 모서리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상기 포장 용기의 목적하는 최종 형상에 맞는 성형 장치가 상기 포장 용기를 둘러싸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서문에서 밝힌 형태의 방법으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될 수 있는 데, 이러한 성형 장치는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포장 용기를 위한 자유 공간을 간단히 감소시키는 성형 부품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은, 첨부된 종속항인 제2항 내지 제4항에 설명된 특징을 추가로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연성 포장재로 제조되고 액상 내용물을 충진된, 밀봉 포장 용기에 양각선을 새기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는, 단순하고 신뢰성 있는 구조이며, 예를 들면 상기 Tetra Brik형 포장 용기와 같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에 사용되는 현존하는 포장 기계가 통합이 가능해야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작 및 취급에 있어 경제적인 동시에, 생산된 포장 용기를 신뢰성 있게 최종 성형 또는 양각선 새김 작업을 가능케 하는, 상기 개략적으로 설명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및 기타 목적들은, 상기 성형 부품들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이 처리된포장 용기의 이론적 최소체적의 100% 내지 110%에 이르는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가동형 성형 부품들로 이루어진 성형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은, 첨부된 종속항인 제6항 내지 제11항에 설명된 특징을 추가로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고안된 방법 및 장치는, 그 자체로서 공지된 포장 용기의 최종성형 또는 양각선 새김 공정으로 이어지는 바, 이러한 공정을 통한 포장 용기는 상당히 제대로 된 형상, 향상된 견고성 및 안정성과 그로 인한 사용자의 최급 편의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양각선 새김 공정과 관련하여 얻어진 일시적인 체적 감소의 결과, 상기 포장 용기는 상기 성형기구의 내부 형상에 부합하여야 하며, 이로 인해 특히 상기 포장 용기의 가장자리선 및 모서리를 따라 상기한 재료 섬유층이 보다 뚜렷한 접힘부를 가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항 양태에 대해,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에 필수적인 부분만을 보여주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뚜렷이 드러난 "예리한" 가장자리선 및 모서리를 가짐으로써 더욱 높은 견고성 및 안정성과 향상된 외관을 갖도록 함을 그 취지로 하여, 유연성 포장재로 제조되며 유연성/비압축성 내용물을 담보록 된 밀봉 포장 용기의 후굴-성형 또는 양각선 새김 공정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형상 및 구조와 제조 방법이 EP 91712호 (본원에서 참조문헌으로 인용)에 공개된 종래의 평행 육면체형 포장용기(Tetra Brik)에 적용하여 기재되어 있다. 상기 방법 및 장치는, 포장재가 물리적으로 영향을 받을 정도의 충분한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는 조건, 및 해당 포장용기내에 다소의 비율의 액체를 함유하는 것과 같은 유연성/비압축성 내용물이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될 것을 조건으로 한, 모든 유형의 포장 용기에도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의 설명을 위해 선택된 평행 육면체 포장 용기(1)는, 실적으로 평탄한 상부면(2); 유사한 평탄 바닥면(도시하지 않음); 및 상호 직각으로 배치된 네 개의 실질적으로 평탄한 측면 패널(3)을 포함한다. 상기 포장 용기(1)는, 웹-형상의 유연성있는 포장 라미네이트의 접힘, 절단 및 밀봉 단계를 거쳐 생산되며, 상기 성형과정 중에 여분의 재료는 원래 공지된 방법으로 삼각형 모서리 날개(4) 형태로 펴지게 된다. 상기한 평탄 프레싱 공정후, 상기 포장 용기(1)의 상부 말단에 위치한 2개의 모서리 날개(4) 모두가 하향 절곡되어 양쪽 측면 패널(3)에 밀착되는 한편, 상기 포장 용기의 바닥 말단에 위치한 2개의 모서리 날개는 도면상에서는 안보이는 바닥면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날개들 중 하나만이 도 1에 나타나 있다.
많은 유사한 포장 용기에서와 같이, 포장 용기(1)는, 접힘 및 성형이 쉽도록 하기 위해 목적하는 패턴으로 분포되어 있는 다수의 접힘 또는 주름선(6)을 그 표면상에 갖는 라미네이트 포장재(5)로부터 생산된다. 상기 접힘선(6)은, 각각의 포장 용기로 재성형하기에 앞서, 암수 부품 (male 및 female parts) 형태로 목적하는 선형 패턴(pattern)을 보이는 2개의 롤러 사이로 상기 포장재를 통과시키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포장재(5)는, 열가소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로 된 비교적 얇은 플라스틱층(8, 9)으로 각 측면이 코팅된, 섬유 또는 종이재로된 비교적 두껴운 캐리어 또는 코어층(7)을 중심부에 포함한다. 상기 2개의 플라스틱층(8, 9)은 한편으로는 방수층으로 역할을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포장라미네이트를 개개의 포장 용기로 재성형함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플라스틱층 (8,9)이 상기 포장재를 열밀봉하는 데에 사용되기 때문에 밀봉재로서의 역할도 수행한다.
도 2B는, 예를 들면 도 1의 포장 용기(1)의 수직 모서리선(10) 중 하나의 단면에 상당하는, 상기 접힘선(6)을 따라 90°접은 후의 도 2A에 따른 종래 기술의 포장재를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접힘 공정후 상기 포장재(5)가 어떻게 비교적 펴진 상태의 모서리선(10)을 이루게 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는 바, 부분적으로는 상기 포장재(5)의 코어층(7)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한편, 상기 포장 용기를 목적하는 최종 평행 육면체로 만드는 과정에 현재 적용된 비교적 잘 정의되지 않은성형 공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전체적으로 불분명한 상기 모서리선(10) 형상은 포장 용기의 외관면에 부정적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유연성이 매우 큰 포장 구조에서의 "빔(beam)" 강화에 상기 모서리선(10)을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줄이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이 상기 도 1의 포장 용기에 적용되는 경우, 도 3에 나타낸 형태의 성형 장치(11)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성형 장치는, 다수의 상호 이동형 성형 부품; 실질적으로 장방형의 평면으로 된 상부 및 하부 성형 부품(12a, 12b); 및 실질적으로 U형 단면을 갖는 2개의 측방 성형 부품(13a, 13b)을 포함한다. 이들 성형부품들은, 상호간 이동가능하며, 개방위치로부터 폐쇄위치로(도 4에서 화살표로 나타냄) 및 그 반대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측방 성형 부품(13a, 13b)의 U 형상을 한정짓는 내부 한정면(14a, 14b)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단면이 장방형이고 형상 및 크기가 상기 포장용기(1)의 단면 형상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공간을 한정짓게 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성형 부품(12a, 12b)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측방 성형 부품(13a, 13b)에 의해 한정된 공간 쪽으로 이동하여 해당 부위에 들어맞음으로써, 상기 공간내에 위치한 포장 용기를 압축할 수 있게된다. 상기 성형 장치(11)의 상단 부분에는, 상호 이동 가능한 (예를 들면, 미끄럼 운동 또는 선회 운동) 다수의 접힘 부재 또는 가이드 부재 (15)가 제공되어 있어서, 한편으로는 상기 포장 용기(1)를 상기 성형 장치(11)에 넣고 빼기 쉽게 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성형 장치(11)에 의해 실시되는 양각선 새김 공정(접힘 스탬핑, fold stamping)과 관련하여 상기 포장 용기(1)의 부품들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성형 장치(11)에 포함된 측방 성형 부품(13)의 모서리를 통한 단면도이며, 예를 들면 실질적으로 원형과 같은 적합한 단면을 가지는 홈 (groove) 형태의 함몰부(recess, 16)가 상기 수직 모서리부를 따라 형성됨을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형상도 또한 가능하다. 상기 함몰부는, 폭이 1mm 내지 4mm 이며, 깊이는 폭의 0.4배 내지 1.2배 이다. 함몰부(16) 위치는, 상기 포장재(5)에 구비된 접힘선(6)과 일치하는 데, 이는 공정 중에 상기 포장 용기 (1)의 가장자리선 (10)이 위치해 있는 이의 수직 모서리를 따라 상기 성형 장치 (11)가 함몰부 (16)를 주로 나타나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필요시, 홈 형태 또는 다른 기하학적 표면 형태의 함몰부(16)를 상기 성형 장치(11)내의 기타의 다른 위치에 둘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손으로 잡는 포장용기 입구부를 표시 또는 보강하기 위한 부위, 상기 함몰부에 의한 강화부위, 및/또는 특별히 장식문양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부위 등을 들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공정에 따라 제조된 포장 용기(1)의 수직 모서리선(10) 일부의 포장재(5)를 통한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도면을 보게 되면,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종래 포장 용기의 경우(도 2B)에 비해 더욱 "예리한" 모서리를 나타내는 상기 모서리선(10)이 뚜렷하게 돌출 성형됨을 알 수 있다. 도 5에 따른 외관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후에 예를 들면 액상 내용물을 채워 밀봉한, 상기 포장 용기를 본 발명의 성형 장치(11)내에 투입함으로써 얻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포장 용기(1)는, 모서리 날개가 얹혀있는 가이드 레일 (guiderail)의 도움을 받아 삽입된다. 이로 인해, 포장 용기의 위치가 제대로 결정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성형 부품(13a, 13b)의 내부 한정면(14a, 14b)이 포장용기(1)의 측방 패널(3)과 접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성형 부품(12a, 12b)이 각각 작동하여 상기 포장용기(1)의 상부벽(2) 및 바닥면을 항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필요시, 상기한 상부 및 하부 성형 부품(12a, 12b)이 각각 포장용기(1)의 상부면(2) 및 바닥면과 맞닿음과 동시에, 포장용기(1)의 일부(예를 들면, 도면상 나타나지 않은 바닥면에 위치한 모서리 날개)가 상기 접힘 및 가이드 부재(15)의 도움을 받아 안내된다. 상부 및 하부 성형 부품(12a, 12b)은, 상기 성형부품(12, 13)에 의해 한정된 공간 체적이 상기 포장용기(1) (내용물이 채워진 포장재)가 수용할 수 있는 이론상 최소 체적의 100% 내지 110% (액체로 완전히 채워지지는 않은, 즉 소정량의 압축성 가스도 포함한 포장 용기일 경우는 더 낮은 비율)로 감소할 때까지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 상기 포장용기의 자유 공간의 감소시, 상기 코어층(7) 및 2개의 외측 플라스틱층(8, 9)의 변형에 의해 포장재(5)가 성형 장치(11)에 위치한 함몰부 즉, 홈(16) 속으로 밀려들어가게 됨으로써, 접힘선 또는 주름선(6)이 형성 및 보강되고 가장자리가 제대로 갖춰진 도 5의 외관을 이루게 된다. 짧은 시간동안 (대략 1초 정도) 상기 포장용기를 가압한 다음, 성형 장치(11)의 성형 부품들을 일단 재개방하여 해당 포장 용기를 성형 장치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성형 장치 (11)를 기존의 포장 및 주입기의 한 부분으로 둠으로써, 상기한 포장 용기의 고정은, 어떠한 속도 또는 생산율의 감소를 수반하지 않고서, 적정 생산 사이클의 일부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필요에 따라서는, 기능의 최적화를 목적으로 그 순서를 수정해도 무방하다. 상기한 평행 육면체 형상보다 더 복잡한 형상의 포장용기(1)에 양각선을 새기는 경우, 또는 상기 포장 용기가 비교적 높은 마찰계수의 외부면을 가지는 경우, 성형 공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성형기구(11)의 내부 한정면(14)을 작은 마찰계수의 재질 (예를 들면, 테트라 플루오로에텐)로 하는 것이 적합할 수 있다. 포장재 및 성형 장치(11)간의 이동을 더욱 쉽도록 하고, 포장재(5)가 최대한 상기 함몰부(16) 윤곽을 따라 성형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성형장치(11)에 공지의 진동 장치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가압 공정 중에 상기 성형 장치(11)에 진동을 가할 수 있다. 성형 장치(11)의 각 성형 부품(12, 13)을 진동시키면서 폐쇄시킬 수도 있다. 성형 장치(11)의 각기 상이한 부품들을 가이드 및 이동시키기 위한 배치 구조는 이미 알려져 있는 유형일 수 있으며, 이는 자명한 관계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포장 용기를 생산하는 유형의 포장 및 충전기에 있어서, 목적하는 제대로 한정된 이동을 확보하기 위해 캠(cam) 및 바(bar)를 사용하며, 이와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서로 다른 성형 부품(12, 13)의 바람직한 이동 패턴을 확보할 수 있다. 물론, 유압 또는 공압 수단 등의 기타의 기술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2개의 접힘 또는 가이드부재(15)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그 세부적 설계는 각기 다른 형태의 포장 용기에 양각선을 새기는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의 필요 조건에 맞도록 하면 된다. 상기 포장 용기가 밀봉핀 (sealing fin), 모서리 날개 등의 용이하게 접히지 않는 부위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접힘 또는 가이드 부재(15)는, 상기성형 장치(11)의 상이한 성형 부품(12, 13)을 폐쇄함에 있어 또는 폐쇄하기 이전에, 상기 성형 장치(11)에 의한 최종 가압 공정이 실시되기 전에 상기 포장재를 목적하는 최종위치 방향으로 두기 위해, 선회 또는 직선 이동을 이행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상기 양각선 새김 공정 (calibration operation)과 관련하여 모서리 날개 또는 밀봉핀의 열 접착을 실시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가압 작업 전에, 포장재(5) 외부의 열가소성층(8,9)에 대해 밀봉작업이 이루어질 정도의 연화 온도 범위까지 가열하는 데에 열풍 노즐(도시하지 않음) 또는 기타 발열 기구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 역시 해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술로서, 당업자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선택사항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본 취지 및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를 통해, 유연성 포장재로 된 포장용기에 있어서, 일종의 양각효과를 내는 곧고 견고한 윤곽선을 갖는 제대로의 각진 형상, 깔끔함 및 취급 편의성을 보장하는 후굴-성형 공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유연성 포장재(5)로 제조되고 유연성/비압축성 내용물을 담고 있는 밀봉 포장 용기(1)를,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포장 용기 (1)를 위한 자유 공간을 간단히 감소시키는 성형부품(12, 13)을 포함하는 성형 장치 (11)를 상기 포장 용기의 목적하는 최종 형상에 맞는 성형 장치(11)로 둘러쌈으로써, 상기 밀봉 포장 용기(1)를 후굴-성형하는 (즉, 상기 밀봉 포장 용기에 양각선을 새기는) 방법에 있어서,
    체적 감소시에 상기 포장재(5)의 일부분을 상기 성형 장치(11)내의 홈 또는 함몰부 (16)내로 압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엇서, 상기 포장 용기를 둘러싸는 것과 관련하여, 상기 성형 부품(12, 13)에 진동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개방 및 폐쇄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가동형 성형 부품(12, 13)을 갖는 성형장치(11)를 포함하는, 액상 내용물이 채워지며 유연성 포장재(5)로 제조된 밀봉 포장 용기(1)를 후굴-성형하기 위한 (즉, 상기 밀봉 포장 용기에 양각선을 새기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 부품(12, 13)에 의해 한정지어진 성형 공간의 한정면(14)이 상기 포장재(5)에 맞게 홈 또는 함몰부(16)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16)가 상기 포장재(5) 상의 접힘선(6)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장치(11)가 상기 포장재(5)를 위한 접힘 또는 가이드 부재(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 또는 가이드 부재(15)가 상기 성형 장치(11)에 대해 가동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703628A 1995-11-20 1996-11-05 포장용기에양각선을새기는방법및장치 KR1003744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504127-3 1995-11-20
SE9504127A SE507955C2 (sv) 1995-11-20 1995-11-20 Sätt och anordning för efterformning av förpackningsbehåll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602A KR19990067602A (ko) 1999-08-25
KR100374454B1 true KR100374454B1 (ko) 2003-07-16

Family

ID=20400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628A KR100374454B1 (ko) 1995-11-20 1996-11-05 포장용기에양각선을새기는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2) US6076335A (ko)
EP (1) EP0869903B1 (ko)
JP (1) JP3703848B2 (ko)
KR (1) KR100374454B1 (ko)
CN (1) CN1076694C (ko)
AT (1) ATE212931T1 (ko)
AU (1) AU7658796A (ko)
BR (1) BR9611600A (ko)
DE (1) DE69619134T2 (ko)
HU (1) HUP9901196A3 (ko)
MX (1) MX9803759A (ko)
RU (1) RU2165876C2 (ko)
SE (1) SE507955C2 (ko)
TR (1) TR199800881T2 (ko)
UA (1) UA52626C2 (ko)
WO (1) WO19970189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70784A1 (it) * 2007-11-27 2009-05-28 Gd Spa Metodo ed unita per il trattamento degli spigoli di un incarto soffice.
SE533904C2 (sv) * 2008-07-22 2011-03-01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örpackningsmaskin och förpackningsförfarande
KR20130027713A (ko) * 2011-09-08 2013-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장 상자 및 그 제조 방법
EP2857316A4 (en) * 2011-09-13 2015-09-16 Pack Save Planet S L METHOD AND MACHINES FOR TRANSFORMING INITICALLY SEALED PACKAGING INTO IRREGULAR CUBE OR POLYEDRIC PACKAGING BY MEANS OF SEALING AND CUTTING VALVES
CN106864781A (zh) * 2017-04-05 2017-06-20 广东合捷国际供应链有限公司 一种吨袋自动整形机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87178B (de) * 1963-05-09 1965-02-11 Holstein & Kappert Maschf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Quaderpackungen
BE756290A (fr) * 1969-09-17 1971-03-01 Sobrefina Sa Installation pour le moulage d'une piece de
SE362399B (ko) * 1971-08-06 1973-12-10 Tetra Pak Int
IT988119B (it) * 1973-02-13 1975-04-10 Dominici Antonio Dispositivo automatico di formatu ra trasporto e scarico di conteni tori di imballaggio
CH601073A5 (ko) * 1975-11-04 1978-06-30 Anders Ruben Rausing
DE3140336C2 (de) * 1981-10-10 1985-05-02 Altstädter Verpackungsvertriebs Gesellschaft mbH, 6102 Pfungstadt Packung für fließfähige Füllgüter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der Packung
ATE119830T1 (de) * 1988-08-01 1995-04-15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Flexibles verpackungsmaterial in folien- oder bahnform.
US4922688A (en) * 1989-05-25 1990-05-08 H. J. Langen & Sons Limited Load settling mechanism for carton loading machines
SE502398C2 (sv) * 1991-03-07 1995-10-16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Kantförstärkt förpackningsbehållare
NL9100430A (nl) * 1991-03-11 1992-10-01 Sara Lee De N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bewerken van een met korrelig materiaal gevuld vacuuempa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9903A1 (en) 1998-10-14
UA52626C2 (uk) 2003-01-15
JP3703848B2 (ja) 2005-10-05
DE69619134T2 (de) 2002-07-18
BR9611600A (pt) 1999-04-06
SE9504127D0 (sv) 1995-11-20
CN1076694C (zh) 2001-12-26
SE507955C2 (sv) 1998-08-03
DE69619134D1 (de) 2002-03-21
US6266947B1 (en) 2001-07-31
KR19990067602A (ko) 1999-08-25
RU2165876C2 (ru) 2001-04-27
EP0869903B1 (en) 2002-02-06
CN1202139A (zh) 1998-12-16
SE9504127L (sv) 1997-05-21
AU7658796A (en) 1997-06-11
HUP9901196A3 (en) 2000-06-28
TR199800881T2 (xx) 1998-07-21
WO1997018995A1 (en) 1997-05-29
US6076335A (en) 2000-06-20
MX9803759A (es) 1998-09-30
HUP9901196A2 (hu) 1999-08-30
ATE212931T1 (de) 2002-02-15
JP2000501051A (ja) 2000-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34654B2 (ja) 薄板材からなるケース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HU210501B (en) Forming apparatus for packing-machine
US20090152333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Board Tray, a Blank for the Tray, and a Tray Obtained by the Method
KR102412499B1 (ko) 포장에 대한 개선 또는 관련사항
US326339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packages
KR100374454B1 (ko) 포장용기에양각선을새기는방법및장치
US5353932A (en) Video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RU2309102C2 (ru) Коробка для табачных изделий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0158530A (ja) 中空合成樹脂板及びその端面処理方法並びにその装置
CN108688924B (zh) 一种包装材料以及提供这种包装材料的方法
US4078037A (en) Production of composite products
RU98111748A (ru) Способ калибровки упаковочных контейнер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146019B2 (ja) 包装装置の成形型
CN101279655B (zh) 可再封闭的包装袋及制造这种包装袋的方法
JP4126956B2 (ja) 紙製絞り成形品の成形加工方法と該加工方法により作製した紙製絞り成形品並びに該成形品からなる被せ蓋
US6471629B1 (en) Tooling for forming packaging from unitary blanks
JP2000203508A (ja) パッケ―ジ製造方法
JP2000210179A (ja) 紙製トレ―
FR2652062B1 (fr) Emballage a soufflets en carton, carton ondule ou autre materiau en feuille et flan correspondant.
JP4338245B2 (ja) パッケージ製造方法及びパッケージ
JP7011398B2 (ja) 化粧品収納用包装体
WO1999028192A1 (en) Tooling for forming packaging from unitary blanks
JPH0449642Y2 (ko)
JP2004122410A (ja) 紙シート成形体
JPH0575125U (ja) 包装用紙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