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2616B1 -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2616B1
KR100372616B1 KR10-2000-0051659A KR20000051659A KR100372616B1 KR 100372616 B1 KR100372616 B1 KR 100372616B1 KR 20000051659 A KR20000051659 A KR 20000051659A KR 100372616 B1 KR100372616 B1 KR 100372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blades
vertical
ai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1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375A (ko
Inventor
김정석
Original Assignee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만도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1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616B1/ko
Publication of KR20020018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본체의 공기토출구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하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블레이드들과, 상기 수직블레이드들과 직교되도록 위치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수평링크와,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공기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은 2개 이상의 수평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상부블레이드부와 하부블레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레이드부와 하부블레이드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부수직링크 및 하부수직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수직링크와 하부수직링크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부수평모터 및 하부수평모터가 구비되고, 사용자의 환경에 따른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수평모터 및 하부수평모터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됨으로써, 원거리냉방 시에나 광역냉방 시에 토출된 공기의 도달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어 냉방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ind direction of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자세하게는 수평블레이드들을 상부블레이드부와 하부블레이드부로 나누고, 이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를 집중화시킴으로써, 토출된 공기의 도달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어 원거리냉방 시에나 광역냉방 시에 냉방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이나 온풍기 등과 공기의 온도변화를 이용하여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기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기(heat exchanger)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한 후, 냉각 또는 가열된 냉기나 온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냉각사이클(cooling cycle)을 이용하여 실내를 냉방하는데 사용되는 에어컨은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er)에서 액화된 후, 팽창밸브(expansion valve) 또는 모세관(capillary tube)을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흡수되는 냉매의 기화열에 의해 냉각작용을 수행하는 공기조절기이다.
상기와 같은 패키지 에어컨은 소음문제와 설치조건 등을 고려하여 증발기가 내장된 실내기와 응축기 및 압축기 등의 전장품들이 내장된 실외기로 분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에는 이와 같은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는데, 이것은 캐비닛(cabinet:C)의 내부 상측에 실외기(도시않됨)와 연결되는 증발기(E)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 실내공기를 순환시키는 시로코팬(sirocco fan:F)이 설치되어구성된다.
이에 따라 실내의 공기가 팬(F)에 의해 캐비닛(C)의 흡입그릴(inlet grill:G1)로 흡입되어 증발기(E)를 통과하면서 냉각된 뒤, 캐비닛(C)의 토출그릴(outlet grill:G2)를 통해 다시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실내를 냉각시키게 된다.
한편 실내의 균일하고 쾌적한 냉방을 위해서는 토출되는 냉기가 전부위로 고르게 분산되어야 하는 바, 실내기의 토출그릴(G2)은 통상 토출공기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에는 이를 위한 종래의 풍향조절장치를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그릴(G2)의 수평 및 수직 블레이드(blade:2,3)들을 캐비닛(C)의 공기토출구멍(H)내에 설치된 프레임(frame: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뒤, 각 수평 및 수직 블레이드(2, 3)들을 수직 및 수평 링크(link:4, 5)로 각각 연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또한 어느 한 수평 및 수직 블레이드(2, 3)를 수평 및 수직모터(motor:6, 7)로 각각 정역구동시킴으로써, 각 수평 및 수직 블레이드(2, 3)들이 동시에 일정각도 범위 내에서 반전하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풍향조절장치는 토출공기가 근거리나 중거리 냉방시에는 효과적이나 원거리냉방이나 광역냉방 시에는 토출공기가 필요한 도달거리까지 미치지 못하여 냉방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을 상부블레이드부와 하부블레이드부로 나누고, 이들을 별개로 제어하여 공기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를 집중화시킴으로써, 토출된 공기의 도달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어 원거리냉방 시에나 광역냉방 시에 냉방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에는 일반적인 패키지 에어컨의 실내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가 도시된 도면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도 5 또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의 제어부의 제어가 일어나는 과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 6 또는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제어부 210 ; 하부수평모터
220 ; 상부수평모터 230 ; 하부수직링크
240 ; 상부수직링크 252 ; 하부수평블레이드부
254 ; 상부수평블레이드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공기토출구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하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블레이드들과, 상기 수직블레이드들과 직교되도록 위치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수평링크와,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은 2개 이상의 수평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상부블레이드부와 하부블레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블레이드부와 하부블레이드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부수직링크 및 하부수직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수직링크와 하부수직링크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부수평모터 및 하부수평모터가 구비되고, 시용자의 환경에 따른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수평모터 및 하부수평모터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된 것이다.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5 또는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의 제어부의 제어가 일어나는 과정이 도시된 흐름도이고, 도 6 또는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100)는 본체의 공기토출구에 설치되는 프레임(미도시)과,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하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블레이드들(330)과, 상기 수직블레이드들(330)과 직교되도록 위치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수평링크(320)와, 상기 수평링크를 구동시키는 수직모터(310)와,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공기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2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250)은 2개 이상의 수평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상부수평블레이드부(254)와 하부수평블레이드부(25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수평블레이드부(254)와 하부수평블레이드부(252) 각각의 일측에 직교되도록 위치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부수직링크(240) 및 하부수직링크(23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수직링크(240)의 조절을 통해 상부수평블레이드부(254)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상부수직링크(240)의 상단에는 상부수평모터(220)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수직링크(230)의 조절을 통해 하부수평블레이드부(252)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하부수직링크(230)의 하단에는 하부수평모터(2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시용자의 환경에 따른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수평모터(220) 및 하부수평모터(210)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부(20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를 사용하여 원거리냉방이나 광역냉방을 하고자 하면, 우선 에어컨의 본체에 구비되어 있는 입력부나 리모콘을 이용하여 운전을 선택한다.
이후, 상기 선택된 운전에 대한 신호가 제어부에 입력되면 제어부는 이에 대응되게 상기 상부수평모터와 하부수평모터를 제어하게 된다.
우선, 원거리냉방 시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상부수평모터(220)와 하부수평모터(210)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수평블레이드부(254)는 시계방향으로 15°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하부수평블레이드부(252)는 원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30°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 후, 이 상태에서 냉방운전을 지속시킨다.
이후, 30분이 경과하면 제어부(200)는 상기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250)이 동시에 일정각도 범위에서 반전되도록 제어하면서 정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통상적인 냉방운전을 진행시킨다.
또한, 광역냉방 시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상부수평모터(220) 및 하부수평모터(210)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수평블레이드부(254)는 수평고정되고, 상기 하부수평블레이드부(252)는 원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30°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 후, 이 상태에서 30분간 냉방운전을 지속시킨다.
이후, 30분이 경과하면 제어부(200)는 상기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250)이 동시에 일정각도 범위에서 반전되도록 제어하면서 정지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통상적인 냉방운전을 진행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100)를 제어하면, 토출된 공기가 집중화되면서 토출된 공기의 도달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어 원거리냉방시에나 광역냉방시에 냉방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수평블레이드들을 상부블레이드부와 하부블레이드부로 나누고, 이들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출된 공기의 도달거리를 확장시킬 수 있어 원거리냉방시에나 광역냉방시에 냉방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본체의 공기토출구에 설치되는 프레임과, 수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하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다수 개의 수직블레이드들과, 상기 수직블레이드들과 직교되도록 위치되어 이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수평링크와,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공기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은 2개 이상의 수평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상부수평블레이드부와 하부수평블레이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수평블레이드부와 하부수평블레이드부 각각을 일체로 연결하는 상부수직링크 및 하부수직링크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수직링크와 하부수직링크 각각을 구동시키기 위한 상부수평모터 및 하부수평모터가 구비되고,
    시용자의 환경에 따른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수평모터 및 하부수평모터의 회전각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광역냉방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수평모터 및 하부수평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수평블레이드부는 원상태 그대로 고정되고, 상기 하부수평블레이드부는 원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30°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이 동시에 일정각도 범위에서 반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원거리냉방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상부수평모터 및 하부수평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상부수평블레이드부는 시계방향으로 15°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상기 하부수평블레이드부는 원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30°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다수 개의 수평블레이드들이 동시에 일정각도 범위에서 반전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KR10-2000-0051659A 2000-09-01 2000-09-01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KR100372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659A KR100372616B1 (ko) 2000-09-01 2000-09-01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1659A KR100372616B1 (ko) 2000-09-01 2000-09-01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375A KR20020018375A (ko) 2002-03-08
KR100372616B1 true KR100372616B1 (ko) 2003-02-19

Family

ID=19686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1659A KR100372616B1 (ko) 2000-09-01 2000-09-01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6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32307B (zh) * 2021-10-13 2023-10-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柜式空调室内机及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375A (ko) 200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1287502A (ja) 空気調和機
JP3410859B2 (ja) 空気調和機
JPH03279728A (ja) 空気調和装置
JP2004131033A (ja) 空調装置
JPH0684839B2 (ja) 空気調和機
KR100372616B1 (ko) 에어컨의 풍향조절장치
KR20040069711A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난방 과부하운전 제어방법
JP3488763B2 (ja) 空気調和機
JP3380384B2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JPH08178393A (ja) 空気調和装置
KR100502300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풍량 조절방법
JP3281201B2 (ja) 空気調和機
JP4183321B2 (ja) 空気調和機
JPH05141751A (ja) 空気調和機
JPH10274448A (ja) 空調装置
KR200186861Y1 (ko) 철도 차량용 에어컨의 압축기 제어장치
CN215723664U (zh) 空调器室内机
JP3431719B2 (ja) 電気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1235238A (ja) ヒートポンプ式空調装置
JPH08254344A (ja) 空気調和装置の運転制御方法
JPH05270253A (ja) 空気調和装置
JPH06265199A (ja) 空気調和機の送風制御装置
JPH10103791A (ja) 冷凍サイクル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459365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컨의 풍향 조절 제어 방법
KR200149843Y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