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746B1 -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746B1
KR100371746B1 KR10-1999-0034080A KR19990034080A KR100371746B1 KR 100371746 B1 KR100371746 B1 KR 100371746B1 KR 19990034080 A KR19990034080 A KR 19990034080A KR 100371746 B1 KR100371746 B1 KR 100371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clock
digital
input
anal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4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8217A (ko
Inventor
곽진석
장대영
강경옥
김성한
홍진우
임영권
김진웅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1999-00340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7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8Multichannel audio signal coding or decoding using interchannel correlation to reduce redundancy, e.g. joint-stereo, intensity-coding or matrix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2Blocking, i.e. grouping of samples in time; Choice of analysis windows; Overlap fac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6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a plurality of audio signals are transformed in a combination of audio signals and modulated signals, e.g. CD-4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여러 채널의 오디오 입력신호를 다중화 하는 경우, 먼저 각 오디오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고려하여 표본화를 수행한 뒤, 각각 서로 다른 표본화 주파수로 변환된 여러 개의 오디오 신호를 다시 하나의 동일한 표본화 주파수로 변환하여 다중화 함으로써,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다중화된 다채널 오디오 입력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각 4개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스테레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디지털 오디오 수신 수단에서 얻어진 클록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중에서 하나의 클록을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클록을 이용하여 수신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의 표본화 주파수를 변환하는 수단과, 수신 또는 표본화 주파수가 변환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유효한 데이터만을 선택해서 다중화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Multi-channel audio multiplexing apparatus for multimedia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여러 채널의 오디오 입력신호를 다중화 하여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입력 신호로 사용하는 경우,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다중화 하는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채널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다중화를 위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및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모두 동일한 하나의 표본화 주파수를 사용하여 표본화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표본화 기술은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가 오디오 신호와 음성신호로 구성되는 경우, 음성 신호의 표본화에 필요 이상으로 높은 표본화 주파수를 사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표본화된 음성 신호의 부호화에 많은 비트가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여러 채널의 오디오 입력신호를 다중화 하는 경우, 먼저 각 오디오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고려하여 표본화를 수행한 뒤, 각각 서로 다른 표본화 주파수로 변환된 여러 개의 오디오 신호를 다시 하나의 동일한 표본화 주파수로 변환하여 다중화 함으로써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는, 각각 4개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스테레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과, 디지털 오디오 수신 수단에서 얻어진 클록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중에서 하나의 클록을 선택하는 수단과, 선택된 클록을 이용하여 수신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의 표본화 주파수를 변환하는 수단과, 수신 또는 표본화 주파수가 변환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유효한 데이터만을 선택해서 다중화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방법은,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제 1단계; 제 1 단계에서 첫번째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때 얻어지는 클록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중에서 하나의 클록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클록을 이용하여 첫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신호를 표본화 하는 제 3 단계;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클록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네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신호를 표본화 하는 제 4 단계;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클록과 제 3 단계에서 첫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표본화할 때 얻어지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동일한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 하는 제 5 단계; 제 2 단계에서 얻어진 클록과 제 3 단계에서 첫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표본화할 때 얻어지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5 단계에서 얻어지는 표본화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응용 분야중 다채널 오디오 영상 부호화 방식의 일 실시예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도 2의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에 적용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수신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여러 응용 분야 중 하나의 적용 예에 대한 시스템 구성도로서,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각각 4개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채널은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101)에 의해 다중화 된다.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101)에서 다중화된 오디오 입력신호는 다채널 오디오 코덱(102)에 의해 부호화 및 복호화된 뒤, 복호화된 오디오 출력 신호는 다중화 되어 다채널 오디오 역다중화 장치(103)로 출력된다. 마지막으로 다채널 오디오 역다중화 장치(103)는 다채널 오디오 코덱(102)에서 입력되는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를 역 다중화하여 외부의 스피커로 출력한다.
도 2는 도 1의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에서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먼저, 다중화하기 위해 입력되는 각각 4개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4개의 오디오 수신장치(201, 202, 203, 204)에 차례대로 입력된다. 이때 오디오 수신장치(201)에서 얻어진 데이터 a1은 클록 선택 및 다중화 장치(206)로 입력되고, 클록은 클록 선택 및 다중화 장치(206) 내부의 클록 선택 장치로 입력된다. 클록 선택 및 다중화 장치(206) 내부의 클록 선택 장치는 오디오 수신장치(201)에서 얻어진 클록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중에서 하나를 선택한 뒤, 선택된 클록을 오디오 수신장치(201, 202, 203, 204)와 표본화 주파수 변환장치(205)로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 수신장치(204)로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주파수가 변환된 클록이 입력되며, 오디오 수신장치(204)는 주파수가 변환된 클록을 입력으로 하여 데이터 a4와 동기신호 a4를 표본화 주파수 변환장치(205)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오디오 수신장치(201)에서 얻어진 동기신호 a1이 오디오 수신장치(201, 202, 203, 204), 표본화 주파수 변환장치(205), 그리고 클록 선택 및 다중화 장치(206)로 출력된다. 클록 선택 및 다중화 장치(206) 내부의 클록 선택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클록과 오디오 수신장치(201)에서 출력되는 동기신호 a1을 입력으로 하여, 오디오 수신장치(201)는 데이터 d1을, 오디오 수신장치(202)는 데이터 a2 및 데이터 d2를, 오디오 수신장치(203)는 데이터 a3 및 데이터 d3을, 오디오 수신장치(204)는 데이터 d4를, 표본화 주파수 변환장치(205)는 데이터 a4를 클록 선택 및 다중화 장치(206)로 각각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클록 선택 및 다중화 장치(206)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오디오 수신장치(201, 202, 203, 204) 및 표본화 주파수 변환장치(205) 각각으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여 다중화한 뒤, 다중화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도 3은 도 2의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의 구성 요소 중에서 오디오 수신장치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먼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입력은 디지털 오디오 수신장치(301)로 입력된다. 디지털 오디오 수신장치(301)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클록 d, 동기신호, 데이터를 발생시켜 표본화 주파수 변환장치(303)로 출력한다. 표본화 주파수 변환장치(303)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동기신호 d에 따라 데이터를 다시 표본화 한 뒤, 재 표본화 된 데이터 d를 외부로 출력한다. 이때, 디지털 오디오 수신장치(301)에서 얻어진 클록 d가 함께 외부로 출력된다. 다음으로,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입력은 아날로그 오디오 수신장치(302)로 입력된다. 아날로그 오디오 수신장치(302)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a와 동기신호 a에 따라 표본화 된 데이터 a를 외부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를 이용한 다중화 방법을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단계,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제 2 단계, 상기 제 1 단계에서 첫번째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때 얻어지는 클록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중에서 하나의 클록을 선택한다.
제 3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클록을 이용하여 첫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신호를 표본화한다.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클록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네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신호를 표본화한다.
제 5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선택된 클록과 제 3 단계에서 첫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표본화 할 때 얻어지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동일한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한다.
제 6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얻어진 클록과 제 3 단계에서 첫번째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표본화할 때 얻어지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제 5 단계에서 얻어지는 표본화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으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갖는 여러 채널의 오디오 입력신호를 다중화 하는 경우, 먼저 각 오디오 입력 신호의 대역폭을 고려하여 표본화를 수행한 뒤, 각각 서로 다른 표본화 주파수로 변환된 여러 개의 오디오 신호를 다시 하나의 동일한 표본화 주파수로 변환하여 다중화 함으로써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부호화 장치의 부호화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는 다중화된 다채널 오디오 입력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복수개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스테레오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상기 디지털 오디오 수신 수단에서 얻어진 클록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중에서 하나의 클록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선택된 클록을 이용하여 수신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의 표본화 주파수를 변환하는 수단; 및
    상기 수신 또는 표본화 주파수가 변환된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데이터만을 선택해서 다중화 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2. 복수개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 각각을 수신하는 제 1 단계;
    상기 복수개의 신호 중 하나인 제 1 디지털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때 얻어지는 클록과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클록 중에서 하나의 클록을 선택하는 제 2 단계;
    상기 선택된 클록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을 표본화하는 제 3 단계;
    상기 선택된 클록과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표본화할 때 얻어지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신호 이외의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들 중에서 동일한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하려고 하는 아날로그 입력신호들을 동일한 표본 주파수로 표본화 하는 제 4 단계;
    상기 선택된 클록의 주파수를 변환하여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신호 및 동일한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된 아날로그 오디오 입력 신호이외의 아날로그 입력신호들을 변환된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하는 제 5 단계;
    상기 선택된 클록과 상기 제 1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표본화할 때 얻어지는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하나의 동일한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동기신호를 이용하여 표본화된 디지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다중화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방법.
KR10-1999-0034080A 1999-08-18 1999-08-18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 KR10037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80A KR100371746B1 (ko) 1999-08-18 1999-08-18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4080A KR100371746B1 (ko) 1999-08-18 1999-08-18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217A KR20010018217A (ko) 2001-03-05
KR100371746B1 true KR100371746B1 (ko) 2003-02-11

Family

ID=19607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4080A KR100371746B1 (ko) 1999-08-18 1999-08-18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7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45A (ja) * 1992-05-04 1994-02-01 Agfa Gevaert Ag 胸郭x線写真のための補償フイルター
US5638451A (en) * 1992-07-10 1997-06-10 Institut Fuer Rundfunktechnik Gmbh Transmission and storage of multi-channel audio-signals when using bit rate-reducing coding methods
KR970055611A (ko) * 1995-12-23 1997-07-31 양승택 병렬 디지탈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오디오 부호화기
KR970056393A (ko) * 1995-12-22 1997-07-31 양승택 비동기 전달방식 교환기에서의 지능적 셀폐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945A (ja) * 1992-05-04 1994-02-01 Agfa Gevaert Ag 胸郭x線写真のための補償フイルター
US5638451A (en) * 1992-07-10 1997-06-10 Institut Fuer Rundfunktechnik Gmbh Transmission and storage of multi-channel audio-signals when using bit rate-reducing coding methods
KR970056393A (ko) * 1995-12-22 1997-07-31 양승택 비동기 전달방식 교환기에서의 지능적 셀폐기 방법
KR970055611A (ko) * 1995-12-23 1997-07-31 양승택 병렬 디지탈 신호처리기를 이용한 오디오 부호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8217A (ko) 2001-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1185B2 (ja) 複数のオーディオ・ストリームをマージ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AU20012885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a transmission bit rate in a statistical multiplexer
JPH0191541A (ja) 多チヤンネルpcm音楽放送システム
KR19990071737A (ko) 송신장치,수신장치,송수신장치,전송장치및전송방법
CN105681819B (zh) 信号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系统
US5761209A (en) Method of transmitting digital signals, transmitter and receiver used therefor
US20040064324A1 (en) Bandwidth expansion using alias modulation
RU2172557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US7702005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or receiving audio data of a plurality of audio sources through a single SPDIF link, and related apparatus
Caine et al. NICAM 3: near-instantaneously companded digital transmission system for high-quality sound programmes
KR100371746B1 (ko) 멀티미디어용 다채널 오디오 다중화 장치 및 방법
AU773996B2 (en) Sound switching device
CN103177725A (zh) 用于输送对齐的多通道音频的方法和设备
JP2000115103A (ja) デ―タ送信装置及びデ―タ受信装置
JPH11298999A (ja) 多チャンネルpcm音声信号伝送方式
KR970009231A (ko) 다채널 디지탈 위성방송 수신기 및 그 제어방법
US20230396711A1 (en) High density dect based wireless audio system
JPS61281728A (ja) 広帯域放送システム
KR100194917B1 (ko) 고선명 텔레비젼의 음성신호 출력선택회로 및 방식
KR101018110B1 (ko) 오디오신호 포맷의 동기화 장치 및 방법
KR960013662B1 (ko) 광케이블티비(catv) 전송 시스템에서의 복호장치
JP2707990B2 (ja) ディジタル信号伝送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送信装置と受信装置
JPH06276163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925811B2 (ja) 音声チャンネルデータの受信再生方式
KR960003627B1 (ko) 서브 밴드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난청자용 복호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