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579B1 -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579B1
KR100371579B1 KR10-2000-0080482A KR20000080482A KR100371579B1 KR 100371579 B1 KR100371579 B1 KR 100371579B1 KR 20000080482 A KR20000080482 A KR 20000080482A KR 100371579 B1 KR100371579 B1 KR 100371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materials
building
construction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061A (ko
Inventor
이일희
Original Assignee
이일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일희 filed Critical 이일희
Priority to KR10-2000-0080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579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0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0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5Hot pressing, e.g. of ceram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2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combined with vibrating or jol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30Mixed waste; Waste of undefined composition
    • C04B18/305Municipal was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04B33/132Waste materials; Refuse; Residues
    • C04B33/135Combustion residues, e.g. fly ash, incineration waste
    • C04B33/1355Incineration residues
    • C04B33/1357Sewage sludge ash or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모래 주물틀, 광물, 유리, 금속, 폐도기등을 가공한 후 발생되는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하여 각종 항만 방파제 및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축 폐자재와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 및 모래, 자갈을 혼합하여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폐슬러지 10%∼70%에 분쇄된 건축 폐자재 30%∼90%를 혼합하여 벽돌, 패널, 블럭, 수로관 등의 제품을 제조하게 됨으로서 한정된 자원인 광물 및 천연 토목건축자재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아울러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재활용하게 됨으로 매립에 의하여 발생되는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Construction materials and related manufacturing method in use of waste materials}
본 발명은 각종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축 폐자재와 산업현장에서 가공시 발생하는 모래 주물틀, 광물, 유리, 플라스틱, 모래, 자갈등의 폐슬러지를 혼합하여 토목 및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종 건축 폐기물 중 5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폐콘크리트, 폐유리, 폐규사, 폐도기, 폐알루미늄, 폐플라스틱 등의 건축 폐자재와 폐슬러지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각종 토목,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건축현장에서 발생되는 폐기물을 재활용하고, 건축 폐자재를 매립함으로 발생되는 환경오염과 폐기처리시 발생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발명된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공장, 아파트, 빌딩 등의 건축물을 재 건축하기 위해 기존에 건축된 건물을 해체한 후 다시 새로운 건물을 신축하게 되는데 해체한 건축 폐기물을재활용하지 못하고 매립 및 소각하게 되며,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폐슬러지를 매립 또는 방치하게 되므로 토양오염과 침출수에 의한 수질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최근에는 건축 폐자재가 약 10,000∼15,000ton/day 정도 발생되어 매립지 확보에 대한 어려움등 각종 환경측면에서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각종 건축 폐기물중 약 50% 이상을 폐콘크리트가 차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미래에는 토목, 건축시공시 새로운 땅에 신축하기보다는 기존의 건축 구조물을 폐기하고 재건축하는 비율이 점점 커지게 되므로 발생되는 건축 폐자재 처리가 건축물을 신축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각종 토목 및 건축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축 폐자제와 산업현장에서 모래 주물틀, 광물, 유리, 플라스틱을 가공시 발생되는 폐슬러지를 혼합하여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폐슬러지 10%∼70%에 분쇄된 건축 폐자재 30%∼90%를 혼합하여 인조대리석, 벽돌, 패널, 블럭, 수로관, 보도블럭, 옹벽패널 등의 제품을 제조하게 됨으로서 한정된 자원인 광물 및 천연 토목건축자재를 절약할 수 있으면서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폐슬러지를 재활용 할 수 있도록 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자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제조공정 블럭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 폐자재와 폐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을 상세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거된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의 종류에 따라 그 성분을 검토하여 분류 및 세척, 건조한 후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5mm이하로 각각 분쇄하는 분쇄공정과;
상기 5mm이하로 분쇄된 폐슬러지와 분쇄된 건축 폐자재를 입도별로 각각 선별하는 선별공정과;
상기 선별된 폐슬러지 중량22.5%와 분쇄된 폐합성수지 중량15%, 폐콘크리트 42.5%로된 건축 폐자재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량20%를 혼합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된 원료를 제품 성형몰드에 채워 진동(vibration)을 가한 후 200t 용량의 유압 프레스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5∼30분간 가열 가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압축된 성형물을 건조로에 넣고 30℃∼90℃의 온도로 10∼50분간 양생하는 양생공정과,
상기 양생된 토목, 건축자재의 표면을 연마하고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가공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토목, 건축자재 패널공정 이외에도 상기공정을 기초로 하여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각각 분류하여 몇가지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폐슬러지와 폐 건축자재를 이용한 벽돌의 제조공정
산업현장에서 제품가공시 발생된 광물, 유리, 플라스틱, 돌조각, 대리석 또는 주물 금형으로 사용되는 모래등의 폐슬러지를 종류에 따라 수거후 세척, 건조한 다음 그 성분을 검토하여 분쇄한 폐슬러지 10%∼70%와 적정비율로 분쇄된 콘크리트60%, 폐유리 25%, 폐합성수지 15%로 혼합된 폐건축 자재 30%∼90%의 비율로 혼합한 후, 이들 폐슬러지 및 폐콘크리트 배합물에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량(5중량% 미만)의 규사를 첨가하여 통상의 벽돌 몰딩에 채운 후 유압프레스를 통하여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30분간 가압 성형하였다.
상기 유압 프레스로 가압 성형후 약800∼1000℃의 건조로에서 약1시간 동안 가열 경화 시켜 벽돌을 성형하였다.
이때 폐슬러지와 폐콘크리트 혼합공정에서 원하는 안료(색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벽돌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를 수분함수량 및 그 성분에 따라 폐슬러지와 폐콘크리트를 적정비율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되어진 배합물을 상기의 여러 공정을 통하게 되면, 일반의 건축자재 보다 대체적으로 10-20% 가벼우면서도 그 강도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내화 벽돌을 얻을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폐슬러지와 폐건축자재를 이용한 패널 제조공정
수거된 폐슬러지를 종류 따라 그 성분을 검토하여 분쇄한 폐슬러지 10%∼80%와 적정비율로 분쇄된 콘크리트 40%, 폐유리 30%, 폐합성수지 30%로 혼합된 폐건축 자재 20%∼90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 파우더10%의 비율로 혼합한 후, 상기 혼합된 원료를 각종 성형 몰드에 채우고 200t 용량의 유압 프레스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5∼30분간 가열 가압하여 1차 패널을 압축 성형한다.
이때 폐슬러지 10%∼70%와 건축 폐자재 20%∼80%를 혼합하여 제품 성형몰드에 넣고 상부에 폴리에스테르 수지 파우더 10%를 뿌린 후 약5∼30분간 진동시키면 폐스러지와 건축 폐자재의 입자 크기는 5mm이하로 파쇄된 관계로 파우더로된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알갱이와 알갱이 사이로 메워진 상태로 프레스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5∼30분간 가열 가압하여 패널을 압축 성형함으로서 폴리에스테르수지는 용해되어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포삽한 상태로 성형된다.
상기 압축된 성형물을 건조로에 넣고 30℃∼90℃의 온도로 10∼50분간 동안 양생공정을 거친다.
상기 양생된 패널의 표면을 연마하고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가공 공정을 거쳐 건축자재 패널을 완성한다.
상기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혼합공정에서 원하는 안료(색소)를 첨가하여 색깔을 갖는 패널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한 인조대리석 패널 제조공정
수거된 폐슬러지의 종류에 따라 그 성분을 검토하여 분류하고, 폐콘크리트, 폐플라스틱, 폐유리(규사), 폐도기, 폐알루미늄 등으로된 건축 폐자재를 종류에 따라 분류 및 세척한 후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실시예1 및 실시예2에서와 같이 각각 5mm 이하로 분쇄한다.
상기 분쇄된 폐슬러지와 분쇄된 건축 폐자재를 선별기를 거쳐 협잡물과 불순물을 각각 선별하여 분류한다.
상기 선별된 폐슬러지 중량 10%∼80%와 분쇄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폐콘크리트 40%, 폐유리 15%, 폐 알루미늄 5%, 폐도기 15%, 탄산칼슘 5%,안료 5% 로된 건축 폐자재 20%∼90%를 혼합한다.
상기 혼합된 원료를 각 성형몰드에 채우고 200t 용량의 유압 프레스로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기에서 5∼30분간 진동하면서 가열 가압한다.
상기 압축된 인조 대리석 패널을 건조로에 넣고 40℃∼90℃의 온도로 10∼50분간 가열 경화시켜 양생하였다.
상기 양생된 토목 및 건축자재 표면을 연마하고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가공 공정을 실시하면 제품이 완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예시된 방법에 의하여 건축자재를 생산하는 것에 만 한정하지 않고 벽돌, 패널, 대리석과 같은 건축자재외에도 유압 프레스로 성형되어진 반제품에 양생공정의 전단계에서 유약을 도포시키게 되면 건축타일을 제조할 수가 있게된다. 또한 토목현장에서 사용하는 터널 내벽거푸집, 용배수로 관, 보도블럭을 효과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편의상 건축자재의 제조방법에 국한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산업폐기물의 일종인 폐슬러지의 성분에 따라 폐규사, 폐플라스틱, 탄산칼슘, 폐유리, 폐도기, 폐알루미늄 등으로 된 건축 폐자재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분쇄, 선별, 혼합, 프레스 성형(반제품), 양생, 표면가공, 규격별 절단(완제품)등의 제반공정을 통하여 각종 벽돌, 거푸집, 블럭, 용배수로 관(흄관), 옹벽 블럭, 보도블럭, 타일, 인조대리석, 경계블럭, 해안 방조제, 방파제 등의 각종 건축자재 제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권리주체이다. 이와 같은 제조방법을 응용하여 원료의 혼합, 성형, 양생 및 가공조건을 일부 달리하여 각종 건축자재 및 타일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동일범주에 속하는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최근에 들어 가장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처리 곤란한 폐슬러지를 재활용 할 수 있게 되어 한정된 자원인 천연 골재, 시멘트, 광물 등에만 의존하여 각종 건축자재를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어 부존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아울러 폐슬러지의 매립으로 발생되는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각종 자재의 외장, 내장용바닥, 벽체, 계단 등의 마감재로 사용된 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본 적인 물성을 파악하고 기후나 수분에 노출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비중 및 흡수율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1과 같다.
제품의 휨강도
SAMPLE 부피 비중 흡 수 율
A 2.35 0.1 ∼ 0.3
B 2.39
상기 표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율의 경우 본 발명의 모든 샘플에서0.1 ∼0.3% 이하로 나타나 연마 및 내장용으로 사용시 겨울철 흡수율에 의한 동파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품을 끓는 물 속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열적조건 및 후수·흡수에 따른 제품의 파손, 변질 및 변형에 대한 제품의 내구성을 가속 평가하기 위하여 내끓임성 시험을 하였다.
시험 결과 표면 및 전체적으로 부풀음, 파손,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로써 열적변화, 흡수 또는 흡수에 의한 내구성 측면에서 안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휨강도는 제품의 용도가 벽체 및 바닥, 계단용 마감재료 등으로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시공 후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 측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품과 유사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KS F 4739(실리카질 인조대리석)과 KS F 4035(기성품 타라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성능 기준 중 관련된 성능항목을 표2에서 살펴본다.
KS F 4739(실리카질 인조대리석)와 KS F 4035(기성품 테라조)의 성능 규정 비교
시 험 항 목 KS F 4739 KS F 4035
비 중 2.3이상 -
흡 수 율 0.1%이하 -
휨 강 도 10.2kgf/㎠ 두께25mm:56.1kgf/㎠두께30.32mm:61.2kgf/㎠
국부 압축강도 10.2kgf/㎠ -
충격강도 판의 깨짐, 균열이 없어야 한다 -
난 연 성 난연 3급이상 -
본 발명의 제품은 용도가 벽체 및 바닥, 계단용 마감 재료인 점을 고려하고, 시공후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 측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KS F 2263에 따라 배합비별 A 및 B 샘플 제품에 대하여 휨강도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 표3와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제품의 휨강도
SAMPLE 휨 강 도(kgf/㎠)
A 240 ∼ 320
B 280 ∼ 410
상기 표3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실리카 대리석 및 테라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휨강도 기준 10.2kgf/㎠과 56.1kgf/㎠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품이 이들 기준보다 일층 높은 약240∼400kgf/㎠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혼합 및 성형성과 재활용 실태를 고려하여, 폐섬유 및 폐알루미늄을 제외하고 그 만큼 폐콘크리트를 추가 투입한 배합비 B의 경우 더 우수한 휨강도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바닥재는 등분포 하중이 작용하므로 국부하중에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시공 조건에 따라 중량물을 올려 놓았을 때 집중하중에 따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제품이 바닥재로 사용되는 경우 국부 집중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50mm 두께의 발포폴리스티렌 보온재 또는 강판 위에 샘플 제품을 오려 놓고 지름 30mm의 환봉을 가압봉을 사용하여 지압강도를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 얻어진 최대 파괴하중으로부터 다음 식에 따라 국부 지압강도를 계산하였으며, 시험 결과를 표4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CA:국부지압강도(kgf/㎠),P:최대 압축파괴하중(kgf),A:가압면적(㎠)
샘플 제품의 국부 지압강도
SAMPLE 지압강도(kgf/㎠)
발포폴리스티렌 보온재 위 강판재 위
A 72.1 2677
B 76.7 3347
이상의 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지름 30mm의 환봉을 사용한 A, B 두종류의 국부지압강도는 약 72.76kgf/㎠의 강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유사 제품인 KS F 4739(실리카 인조대리석)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부 압축강도 기준 10.2kgf/㎠ 이상을 충분히 상회하고 있으므로 동일 용도에 적용시 우수한 물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의 충격강도 시험에 있어서는 샘플 제품의 무기질과 수지 복합판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순간적인 외부 충격으로 인한 파손 또한 운반 및 시공의 부주위로 인한 충격저항성 및 충격흡수 정도를 시험하기 위해 모래 위에 전면지지 방법에 따라 표면을 위로하여 수평을 유지한 후 제품의 중심에 구형추(W2-500)를 50,100㎝높이에서 낙하시킨 후 파손, 균열 및 관통여부를 조사하였다.
상기 소정의 높이에서 낙하추 시험결과 균열, 파손 및 기타 손상이 전혀 발생하지 않아 바닥재로서의 순간적인 충격에 대한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 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 토목, 건축자재는 폐자재를 이용하므로서 천연석이 낼 수 없는 색상과 무늬를 나타내므로서 주변의 환경에 적합한 색상과 무늬를 형성한 건축자재를 제조하여 사용자의 선택폭이 보다 넓어지는 것이며, 화강석과 대리석과 같이 결삭가공이 난해하지 않아 다양한 크기로 절삭가공이 가능하여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이루어진 본 발명의 건축 패널 소재는 가볍고 단단하고 내열성이 높아 내열소재와 내열도료 등 21세기 첨단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는 그 주원료를 산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와 건축자재 폐기물, 폐플라스틱, 폐유리 등의 모든 폐자재를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슬러지는 생활 하수 및 사업현장에서 발생되는 폐슬러지가 아니고, 산업현장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가공공정에서 발생되는 탄광의 광물폐슬러지, 비석, 조각 등의 돌 가공시 발생하는 돌 폐슬러지, 주물공장에서 금형으로 사용되는 모래 주물틀 등의 폐슬러지를 활용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조되는 본 발명은 토목, 건축자재로 제작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도로의 방음벽, 터널 조립벽, 농수로관, 농산물 저장장치, 농산물 말뚝버팀대, 가로수 물받이, 다리난간, 호안블럭, 경계석, 보도블럭, 플롬관, 태라죠타일, 조립식 토목자재, 항만 방조제, 방파제 등에 특히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사용함에 있어서 약간에 독성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으나 가열 가압 성형과정에서 소멸되며, 이때 소멸되지 않은 극히 소량의 유해물질은 접착제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므로서 이의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도포한상태가 되므로 외부로 유출될 염려는 없으며, 이는 기존의 콘크리트 건축물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보다 적게 발생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건축물에 블럭이나 타일로 사용되는 토목, 건축자재를 건축자재 폐기물, 폐플라스틱, 폐유리를 수지와 혼합하여 제조하므로서 현대 사회의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폐자재의 재활용을 통해 자원의 절약과 환경공해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기존의 대리석이나 화강석보다 가격을 저렴화 하여 일반인들이 경제적 부담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대리석이나 화강석보다 비중과 흡수율이 낮고 굴곡 및 압축강도는 낮아 충격이나 하중 및 마모에 강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방법은, 산업현장에서 발생되어지는 각종 폐수, 또는 생활하수로 부터 발생하게 되는 산업폐기물의 일종인 폐슬러지를 그 성분에 따라 건축 폐자재를 적정한 비율로 혼합한 후 이를 혼합, 성형, 양생, 연마 절단 공정을 통하여 각종 벽돌, 타일, 패널, 용수 및 배수로관, 블럭 등의 건축자재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현재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처리 곤란한 폐슬러지를 적극적으로 재활용 할 수 있게 되어 한정된 자원에만 의존하여 각종 건축자재를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어 부존자원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아울러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재활용하게 됨으로 매립으로 발생되는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동시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수거된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의 종류에 따라 그 성분을 검토하여 분류 및 세척, 건조한 후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5mm이하로 각각 분쇄하는 분쇄공정과;
    상기 5mm이하로 분쇄된 폐슬러지와 분쇄된 건축 폐자재를 입도별로 각각 선별하는 선별공정과;
    상기 선별된 폐슬러지 중량 22.5%와 분쇄된 폐합성수지 중량 15%, 폐콘크리트 42.5%로된 건축 폐자재와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량 20%를 혼합하는 혼합공정과;
    상기 혼합된 원료를 제품 성형몰드에 채워 진동(vibration)을 가한 후 200t 용량의 유압 프레스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5∼30분간 가열 가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압축된 성형물을 건조로에 넣고 30℃∼90℃의 온도로 10∼50분간 양생하는 양생공정과,
    상기 양생된 토목, 건축자재의 표면을 연마하고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가공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폐슬러지 중량 10∼80%와 적정비율로 분쇄된 콘크리트 중량 60%, 폐유리 중량 25%, 폐합성수지 중량 15%로 혼합된 건축 폐자재 중량 20∼90%의 비율로 혼합한후, 이들 폐슬러지 및 폐콘크리트 배합물에 소성과정에서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량(5중량% 미만)의 규사를 첨가하여 통상의 벽돌 몰딩에 채운 후 유압프레스를 통하여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30분간 가압하여 1차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유압 프레스로 가압 성형후 약800∼1000℃의 건조로에서 약10∼60시간 동안 가열 경화 시켜 벽돌을 양생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된 폐슬러지 중량 10%∼80%와 폴리에스테르 수지 20%, 폐콘크리트 중량 40%, 폐유리 중량 15%, 폐알루미늄 중량 5%, 폐도기 중량 15%, 탄산칼슘 중량 5%,안료 중량 5% 로된 건축 폐자재 중 20%∼90%를 혼합하는 공정과;
    상기 혼합된 원료를 성형몰드에 채우고 200t 용량의 유압 프레스로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기에서 5∼30분간 진동하면서 가열 가압하는 공정과;
    상기 압축된 인조 대리석 패널을 건조로에 넣고 40℃∼90℃의 온도로 10∼50분간 가열 경화시켜 인조대리석을 양생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원료를 타일 형태의 성형몰드에 채우고 진동을 주면서 200t 용량의 유압 프레스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5∼30분간가열 가압하는 성형공정과;
    상기 1차 성형된 성형물 상면에 유약을 도포시켜 약800∼1000℃의 건조로에서 약10∼60분 동안 가열 경화 시켜 타일을 양생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한 항에 있어서,
    토목, 건축 자재를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혼합하여 제품 성형몰드에 채워 진동과 함께 가열 가압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슬러지와 건축 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2000-0080482A 2000-12-22 2000-12-22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0371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82A KR100371579B1 (ko) 2000-12-22 2000-12-22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82A KR100371579B1 (ko) 2000-12-22 2000-12-22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061A KR20020051061A (ko) 2002-06-28
KR100371579B1 true KR100371579B1 (ko) 2003-02-07

Family

ID=2768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482A KR100371579B1 (ko) 2000-12-22 2000-12-22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5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274B1 (ko) 2004-05-19 2006-07-06 강희창 인조 대리석 판재 재생방법
KR100927255B1 (ko) * 2006-02-23 2009-11-16 민병억 인공 어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91822B1 (ko) 2010-10-04 2012-10-18 주식회사 건농코리아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장치
KR102049913B1 (ko) * 2018-07-04 2019-11-28 김건우 커스트마이즈드형 석판재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51B1 (ko) * 2001-08-24 2005-03-15 주식회사 예가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마감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873926B1 (ko) * 2007-12-28 2008-12-12 (주)모성 폐자재를 이용한 패널의 제조방법
KR102293815B1 (ko) * 2019-08-28 2021-08-25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폐기물 구조체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IT202000011842A1 (it) * 2020-05-21 2021-11-21 Matteo Bianchi Metodo di trattamento di rifiuti per la produzione di aggregati per la realizzazione di sottofondi stradali e strati di fondazione di sovrastrutture e aree soggette a traffic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542A (ko) * 1994-10-29 1996-05-22 정상준 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그의 판넬
KR980001929A (ko) * 1998-01-16 1998-03-30 권혁경 건축용 인조석재판의 제조방법
KR980001920A (ko) * 1997-12-09 1998-03-30 조영근 적벽돌, 보도블럭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9980019963A (ko) * 1996-09-04 1998-06-25 황익현 인조 대리석 제조방법
KR19990009076U (ko) * 1997-08-12 1999-03-05 손정호 폐자재 재생혼합물로된 보도블록
KR19990046270A (ko) * 1999-01-21 1999-07-05 정병호 산업폐기물을이용한건축자재제조방법및그건축자재
KR19990075020A (ko) * 1998-03-17 1999-10-05 허원태 폐목재 및 어패류 잔해물로 만든 인조 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04198A (ko) * 1998-06-30 2000-01-25 사또아끼히로 폐기물을 이용하는 시멘트 성형품 제조용 경화제 조성물 및 이조성물을 이용하는 시멘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KR200198221Y1 (ko) * 2000-04-21 2000-10-02 노상화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장치
KR20000063243A (ko) * 2000-06-01 2000-11-06 조래웅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542A (ko) * 1994-10-29 1996-05-22 정상준 차음재의 제조방법 및 그의 판넬
KR19980019963A (ko) * 1996-09-04 1998-06-25 황익현 인조 대리석 제조방법
KR19990009076U (ko) * 1997-08-12 1999-03-05 손정호 폐자재 재생혼합물로된 보도블록
KR980001920A (ko) * 1997-12-09 1998-03-30 조영근 적벽돌, 보도블럭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80001929A (ko) * 1998-01-16 1998-03-30 권혁경 건축용 인조석재판의 제조방법
KR19990075020A (ko) * 1998-03-17 1999-10-05 허원태 폐목재 및 어패류 잔해물로 만든 인조 대리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04198A (ko) * 1998-06-30 2000-01-25 사또아끼히로 폐기물을 이용하는 시멘트 성형품 제조용 경화제 조성물 및 이조성물을 이용하는 시멘트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9990046270A (ko) * 1999-01-21 1999-07-05 정병호 산업폐기물을이용한건축자재제조방법및그건축자재
KR200198221Y1 (ko) * 2000-04-21 2000-10-02 노상화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장치
KR20000063243A (ko) * 2000-06-01 2000-11-06 조래웅 산업폐기물을 이용한 타일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274B1 (ko) 2004-05-19 2006-07-06 강희창 인조 대리석 판재 재생방법
KR100927255B1 (ko) * 2006-02-23 2009-11-16 민병억 인공 어초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91822B1 (ko) 2010-10-04 2012-10-18 주식회사 건농코리아 슬러지를 이용한 건축자재 제조장치
KR102049913B1 (ko) * 2018-07-04 2019-11-28 김건우 커스트마이즈드형 석판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061A (ko) 200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 Andrade Salgado et al. Recycled aggregates from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towards an application on structural concrete: A review
KR102032733B1 (ko) 건설폐자재, 산업폐자재를 활용한 폴리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폴리머 콘크리트
KR101214596B1 (ko) 시멘트 및 지오폴리머 결합재와 바텀애시 골재를 사용한 투수성 콘크리트 및 그 콘크리트 제품의 제조 방법
EP1183218B1 (de) Leichtbeton
KR20090049799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콘크리트
KR102302127B1 (ko) 친환경 아크릴계 폴리머 콘크리트 투수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 콘크리트 투수블록 및 이를 이용한 투수포장 시공공법
Busari et al. Recycled aggregate in pavement construction: review of literatures
Attri et al. Sustainable precast concrete blocks incorporating recycled concrete aggregate, stone crusher, and silica dust
KR100371579B1 (ko)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EP2949632B1 (en) Hydraulic composite material based on recycled material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Contrafatto et al. Use of recycled aggregates in road sub-base construction and concrete manufacturing
JPH10152356A (ja) 人工軽量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
Supar et al. Partial replacement of fine aggregate using waste materials in concrete as roof tile: a review
KR100371577B1 (ko) 폐건축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Cabral Concrete with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s (CDW)
KR20020051443A (ko) 폐석회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0468198B1 (ko) 폐주물사를 이용한 건축자재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건축자재의 제조방법
Gayarre et al. Performance of concrete based on recycled brick aggregate
Dodoo-Arhin et al. Application of discarded rubber car tyres as synthetic coarse aggregates in light weight pavement concretes
Sadek et al. UTILIZATION OF SOLID WASTES IN CEMENT BRICKS FOR AN ENVIRONMENTAL BENEFICIAL.
KR100293771B1 (ko) 폐기물을 사용한 혼합벽돌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09652A (ko) 순환골재 및 폐콘크리트 미분말을 이용한 경량 보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112452B1 (ko)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7135B1 (ko) 화산쇄설물을 사용한 일체식 바닥포장 조성공법
KR20010007809A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콘크리트 구조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