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2452B1 -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2452B1
KR101112452B1 KR20110032697A KR20110032697A KR101112452B1 KR 101112452 B1 KR101112452 B1 KR 101112452B1 KR 20110032697 A KR20110032697 A KR 20110032697A KR 20110032697 A KR20110032697 A KR 20110032697A KR 101112452 B1 KR101112452 B1 KR 101112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ed soil
composition
mixture
adm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3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조은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은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1003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2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2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2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409Waste from the purification of bauxite, e.g. red mu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26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 B28B1/265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slip-casting, i.e. by casting a suspension or dispersion of the material in a liquid-absorbent or porous mould, the liquid being allowed to soak into or pass through the walls of the mould; Moulds therefor ; specially for manufacturing articles starting from a ceramic slip; Moulds therefor pressure being applied on the slip in the filled mould or on the moulded article in the mould, e.g. pneumatically, by compressing slip in a closed moul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08Flue dust, i.e. fly as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6Sulfur-containing compounds
    • C04B24/18Lignin sulfon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e.g. sulfite ly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적토 60 내지 80중량% 및 제지 연소재 20 내지 40중량%를 연속적인 고속회전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0.5중량%의 혼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거나 포설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본 발명의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조성물은 주요 원자재로 사용하는 적토와 제지 연소재는 산업 부산물인 산업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시 고비용이 소용되고 그 독성으로 처치 곤란한 환경폐기물로서 그 구입비가 소요되지 않음은 물론 오히려 처리비용을 지급 받으면서 구입하는 것으로서 매우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환경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것으로 환경문제 해결책의 일환으로서 매우 친환경적이며 매립 및 해양투기 등 사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디. 따라서, 본 발명은 최근에 들어 가장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처리 곤란한 폐슬러지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한정된 자원인 천연 골재, 시멘트, 광물 등에만 의존하여 각종 건축자재를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어 부존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아울러 폐슬러지의 매립으로 발생되는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CONSTRUCTION MATERIALS USING RED MUD AND PAPER FLY ASH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적토와 제지 연소재(fly-ash)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페기물인 적토와 제지공장에서 발생하는 산업폐기물인 애쉬를 재활용하여 도로 기층제, 도로 포장재 및 산지복구용 성토재 등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폐기물의 처리에 친환경적이고 도로 기층제로 사용하는 흙을 얻기 위한 산림훼손을 줄일 수 있는 경제적인 효과를 갖는 자연 친화적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에 마감재로 사용되는 건축자재는 석재인 화강석이나 대리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대리석 및 화강석 등은 건물내부의 마감재로 큰 각광을 받고 있으나 가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그 사용이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최근에, 과학의 발달과 산업의 고도화에 의해서 건축자재, 생활폐기물 등과 같이 폐기물의 종류가 다양해져 매립에 의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용이하게 분해되지 않는 화학적?물리적 성질의 폐기물의 배출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립에 의해서 잘 분해되지 않는 각종 폐기물은 특정 소각지에서 소각에 의해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매립 및 소각에 의한 전통적 방법은 모두 심각한 수질오염, 대기오염 등의 환경오염을 유발하고, 매립지 및 소각지 주변의 생존권 침해에 따른 각종 분쟁을 유발하여 폐기물 처리방법의 한계점에 도달함에 따라 폐기물을 재활용할 수 있는 각종 방안들이 연구 개발되고 있다.
한편, 기존의 전통적인 벽돌류 제품 및 도로 포장재는 다량의 시멘트 및 인공안료를 강제적으로 첨가하므로써 생산성과 환경성이 떨어지고, 실재사용되는 현장까지 원거리를 이동시키는 관계로 고가의 물류비용 유발 및 교통정체 유발 등 반사회적인 역기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환경공해나 그 처리비용이 막대한 폐자재를 주원료로 하여 보다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이며 제품의 질이 우수한 건축마감재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산업폐기물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재활용하여 토목용 도로 기층재 또는 도로 포장재 등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토 60 내지 80중량% 및 제지 연소재 2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0.5중량%의 혼화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적토 60 내지 80중량% 및 제지 연소재 20 내지 40중량%를 연속적인 고속회전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0.5중량%의 혼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거나 포설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조성물은 주요 원자재로 사용하는 적토와 제지 연소재는 산업 부산물인 산업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시 고비용이 소용되고 그 독성으로 처치 곤란한 환경폐기물로서 그 구입비가 소요되지 않음은 물론 오히려 처리비용을 지급 받으면서 구입하는 것으로서 매우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환경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것으로 환경문제 해결책의 일환으로서 매우 친환경적이며 매립 및 해양투기 등 사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당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본 발명은 최근에 들어 가장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처리 곤란한 폐슬러지를 재활용 할 수 있게 되어 한정된 자원인 천연 골재, 시멘트, 광물 등에만 의존하여 각종 건축자재를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어 부존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아울러 폐슬러지의 매립으로 발생되는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는 알칼리성을 띠어 토목용 도로 기층재 또는 도로 포장재로 활용하는 경우 산성비를 중화시켜 지하수 및 식생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공업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적토와 제지 연소재의 혼합물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적토 및 제지 연소재의 혼합물에 혼화제를 혼합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응출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사용한 건축자재의 샘플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조성물은 적토 60 내지 80중량% 및 제지 연소재 20 내지 4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0.5중량%의 혼화제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적토는 색이 붉고 빨간색의 빛이 나는 토양으로서, 흔히 황토라 부르는데 대부분이 산과 들에 다량 분포해 있는 지표의 토양을 의미하며 우리들의 옛집을 지을 때 등에 사용하여 친환경 건축 자재로 많이 사용하여 왔으나 갈라짐이 심하고 물에 약한 습성에 건축자재로 사용할 때 주의를 요해야 하는 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산업부산물인 적토는 보크사이트 원광석에 가성소다를 첨가하여 생산되는 알루미나의 선광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로 자체적으로 pH 11 이상의 높은 알카리성 무기질 폐기물로서 원상태에서는 주변 생태계에 약영향을 끼치므로 폐기물 매립장에 단순 매립 또는 화학적 조작후 매립처분하거나 연안에 해양투기 하였으나, 런던협약에 의한 해양투기가 금지되어 처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자원으로 재활용하기 위해서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벽돌 등을 생산하였으나 높은 소성 온도 등으로 인해 제조 원가의 상승으로 상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적토를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주요 구성성분으로서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면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적토는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조성물에서 60 내지 8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며, 특히 7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60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건축자재로서의 기능이 원환치 않으며, 8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제지 연소재는 제지 공장의 소각장에서 발생되며 매립하거나 일부 시멘트공장에서 재활용되고 있으나, 많은 양이 매립되는 실정으로 물과 혼합시 pH 12로 강알카리성을 나타내지만 제지 연소재에서 발생되는 열량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며 환경문제와 관련되어 환경정화용 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제지 연소재는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조성물에서 20 내지 4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며, 특히 30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20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상대적으로 적토의 양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으며, 40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건축자재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적토 및 연소재 혼합물에는 토양에 고결력을 부여하여 역학적, 물리적 특성으로 하중 지지력, 동상방지 등 도로의 기능을 충족시켜 주고 유해물질을 무해화시키기 위하여 고화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자재용 조성물에는 강도를 증진시키고 혼합물간의 접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혼화제가 추가로 첨가되는데, 이는 액상 혼화제로서 리그린계, 나프탈렌계, 폴리카본산계 등의 모든 화학혼화제를 들 수 있으며, 특히 리그린계 혼화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혼화제는 적토 및 제지 연소재의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0.5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특히 0.3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0.3중량% 미만의 양으로 사용될 경우 혼합물의 혼화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0.5중량% 초과의 양으로 사용할 경우 혼화제의 양의 과잉으로 건축자재의 본연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또한 적토 60 내지 80중량% 및 제지 연소재 20 내지 40중량%를 연속적인 고속회전으로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0.5중량%의 혼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압축 성형하거나 포설 다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공업 현장에서의 실질적인 제조공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먼저 산업폐기물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요구되는 색상이나 강도에 맞게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산업자재로 배합 및 조합이 자유로운 크기의 입자 정도의 크기, 바람직하게 약 0.1 ~ 1cm 정도로 혼합 성형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 때 혼합공정에서 원하는 안료(색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을 갖는 건축자재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1차 혼합된 분말에 혼화제를 투입하여 강도를 증진시키고 혼합물간의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2차 공정을 수행한다.
상기 1차 공정에서 적토와 제지 연소재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60 내지 80중량% 및 20 내지 40%가 바람직하며, 2차 공정에서의 혼화제는 상기 적토와 제지 연소재 혼합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3 ~ 0.5중량%가 바람직하다. 이때, 혼화제가 0.3% 미만이면 적토와 제지 연소재간의 입자 성형화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0.5% 초과이면 혼화제 과다로 인한 뭉침 현상이 발생하여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1차 및 2차 혼합 공정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이 부착된 임페러가 장착된 장치에서 수행하며, 상기 성분 조성물을 연속으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질적인 제조 공정은 도2를 참조로 다음과 같은 순차적인 단계를 거치게 된다.
1. 원료입고 공정 : 적토(무기성 오니), 연소재 및 고화제를 입고
2. 선별 공정 : 입고된 원료를 치장, 호퍼 투입 및 저장싸이로에 저장
3. 인출 공정 : 저장 호퍼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인출
4. 계량 공정 : 적토(무기성 오니), 연소재, 고화제 및 물을 각각 계량
5. 믹싱 공정 : 계량된 원료를 믹서에 투입 및 혼합
6. 성형 공정 : 혼합된 원료를 압축성형 및 포설다짐 작업
7. 이동 및 포장 : 성형된 건축자재를 이동 및 포장, 출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조성물은 주요 원자재로 사용하는 적토와 제지 연소재는 산업 부산물인 산업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시 고비용이 소용되고 그 독성으로 처치 곤란한 환경폐기물로서 그 구입비가 소요되지 않음은 물론 오히려 처리비용을 지급 받으면서 구입하는 것으로서 매우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환경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것으로 환경문제 해결책의 일환으로서 매우 친환경적이며 매립 및 해양투기 등 사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디. 따라서, 본 발명은 최근에 들어 가장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처리 곤란한 폐슬러지를 재활용할 수 있게 되어 한정된 자원인 천연 골재, 시멘트, 광물 등에만 의존하여 각종 건축자재를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어 부존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아울러 폐슬러지의 매립으로 발생되는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자재는 알칼리성을 갖게 되어 토목용 도로 기층재 또는 도로 포장재로 활용하는 경우 산성비를 중화시켜 지하수 및 식생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제조
적토 70중량% 및 산업현장에서 제품가공시 발생된 제지 연소재 30중량%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이 부착된 임페러가 장착된 장치에 연속 주입하면서 혼합하였다. 수득된 분말은 일반 흙입자 정도의 크기인 약 0.1 ~ 1cm 정도였다.
이어서, 상기 혼합된 분말에 리그린계 액상 혼화제를 상기 혼합물의 중량에 대하여 0.3중량%의 양으로 투입하여 강도를 증진시키고 혼합물간의 접착력을 증가시켰다.
상기 수득된 본 발명의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응집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통상의 방법에 따라 응출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서 왼편은 본 발명의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응출시험 결과 사진이고, 오른편은 적토 자체를 응출시험한 사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따른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은 매우 우수한 응집력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벽돌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벽돌 몰딩에 채운 후 유압프레스를 통하여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30분간 가압 성형하였다.
상기 유압 프레스로 가압 성형 후 약 800~1000℃의 건조로에서 약 1시간 동안 가열 경화시켜 벽돌을 성형하였다.
실시예 3: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패널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포함하는 건축자재용 조성물을 각종 성형 몰드에 채우고 200t 용량의 유압 프레스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5~30분간 가열 가압하여 1차 패널을 압축 성형하였다.
상기 압축된 성형물을 건조로에 넣고 30℃~90℃의 온도로 10~50분간 동안 양생공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양생된 패널의 표면을 연마하고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하는 가공 공정을 거쳐 건축자재 패널을 완성하였다.
시험예 1
상기 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각종 자재의 외장, 내장용바닥, 벽체, 계단 등의 마감재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기본적인 물성을 파악하고 기후나 수분에 노출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비중 및 흡수율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부피비중 흡수율
2.45 0.1-0.3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수율의 경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한 벽돌에서는 0.1 ~0.3% 이하로 나타나 연마 및 내장용으로 사용시 겨울철 흡수율에 의한 동파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품을 끓는 물 속에서 2시간 동안 유지한 후 상온까지 냉각하여 열적조건 및 후수?흡수에 따른 제품의 파손, 변질 및 변형에 대한 제품의 내구성을 가속 평가하기 위하여 내끓임성 시험을 하였다.
시험 결과 표면 및 전체적으로 부풀음, 파손, 변형 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이로써 열적변화, 흡수 또는 흡수에 의한 내구성 측면에서 안전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시험예 2
본 발명의 제품의 용도가 벽체 및 바닥, 계단용 마감재료 등으로 사용되는 것을 감안하여 시공 후 요구되는 기계적 강도 측면의 안정성 및 내구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품과 유사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는 KS F 4739(실리카질 인조대리석)과 KS F 4035(기성품 타라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휨강도와 비교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휨강도(kgf/㎠)
본 발명의 제품 230-400
KS F 4739 10.2
KS F 4035 56.1(두께25mm), 61.2(두께30.32mm)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의 실리카 대리석 및 테라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휨강도 기준 10.2kgf/㎠과 56.1kgf/㎠에 비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품이 이들 기준보다 일층 높은 약 240~400kgf/㎠로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적토와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 조성물은 주요 원자재로 사용하는 적토와 제지 연소재는 산업 부산물인 산업폐기물로 분류되어 처리시 고비용이 소용되고 그 독성으로 처치 곤란한 환경폐기물로서 그 구입비가 소요되지 않음은 물론 오히려 처리비용을 지급 받으면서 구입하는 것으로서 매우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도 환경폐기물을 재활용하는 것으로 환경문제 해결책의 일환으로서 매우 친환경적이며 매립 및 해양투기 등 사회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당분야에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본 발명은 최근에 들어 가장 큰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처리 곤란한 폐슬러지를 재활용 할 수 있게 되어 한정된 자원인 천연 골재, 시멘트, 광물 등에만 의존하여 각종 건축자재를 제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할 수 있어 부존자원을 절약할 수 있으며, 아울러 폐슬러지의 매립으로 발생되는 토양오염 및 지하수오염과 같은 환경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0.1 ~ 1cm의 입자크기를 갖는 적토 70중량% 및 0.1 ~ 1cm의 입자크기를 갖는 제지 연소재 30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 및 상기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0.5중량%의 혼화제가 포함되며,
    상기 혼화제는 리그닌계 화학혼화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적토 70중량% 및 제지 연소재 30중량%를 고속으로 회전하는 날이 부착된 임페러가 장착된 장치에서 연속적인 고속회전으로 혼합하여 0.1 ~ 1cm의 입자크기를 갖도록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혼합된 혼합물에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3 내지 0.5중량%의 리그닌계 화학혼화제를 첨가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성형 몰드에 채우고 200t 용량의 유압 프레스 압력 200㎏f/㎠, 온도 85~90℃의 조건에서 5~30분간 가열 가압하여 압축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20110032697A 2011-04-08 2011-04-08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2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2697A KR101112452B1 (ko) 2011-04-08 2011-04-08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32697A KR101112452B1 (ko) 2011-04-08 2011-04-08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2452B1 true KR101112452B1 (ko) 2012-03-13

Family

ID=4614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32697A KR101112452B1 (ko) 2011-04-08 2011-04-08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24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91B1 (ko) 2019-06-10 2020-01-03 박기준 무기성 슬러지 및 연소재를 이용한 토목건축 기초자재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376B1 (ko) * 1995-12-18 1998-11-16 구형우 제지슬러지 소각재를 이용한 내화단열벽돌의 제조방법
KR100682406B1 (ko) 2005-06-29 2007-02-15 한국토지공사 스칼렛 파우다를 사용한 기능성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KR100971283B1 (ko) * 2009-08-18 2010-07-20 가나기업(주) 천연소재를 이용한 자전거 전용도로 및 산책로 포장재
KR20100099988A (ko) * 2009-03-04 2010-09-15 김덕성 무기계 액상 세라믹 및 건설오니를 이용한 고형물 및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3376B1 (ko) * 1995-12-18 1998-11-16 구형우 제지슬러지 소각재를 이용한 내화단열벽돌의 제조방법
KR100682406B1 (ko) 2005-06-29 2007-02-15 한국토지공사 스칼렛 파우다를 사용한 기능성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
KR20100099988A (ko) * 2009-03-04 2010-09-15 김덕성 무기계 액상 세라믹 및 건설오니를 이용한 고형물 및 도로포장재와 그 제조방법
KR100971283B1 (ko) * 2009-08-18 2010-07-20 가나기업(주) 천연소재를 이용한 자전거 전용도로 및 산책로 포장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491B1 (ko) 2019-06-10 2020-01-03 박기준 무기성 슬러지 및 연소재를 이용한 토목건축 기초자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wang et al. Investigation into the use of unground rice husk ash to produce eco-friendly construction bricks
Gomes et al.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rtificial stone using brick residue and quarry dust in epoxy matrix
Madurwar et al. Use of sugarcane bagasse ash as brick material
KR20090049799A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생콘크리트
CN101328032A (zh) 硼泥—铅锌渣烧结制品及其制造方法
Meda et al. Utilization of waste sludge as a construction material-a review
CN101085702A (zh) 钻井岩屑在免烧砖材料中的应用
KR20130005706A (ko) 폐기물을 이용한 경량 건축자재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경량 건축자재
Krasna et al. Utilization of plastic wast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as a coarse aggregate alternative in paving block
KR20180130392A (ko) 건설폐기물 을 혼합한 재생콘크리트
JPH10152356A (ja) 人工軽量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112452B1 (ko) 적토 및 제지 연소재를 이용한 건축자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8101486B (zh) 一种免烧废渣砖及其制备方法
KR100371579B1 (ko) 폐슬러지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KR102004427B1 (ko) 석탄발전소 애시를 주원료로 하는 상온 경화용 무시멘트 결합재 조성물
CN111517712B (zh) 一种混凝土路面砖及其制备方法
CN108424060A (zh) 一种利用粉煤灰烧制环保砖的方法
CN104556928A (zh) 一种粉煤灰环保墙砖的配方及生产方法
CN104529309B (zh) 一种非承重自保温砌块及其制备方法
Ismail et al.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brick produced using recycled fine aggregate
KR101201961B1 (ko) 석분 슬러지를 이용한 블록의 습식성형 제조방법
CN105669104A (zh) 一种利用陶瓷抛磨废料生产的免烧砖及其制备方法
KR20020051443A (ko) 폐석회와 건축폐자재를 이용한 토목, 건축자재 제조방법
CN206913832U (zh) 一种可双面装修的防火板
KR100293771B1 (ko) 폐기물을 사용한 혼합벽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