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177B1 -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177B1
KR100371177B1 KR10-2000-0061333A KR20000061333A KR100371177B1 KR 100371177 B1 KR100371177 B1 KR 100371177B1 KR 20000061333 A KR20000061333 A KR 20000061333A KR 100371177 B1 KR100371177 B1 KR 100371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carbon nanotubes
tungsten oxide
dispersed
electrochrom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499A (ko
Inventor
신현우
알리에프알리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6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1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2Inner electrode, e.g. the electrochromic layer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support substra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6Micro- or nano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변색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WO3박막에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리튬이온의 침투속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표면적을 증가시켰지만, 여전히 전기변색소자의 변색속도는 여타의 디스플레이 기술에 비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전기변색 물질인 산화텅스텐 박막과 상대전극인 타이타늄 박막 내에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탄소 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전기전도성은 물론 이온 저장능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리튬이온의 확산속도를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전기변색소자의 발색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기변색물질인 산화텅스텐 박막의 크랙이 줄어들어 안정화됨에 따라 전기변색소자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ELECTROCHROMIC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가 분산된 전기변색소자를 통해 변색속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키기에 적당하도록 한 탄소 나노튜브 분산형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변색소자는 전장이 인가되면, 전류의 흐름에 의해 전기변색물질의 색깔이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창문이나 거울의 광투과도나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전기변색물질은 무기(inorganic) 전기변색물질과 유기(organic) 전기변색물질로 구분되며, 대표적인 무기 전기변색물질로는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등이 있고, 유기 전기변색물질은 종류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폴리아닐린(polyaniline)을 들 수 있으며, 이중에 대표적으로 WO3가 용액속의 이온이나 전자와 반응하여 변색되는 과정을 아래의 반응식1에 나타냈다.
WO3(투명) + xe-+ xM+⇔ MxWO3(진한 청색)
여기서, M은 리튬(lithium)이나 양자(proton) 또는 칼슘(calcium) 등을 나타내며, 대표적으로 리튬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한편, 전극재료로는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투명전극을 사용하고, 하부 투명유리 기판 상에 코팅된 ITO 전극 위에 WO3막을 코팅한 다음 100∼200℃ 정도의 온도에서 열처리하며, 상대전극으로 역시 상부 유리기판 상부에 코팅된 ITO 전극을 사용한다.
따라서,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하부 및 상부 투명유리 기판 사이에 리튬이온(Li+)이 포함된 전해질(electrolyte)을 넣고, 전계를 걸어주면 리튬이온(Li+)이 WO3막(1)의 결정립 계면(grain boundaries)을 따라 이동하여 WO3와 반응함으로써, 상기 반응식1과 같은 변색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전기변색소자는 전해질(electrolyte)에 포함된 리튬이온(Li+)이 비정질 구조(amorphous structure) 내로 빠르게 이동하지 않고, 주로 결정립 계면(grain boundaries)의 크랙(crack)이나 보이드(void)를 따라서 이동하기 때문에 확산속도가 빠르지 않아 변색속도가 느리고, 충분한 반응 표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WO3막(1)을 두껍게 형성하여야 함에 따라 전체적인 저항이 증가함과 아울러 리튬이온(Li+)의 이동거리가 증가되어 변색속도는 더욱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변색속도 감소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WO3박막(1)에 나노사이즈(nano size)의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WO3박막(1)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리튬이온의 침투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이 제안되었으며, 어느정도의 변색속도 향상을 실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전기변색소자는 변색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WO3박막에 나노 사이즈의 다공성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리튬이온의 침투속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표면적을 증가시켰지만, 여전히 전기변색소자의 변색속도는 여타의 디스플레이 기술에 비해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전기변색소자를 통해 변색속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전기변색소자의 구동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기변색소자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일부를 확대한 상세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유리기판 12,16:ITO 전극
13:타이타늄 박막 14:전해질층
15:산화텅스텐 박막 17:전압인가부
먼저,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는 유리기판 상부에 형성된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투명전극 상부에 형성되어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이온 저장층과; 상기 이온 저장층 상부에 형성되어 리튬이온이 주입된 이온 전도층과; 상기 이온 전도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전기 변색층과; 상기 전기 변색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2투명전극과; 상기 제1,제2투명전극을 연결하는 전압인가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의제조방법은 유리기판 상부에 제1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투명전극 상부에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이온 저장층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2투명전극 상부에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전기 변색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이온 저장층 및 전기 변색층의 사이에 리튬이온이 주입된 이온 전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일 실시예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변색소자의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유리기판(11) 상부에 형성된 ITO 전극(12)과; 상기 ITO 전극(12) 상부에 형성되어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타이타늄 박막(13)과; 상기 타이타늄 박막(13) 상부에 형성되어 리튬이온이 주입된 전해질층(14)과; 상기 전해질층(14)의 상부에 형성되어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산화텅스텐 박막(15)과; 상기 산화텅스텐 박막(15)의 상부에 형성된 ITO 전극(16)과; 상기 ITO 전극(12,16)을 연결하는 전압인가부(1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타이타늄 박막(13)은 졸-겔(sol-gel) 방법을 통해 형성된다.
먼저, 물과 에탄올의 수용액에 Ce(NO3)6(NH4)2를 녹이고, Ti[O(CH2)3CH3]4와 에탄올을 첨가하고, 촉매물질로 CH3COOH를 첨가하여 TiO2-CeO2졸 용액을 준비한다. 실험결과 TiO2-CeO2졸 용액의 색깔은 에탄올에 의한 세륨의 환원에 의해 며칠이 경과하는 동안 붉은색에서 노란색으로 변화하였으며, pH는 2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 CVD), 레이저 에블레이션(laser ablation), 아크 방전(arc discharge) 등의 방법에 의해 탄소 나노튜브를 형성한 다음 표면 활성제(surfactant)와 물을 이용하여 상기 TiO2-CeO2졸 용액에 분사시킨 다음 초음파 진동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TiO2-CeO2졸 용액을 스핀 코팅(spin coating), 스프레이 코팅(spray coating) 또는 디핑(dipping) 방법을 통해 ITO 전극(12) 상부에 코팅한다.
한편, 상기 산화텅스텐 박막(15)도 졸-겔 방법을 통해 형성된다.
먼저, 금속 텅스텐 분말을 과산화수소(H2O2)에 반응시키면, 수소가 발생하면서 산화텅스텐이 형성됨과 아울러 과산화수소는 물분자로 분해되며, 이러한 상태를 퍼옥소텅스틱 산(peroxotungstic acids) 상태라고 한다.
그리고, 화학기상증착, 레이저 에블레이션, 아크 방전 등의 방법에 의해 탄소 나노튜브를 형성한 다음 표면 활성제와 물을 이용하여 상기 퍼옥소텅스틱 산에 분사시킨 다음 초음파 진동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상기한 바와같이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퍼옥소텅스틱 산을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디핑 방법을 통해 ITO 전극(16) 상부에 코팅한 다음 100∼300℃ 정도의 온도로 열처리하여 최종적으로 1000∼5000Å 정도의 두께로 산화텅스텐 박막(15)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타이타늄 박막(13) 및 산화텅스텐 박막(15)에 첨가되는 탄소 나노튜브는 0.1∼3wt%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타이타늄 박막(13)과 산화텅스텐 박막(15) 사이에 리튬이온이 주입된 전해질층(14)을 형성하여 탄소 나노튜브 분산형 전기변색소자를 제조한다.
한편, 도3은 상기 도2의 일부를 확대한 상세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해질층(14)에 주입된 리튬이온(Li+)이 탄소 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산된 산화텅스텐 박막(15)내로 확산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탄소 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킴에 따라 전기전도성은 물론 이온 저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리튬이온(Li+)의 확산속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100×100㎟ 의 전기발색소자에 대한 발색 반응속도 측정결과 종래에 비해 발색과 회복에서 각각 5배과 6.5배의 빠른 반응속도를 나타내었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전기변색 물질인 산화텅스텐 박막과 상대전극인 타이타늄 박막 내에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탄소 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전기전도성은 물론 이온 저장능력을 향상시킴에 따라 리튬이온의 확산속도를 크게 향상시킴으로써, 전기변색소자의 발색속도를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전기변색물질인 산화텅스텐 박막의 크랙이 줄어들어 안정화됨에 따라 전기변색소자의 장기적인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유리기판 상부에 형성된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투명전극 상부에 형성되어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타이타늄 박막과; 상기 타이타늄 박막의 상부에 형성되어 리튬이온이 주입된 이온 전도층과; 상기 이온 전도층의 상부에 형성되어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산화 텅스텐 박막과; 상기 산화 텅스텐 박막의 상부에 형성된 제2투명전극과; 상기 제1,제2투명전극을 연결하는 전압인가부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2. 삭제
  3. 유리기판 상부에 제1투명전극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투명전극 상부에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타이타늄 박막을 형성함과 아울러 제2투명전극 상부에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산화 텅스텐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타이타늄 박막 및 산화 텅스텐 박막의 사이에 리튬이온이 주입된 이온 전도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타늄 박막 및 산화 텅스텐 박막에 첨가되는 탄소 나노튜브는 0.1∼3wt%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타이타늄 박막과 산화 텅스텐 박막은 각각 제1,제2투명전극 상부에 졸-겔을 이용한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디핑 등의 방법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타늄 박막은 물과 에탄올의 수용액에 Ce(NO3)6(NH4)2를 녹인 다음 Ti[O(CH2)3CH3]4와 에탄올을 첨가하고, 촉매물질로 CH3COOH를 첨가하여 TiO2-CeO2졸 용액을 준비하는 공정과; 화학기상증착, 레이저 에블레이션, 아크 방전 등의 방법에 의해 탄소 나노튜브를 형성한 다음 표면 활성제와 물을 이용하여 상기 TiO2-CeO2졸 용액에 분사시킨 다음 초음파 진동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공정과;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TiO2-CeO2졸 용액을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디핑 방법을 통해 제1투명전극 상부에 코팅하는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텅스텐 박막은 금속 텅스텐 분말을 과산화수소에 반응시켜 퍼옥소텅스틱 산 상태를 형성하는 공정과; 화학기상증착, 레이저 에블레이션, 아크 방전 등의 방법에 의해 탄소 나노튜브를 형성한 다음 표면 활성제와 물을 이용하여 상기 퍼옥소텅스틱 산에 분사시킨 다음 초음파 진동을 통해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공정과; 상기 탄소 나노튜브가 분산된 퍼옥소텅스틱 산을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또는 디핑 등의 방법을 통해 제2투명전극 상부에 코팅한 다음 열처리하는 공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100∼300℃ 정도의 온도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텅스텐 박막은 1000∼5000Å 정도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KR10-2000-0061333A 2000-10-18 2000-10-18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371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333A KR100371177B1 (ko) 2000-10-18 2000-10-18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333A KR100371177B1 (ko) 2000-10-18 2000-10-18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499A KR20020030499A (ko) 2002-04-25
KR100371177B1 true KR100371177B1 (ko) 2003-02-06

Family

ID=19694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333A KR100371177B1 (ko) 2000-10-18 2000-10-18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1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8626A (zh) * 2022-03-21 2022-06-03 华南理工大学 一种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99B1 (ko) * 2000-11-23 2005-03-10 주식회사 새 한 액정 표시장치용 백라이트 제조방법
KR100889454B1 (ko) * 2005-02-01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구조로 된 전기변색층을 갖는 전기변색 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US7940447B2 (en) 2006-12-04 2011-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chromic device
KR101649290B1 (ko) * 2009-02-11 2016-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FR2969771B1 (fr) * 2010-12-28 2012-12-28 Saint Gobain Dispositif electrochimique a proprietes de transmission optique et/ou energetique electrocommandables
CN110941127B (zh) * 2019-12-25 2024-03-15 中建材玻璃新材料研究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电致变色智能玻璃复合膜组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254B1 (ko) * 1996-03-15 1999-08-02 이서봉 전기변색 고분자용액, 전기변색 고분자박막 및 전기변색소자와 이들의 제조
KR20000055936A (ko) * 1999-02-11 2000-09-15 구자홍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4254B1 (ko) * 1996-03-15 1999-08-02 이서봉 전기변색 고분자용액, 전기변색 고분자박막 및 전기변색소자와 이들의 제조
KR20000055936A (ko) * 1999-02-11 2000-09-15 구자홍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8626A (zh) * 2022-03-21 2022-06-03 华南理工大学 一种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和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499A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54B1 (ko) 복합 구조로 된 전기변색층을 갖는 전기변색 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US8503059B2 (en) Electrochromic thin film transistors with lateral or vertical structure using functionalized or non-functionalized substrat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ES2389631T3 (es) Preparación de película de recubrimiento de azul de Prusia para un dispositivo electrocrómico
US7256925B2 (en) Flexible electrochrom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816536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6780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H04267227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ガラス
KR100371177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06694B1 (ko) 일렉트로크로믹 코팅재의 제조방법 및 그의 코팅방법
JPS6327692B2 (ko)
JPWO2019014776A5 (ko)
KR20120008902A (ko) 부분적으로 열 환원된 그라핀막 제조방법 및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상대전극 제조방법
CN111540807B (zh) 一种具有高开路电压的全无机钙钛矿太阳能电池及其制备方法
KR20160084246A (ko) 광전기 변색소자용 복합체 및 광전기 변색소자의 제조방법
KR100758379B1 (ko) 산화아연을 함유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37100A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70032461A (ko)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광전기 변색 소자
Yamanaka Tungsten Trioxide/Liquid Electrolyte Electrochromic Devices with Amorphous Iron Tungstate Counter Electrodes–Response Characteristics and Cell Reliability
KR100786334B1 (ko) 형광물질이 함유된 염료 감응형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86655A (ko) 내수성이 우수한 전기변색소자용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0860452B1 (ko) 활성화된 금속산화물의 제조방법
KR20010028520A (ko) 전기 변색소자 및 제조 방법
JPS6033255B2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ツク表示装置
JP2007087866A (ja) 透明導電性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電変換素子
CN113419391B (zh) 一种高电荷存储量的电致变色对电极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