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5936A -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55936A
KR20000055936A KR1019990004850A KR19990004850A KR20000055936A KR 20000055936 A KR20000055936 A KR 20000055936A KR 1019990004850 A KR1019990004850 A KR 1019990004850A KR 19990004850 A KR19990004850 A KR 19990004850A KR 20000055936 A KR20000055936 A KR 20000055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material layer
color change
transparent electrode
discol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리에프알리이
박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04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55936A/ko
Publication of KR20000055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93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G02F1/152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ion transporting layer, e.g. electrolyt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G02F2001/1552Inner electrode, e.g. the electrochromic layer being sandwiched between the inner electrode and the support substrate---- this group, now to be changed, should already been created by implementation of a previous DOC14 ----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전해질층 내의 이온이 주로 크랙이나 보이드를 통해 WO3박막 내로 이동하기 때문에 변색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1,제2 유리기판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마주보는 제1,제2 유리기판 상에 제1,제2 투명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졸 상태의 텅스텐-옥사이드와 상기 텅스텐-옥사이드에 비해 특정용액에서 식각이 빨리 이루어지는 파티클을 혼합하여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상부에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변색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변색물질층을 특정용액을 통해 식각하여 다공성 변색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공성 변색물질층과 제2 투명전극 사이에 전해질층을 채우는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전기변색소자를 제공함으로써, 보이드를 갖는 다공성 변색물질층을 형성함에 따라 표면적 및 이온 이동속도가 증가되어 전기변색소자의 반응속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진한 색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ELECTROCHROMIC DISPLAY AND FR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기변색소자(electrochromic display : ECD)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빠른 변색속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변색소자는 전장을 인가하면 전류의 흐름에 의해 색이 변하는 물질을 말하는 것으로, 이와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창문이나 거울등에서 광의 투과도나 반사도를 조절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크게 무기(inorganic) 전기변색물질과 유기(organic) 전기변색물질로 나누어진다.
상기 무기 전기변색물질로는 WO3, NiOXHY, Nb2O5, V2O5, TiO2, MoO3등이 있고, 유기 전기변색물질은 종류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폴리아닐닌(polyaniline)을 들수 있다. 이중에서 예를 들어 WO3는 용액속의 이온이나 전자와 반응하여 다음의 화학식1을 통해 색깔을 낸다.
MxWO3(dark blue)
여기서, x는 반응상수이고, M은 Ni+이온이 주로 사용되며, 그외에 주기율표 상의 1족 이온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전기변색소자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종래 전기변색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유리기판(1)의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투명전극(2) 및 제1 WO3박막(3)과; 상기 제1 WO3박막(3) 상부에 형성된 전해질층(electrolyte, 4)과; 상기 전해질층(4)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2 투명전극(5) 및 제2 유리기판(6)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1,제2 투명전극(2,5) 재료로는 주로 ITO(indium-tin-oxide)를 사용하며, 제1, WO3박막(3)은 제1 투명전극(2) 상부에 WO3를 코팅한 후, 100℃∼200℃ 정도로 열처리하여 형성하고, 상기 전해질층(4)은 고체(solid) 또는 액체(liquid)상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제1,제2 투명전극(2,5) 사이에 전계를 인가하면 전해질층(4) 내의 이온들이 이동하여 WO3박막(3)과 상기 화학식1과 같이 반응함으로써, WO3박막(3)이 변색된다.
이때, 전해질층(4) 내의 Li+이온이 주로 크랙(crack)이나 보이드(void)를 통해 WO3박막(3) 내로 이동하기 때문에 변색속도가 느려진다. 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상기 도1의 WO3박막(3)과 전해질층(4)의 계면상태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계가 인가되면 헬름홀츠 계면장벽(Helmholtz double layer)을 통과한 전해질층(4) 내의 Li+이온(+)들이 WO3박막(3) 내의 그레인 바운더리(grain boundary)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반응 표면적이 줄어들고 아울러 충분한 색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WO3박막(3)을 두껍게 해야 함에 따라 저항의 증가 및 Li+이온(+)의 이동거리 증가로 인해 변색속도가 느려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종래의 전기변색소자는 전해질층 내의 이온이 주로 크랙이나 보이드를 통해 WO3박막 내로 이동하기 때문에 변색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빠른 변색속도를 얻을 수 있는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응 표면적을 극대화하여 색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 전기변색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WO3박막과 전해질층의 계면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WO3와 실리카 나노 파티클 SiO2(d-40nm)가 혼합되어 형성된 박막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스캐닝한 도.
도3b는 도3a의 SiO2가 식각되어 보이드가 형성된 다공성 변색물질층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스캐닝한 도.
도4는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반응속도를 보인 그래프도.
먼저,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제2 유리기판과; 상기 마주보는 제1,제2 유리기판 상에 각각 형성된 제1,제2 투명전극과;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상부에 형성된 다공성 변색물질층과; 상기 다공성 변색물질층과 제2 투명전극의 이격영역에 채워진 전해질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는 제1,제2 유리기판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마주보는 제1,제2 유리기판 상에 제1,제2 투명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상부에 특정용액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유기 변색물질과 무기 변색물질이 혼합된 변색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변색물질층을 특정용액을 통해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유기 변색물질 또는 무기 변색물질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변색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공성 변색물질층과 제2 투명전극 사이에 전해질층을 채우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유기 변색물질을 다공성 변색물질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특정용액에 대해 무기 변색물질의 식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고, 무기 변색물질을 다공성 변색물질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특정용액에 대해 유기 변색물질의 식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기변색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제1,제2 유리기판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마주보는 제1,제2 유리기판 상에 제1,제2 투명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졸(sol) 상태의 텅스텐-옥사이드(tungsten oxide : WO3)와 텅스텐-옥사이드에 비해 특정용액에서 식각이 빨리 이루어지는 파티클(particle)을 혼합하여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상부에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변색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변색물질층을 특정용액을 통해 식각하여 다공성 변색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공성 변색물질층과 제2 투명전극 사이에 전해질층을 채우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종래에 비해 변색물질층을 다공성 구조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H2O2용액(공업용 30% 수용액)에 텅스텐 함유량 99.95% 정도의 텅스텐 파우더(powder)를 혼합하면 텅스텐이 산화되면서 졸 상태의 텅스텐-옥사이드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텅스텐 파우더는 일예로 Aldrich Chemical Company, Inc.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필터링을 통해 상기 졸 상태의 텅스텐-옥사이드가 형성된 용액으로부터 불순물을 걸러내고, 백금 촉매를 통해 잔류하는 H2O2용액을 수소와 물로 분해시킨 후, 수소를 날려보내 졸-겔(sol-gel) 상태의 텅스텐-옥사이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졸-겔 상태의 텅스텐-옥사이드에 실리카 나노 파티클(silica nano paticle) SiO2(d-40nm)를 혼합하여 상기 제1 투명전극 상에 코팅한 후, 열처리하여 박막을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상기 실리카 나노 파티클 SiO2(d-40nm)는 독일 Daegussa사의 Aerosil OX 50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박막을 HF(hydrofluoric acid) 용액을 통해 식각하여 다공성 변색물질층을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적용한 상기 각 물질의 HF 용액에 대한 식각속도는 아래의 표1과 같다.
물 질 식각 속도[Å/min]
WO3 60
ITO 100
silica nano paticle SiO2(d-40nm) 600
silicon oxide layer 580(9.6Å/sec)
상기 표1의 결과는 본 발명의 실시에 따른 하나의 실험결과치로서, 조건이 달라질 경우에 표1과는 다른 식각속도가 나타날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일정한 식각속도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표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WO3와 실리카 나노 파티클 SiO2(d-40nm)는 HF 용액에 대한 식각속도가 서로 다르므로, 식각이 진행되면 실리카 나노 파티클 SiO2(d-40nm)가 보다 빠르게 식각된다.
즉, 도3a에 도시한 바와같이 WO3와 실리카 나노 파티클 SiO2(d-40nm)가 혼합되어 형성된 박막을 HF 용액에 식각하면, 도3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WO3와 실리카 나노 파티클 SiO2(d-40nm)가 혼합되어 형성된 박막으로부터 SiO2가 식각되어 보이드가 형성됨으로써, 종래의 WO3박막에 비해 표면적 및 크랙이 증가한 다공성 변색물질층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계가 인가되면 헬름홀츠 계면장벽을 통과한 전해질층 내의 Li+이온들이 WO3박막 내로 보다 빠르게 이동할 수 있게 되어 변색속도가 증가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반응속도를 측정한 결과치를 도4의 그래프도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수직축은 상부로 갈수록 색이 진해지는 색농도를 나타내며, 수평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이때, 점선으로 나타낸 전압은 그래프와 동일한 주기의 +1[V]와 -2.55[V] 사이의 구형파를 인가하였고, 일점쇄선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반응속도를 나타낸 것이며, 실선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반응속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4의 그래프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의 반응속도가 종래 기술에 비해 약 3배정도 빠른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은 특정 식각용액에 식각이 잘 되지 않는 변색물질층과 나노 사이즈(nano size)로 특정 식각용액에 식각이 잘 이루어지는 물질을 혼합한 박막을 형성하고, 상기 나노 사이즈의 입자를 식각함으로써, 보이드를 갖는 다공성 변색물질층을 형성함에 따라 표면적 및 이온 이동속도가 증가되어 전기변색소자의 반응속도가 향상됨과 아울러 진한 색농도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 제1,제2 유리기판과; 상기 마주보는 제1,제2 유리기판 상에 각각 형성된 제1,제2 투명전극과;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상부에 형성된 다공성 변색물질층과; 상기 다공성 변색물질층과 제2 투명전극의 이격영역에 채워진 전해질층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층은 액체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
  3. 제1,제2 유리기판을 소정거리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마주보는 제1,제2 유리기판 상에 제1,제2 투명전극을 각각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제1 투명전극의 상부에 특정용액에 대해 식각선택비를 갖는 유기 변색물질과 무기 변색물질이 혼합된 변색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변색물질층을 특정용액을 통해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유기 변색물질 또는 무기 변색물질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는 다공성 변색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다공성 변색물질층과 제2 투명전극 사이에 전해질층을 채우는 공정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90004850A 1999-02-11 1999-02-11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55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850A KR20000055936A (ko) 1999-02-11 1999-02-11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850A KR20000055936A (ko) 1999-02-11 1999-02-11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936A true KR20000055936A (ko) 2000-09-15

Family

ID=19574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850A KR20000055936A (ko) 1999-02-11 1999-02-11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5593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177B1 (ko) * 2000-10-18 200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820157B1 (ko) * 2002-03-08 2008-04-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기변색물질을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454B1 (ko) * 2005-02-01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구조로 된 전기변색층을 갖는 전기변색 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WO2008133737A3 (en) * 2006-12-04 2009-04-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Electrochromic device
KR100910674B1 (ko) * 2001-06-26 2009-08-04 엔트라 리미티드 고해상 영상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1177B1 (ko) * 2000-10-18 2003-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910674B1 (ko) * 2001-06-26 2009-08-04 엔트라 리미티드 고해상 영상 디스플레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20157B1 (ko) * 2002-03-08 2008-04-08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기변색물질을 이용한 스마트 윈도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9454B1 (ko) * 2005-02-01 2009-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복합 구조로 된 전기변색층을 갖는 전기변색 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WO2008133737A3 (en) * 2006-12-04 2009-04-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 Electrochromic device
US7940447B2 (en) 2006-12-04 2011-05-1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ectrochromic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454B1 (ko) 복합 구조로 된 전기변색층을 갖는 전기변색 소자 및 그의제조 방법
US5138481A (en) Electrochromic device with color gradient and method of making the device
EP2673674B1 (en)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spatially coordinated switching
EP2078980B1 (en) Electric field sens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making use of the same
KR20150076780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WO2014025921A1 (en)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current modulating structure
KR101816536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2014052510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表示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SE518964C2 (sv) Behållaranordning för förvaring av riskmaterial och sätt för dess framställning
US4225216A (en) Tungsten niobate electrochromic device
KR20000055936A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6778A (ko)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구동방법
JPH0545005B2 (ko)
KR100939842B1 (ko) 전기변색 투명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71177B1 (ko)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7052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보호막 형성방법 및 그 조성물
US6652980B2 (en) Electrochromic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180009019A (ko) 전기 변색 소자
KR102112043B1 (ko) 전기변색 소자
KR101853282B1 (ko) 전기변색 소자용 텅스텐 삼산화물 박막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534557B (zh) 电致变色器件及其制备方法
KR20150050295A (ko) 전기 변색 소자
GB243752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differentially coloured glass article
JP2018049221A (ja) 電磁波調整用分散体、電磁波調整用分散体の製造方法及び電磁波調整素子
JPH0372328A (ja) エレクトロクロミック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