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650B1 - 휴대 기기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 기기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650B1
KR100370650B1 KR10-2000-0035211A KR20000035211A KR100370650B1 KR 100370650 B1 KR100370650 B1 KR 100370650B1 KR 20000035211 A KR20000035211 A KR 20000035211A KR 100370650 B1 KR100370650 B1 KR 100370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er
portable device
contact
mobile 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0421A (ko
Inventor
정준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3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650B1/ko
Publication of KR20020000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0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6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등과 같은 휴대 기기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휴대 기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미널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미널의 일단을 자유 상태로 하지 않음으로써, 터미널의 정렬 불량에 따른 휴대폰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기기가 안착되도록 안착부(3)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원이 인가되는 터미널(4)이 돌출되어 휴대 기기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안착 플레이트(2)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한 터미널(4)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면을 제한하도록 안착 플레이트(2)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4)이 소정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형성된 제한부(5)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 기기용 충전기{Charger for portable instrument}
본 발명은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등과 같은 휴대 기기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휴대 기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기기는 휴대중에 사용하기 위하여 충전용 배터리를 장착하고 있는 바, 상기한 휴대 기기의 사용을 위해서는 상기한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해야 한다.
특히, 대표적인 휴대 기기인 휴대폰 역시 충전기가 필요하게 되는 바, 이는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기판(P)이 설치된 베이스(50)와, 상기한 베이스(50)의 상면에 결합됨과 아울러 휴대폰(H)이 안착되도록 안착부(51)가 형성된 안착 플레이트(52)와, 상기한 안착부(51)에 안착된 휴대폰(H)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베이스(50)의 고정부(53)에 설치된 터미널(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터미널(54)은 휴대폰(H)의 접점(미 도시)에 정확하게 접촉되도록 곡면 형상인 접촉부(55)가 형성되어 있고, 접촉 시 탄성을 갖도록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안착 플레이트(52)의 저면에는 접촉부(55)가 돌출되도록 구멍(부호 없음)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터미널(54)은 탄성에 의해 휴대폰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접촉부(55)위치)가 자유 상태로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휴대폰에 탄성 접촉되도록 터미널의 일단을 자유 상태로 유지함과 아울러 타단을 고정부에 고정하게 되면, 상기한 터미널의 상하 좌우 정렬이 어렵게 되고, 이로 인해 휴대폰과의 접촉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터미널을 탄성적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지만, 이를 위해 일단을 자유 상태로 하기 때문에, 터미널의 정렬이 어렵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터미널을 탄성적으로 유지하면서도 터미널의 일단을 자유 상태로 하지 않음으로써, 터미널의 정렬 불량에 따른 휴대폰과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기기용 충전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 기기가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원이 인가되는 터미널이 돌출되어 휴대 기기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한 터미널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면을 제한하도록 안착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이 소정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형성된 제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충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터미널부를 도시한 확대도,
도 3은 일반적인 휴대 기기용 충전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베이스 2 : 안착 플레이트
3 : 안착부 4 : 터미널
5 : 제한부 6 : 가이드면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기기용 충전기를 도시한 단면도와 도 1에서 터미널을 도시한 확대도로서, 비교적 낮게 형성된 베이스(1)와, 상기한 베이스(1)의 상면에 결합된 안착 플레이트(2)와, 상기한 안착 플레이트(2)에 설치된 안착부(3)와, 상기한 안착부(3)의 저면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터미널(4)과, 상기한 터미널(4)의 상면을 제한하도록 안착 플레이트(2)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형성된 제한부(5)와, 상기한 제한부(5)에 의해 제한되어 있는 터미널(4)이 휴대폰(H)에 의해 압박될 때 터미널(4)이 눌릴 수 있도록 형성된 가이드면(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터미널(4)이 탄성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한 터미널(4)의 상면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터미널(4)의 일단이 자유 상태로 있지는 않고, 이로 인해 터미널(4)의 정렬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제한부(5)가 터미널(4)의 위치를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터미널(4)의 정렬 작업이 필요없게 됨으로써, 상기한 휴대폰(H)과 터미널(4)의 접촉 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제한부(5)는 터미널(4)이 소정 탄성을 갖고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터미널(4)의 위치는 항상 일정한 위치에 정렬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충전기를 조립하기 위하여, 베이스(1)에 터미널(4)의 일단을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터미널(4)의 고정은 종래와 같은 고정부(53)를 사용하여도 되는 바, 일단이 고정된 터미널(4)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2)의 제한부(5)에 의해 상단이 압박되면서 자세가 일정하게 유지된 상태가 된다.
즉, 작업자는 상기한 터미널(4)을 베이스(1)에 고정시킬 때 제한부(5)에 상단을 밀착시키면 정렬 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바, 종래와 같이 터미널(4)의 정렬을 위해 별도의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충전기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것이다.
제한부(5)에 의해 터미널(4)이 일정한 자세로 유지되면 상기한 베이스(1)의 상면에 안착 플레이트(2)를 고정시키게 된다.
안착 플레이트(2)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한 터미널(4)이 안착부(3)로 돌출되는 바, 이 상태에서 휴대폰(H)이 안착되면 터미널(4)에 접촉되면서 전원이 인가되고 충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터미널(4)이 압박되는 바, 도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터미널(4)이 눌리면서 가이드면(6)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터미널(4)의 압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터미널의 상면을 제한부로 탄성 제한하여 터미널과 휴대폰 접촉 부분이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과 충전기 사이의 충전 불량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터미널의 정렬 작업이 필요없게 됨으로써, 충전기의 조립 작업 능률이 향상되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휴대 기기가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전원이 인가되는 터미널이 돌출되어 휴대 기기와 접촉되도록 구성된 안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휴대 기기용 충전기에 있어서,
    상기한 터미널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면을 제한하도록 안착 플레이트에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터미널이 소정 탄성에 의해 밀착되도록 형성된 제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10-2000-0035211A 2000-06-26 2000-06-26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100370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211A KR100370650B1 (ko) 2000-06-26 2000-06-26 휴대 기기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5211A KR100370650B1 (ko) 2000-06-26 2000-06-26 휴대 기기용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421A KR20020000421A (ko) 2002-01-05
KR100370650B1 true KR100370650B1 (ko) 2003-02-05

Family

ID=1967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211A KR100370650B1 (ko) 2000-06-26 2000-06-26 휴대 기기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6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0421A (ko) 200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73484B2 (en) IC device, circuit board and IC assembly
KR101405788B1 (ko) 휴대용 전자 기기용 도크
JP3205886U (ja) 充電装置
US6923690B1 (en) Spring-loaded electrical contact
KR100370650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JP2007143256A (ja) 携帯電話機用充電器及び電子機器用充電器
JP5011915B2 (ja) 充電台
CN110634699B (zh) 侧键组件及终端设备
JP3196096B2 (ja) 充電端子構造
JP3762295B2 (ja) 携帯端末用充電装置及び携帯端末
EP1284028B1 (en) Battery holder with integrated switch
JP2008043078A (ja) 充電台
JP2003051875A (ja) 無線電話機用充電装置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KR100370649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200197956Y1 (ko)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CN215646939U (zh) 一种手机夹
JP2002272004A (ja) 携帯通信機の充電構造
JP5102545B2 (ja) 電子機器
JP2009177853A (ja) 充電台
JP4198126B2 (ja) 接点端子の固定構造及び電子機器
JP2005245048A (ja) 携帯機器用充電台
JP2002320337A (ja) 電子機器
KR200218035Y1 (ko) 개인휴대 단말기를 위한 베이스 스테이션
KR20040011818A (ko)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