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7956Y1 -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7956Y1
KR200197956Y1 KR2020000011318U KR20000011318U KR200197956Y1 KR 200197956 Y1 KR200197956 Y1 KR 200197956Y1 KR 2020000011318 U KR2020000011318 U KR 2020000011318U KR 20000011318 U KR20000011318 U KR 20000011318U KR 200197956 Y1 KR200197956 Y1 KR 200197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ase
charger
guide memb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3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춘화
Original Assignee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13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7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7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795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휴대전화기에 적용 가능한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충전기는 충전을 위해 휴대전화기가 장착되는 홈이 형성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 내에 구비된 회로기판(12)과 결합되며, 케이스(20)의 홈에 설치되는 접속단자(22)와, 상기 회로기판(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18)과, 상기 접속단자(22)와 연계되어 케이스(20)의 홈을 조절함으로써 휴대전화기(P)가 탄력적으로 장착되게 하는 가변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휴대전화기(P)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24)와, 상기 가이드부재(24)의 하단부와 케이스(20)를 연결하는 제1스프링(26)과, 가이드부재(24)의 상단부와 케이스(20)를 연결하는 제2스프링(28)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에 의하면 가변지지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부재(24) 및 제1, 제2스프링(26)(28)의 구조상 다양한 디자인의 휴대전화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의 전화기 개발에 따라, 충전기 또한 새로 디자인하여야 하는 등, 산업상의 비효율성이 높아지거나, 휴대전화기의 사용편의성 저하가 방지된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용 충전기{Charger for Mobile station}
본 고안은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휴대전화기에 적용 가능한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는 중계국에 의한 무선중계를 통해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이동통신기기로서, 대부분 그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축전지로부터 공급받는 이른바, 축전지식 전원공급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축전지는 별도의 충전기를 통해 충전됨으로써 반복사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축전지의 충전을 위해 사용되는 충전기는 도 1에 나타난 것과 같이 특정형태의 안착홈(10a)을 형성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 내에 구비된 회로기판(12)과, 상기 회로기판(12)에 부착되어 케이스(10)의 안착홈(10a) 측으로 그 일단이 돌출된 접속단자(14)와, 상기 접속단자(14)와 마찬가지로 회로기판(12)에 장착되어 케이스(10) 외부로 드러나는 발광소자(16)와, 회로기판(12)에 연결되어 상기 접속단자(14) 및 발광소자(16)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18)과, 상기 전원 케이블(18)을 통해 전달된 전원을 적정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축전지(B)와 결합된 상태의 휴대전화기(P)를 충전기 케이스(10)의 안착홈(10a)에 끼워넣어 축전지(B)의 접속편(미도시)과 충전기의 접속단자(14)를 접속시키는 방식으로 축전지(B)를 충전하게 된다. 충전 시에는 축전지(B)의 충전상태에 따라 발광소자(16)가 각기 다른 형태로 점멸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발광소자의 작동상태를 통해 충전완료 여부를 파악하게 된다.
즉,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하면 축전지(B)를 전화기(P)에서 분리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행할 필요 없이 결합된 상태 그대로 상기 휴대전화기(P)를 충전기에 장착하여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휴대전화기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한편, 상기 충전기는 케이스(10)의 형태가 휴대전화기(P)의 디자인에 맞추어 각기 다르게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세트(set)를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충전기 케이스의 형태 즉 요홈부의 구조가 특정 디자인의 전화기에만 부합되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의 전화기 개발 시마다, 이에 따른 충전기 또한 새로 디자인하여야 하는 등, 산업상의 비효율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휴대전화기를 반드시 세트를 이루는 충전기를 통해서만 충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화기의 사용편의성 또한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양한 디자인의 휴대전화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한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의 구조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의 구조와, 그 사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회로기판 16: 발광소자
18: 전원케이블 20: 케이스
22: 접속단자 24: 가이드부재
26: 제1스프링 28: 제2스프링
30: 지지패드 P: 휴대전화기
B: 축전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휴대전화기용 충전기는 충전을 위해 휴대전화기가 장착되는 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케이스의 홈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과, 상기 접속단자와 연계되어 케이스 홈을 조절함으로써 휴대전화기가 탄력적으로 장착되게 하는 가변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휴대전화기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부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제1스프링과,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와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의 내용 중 종래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휴대전화기용 충전기는 각 도면에 나타난 것과 같이 휴대전화기가 장착되는 홈이 형성된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 내에 구비된 회로기판(12)과, 상기 회로기판(12)에 장착되어 케이스(20) 외부로 드러나는 발광소자(16)와, 상기 회로기판(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18)과, 상기 전원 케이블(18)을 통해 전달된 전원을 적정 전압으로 변환하는 변압기(미도시)와, 휴대전화기(P)의 디자인에 따라 적절히 위치 이동 가능한 구조로 회로기판(12)에 장착된 접속단자(22)와, 상기 접속단자와 연계되어 휴대전화기(P)를 안착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가변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접속단자(22)의 선단을 지지하며, 케이스(20)에 연결되는 가이드부재(24)와, 상기 가이드부재(24)의 하부 선단을 케이스(20)와 연결하는 제1스프링(26)과, 가이드부재(24)의 상부선단과 케이스(20)를 연결하는 제2스프링(28)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가이드부재(24)의 일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케이스(20)의 측면에는 휴대전화기(P)를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한 스폰지 재질의 지지패드(30)가 부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20)의 홈에 휴대전화기(P)를 안착시킬 경우, 가이드부재(24)를 케이스(20)와 연결하는 제1스프링(26) 및 제2스프링(28)의 탄성적인 변형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24)가 움직이게 되고, 접속단자(22) 역시 가이드부재(24)를 따라 회로기판(12) 상에서 어느 정도 이동되어 자연스럽게 축전지(B)의 접속단자와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접속단자(22)는 전화기(P)의 크기에 따라 그 위치가 조절된다. 또한, 휴대전화기(P)가 케이스(2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부드러운 재질의 지지패드(30)와 접하기 때문에 전화기(P)의 안착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충전기는 그 구조상 가이드부재(24)와 케이스(20) 일측 선단과의 폭이 휴대전화기(P)의 디자인과 크기에 따라 적절히 조절되기 때문에 휴대전화기(P)의 디자인, 즉 그 크기와 형태에 구애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휴대전화기용 충전기에 의하면, 가변지지수단을 구성하는 가이드부재 및 제1, 제2스프링의 구조상 다양한 디자인의 휴대전화기에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새로운 디자인의 전화기 개발에 따라, 충전기 또한 새로 디자인하여야 하는 등, 산업상의 비효율성이 높아지거나, 휴대전화기의 사용편의성 저하가 방지된다.

Claims (2)

  1. 충전을 위해 휴대전화기가 장착되는 홈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회로기판과 결합되며, 케이스의 홈에 설치되는 접속단자와,
    상기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과,
    상기 접속단자와 연계되어 케이스 홈을 조절함으로써 휴대전화기가 탄력적으로 장착되게 하는 가변지지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지지수단은
    휴대전화기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하단부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제1스프링과, 가이드부재의 상단부와 케이스를 연결하는 제2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KR2020000011318U 2000-04-20 2000-04-20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KR200197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18U KR200197956Y1 (ko) 2000-04-20 2000-04-20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318U KR200197956Y1 (ko) 2000-04-20 2000-04-20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7956Y1 true KR200197956Y1 (ko) 2000-10-02

Family

ID=1965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318U KR200197956Y1 (ko) 2000-04-20 2000-04-20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79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8174B1 (ko) 도전성 접점
US6348776B2 (en) Flexible battery charger adaptable to the batteries of the mobile phones of different sizes
KR100322854B1 (ko) 이어 마이크 폰
KR19990037388A (ko) 축적 장치를 포함하는 전화통신 장치 및 이와 같은 전화통신 장치에 적합한 축적 장치
US8076902B2 (en) Charger
KR200197956Y1 (ko) 휴대전화기용 충전기
KR200201081Y1 (ko) 다기종 휴대폰 충전기
KR200172349Y1 (ko) 무선전화기용 충전기의 충전 단자장치
JP4133900B2 (ja) 携帯機器用充電台及び携帯機器充電用システム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WO2002037804A3 (de) Kommunikationseinrichtung mit daten-schnittstelle in der lade-basis
KR200296075Y1 (ko)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KR100370650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JPH07273849A (ja) 充電端子構造
KR100260750B1 (ko) 무선단말기의 밧데리 장착장치
CN215646939U (zh) 一种手机夹
KR200165484Y1 (ko) 이동 통신 기기용 배터리 팩
KR200237123Y1 (ko) 핸드폰의 인터페이스 커넥터용 배터리 접속단자구조
KR200206528Y1 (ko) 다기능 핸드폰 충전기
JP2002272004A (ja) 携帯通信機の充電構造
KR100365799B1 (ko) 휴대폰용 충전기의 배터리팩 로킹장치
KR200315282Y1 (ko) 이동전화 단말기용 배터리 충전구조
KR100370649B1 (ko) 휴대 기기용 충전기
KR200211525Y1 (ko)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
KR20030080272A (ko) 휴대폰의 배터리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