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525Y1 -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 - Google Patents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525Y1
KR200211525Y1 KR2020000024308U KR20000024308U KR200211525Y1 KR 200211525 Y1 KR200211525 Y1 KR 200211525Y1 KR 2020000024308 U KR2020000024308 U KR 2020000024308U KR 20000024308 U KR20000024308 U KR 20000024308U KR 200211525 Y1 KR200211525 Y1 KR 2002115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charging
charger
battery
hand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4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4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25Y1/ko

Link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핸드셋 등을 하나의 충전단자에 접촉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를 구현하므로써, 제품의 제조 비용 및 점유 면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어 이완 및 복원되는 스프링과 스프링으로부터 연장된 하나의 와이어로서 제 1 및 제 2 충방전소자를 접촉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접촉단으로 이루어진 충전단자: 및 제 1 및 제 2 충방전소자를 선택적으로 탑재하기 위하여 내부의 일측이 계단 형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충방전소자가 제 1 접촉단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1 접촉단이 계단 형의 상단부에 돌출되며, 제 2 충방전소자가 제 2 접촉단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 2 접촉단이 계단 형의 하단부에 돌출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Charger using double contact type charge terminals}
본 고안은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핸드셋(Handset) 등을 하나의 슬롯(Slot) 내에 설치된 단일 충전단자에 접촉시켜 충전할 수 있는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기는 크게 그 용도에 따라 데스크탑형 충전기, 여행용 충전기 및 시거형 충전기로 분류된다.
시거형 충전기는 자동차의 시거잭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행용 충전기는 전화기에 직접 커넥터를 사용하여 충전하거나 데스크 탑 홀더에 커넥터를 연결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데스크탑형 충전기는 보통은 두 개의 슬롯을 가지고 있으며, 전면 슬롯에는 전화기 및 배터리가 장착되도록 하고 있고, 후면 슬롯에는 배터리만 장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데스크탑형 충전기는 일반적으로 전면 충전을 우선하도록 하고 있어 전면에 장착되는 전화기 및 배터리가 후면의 배터리보다 먼저 충전된다.
이와 같은, 데스크탑형 충전기와 같이 두 개의 슬롯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충전기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충전기는, 두 개의 슬롯(110, 120)으로 이루어 졌으며, 이 슬롯(110, 120)들의 내부에는 각각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및 핸드셋을 접촉시키기 위한 충전단자(111, 121)들이 장착된다.
즉, 슬롯(110) 내의 충전단자(111)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가 탑재되어 충전되고, 또한 슬롯(120) 내의 충전단자(121)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이 탑재되어 충전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슬롯과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충전기의 경우, 배터리용 충전기와 핸드셋용 충전기를 단순히 결합 것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제조 비용도 두 개의 충전기를 각각 제조하는데 상응하는 수준의 많은 비용이 소요되었을 뿐 아니라, 제품의 점유 면적도 두 개의 충전기를 연결한 상태에 대응될 만큼의 큰 크기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핸드셋 등을 하나의 충전단자에 접촉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를 구현하므로써, 제품의 제조 비용 및 점유 면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충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두개의 슬롯 및 충전단자로 이루어진 충전기의 전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의 충전단자의 동작원리 설명을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의 측단면도.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이 탑재된 본 고안의 충전기의 측단면도.
도 6은 배터리가 탑재된 본 고안의 충전기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슬롯 220: 충전단자
221, 222: 제 1 및 제 2 접촉단 310: 회로기판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 및 배터리와 같은 충방전소자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에 있어서,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어 이완 및 복원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연장된 하나의 와이어로서 제 1 및 제 2 충방전소자를 접촉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접촉단으로 이루어진 충전단자; 및 상기 제 1 및 제 2 충방전소자를 선택적으로 탑재하기 위하여 내부의 일측이 계단 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충방전소자가 상기 제 1 접촉단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접촉단이 상기 계단 형의 상단부에 돌출되며, 상기 제 2 충방전소자가 상기 제 2 접촉단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접촉단이 상기 계단 형의 하단부에 돌출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하나의 슬롯 내에 한 개의 충전단자만을 장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과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충전기를 구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충전기의 전면을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충전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과 배터리를 탑재하기 위한 슬롯(210), 그리고 탑재된 핸드셋이나 배터리가 충전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충전될 수 있도록 핸드셋이나 배터리에 접촉되는 충전단자(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충전단자(220)는 핸드셋이나 배터리에 양극(+) 및 음극(-)의 전원이 인가되도록 쌍극단자로 이루어진다.
슬롯(210)의 내부 바닥 부분이 계단 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핸드셋과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탑재하기 위한 것으로서, 즉 계단 형의 상단부에는 핸드셋이 탑재되고 하단부에는 배터리가 탑재된다.
이렇게, 핸드셋이나 배터리가 탑재될 경우, 핸드셋과 배터리의 충전용 단자는 각각 계단 형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돌출된 충전단자(220)에 접촉된다.
그러면, 핸드셋과 배터리가 슬롯(210) 내에서의 탑재 위치가 서로 다름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충전단자(220) 만을 통해서 충전될 수 있도록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단자에 대한 동작원리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의 회로기판(310) 상에 장착되는 충전단자(220)는, 슬롯(210) 내의 계단 형의 상단부에 돌출되어 핸드셋과 접촉되는 제 1 접촉단(221)과 슬롯(210) 내의 계단 형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배터리와 접촉되는 제 2 접촉단(222)으로 이루어지되, 제 1 및 제 2 접촉단(221, 222)은 하나의 와이어(wire)로 이루지며, 회로기판(310) 상에 장착시 제 1 접촉단(221)은 제 2 접촉단(222)의 상측에 위치한다.
또한, 충전단자(220)는, 제 1 및 제 2 접촉단(221, 222)을 이루는 하나의 와이어에 연결되어 회로기판(310) 상에 장착되며, 이 와이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완 및 복원하는 스프링(223)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핸드셋의 접촉에 의해 제 1 접촉단(221)이 눌리게 되면, 스프링(223)은 제 2 접촉단(222)이 위치한 하방향으로 이완되었다가 핸드셋의 이탈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배터리의 접촉에 의해 제 2 접촉단(222)이 눌리게 되면, 스프링(223)은 제 1 접촉단(221)이 위치한 상방향으로 이완되었다가 배터리의 이탈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그리고, 충전단자(220)에는 회로기판(31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흐르고 있는 상태이므로, 충전기에 탑재되는 핸드셋이나 배터리는 충전단자(220)에 흐르는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촉단(221, 222)을 이루는 와이어는 스프링(223)으로부터 연장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 따른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충전기의 몸체(410) 내부의 하단부에 회로기판(310)이 수평으로 장착되고, 회로기판(310) 상에는 충전단자(220)의 스프링(223)이 부착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스프링(223)과 연결되어 하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제 1 및 제 2 접촉단(221, 222)은 경사지게 슬롯(210)의 하단부에 돌출된다.
도 5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이 탑재된 본 고안의 충전기의 측단면도로서, 슬롯(210) 내부에 형성된 계단 형의 상단부에 핸드셋이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이 본 고안의 충전기에 탑재될 경우, 핸드셋의 충전용 단자는 충전기의 충전단자(220)의 제 1 접촉단(221)에 접촉된다.
도 6은 배터리가 탑재된 본 고안의 충전기의 측단면도로서, 슬롯(210) 내부에 형성된 계단 형의 하단부에 배터리가 탑재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가 본 고안의 충전기에 탑재될 경우, 배터리의 충전용 단자는 충전기의 충전단자(220)의 제 2 접촉단(222)에 접촉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본 고안에 따른 충전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과 배터리에만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와 핸드셋 등을 하나의 충전단자에 접촉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충전기를 구현하여 제조 비용 및 점유 면적을 감소시키므로써, 제품의 상품성 및 경쟁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의 핸드셋(Handset) 및 배터리와 같은 충방전소자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기에 있어서,
    회로기판 상에 부착되어 이완 및 복원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으로부터 연장된 하나의 와이어(wire)로서 제 1 및 제 2 충방전소자를 접촉시키기 위한 제 1 및 제 2 접촉단으로 이루어진 충전단자; 및
    상기 제 1 및 제 2 충방전소자를 선택적으로 탑재하기 위하여 내부의 일측이 계단 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충방전소자가 상기 제 1 접촉단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접촉단이 상기 계단 형의 상단부에 돌출되며, 상기 제 2 충방전소자가 상기 제 2 접촉단에 접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접촉단이 상기 계단 형의 하단부에 돌출되는 슬롯(Slot)을 포함하는 충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촉단과 접촉되게 상기 계단 형의 상단부에 탑재되는 상기 제 1 충방전소자는 상기 핸드셋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접촉단과 접촉되게 상기 계단 형의 하단부에 탑재되는 상기 제 2 충방전소자는 상기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단자에는 상기 회로기판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고, 이 전류에 의해 상기 슬롯에 선택적으로 탑재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충방전소자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KR2020000024308U 2000-08-28 2000-08-28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 KR2002115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08U KR200211525Y1 (ko) 2000-08-28 2000-08-28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4308U KR200211525Y1 (ko) 2000-08-28 2000-08-28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25Y1 true KR200211525Y1 (ko) 2001-01-15

Family

ID=7308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4308U KR200211525Y1 (ko) 2000-08-28 2000-08-28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2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09B1 (ko) 다기종 배터리 사용이 가능한 휴대단말기 보호케이스
CN107331896B (zh) 一种锂电池及充电宝
US6991497B1 (en) Earphone jack
US5834919A (en) Structure of cellular telephone battery charger
KR100334055B1 (ko) 셀룰러 전화기용 모듈러 스택커블 배터리
CN1216431A (zh) 包括蓄电装置的电话装置和适合这种电话装置的蓄电装置
KR200211525Y1 (ko) 이중접촉 방식의 충전단자를 이용한 충전기
KR200217333Y1 (ko) 이중탑재 방식의 슬롯을 이용한 충전기
JP2000069137A (ja) 無線通信機と電池パック
JPH1032934A (ja) 携帯電話用二次電池の充電装置
KR100422474B1 (ko) 단일슬롯 방식의 휴대폰용 배터리 충전장치
CN112531293A (zh) 用于电池的降压柔性电路板以及采用该电路板的电池
KR100272089B1 (ko) 공용잭이 구비된 이동전화기의 배터리 및 충전용 아답터
KR1005857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충전 구조
US6736649B1 (en) Variable two part DC-jack
CN214380161U (zh) 移动充电装置
CN215266772U (zh) 一种充电连接器、充电器及电动车
KR200355592Y1 (ko) 휴대폰 배터리
JP2003158826A5 (ko)
KR200180446Y1 (ko) 외부장치와 연결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39833Y1 (ko) 스프링커넥터핀
KR0134502Y1 (ko) 핸드폰용 충전밧데리 구조
KR20020077293A (ko) 배터리셀의 전원경로형성구조
KR200318521Y1 (ko) 전력 커넥터용 개량소켓구조
KR20090002661U (ko) 충전용 시거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