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1818A -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1818A
KR20040011818A KR1020020044960A KR20020044960A KR20040011818A KR 20040011818 A KR20040011818 A KR 20040011818A KR 1020020044960 A KR1020020044960 A KR 1020020044960A KR 20020044960 A KR20020044960 A KR 20020044960A KR 20040011818 A KR20040011818 A KR 200400118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ell
power terminal
pcb module
battery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창
Original Assignee
박세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창 filed Critical 박세창
Priority to KR102002004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1818A/ko
Publication of KR20040011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818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통신단말에 전원을 인가하는 배터리셀을 배터리케이스에 용접과정을 적용하지 않고서도 적절하게 장착하기 위한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및 제 2전원단자를 갖춘 배터리셀이 수납되는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탄성지지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그 양측 내벽에 PCB모듈착설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PCB모듈에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원단자와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를 도전성 패턴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PCB모듈과 상기 도전성패턴부재를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착설하고나서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가 상기 PCB모듈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에 접촉되도록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상기 배터리셀을 착설하게 되고, 상기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형성된 탄성체착설가이드와, 그 탄성체착설가이드에 양단이 끼움설치되면서 그 중앙이 상기 배터리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STRUCTURE AND METHOD FOR PACKAGING BATTERY CELL INTO BATTERY CASE}
본 발명은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통신단말에 적용되는 배터리셀(Battery Cell)을 배터리케이스내에 적절하게 패키징하기 위한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개인이동통신서비스를 위해 보급되는 CDMA/GSM 및/또는 PCS 휴대통신단말에는 전원을 인가해주는 배터리팩이 착탈식으로 제공되는 바, 그 배터리팩을 구성하는 배터리케이스내에는 소정 형태의 배터리셀이 내장되어 그 배터리셀에 충전된 전원이 휴대통신단말에 인가되어 그 휴대통신단말의 대기/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면에서, 합성수지의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배터리케이스(10)의 내부에는 반복적인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셀(20)이 안정적으로 내설되고, 그 배터리셀(20)은 그 일면에 제 1전원단자('+'단자; 22)가 형성되고 그 타면에 제 2전원단자('-'단자; 24)가 형성된다.
또, 상기 배터리케이스(10)의 내부에는 상기 배터리셀(20)에 대해 안정적인레벨에 의해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배터리셀보호회로(예컨대, 과충전/과전류/과전압/과방전 보호회로)가 실장된 PCB모듈(30)도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PCB모듈(30)에는 상기 배터리셀(20)의 제 1전원단자(22)와 상기 제 2전원단자(24)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만 그 배터리셀(20)에 충전이 행해지는 경우 상기 PCB모듈(30)에 의해 과충전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PCB모듈(30)은 상기 배터리셀(20)에 최근접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그 배터리셀(20)의 일측면에 고정결합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셀(20)의 제 1전원단자(22)와 제 2전원단자(24)는 대응하는 도전성 패턴부재(예컨대 소정 너비의 니켈박판)(26a,26b)에 의해 상기 PCB모듈(30)에 형성된 제 1 및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에 대응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셀(20)은 그 외면이 상기 제 2전원단자(24)와 연계되는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배터리셀(20)의 일측면에 상기 PCB모듈(30)을 고정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셀(20)과 그 PCB모듈(30)의 저면이 상호 전기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PCB모듈(30)의 저면과 상기 배터리셀(20)의 사이에는 절연지가 접착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절연지는 상기 배터리셀(20)의 제 1전원단자(22) 및 제 2전원단자(24)와 상기 PCB모듈(30)의 사이에 연설되는 상기 도전성 패턴부재(26a,26b)와 상기 배터리셀(20)의 사이에도 개재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에서는 상기 배터리셀(20)의제 1전원단자(22)와 상기 제 2전원단자(24)에는 상기 도전성 패턴부재(26a,26b)가 용접(예컨대, Spot welding)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바, 그러한 도전성 패턴부재(26a,26b)가 상기 제 1전원단자(22)와 상기 제 2전원단자(24)에 용접되는 경우에 가해지는 영향에 의해 해당하는 배터리셀(20)의 특성이 열화되어 정상적인 충전/방전기능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가 초래된다.
또, 상기한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에서는 상기 배터리셀(20)의 제 1전원단자(22)와 상기 제 2전원단자(24)에 대해 상기 도전성 패턴부재(니켈박판; 26a,26b)를 용접함과 더불어 그 도전성 패턴부재(26a,26b)를 상기 PCB모듈(30)의 대응하는 제 1 및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에 용접하기 위한 과정과, 상기 배터리셀(20)의 외면에 대해 상기 도전성 패턴부재(26a,26b)와 상기 PCB모듈(30)을 절연시키기 위한 절연지의 접착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결국 그 배터리셀의 패키징 작업이 전체적으로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생산성의 저하로 연계되고, 그러한 이유에서 배터리팩의 가격이 상승되는 요인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터리셀의 특성 저하가 초래되지 않으면서 배터리케이스의 내부에 배터리셀의 패키징작업이 간편하게 실행되도록 한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전원단자('+'단자)와 제 2전원단자('-'단자)를 갖춘 배터리셀과, 상기 제 1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드와 상기 제 2전원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를 갖춘 PCB모듈, 저면 하측에 상기 배터리셀의 탄성지지를 위한 탄성지지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양측 내벽에는 상기 PCB모듈의 착설을 위한 PCB착설요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극과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로 형성된다.
또,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형성된 탄성체착설가이드와, 그 탄성체착설가이드에 양단이 끼움설치되면서 그 중앙이 상기 배터리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제 2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 및 제 2전원단자를 갖춘 배터리셀이 수납되는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탄성지지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그 양측 내벽에 PCB모듈착설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PCB모듈에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원단자와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를 도전성 패턴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PCB모듈과 상기 도전성패턴부재를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착설하고나서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가 상기 PCB모듈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에 접촉되도록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상기 배터리셀을 착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배터리셀의 패키지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일체로 형성하게 된다.
그에 대해,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형성된 탄성체착설가이드에 탄성체의 양단을 끼움설치하여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실시양태에 따르면 제 1전원단자('+'단자)와 제 2전원단자('-'단자)를 갖춘 배터리셀과, 상기 제 1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드와 상기 제 2전원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를 갖춘 PCB모듈, 그 양측 내벽에 상기 PCB모듈의 착설을 위한 PCB착설요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극과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배터리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도전패턴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가 제공된다.
유리하게, 상기 도전패턴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에 용접되고 그 타단은 상기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면서 그 탄성지지부에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에서는 그 배터리셀에 대해서는 탄성지지부 또는 도전성 패턴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가 PCB모듈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에 접촉되는 형식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와 PCB모듈에 대한 용접시에 초래되는 특성열화 등이 초래되지 않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예에 다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설명하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배터리케이스, 20: 배터리셀,
30: PCB모듈, 100,200: 배터리셀,
102,202: 제 1전원단자, 104,204: 제 2전원단자,
110,210: PCB모듈, 112,212: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
122: 탄성지지부(탄성편), 124,224: PCB모듈착설요홈,
130: 도전성 패턴부재, 142: 탄성체,
230: 도전패턴부재.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배터리셀(100)의 일면에는 제 1전원단자('+'단자; 102)가 다소 돌출된 상태로 제공되고, 그 배터리셀(100)의 타단에는 상기 제 1전원단자(102)에 대응하는 제 2전원단자('-'단자; 104)가 제공된다.
상기 배터리셀(100)의 제 1전원단자(102)의 전방에는 과충전보호회로가 실장된 PCB모듈(110)이 배치되는 바, 그 PCB모듈(110)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배터리셀(100)의 제 1전원단자(102)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112)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셀(100)과 상기 PCB모듈(110)은 배터리케이스(120)에 수납되는 바, 상기 배터리케이스(120)의 저면 내측에는 상기 배터리셀(100)의 저면(즉, 도 2에서 상기 제 2전원단자(104)가 형성된 면)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서의 탄성편(122)이 일체로 돌설된다.
또, 상기 배터리케이스(120)의 양측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PCB모듈(110)의 양단이 끼움설치되는 PCB모듈착설요홈(124)이 대향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니켈부재가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도전성 패턴부재(130)는 상기 배터리셀(100)의 제 2전원단자(104)와 상기 PCB모듈(110)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도시 생략)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채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해 제공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는 상기 탄성편(122)과 상기 PCB모듈착설요홈(124)이 형성된 상기 배터리케이스(120)에서 상기 PCB모듈착설요홈(124)에 상기 PCB모듈(110)의 양단이 끼움설치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PCB모듈(110)에 형성된 상기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112)에 대해 상기 배터리셀(100)의 제 1전원단자(102)가 접촉된 상태에서 그 배터리셀(100)을 상기 배터리케이스(120)에 장착하게 되는 바, 그러면 상기 배터리셀(100)의 저면은 상기 탄성편(122)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그 배터리셀(100)의 제 1전원단자(102)가 상기 PCB모듈(110)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112)에 항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도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상기 배터리셀(100)의 제 1전원단자(102)와 제 2전원단자(104)에 대한 용접과정이 배제되어 그 배터리셀(100)의 특성 열화 등의 불리함이 초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배터리셀(100)과 상기 PCB모듈(110)의 패키지작업도 간단화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변형예에 대해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설명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에서는 상기 배터리케이스(120)의 저면 내측에 일정한 간격으로 탄성지지부를 형성하는 탄성체착설가이드(140a,140b)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탄성체착설가이드(140a,140b)에는 상기 배터리셀(100)의 저면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형성하는 탄성체(142)가 착설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탄성체(142)의 중앙은 상향적으로 만곡되고 그 양단에는상기 탄성체착설가이드(140a,140b)에 수용되는 가이드플랜지(142a,142b)가 형성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 배터리케이스(120)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탄성체착설가이드(140a,140b)에 상기 탄성체(142)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플랜지(142a,142b)가 착설됨과 더불어 상기 PCB모듈착설요홈(124)에 상기 PCB모듈(110)의 양단이 끼움설치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PCB모듈(110)에 형성된 상기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112)에 대해 상기 배터리셀(100)의 제 1전원단자(102)가 접촉되도록 상기 배터리셀(100)을 상기 배터리케이스(120)에 장착하게 되면 상기 배터리셀(100)의 저면은 상기 탄성체(142)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그 배터리셀(100)의 제 1전원단자(102)가 상기 PCB모듈(110)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112)에 항시 밀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에서는 상기 배터리셀(100)의 제 1전원단자(102)에 대한 용접과정이 배제되기 때문에 그 용접시에 초래되는 상기 배터리셀(100)의 특성열화 등의 불리함이 배제된다.
더욱이, 상기한 제 1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서 상기 배터리셀(100)의 저면에 형성된 제 2전원단자(104)에 대해 상기 도전성 패턴부재(130)의 일단이 상기 탄성편(122) 또는 상기 탄성체(140)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상태에서 접촉되도록 하게 되면 그 제 2전원단자(104)에 상기 도전성 패턴부재(130)의 용접과정도 배제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유리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셀(200)의 일면에는 제 1전원단자('+'단자; 202)가 다소 돌출된 상태로 형성됨과 더불어 그 타단에는 상기 제 1전원단자(202)에 대응하는 제 2전원단자('-'단자; 204)가 형성된다.
또, 상기 배터리셀(200)의 제 1전원단자(202)의 전방에는 과충전보호회로가 실장된 PCB모듈(210)이 배치되는 바, 그 PCB모듈(210)에서 상기 배터리셀(200)의 제 1전원단자(202)에 대응하는 면에는 그 제 1전원단자(202)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212)이 패터닝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셀(200)과 상기 PCB모듈(210)이 수납되는 배터리케이스(220)에서 그 저면 내측 소정위치에는 상단이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가이드편(222)이 형성되고, 그 배터리케이스(220)의 양측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PCB모듈(210)의 양단이 끼움설치되는 PCB모듈착설요홈(224)이 대향적으로 형성된다.
그와 더불어, 상기 배터리셀(200)의 제 2전원단자(204)이 상기 PCB모듈(210)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도시는 생략)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탄성지지부를 구성하는 도전패턴부재(230)는 그 일단(232)이 상기 PCB모듈(210)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와의 접속에 유리하도록 절곡되고, 그 타단(234)은 상기 배터리셀(200)의 제 2전원단자(204)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면서 그 배터리셀(200)을 탄성지지하도록 만곡된 형태를 취하게 되며, 그 타단(234)의 종단(234a)에는 상기 배터리케이스(220)의 저면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편(222)에 착설된다.
여기서, 상기 도전패턴부재(230)는 도전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패널로 형성되면 바람직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에서는 상기 도전패턴부재(230)의 일단(232)을 상기 PCB모듈(210)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에 용접하고서 그 PCB모듈(210)의 양단 및 상기 도전패턴부재(230)의 타단(234)의 종단(234a)을 상기 배터리케이스(220)의 PCB모듈착설요홈(224) 및 상기 가이드편(222)에 수납되도록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상기 배터리셀(200)의 저면에 형성된 제 2전원단자(204)가 상기 도전패턴부재(230)의 타단(234)에 접촉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배터리셀(200)의 제 1전원단자(202)가 상기 PCB모듈(210)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212)에 접촉되도록 상기 배터리셀(200)을 상기 배터리케이스(220)에 장착하게 된다.
그 경우, 상기 배터리셀(200)은 상기 도전패턴부재(230)의 타단(234)에 의해 탄성지지됨에 따라 상기 제 1전원단자(202)가 상기 PCB모듈(210)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212)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전원단자(202) 및 제 2전원단자(204)를 상기 PCB모듈(2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기 위한 용접과정이 배제되면서 전체적으로 배터리셀의 패키지작업이 간단화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적용예로 한정되지는 않고 발명의 기술적 요지 및 요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배터리케이스(1120,220)의 형상은 상기 배터리셀(100,200)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지만, 상기 배터리셀(100,200)의 제 1전원단자와 제 2전원단자가 용접작업이배제된 상태에서 적절한 도전성 패턴부재를 매개하여 상기 PCB모듈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구조이면 상기 PCB모듈의 형상과 상기 도전성 패턴부재의 형상은 상기 배터리셀의 형상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에 의하면,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 및/또는 제 2전원단자가 PCB모듈에 용접과정없이 전기적으로 접촉됨에 따라 그 용접과정에서 초래가능한 배터리셀의 특성열화 등의 불리함이 배제된다.
또,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가 상기 PCB모듈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에 접촉되는 경우 도전성 패턴부재 또는 도전패턴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됨에 따라 그 제 1전원단자와 상기 PCB모듈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의 전기적인 밀착성은 더욱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터리셀과 상기 PCB모듈 및 상기 도전성 패턴부재(또는 도전패턴부재)가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구조임에 따라 그 조립작업성이 양호해져 생산성의 향상이 기대되면서 특성불량시의 교환작업이 더욱 용이해지게 된다.

Claims (8)

  1. 제 1전원단자('+'단자)와 제 2전원단자('-'단자)를 갖춘 배터리셀과,
    상기 제 1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드와 상기 제 2전원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를 갖춘 PCB모듈,
    저면 하측에 상기 배터리셀의 탄성지지를 위한 탄성지지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양측 내벽에는 상기 PCB모듈의 착설을 위한 PCB착설요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극과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성 패턴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일체로 형성된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형성된 탄성체착설가이드와, 그 탄성체착설가이드에 양단이 끼움설치되면서 그 중앙이 상기 배터리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4. 제 1 및 제 2전원단자를 갖춘 배터리셀이 수납되는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탄성지지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그 양측 내벽에 PCB모듈착설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PCB모듈에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원단자와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를 도전성 패턴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하고,
    상기 PCB모듈과 상기 도전성패턴부재를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착설하고나서 상기 배터리셀의 제 1전원단자가 상기 PCB모듈의 제 1전원단자접촉패턴에 접촉되도록 상기 배터리케이스에 상기 배터리셀을 착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상기 배터리케이스의 저면 하측에 형성된 탄성체착설가이드에 탄성체의 양단을 끼움설치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방법.
  7. 제 1전원단자('+'단자)와 제 2전원단자('-'단자)를 갖춘 배터리셀과,
    상기 제 1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제 1전원단자접촉패드와 상기 제 2전원단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위한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를 갖춘 PCB모듈,
    그 양측 내벽에 상기 PCB모듈의 착설을 위한 PCB착설요홈이 대향되게 형성된 배터리케이스 및,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극과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의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면서 상기 배터리셀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된 도전패턴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패턴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PCB모듈의 제 2전원단자접속패드에 용접되고 그 타단은 상기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면서 그 탄성지지부에 상기 배터리셀의 제 2전원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KR1020020044960A 2002-07-30 2002-07-30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 KR200400118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960A KR20040011818A (ko) 2002-07-30 2002-07-30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960A KR20040011818A (ko) 2002-07-30 2002-07-30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3274U Division KR200296074Y1 (ko) 2002-08-03 2002-08-03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KR2020020023275U Division KR200296075Y1 (ko) 2002-08-03 2002-08-03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818A true KR20040011818A (ko) 2004-02-11

Family

ID=37319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960A KR20040011818A (ko) 2002-07-30 2002-07-30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18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02B1 (ko) * 2004-09-24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 전지
KR200447111Y1 (ko) * 2007-08-31 2009-12-23 (주)그린파워텍 축전지 교환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배터리팩 케이스
WO2022104593A1 (zh) * 2020-11-18 2022-05-27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供电组件和支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02B1 (ko) * 2004-09-24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팩 전지
US7701170B2 (en) 2004-09-24 2010-04-20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pack with frame for battery mounting
KR200447111Y1 (ko) * 2007-08-31 2009-12-23 (주)그린파워텍 축전지 교환이 가능한 휴대단말기용 배터리팩 케이스
WO2022104593A1 (zh) * 2020-11-18 2022-05-27 深圳麦克韦尔科技有限公司 电子雾化装置及其供电组件和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7870B1 (ko) 보호회로모듈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KR101094037B1 (ko)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US9088032B2 (en) Secondary battery
KR101016852B1 (ko) 이차 전지
KR20130030285A (ko) 이차전지 팩
US8686689B2 (en) Battery assembly
KR20140081657A (ko) 배터리 팩
US9099726B2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20130018127A (ko) 프레임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팩
WO2008066222A1 (en) Battery pack
KR20040015314A (ko) 무용접 접점 방식의 배터리 팩
KR20120022314A (ko) 휴대폰용 접속단자
KR200406606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전지 팩
KR100649659B1 (ko) 휴대단말기용 배터리팩 및 그 조립방법
US8216706B2 (en) Battery pack
WO2008047986A1 (en) Battery pack
KR101023898B1 (ko) 이차 전지
US20100291434A1 (en) Connector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KR200296075Y1 (ko)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KR20040011818A (ko)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와 그 방법
KR200296074Y1 (ko) 배터리셀의 패키지구조
KR20090011995A (ko) 배터리 팩
JPH1050284A (ja) 電池用の端子ケース
JP2003197270A (ja) 保護回路モジュール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池パック
KR101084947B1 (ko) 보호회로모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