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337B1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337B1
KR100370337B1 KR10-2000-0037502A KR20000037502A KR100370337B1 KR 100370337 B1 KR100370337 B1 KR 100370337B1 KR 20000037502 A KR20000037502 A KR 20000037502A KR 100370337 B1 KR100370337 B1 KR 10037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dew
front face
receiver
dew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690A (ko
Inventor
게즈까가즈히꼬
쯔까다유따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10049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5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7Condensate pipe for drainage of condensate from the evapo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40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이슬 받이부와 열교환기의 간극을 확보하여 열교환기의 중앙 부분이 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슬을 이슬 받이부 내로 확실하게 흘러 내리게 할 수 있어, 열교환기의 풍속 분포를 균일화하여 열교환 성능과 소음을 개선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경사진 열교환기(63)의 하방에 배치되는 이슬 받이부(33)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열교환기(63)의 하단부 전방면과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 사이에서 또한 이슬 받이부(33)의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열교환기 지지부(32)를 이슬 받이부(33)와 일체로 형성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사진 열교환기의 하방에 배치되는 이슬 받이부를 갖는 공기 조화기에 적합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조화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5141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구 및 취출구를 갖는 전방면 커버와, 흡입구와 취출구 사이의 공기 통로를 구성하는 팬 케이싱을 갖는 본체 케이스와, 팬 케이싱에 의해 구성된 공기 통로 내에 위치하는 관류 팬과, 이 관류 팬의 적어도 일부가 수납되도록 배치된 역 V자형부를 갖는 실내 열교환기와, 이 열교환기의 전방부측 하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전방부 이슬 받이부와, 실내 열교환기의 후방부측 하단부에 대응하여 배치된 후방부 이슬 받이부를 구비하고, 후방부 이슬 받이부는 본체 케이스와 일체로 성형되고, 이 후방부 이슬 받이부의 관류 팬측 단부에 후방부 노우즈를 형성하는 부재를 결합 부착하여 이루어지며, 후방부측 열교환기의 하면을 후방부 이슬 받이부의 바닥면 상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리브에 적재하여 지지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 조화기는 후방부측의 열교환기의 하면이 좌우로 연장되는 지지 리브 상에 적재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므로, 열교환기의 양 측부가 본체 케이스에 고정된다고 해도 경사진 후방부측의 열교환기와 후방부 이슬 받이부 사이의 간극이 조립의 변동이나 열교환기 중앙부의 휨 등에 의해 균일하게 유지되지 않게 되어, 후방부측의 열교환기에 있어서의 풍속 분포가 불균일해져 열교환 성능의 저하 및 소음 증대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이슬 받이부와 열교환기의 간극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열교환기의 중앙 부분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열교환기의 전방면을 흘러 내리는 이슬을 이 간극을 통해 이슬 받이부 내로 확실하게 흘러 내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열교환기의 풍속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어, 열교환 성능이 우수하고, 소음이 적은 공기 조화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기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A부 상세 확대도.
도3은 도1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열교환기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실내 유닛(실내 기기)
2 : 하우징 부재
3 : 하우징 부재 본체
5 : 에어 필터
6 : 열교환기
7 : 관류 팬
30 : 후방부 케이싱
30a, 40a, 41a : 흡입구
31 : 전방부 케이싱
33 : 후방부 이슬 받이부
33e : 후방부 노우즈부
33h : 제1 지지 리브
33i : 제2 지지 리브
34 : 후방부 팬 케이싱부
36 : 전방부 노우즈부
37 : 전방부 이슬 받이부
40 : 화장 커버 본체
61, 62, 63 : 열교환기
63a : 방열 핀
63b : 열교환 파이프
64 : 이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열교환기 지지부를 상방에 경사지게 배치된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이슬 받이부의 벽부 사이에,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한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전방 상방에 경사지게 하단부가 이슬 받이부에 수납된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열교환기 지지부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이 지지부의 상면을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의 상단부보다 낮게 한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전방 상방에 경사지게 배치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지지 리브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 리브의 두께를 상기 열교환기의 방열 핀의 핀 피치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리브에 상기 열교환기의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지게 한 경사부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 전방면의 중앙부를 지지한 데 있다.
본 발명의 제4 특징은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의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수납한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의 상단부에 관류 팬의 노우즈부를 두껍게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노우즈부의 후방면측을 전방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하고,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열교환기 지지부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한 데 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은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의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지지 리브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의 상단부에 관류 팬의 노우즈부를 두껍게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리브를 상기 노우즈부와 그 하방 부분에 걸쳐 형성한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공기 조화기의 실내 기기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2는 도1의 A부 상세 확대도, 도3은 도1의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의 열교환기 단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실내 유닛(1)은 그 외관을 구성하는 가로 길이의 하우징 부재(2), 이 하우징 부재(2)에 형성되는 흡입구(30a, 40a, 41a)의 내측에 배치되는 에어 필터(5), 이 에어 필터(5)의 더욱 내측에 배치되는 열교환기(6), 실내 공기를 상기 흡입구(30a, 40a, 41a)로부터 에어 필터(5) 및 열교환기(6)를 통해 흡입 취출구(40b)로부터 취출하는 관류 팬(7)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실내 유닛(1)은 실내의 벽면 상부 등에 설치되고, 실외에 배치된 실외 유닛(도시하지 않음)과 냉매 배관, 전기 배선 등을 거쳐서 접속되어 공기 조화기를 구성한다.
하우징 부재(2)는 후방부를 구성하는 하우징 부재 본체(3)와, 전방부를 구성하는 화장(化粧) 커버(4)를 갖는다. 화장 커버(4)는 하우징 부재 본체(3)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화장 커버(4)의 구체적 장착 구조는 상부가 돌기부와 결합부의 결합 구조, 하부가 나사에 의한 체결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화장 커버(4)를 하우징 부재 본체(3)로부터 떼어 내기 위해서는 하부의 나사를 제거한후에, 화장 커버(4)의 하부를 전방 상방으로 회전하고, 또한 화장 커버(4)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상부의 결합을 해제함으로써 떼어 낼 수 있다.
하우징 부재 본체(3)는 후방부 케이싱(30)과, 이 후방부 케이싱(30)의 전방면에 부착된 전방부 케이싱(31)을 가지고 있다. 이 후방부 케이싱(30)과 전방부 케이싱(31)은 별개의 부재로 제작한 것을 조합하여 하우징 부재 본체(3)를 구성하고 있다.
후방부 케이싱(30)은 수지 성형에 의해 흡입 풍로부(32), 후방부 이슬 받이부(33), 후방부 팬 케이싱부(34) 및 취출 풍로부(3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입 풍로부(32)의 상면부, 즉 하우징 부재 본체(3)의 상면 후방부에는 흡입구(3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구(30a)는 그릴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주로 후방부 열교환기(63)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와 후방부 팬 케이싱부(34)는 공통되는 부분을 갖는다. 이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전방부 케이싱(31)은 수지 성형에 의해 관류 팬(7)에 대한 전방부 노우즈부(36)와, 전방부의 열교환기(61, 62)에 결로(結露)한 이슬을 받는 전방부 이슬 받이부(37)를 갖는다. 이 전방부 케이싱(31)의 전방부 노우즈부(36)와 후방부 케이싱(30)의 후방부 팬 케이싱부(34) 사이에 관류 팬(7)이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관류 팬(7)은 그 전방 및 상방에 형성되는 흡입 풍로(71)를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고, 하방에 형성되는 취출 풍로(72)로 취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흡입 풍로(71)는 후방부 케이싱(30)의 흡입 풍로부(32), 화장 커버본체(40)의 상부 및 전방면 패널(41)에 의해 형성된다. 이 흡입 풍로(71) 속에 에어 필터(5) 및 열교환기(6)가 배치된다. 한편, 취출 풍로(72)는 후방부 케이싱(30)의 취출 풍로부(35) 및 전방부 케이싱(31)의 이슬 받이부(37)의 하면에 의해 형성되고, 화장 커버(4)의 취출구(40b)에 연통하고 있다.
화장 커버(4)는 화장 커버 본체(40)와, 이 화장 커버 본체(40)의 전방면에 부착된 전방면 패널(41)과, 취출 풍로부(35)로부터 취출하는 풍향을 변경하는 풍향판(42)을 갖는다.
화장 커버 본체(40)는 수지 성형에 의해 프레임형으로 형성되고, 상면부에 흡입 풍로(71)에 연통하는 흡입구(40a)를 갖고, 하면부에 취출 풍로(72)에 연통하는 취출구(40b)를 갖고 있다. 또한, 흡입구(40a)는 그릴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주로 전방면 상부 열교환기(62)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전방면 패널(41)은 수지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전방면 중앙부에 전방면 하부 열교환기(61)에 대향하여 흡입구(41a)를 갖고 있다. 흡입구(41a)는 그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 부재(2)는 전방면 및 상면에 복수의 흡입구(30a, 40a, 41a)를 갖는 것이며, 전방면으로부터 상면에 걸쳐 흡입구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흡입 저항이 작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방면 패널(41)은 그 상단부를 축으로 하여 화장 커버 본체(40)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면 패널(41)의 하부를 전방 상방으로 회전하여 에어 필터(5)의 전방을 개방함으로써, 그 개방부로부터 에어 필터(5)를 꺼낼 수가 있다.
에어 필터(5)는 화장 커버 본체(40)의 전방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우징 부재(2)의 흡입구(30a, 40a, 41a)에 걸쳐져 그 내측에 위치하며, 열교환기(6)의 흡입측에 위치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의 일부를 구성하는 열교환기(6)는 복수의 열교환기를 조합하여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전방면 하부 열교환기(61), 전방면 상부 열교환기(62) 및 후방부 열교환기(63)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면 하부 열교환기(61)는 흡입구(41a)에 주로 대향하며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방면 상부 열교환기(62)는 흡입구(40a)에 주로 대향하며 경사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후방부 열교환기(63)는 흡입구(30a)에 주로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경사 하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또, 전방면 상부 열교환기(62)와 후방부 열교환기(63)는 대략 역 V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어떠한 열교환기(61, 62, 63)도 다수의 방열 핀을 좁은 간격으로 병렬 배치하여 열교환 파이프를 관통시킨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로 구성되고, 각 열교환기(61, 62, 63)의 열교환 파이프 사이를 접속 파이프로 접속하여 연통함으로써 하나의 열교환기(6)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열교환기(6)는 복수의 열교환기(61, 62, 63)가 각 흡입구(30a, 40a, 41a)에 대향하여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흡입 면적을 큰 것으로 할 수가 있다.
실내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관류 팬(7)은 전방면 하부 열교환기(61)의 후방에서, 전방면 상부 열교환기(62) 및 후방부 열교환기(63)의 하방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관류 팬(7)을 실선 화살표와 같이 회전함으로써, 점선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취출한다.
다음에, 이와 같은 공기 조화기의 냉방 운전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냉방 운전은 냉동 사이클을 동작시키는 동시에, 실외 기기의 팬 및 실내 기기(1)의 관류 팬(7)을 회전시킨다. 냉동 사이클의 동작에 의해 열교환기(6)는 저온이 된다. 또한, 관류 팬(7)의 회전에 의해 실내 공기는 흡입구(30a, 40a, 41a)로부터 흡입되어 에어 필터(5)에서 먼지가 제거된 후, 각 열교환기(61, 62, 63)를 통과할 때 냉각, 제습되어 관류 팬(7)에 이르고, 취출 풍로(72)를 통과해서 취출구(40b)로부터 실내로 취출된다. 이로써, 소정의 냉방 운전이 행해진다.
이 냉방 운전에 있어서, 전방면 하부 열교환기(61) 및 전방면 상부 열교환기(62)에 결로한 이슬은 전방부 케이싱(31)의 전방부 이슬 받이부(37)로 흘러 내리고, 이 전방부 이슬 받이부(37)로부터 실내 기기(1)의 배면 하부에 모여져서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후방부 열교환기(63)에 결로한 이슬은 후방부 이슬 받이부(33)로 흘러 내리고, 이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의 양측으로부터 실내 기기(1)의 배면 하부에 모여져서 외부로 배수된다.
다음에,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의 구체적 구성에 대해 도2 및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후방부 이슬 받이부(33)는 전방면부(33a), 바닥면부(33b), 배면부(33c) 및 측면부(33d)로 이루어지는 가로 길이의 홈통형으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후방부 케이싱(30)의 일부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는 후방부 팬 케이싱부(34)의 일부와 공용(共用)하는 구성이며, 관류 팬(7)에 대한 케이싱 기능을 일부 겸비하고 있다.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의 상부는 관류 팬(7)의 후방부 노우즈부(33e)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관류 팬(7)의 후방부 노우즈부(33e)를 이슬 받이부(33)에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작이 간단해 노우즈부(33e)의 관류 팬(7)에 대한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 후방부 노우즈부(33e)는 상방으로 직립하는 기본 형상으로 하는 동시에, 전방면측(33f)이 대략 원호형을 이루고 있으며, 또한 후방면측이 전방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3g)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후방부 노우즈부(33e)를 상방으로 직립하는 기본 형상으로 함으로써, 관류 팬(7)의 흡입 면적을 크게 할 수 있어 콤팩트한 치수로 큰 풍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전방면측(33f)이 대략 원호형을 하고 있으므로, 관류 팬(7)에 실내 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할 수 있다. 게다가, 경사면(33g)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경사진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전방 단부면과의 사이에 간극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전방 단부면을 흘러 내리는 이슬(64)은 후방부 노우즈부(33e)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되어 후방부 이슬 받이부(33) 내로 흘러 내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전방 단부면을 흘러 내리는 이슬(64)이 후방부 노우즈부(33e)에 접촉하여 그 전방면측(33f)으로부터 후방부 팬 케이싱부(34) 내로 유입하여, 관류 팬(7)에 의해 취출되는 실내 공기와 함께 실내로 취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의 바닥면부(33b)의 상면은 중앙부가 높고, 좌우가 낮게 경사져 있다. 따라서, 후방부 열교환기(63)로부터 후방부 이슬 받이부(33)로 흘러 내린 이슬은 그 좌우에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좌우로 분리되어 신속하게 외부로 유도된다.
후방부 이슬 받이부(33b)의 내측에는 후방부 열교환기(63)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지지 리브(33h)와 제2 지지 리브(33i)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지지 리브(33h)는 바닥면부(33b)의 상면에, 후방부 이슬 받이부(33) 내를 전후로 구획하도록 후방부 열교환기(63)의 개략 가로폭 전부에 걸쳐 형성되고, 후방부 열교환기(63)의 하면을 개략 전체 가로폭에 걸쳐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후방부 열교환기(63)의 하면을 개략 전체 가로폭에 걸쳐 제1 지지 리브(33h)에 의해 지지하고 있으므로, 후방부 열교환기(63)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가 있다. 또, 후방부 열교환기(63)로부터 흘러 내리는 이슬은 이 제1 지지 리브(33h)의 전후로 분리되어 좌우로 안내된다.
상기 제2 지지 리브(33i)는 가로 방향 중앙부의 복수 부위에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에 일체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3군데 형성되어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에 일체로 형성된 제2 지지 리브(33i)에 의해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후방부 열교환기(63)와 전방면부(33a)의 간극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고,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중앙부가 수송 중, 운전 중 등에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방열 핀(63a)의 간격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후방부 열교환기(63)의풍속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어 우수한 열교환 성능 및 저소음을 얻을 수가 있다. 또, 후방부 열교환기(6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방열 핀(63a)에 열교환 파이프(63b)를 관통시켜 형성되어 있으며, 접속 파이프(63c)에 의해 전방면 상부 열교환기(62)에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지지 리브(33) 중의 중앙의 지지 리브(33i)는 바닥면부(33b)의 경사면의 가장 높은 부분에 위치하여 형성되고, 흘러 내리는 이슬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 리브(33i)는 전방면부(33a)와 바닥면부(33b)에 걸쳐져 형성되고, 전방면부(33a)의 보강 기능을 갖고 있다. 특히, 일체로 형성된 후방부 노우즈부(33e)에 지지 리브(33i)를 걸쳐 형성하고 있으므로, 두껍고 강도가 약해지는 후방부 노우즈부(33e)를 보강할 수가 있다.
상기 각 지지 리브(33i)는 구체적으로는 상면부(33j)가 전방면부(33a)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되고, 후방면부(33k)가 제1 지지 리브(33h)와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이 상면부(33j)와 후방면부(33k)의 각형부가 경사져서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전방면 하단부의 지지부(33m)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지 리브(33i)의 상면부(33j)를 전방면부(33a)의 상단부보다 낮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전방면을 흘러 내리는 이슬(64)이 상면부(33j)에 이르러도 후방부 팬 케이싱부(34)의 전방면측으로 유입되는 일이 없으며, 이슬 받이부 내의 바닥면부(33b) 상으로 흘러 내려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 리브(33i)의 후방면부(33k)를 제1 지지 리브(33h)에 대해 간격을 두고 형성하고 있으므로, 후방부 이슬 받이부(33)의 바닥면부 상으로 흘러 내린 이슬을 이 간격을 통해 좌우로 흐르게 할 수가 있다. 게다가, 지지 리브(33i)의 경사진 지지부(33m)에 의해 어느 정도의 폭을 갖고 후방부 열교환기(63)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후방부 열교환기(63)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 각 지지 리브(33i)의 두께는 후방부 열교환기(63)의 방열 핀(63a)의 핀 피치보다 크게 형성되고, 구체적으로는 약 2배 정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로써 지지 리브(33i)의 성형이 간단하고 후방부 열교환기(63)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후방부 열교환기(6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 리브(33h)와 제2 지지 리브(33i)에 의해 지지되지만, 양 단부에 설치되는 측판(63d)을 나사 등에 의해 후방부 케이싱(30) 또는 후방부 케이싱(30)에 부착된 부착 부재에 고정하고 있다.
또한, 후방부 케이싱(30)에 일체로 형성된 후방부 이슬 받이부(33)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측방의 접속 파이프(63c), 팽창 밸브(65) 등의 하방까지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이 접속 파이프(63c), 팽창 밸브(65) 등으로부터 흘러 내리는 이슬을 후방부 이슬 받이부(3)에서 받을 수가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방에 경사지게 배치된 열교환기(63)의 하단부 경사면과 이슬 받이부(33)의 벽부(33a)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63)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열교환기 지지부(33i)를 상기 이슬 받이부(33)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이슬 받이부(33)의 벽부(33a)와 열교환기(63)의 하단부 경사면과의 간극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열교환기(63)의 중앙 부분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열교환기(63)의 경사면을 흘러 내리는이슬을 이 간극을 통해 이슬 받이부(33) 내로 확실하게 흘러 내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열교환기(63)의 풍속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어 열교환 성능이 우수하고, 소음이 적은 공기 조화기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상방으로 경사지게 하단부가 이슬 받이부(33)에 수납된 열교환기(63)의 하단부 경사면과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63)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열교환기 지지부(33i)를 상기 이슬 받이부(33)와 일체로 형성하고, 이 지지부(33i)의 상면을 상기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의 상단부보다 낮게 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지지부(33i)의 상단부로 흘러 내린 이슬이 이슬 받이부(3)의 전방면부(33a)의 상단부로부터 이슬 받이부(33)의 외면으로 흘러 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전방 상방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63)의 하단부 경사면과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63)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지지 리브(33i)를 상기 이슬 받이부(33)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 리브(33i)의 두께를 상기 열교환기(63)의 방열 핀(63a)의 핀 피치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리브(33i)에 상기 열교환기(63)의 경사와 같은 경사를 지게 한 경사부(33m)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33m)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 전방면의 중앙부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지지 리브(33i)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열교환기(63)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6)의 후방부 열교환기(63)의 하단부를 수납한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의 상단부에 관류 팬(7)의 노우즈부(33e)를 두껍게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노우즈부(33e)의 후방면측을 전방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33g)으로 하고,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63)의 하단부 경사면과 상기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 사이에서 또한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열교환기 지지부(33i)를 상기 이슬 받이부(33)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고, 관류 팬(7)에 대한 노우즈부(33e)의 치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전방면을 흘러 내리는 이슬을 확실하게 이슬 받이부(33) 내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대략 V자형으로 형성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6)의 후방부 열교환기(63)의 하단부 경사면과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 사이에서 또한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63)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지지 리브(33i)를 상기 이슬 받이부(33)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이슬 받이부(33)의 전방면부(33a)의 상단부에 관류 팬(7)의 노우즈부(33e)를 두껍게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리브(33i)를 상기 노우즈부(33e)와 그 하방의 부분에 걸쳐 형성하고 있으므로, 두껍고 강도가 약해지는 노우즈부(33e)를 지지 리브(33i)로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이슬 받이부와 열교환기의 간극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열교환기의 중앙 부분이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열교환기의 전방면을 흘러 내리는 이슬을 이 간극을 통해 이슬 받이부 내로 확실하게 흘러 내리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열교환기의 풍속 분포를 균일화할 수 있어 열교환 성능이 우수하고, 소음이 적은 공기 조화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상방에 경사지게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지 성형된 이슬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상기 이슬 받이부의 벽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열교환기 지지부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2. 전방 상방에 경사지게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수납하는 동시에 수지 성형된 이슬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열교환기 지지부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이 지지부의 상면을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의 상단부보다 낮게 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 전방면의 중앙부를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전방 상방에 경사지게 배치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지 성형된 이슬 받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지지 리브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 리브의 두께를 상기 열교환기의 방열 핀의 핀 피치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 리브에 상기 열교환기의 경사와 같은 경사를 지게 한 경사부를 형성하고, 이 경사부에서 상기 열교환기의 하단부 전방면의 중앙부를 지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전방부 열교환기 및 후방부 열교환기를 대략 V자형으로 형성하여 배치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단부를 수납하여 수지 성형된 이슬 받이부와,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방에 배치된 관류 팬과,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를 공용하는 동시에, 그 전방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팬 케이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의 상단부에 두꺼운 노우즈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노우즈부의 후방면측을 전방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으로 하고,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열교환기 지지부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5. 전방부 열교환기 및 후방부 열교환기를 대략 V자형으로 형성하여 배치된 크로스 핀형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의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방에 위치하는 수지 성형된 이슬 받이부와,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방에 배치된 관류 팬과,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를 공용하는 동시에, 그 전방면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팬 케이싱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의 상단부에 두꺼운 노우즈부를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의 하단부 경사면과 상기 이슬 받이부의 전방면부 사이에서 또한 상기 후방부 열교환기의 중앙부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지지 리브를 상기 이슬 받이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지지 리브를 상기 노우즈부와 그 하방 부분에 걸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00-0037502A 1999-11-29 2000-07-01 공기 조화기 KR100370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36951 1999-11-29
JP33695199A JP3771761B2 (ja) 1999-11-29 1999-11-29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690A KR20010049690A (ko) 2001-06-15
KR100370337B1 true KR100370337B1 (ko) 2003-01-29

Family

ID=1830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502A KR100370337B1 (ko) 1999-11-29 2000-07-01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771761B2 (ko)
KR (1) KR100370337B1 (ko)
CN (1) CN1153937C (ko)
TW (1) TW4482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1493B2 (ja) * 2006-04-10 2012-10-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ドレンパン
CN104254740B (zh) * 2012-02-13 2017-03-15 松下设备空调研发马来西亚公司 空调装置
CN216620016U (zh) * 2021-06-01 2022-05-27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壁挂式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937C (zh) 2004-06-16
KR20010049690A (ko) 2001-06-15
JP3771761B2 (ja) 2006-04-26
JP2001153450A (ja) 2001-06-08
TW448277B (en) 2001-08-01
CN1298079A (zh) 2001-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6706B2 (ja) 空気調和機
KR100947549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100370337B1 (ko) 공기 조화기
JP3315317B2 (ja) 空気調和機
JPH0590213U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20070066393A (ko) 천장덕트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하우징
CN101078556B (zh) 空调器室内机的排水底盘
JP3258624B2 (ja) 空気調和機
JP4042673B2 (ja) 熱交換形換気装置
JPH03117828A (ja) 空気調和機
JPH07208757A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KR102666137B1 (ko) 공기조화기
JP2534013Y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JPS6231783Y2 (ko)
JPS6128972Y2 (ko)
JP4584500B2 (ja) 天井埋込形空気調和機
KR100294338B1 (ko) 분리형공기조화기의실내기
JP3985844B2 (ja) 空気調和機
KR10043614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9719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627673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外機
KR20230159332A (ko) 공기조화기
WO2005052457A1 (ja) 空気調和装置
KR200221818Y1 (ko) 공기조화기
KR20000008757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