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0107B1 -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0107B1
KR100370107B1 KR10-2000-0058219A KR20000058219A KR100370107B1 KR 100370107 B1 KR100370107 B1 KR 100370107B1 KR 20000058219 A KR20000058219 A KR 20000058219A KR 100370107 B1 KR100370107 B1 KR 1003701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ail
camera device
bridg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8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7670A (ko
Inventor
구본철
장재덕
황용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기공
씨지산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기공, 씨지산업 (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기공
Priority to KR10-2000-0058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01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27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7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0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01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1/00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e.g. stereogrammetry; Photographic surveying
    • G01C11/36Videogrammetry, i.e. electronic processing of video signals from a single source or from different sources to give parallax or range inform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교각 상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부재의 균열 및 부식 상태를 감시 카메라로 원격 감시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각의 상측면에 이송레일을 설치하고, 교각의 측상부와 상판의 측면에는 카메라 하우징을 상,하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설치하며, 카메라 하우징내에 수납되고 이송레일을 타고 교각사이를 이동하며 촬영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장치와, 카메라 장치에서 전송된 촬영 신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영상장치를 구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Monitoring system of safety bridge}
본 발명은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상판과 상기 상판을 교각 상부에서 지지하는 받침부재의 균열 및 부식 상태를 감시 카메라로 원격 감시하되 상기 감시 카메라의 승,하강과 좌우이동이 정확히 이루어 지도록 하는 것이다.
교량은 지면에 설치되어 상판을 지지하는 교각(1)과, 상기 교각(1) 상부에 설치되고 측면에 난간(3)이 형성되는 상판(2)과, 상기 상판(2)을 교각(1)에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철구조물과 탄성받침으로 이루어진 받침부재(5)를 이루는 철구조물에 부식이 발생하고 조임너트 등이 풀어지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부식 및 균열 상태는 조기에 점검하여 보수해 주지 않으면 교량 수명을 단축시키는 한편 교량붕괴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교량의 안전점검을 위하여 교량의 상판에서 하부 교각을 감시할 수 있는 지게차 등을 이용하거나 교각 상측에 점검대를 설치한 후 사람이 지게차에 탑승하거나 점검대에 직접 올라가 육안에 의한 점검을 하고 있다.
그러나 지게차를 이용하는 경우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는 한편 고가의 지게차 구입 비용이 많이 들고, 점검대를 이용하는 경우도 점검대 설치 비용이 많이 드는 한편 사람이 직접 점검대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점검 작업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높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사람이 육안으로 교량의 안전여부를 확인하지 않고 감시 카메라를 이송하여 교각안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지게차 구입 또는 점검대 설치에 따른 비용 부담을 줄이는 한편 추락사고의 위험을 없애도록 하는 한편 교각의 하부로 카메라를 안전하게 하강시키고 카메라를 교각으로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각의 상측면에 이송레일을 설치하고, 이송레일을 타고 교각사이를 이동하며 촬영신호를 전송하는 카메라장치와, 카메라 장치에서 전송된 촬영 신호를 디스플레이 시키는 영상장치를 구비한 것에 있어서, 교각의 측상부와 상판의 측면에는 카메라 하우징을 상,하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설치하며, 카메라 하우징내에 수납된 카메라는 이송레일 사이의 가이드레일을 타고 이동되게 한 것이다.
도 1 은 교량의 일 실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상판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 상태 측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카메라 하우징 평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카메라 하우징 이송수단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카메라 장치 작동 상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이송레일 설치 상태도
도 9 는 본 발명이 카메라 장치 실시예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각 2 : 상판 5 : 받침부대
20 : 카메라 하우징 21 : 가이드 부시 22 : 가이드 봉
23 : 와이어드럼 26 : 레일 30 : 카메라 장치
31 : 카메라 33 : 모터 35 : 이송바퀴
본 발명은 측정하는 부위의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장치(30)를 교각(1)의 상측면에 고정시킨 이송레일(10)을 타고 이송시켜가며 교량의 받침부재(5) 부위를 중점적으로 촬영하게 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30)에서 촬영된 영상신호는 통상차량 내부에 설치되는 영상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송레일(10)은 교각(1)의 상측면에 받침앵글(11)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교각(1)의 상측면과 상판(2)의 상측면에는 교량의 측면으로 돌출되어 카메라장치(30)가 수납되는 카메라하우징(20)을 상,하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설치한다.
이동수단은 수직방향으로 2개의 가이드봉(22)을 이격시켜 고정시키고, 상기 가이드봉(22)에는 카메라 하우징(20)에 고정된 가이드 부시(21)가 끼워지게 하며, 상판(2)의 측면에 설치된 상받침대(27)와 교각(1)의 측면에 설치된 하받침대(28)사이에 설치된다.
이동수단의 카메라 하우징(20)은 가이드 봉(22)의 상부에 설치된 와이어 드럼(23)에 감겨지는 와이어(25)에 고정되어 핸들(24)로 와이어 드럼(23)을 회전시키면 와이어(25)가 감김에 따라 카메라 하우징(20)이 가이드봉(22)을 타고 상,하 이동되게 한다.
카메라 하우징(20)에는 이송레일(10)과 폭이 일치하는 레일(26)이 바닥에 설치되고, 하향이동되어 하받침대(28)에 안치될 때 이송레일(10)과 레일(26)이 일치되게 하며, 이송레일(10)쪽으로 카메라장치(3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하우징(20)에는 카메라 장치(30)를 삽탈시키게 되고,카메라 장치(30) 는 레일(26) 위에 놓여져 카메라 장치(30)의 이동시 이송레일(10)을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장치(30)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31)와, 상기 카메라(31)를 회동시키는 구동장치(32)와, 구동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33)와, 모터(33)의 회전력을 이송바퀴(35)에 전달하는 체인(34)과, 상기 카메라(31)의 작동과 모터(33)의 구동을 제어하는 콘트롤 장치와, 전원을 공급하는 밧데리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획득된 영상신호를 무선 전송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카메라장치(30)내부에 영상신호의 무선 전송장치가 구비된다.
카메라 장치(30)의 이송바퀴(35)는 이송레일(10)을 타고 모터(33)의 회전에 의해 좌,우 이동되며, 이 때 카메라(31)를 작동시켜 점검 부위를 촬영한 후 이를 무선 전송시킴으로써 감시자는 영상장치를 이용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장치(30)의 바닥면에는 두개의 가이드 롤러(38)를 설치하고 이송레일(10) 중간에도 철도레일과 같은 가이드 레일(37)을 설치한 후가이드롤러(38)가 가이드 레일(37)의 양측을 밀착하며 이동되게 하므로써 카메라 장치(30)가 바람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흔들리거나 떨어지는 경우를 없애준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교량의 안전점검을 하기 위하여 자동차 등에 카메라 장치(30)와 영상장치를 싣고 점검이 필요한 교량으로 이동하게 되고, 교량에 도착해서는 카메라장치(30)를 꺼내어 카메라 하우징(20)에 삽입시키되 카메라 장치(30) 하부의 이송바퀴(35)가 레일(26) 위에 놓이도록 삽입시킨다.
그리고 핸들(24)을 잡고 서서히 돌리면 와이어 드럼(23)에서 와이어(25)가 풀리면서 카메라 하우징(20)은 가이드 봉(22)을 타고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카메라 하우징(20)은 양쪽으로 설치된 가이드 봉(22)을 타고 이동되므로 상하 이동시 흔들림이 적으며, 카메라 장치(30)의 이송바퀴(35)는 모터(33)가 구동되기 전에는 회전되지 않아 이동하지 않으므로 카메라 장치(30)를 넣고 빼는 쪽에 뚫린 곳으로 카메라 장치(30)가 빠질 염려도 없다.
카메라 하우징(20)이 완전히 하향이동하면 레일(26)이 이송레일(10)과 높이가 일치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되며, 이는 구조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이같이 카메라 하우징(20)을 상받침대(27)에서 하받침대(28) 쪽으로 이동시켜 레일(26)과 이송레일(10)을 일치시킨 상태에 원격 조정하여 카메라 장치(30)의 모터(33)를 작동시키면, 모터(33)의 회전동력은 체인(34)을 통하여 이송바퀴(35)에 전달되므로써 카메라 장치(30)는 레일(26)에서 이송레일(10)로 올라타 이동하게 된다.
모터(33)의 회전속도는 원격조정하여 카메라 장치(30)의 이송속도 및 전,후진,정지,출발 등을 콘트롤 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31)는 작동하여 교량의 의심이 나는 점검부위를 촬영하게 되고 활영된 영상신호는 무선전송되어 영상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므로 점검자는 영상장치의 화면을 보아가며 카메라 장치(30)의 이동과 카메라의 회전 및 줌 동작을 원격 조정하여 필요한 부위를 확인점검 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영상장치로 확인하는 영상은 영상 기록 장치로 녹화하여 다시 확인하여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 장치(30)와 영상장치간의 영상 전달을 무선으로 하고, 카메라 장치(30)의 구동 또한 무선으로 제어하는 이유는 유선으로 할 경우 케이블 처리에 문제가 되기 때문이며, 케이블 처리에 따른 문제가 없다면 유선 방식이 더 효과적이다.
즉 케이블을 깔아가며 이동하고 복귀시 케이블을 감아가며 복귀하는 방식을 채택할 경우 케이블 처리에 따른 문제가 별로 없어 유선방식도 가능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카메라 장치(30)는 이송레일(10)을 타고 이동하게 되므로 바람의 영향에 의해 흔들릴 우려가 있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송레일(10) 중앙에 가이드 레일(37)을 설치하고 카메라 장치(30)가 이동될 때 하부에서 2개의 가이드 롤러(38)가 가이드 레일(37)의 측면에 지지되며 이동되게 하면 된다.
그러면 카메라 장치(30)는 바람이 불더라도 가이드 롤러(38)가 가이드 레일(37)에 지지되어 있어 흔들리지 않고 이동이 가능하다.
이송레일(10)의 끝에는 카메라 장치(30)가 더이상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하여 카메라 장치(30)의 과도한 전진으로 인해 카메라 장치(30)가 떨어지는 경우를 방지한다.
이같이 카메라 장치(30)를 이송레일(10)에서 이동시켜가며 필요한 점검부위를 확인한 후에는 모터(33)를 역회전시켜 카메라 장치(30)를 후진시킴으로써 카메라 장치(30)가 다시 카메라 하우징(20) 내부로 들어와 레일(26) 위에 고정된 상태로 놓이게 한다.
이때 카메라 하우징(20)의 선단에는 스톱장치(36)를 설치하여 카메라 장치(30)의 과도한 후진을 방지하고 정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도록 한다.
카메라 장치(30)가 카메라 하우징(20)에 완전히 수납되면 핸들(24)로 와이어드럼(23)을 회전시켜 와이어(25)를 감아주므로써 카메라 하우징(20)이 가이드봉(22)을 타고 초기 위치인 상받침대(27) 쪽으로 이동하게 한다.
카메라 장치(30)가 완전히 상부로 이동하면 와이어 드럼(23)에 회전하지 않게 스톱퍼를 끼워준 후 카메라 하우징(20)에서 카메라 장치(30)를 꺼내면 하나의 교각(1)에 대한 점검이 완료되고, 다음번 교각에서도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안전점검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점검대 설치 또는 지게차 구입과 같은 고가의 설치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저가로 설치 가능하며, 특히 사람이 직접 육안으로 교각을 살필 때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으며, 교통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교량의 교각(1) 상측면에 설치된 이송레일(10)을 타고 카메라 장치(30)를 이동시키고, 상기 카메라 장치(30)에서 촬영되어 무선전송되는 영상신호를 영상장치에 디스플레이 시키며, 상기 카메라 장치(30)는 촬영과 이동이 콘트롤 장치에서 원격조작되는 교량 점검 장치에 있어서, 이송레일(10)에 얹혀지는 카메라 장치(30)를 수납시키고 내부에 이송레일(10)의 폭과 동일한 레일(26)이 설치된 카메라 하우징(20)과,
    상기 카메라 하우징(20)을 상판에서 이송레일(10)의 일측까지 이동시키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송레일(10) 사이에 설치되고 철도레일과 같은 형태의 가이드레일(37)과,
    상기 가이드레일(37)의 측면에 밀착되고 카메라 장치(30)의 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롤러(38)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2. 제 1 항에서, 이동수단은 가이드 봉(22)을 수직으로 이격시켜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봉(22)에 가이드 부시(21)를 끼워준 후 가이드 부시(21)에 카메라 하우징(20)을 고정시키며, 상기 카메라 하우징(20)은 와이어 드럼(23)에서 와이어(25)를 감음에 따라 상, 하 이동되게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3. 삭제
  4. 삭제
KR10-2000-0058219A 2000-10-04 2000-10-04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KR1003701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219A KR100370107B1 (ko) 2000-10-04 2000-10-04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8219A KR100370107B1 (ko) 2000-10-04 2000-10-04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70A KR20020027670A (ko) 2002-04-15
KR100370107B1 true KR100370107B1 (ko) 2003-01-29

Family

ID=19691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8219A KR100370107B1 (ko) 2000-10-04 2000-10-04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0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940B1 (ko) * 2007-12-21 2008-01-24 주식회사 진화기술공사 강교의 부식을 예측하는 안전진단 장치
CN114506365B (zh) * 2020-11-17 2023-07-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高架轨道运营异常处理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015A (ja) * 1994-10-31 1996-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橋梁点検設備およびその点検ロボット
JP2000226816A (ja) * 1999-02-05 2000-08-15 Kyoryo Maintenance:Kk 橋梁の点検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8015A (ja) * 1994-10-31 1996-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橋梁点検設備およびその点検ロボット
JP2000226816A (ja) * 1999-02-05 2000-08-15 Kyoryo Maintenance:Kk 橋梁の点検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7670A (ko) 2002-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0614B1 (ko) 수중 구조물 검사장치
KR101194413B1 (ko) 무인 점검기를 이용한 교량 점검장치
KR101194412B1 (ko) 무인 교량 점검장치
CN105951594A (zh) 桥梁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200105308A (ko) 교량 난간부에서 자율조종 굴절 아암 로봇을 이용한 교량 하부 안전점검 장치
JP6836751B2 (ja) 斜張橋のケーブルの検査装置
KR100370107B1 (ko) 교량 안전 감지 시스템
JP3697407B2 (ja) 高架構造物の下面点検装置
JP5246624B2 (ja) 橋梁点検装置と橋梁点検方法
KR20120109954A (ko) 건물 외벽 하자 모니터링 장치
KR20190008664A (ko) 주행이 자유로운 이동식 영상촬영장치
KR102287738B1 (ko) 고정 클램프 조립부재를 이용한 현수식 교각 점검방법
JP2001020224A (ja) 高架構造物用下面点検装置
KR102561530B1 (ko)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JP3207366B2 (ja) 架空送電線を活線で点検する点検方法とその装置
JP6897216B2 (ja) 橋梁下点検装置および橋梁下点検方法
CN105803936A (zh) 桥梁检测结构及其检测方法
KR100359386B1 (ko) 비젼 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의 결함조사 방법 및 장치
KR20230059365A (ko) 다관절로봇형 교량하부 점검장치
JPH08101008A (ja) 車両の位置決め装置
KR102123189B1 (ko) 균열 탐지 로봇
JPH03212503A (ja) 橋体点検装置
JP2004012454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内部の剥離検知方法とその装置
CN216350203U (zh) 一种高架桥梁体渗水可视化检测装置
KR102474029B1 (ko) 고층 구조물 점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