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1530B1 -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 Google Patents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1530B1
KR102561530B1 KR1020210098426A KR20210098426A KR102561530B1 KR 102561530 B1 KR102561530 B1 KR 102561530B1 KR 1020210098426 A KR1020210098426 A KR 1020210098426A KR 20210098426 A KR20210098426 A KR 20210098426A KR 102561530 B1 KR102561530 B1 KR 102561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limbing
modules
tension
p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6890A (ko
Inventor
최진웅
신유성
Original Assignee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한국도로공사
Priority to KR1020210098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1530B1/ko
Publication of KR202300168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68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1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15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교각의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하로 움직이는 단위 클라이밍모듈들;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각각 구비되어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제어하는 단위 모듈제어유닛;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을 서로 연결하여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의 긴장력을 조절함에 의해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이 각각 상기 교각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력을 조절하는 긴장력발생유닛들; 및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지지되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작업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의 교각에 대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MODULE TYPE CLIMBING APPARATUS FOR CHECKING AND REPAIRING PIER OF BRIDGE}
본 발명은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에 관한 것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제설방식 전환으로 콘크리트 교량의 열화가 심각해지고 있다. 교량의 주요 부재 가운데, 상부구조의 하중을 기초로 전달하는 콘크리트 교각의 경우 신축이음장치로 유입되는 우수 또는 염수, 하천형 배수관의 낙수 등에 의한 직접 접촉 뿐만 아니라 제설염수의 비산으로 인한 간접적인 접촉으로 콘크리트 열화, 철근 부식으로 균열 및 박락 등이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교량에 대해 안전성 확보를 위해 주기적으로 안전점검 및 진단이 실시되고 있다.
현재, 교량의 교각을 점검하거나 보수시 스카이, 리프트 등과 같은 차량형 장비를 이용하거나 차량형 장비의 접근이 불가한 경우에는 비계를 설치하여 유지관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차량형 장비의 접근성이 한계가 있고, 비계 설치시 많은 시간과 비용 투입 등으로 유지관리의 효율성이 매우 낮다. 특히, 고속도로 교량의 교각의 경우 교량이 위치하고 있는 환경적 요인(산악지형 등)으로 인하여 교각의 높이가 매우 높아 장비의 접근성과 시공의 어려움(고교각으로 인한 고소작업 등)과 작업자 안전 확보 등으로 교각의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는 드론과 같은 무인 비행체와 영상촬영장치를 활용하여 교량 바닥판 하면의 균열을 확인하는 방식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움직이는 무인 비행체로부터 교량 바닥판 하면에 대한 일정한 고품질의 영상을 획득하기가 매우 어렵고, 교각의 유지 보수 작업을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58831(2011.08.23)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의 교각에 대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각의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하로 움직이는 단위 클라이밍모듈들;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각각 구비되어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제어하는 단위 모듈제어유닛;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을 서로 연결하여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의 긴장력을 조절함에 의해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이 각각 상기 교각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력을 조절하는 긴장력발생유닛들; 및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지지되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작업대를 포함하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가 제공된다.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바퀴들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단위 모듈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바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에 각각 바퀴가 연결되는 전방양축모터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에 각각 바퀴가 연결되는 후방양축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각을 둘러싸는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들마다 구비되는 긴장력발생유닛들의 각 긴장력발생유닛에서 작용하는 긴장력은 서로 같게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력발생유닛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긴장재와, 상기 긴장재를 당기거나 풀어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 사이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긴장력발생기와, 상기 긴장재에 작용하는 긴장력을 감지하는 하중센서와, 상기 하중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긴장력발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는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교각을 수평 방향으로 둘러싸는 작업발판들과,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과 작업발판을 연결하여 작업발판을 지지하는 지지바들과, 상기 작업발판들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난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긴장력발생유닛에 의해 상기 교각에 가압되며,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상기 작업대를 지지하는 보조지지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지지유닛은 상기 긴장력발생유닛이 연결되는 보조몸체와, 상기 보조몸체에 구비되어 교각에 밀착되는 롤러와, 상기 보조몸체와 작업대를 연결하는 지지바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는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의 상측을 연결하며 수평을 유지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교각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비장착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작업대는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단위 클라이밍모듈에 각각 장착되는 장비장착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장비장착부재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업대에 단위 모듈제어유닛들과 긴장력발생유닛들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박스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교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이 교각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의 움직임과 함께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설치된 작업대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므로 작업대에 교량 관리자가 탑승하여 교각을 육안으로 점검하거나 파손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게 되어 높이가 높은 교량의 교각일 경우에도 교각에 대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에 교량 관리자가 탑승하지 않고 카메라를 포함하는 영상수집유닛을 설치하거나 기타 점검장비를 설치할 경우 교각 외면 상태에 대한 영상정보로 교각을 점검하거나 기타 정보로 교각을 점검하게 되어 교각의 균열 및 열화손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유지관리 인력과 탐지비용이 절감되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를 구성하는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2, 3,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일실시예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 단위 모듈제어유닛(200), 긴장력발생유닛(300), 작업대(400)를 포함한다.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을 복수 개이며, 교각(20)의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각각 상하로 움직인다.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서로 균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면에는 네 개가 표시됨).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은 상부 하중과 점검 및 보수 대상에 따라 달리 정할 수 있다.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의 일예로,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은 본체(110)와, 그 본체(110)에 구비되는 바퀴(120)들과, 본체(110)에 구비되어 단위 모듈제어유닛(200)의 제어에 의해 바퀴(120)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130)을 포함한다. 바퀴(120)들은 네 개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네 개의 바퀴(120)들은 본체(110)의 길이 방향 한쪽에 두 개의 바퀴(120)들이 위치하고 길이 방향 다른 한쪽에 다른 두 개의 바퀴(120)들이 위치한다.
구동유닛(130)의 일예로, 구동유닛(130)은 본체(110)의 길이 방향 일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에 각각 바퀴(120)가 연결되는 전방양축모터(131)와, 본체(110)의 길이 방향 타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에 각각 바퀴(120)가 연결되는 후방양축모터(132)와, 전,후방양축모터(131)(13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유닛(133)을 포함한다. 전원공급유닛(133)의 일예로, 전원공급유닛(133)은 본체(110)에 장착되는 배터리를 포함한다. 전원공급유닛(133)의 다른 일예로, 전원공급유닛(133)은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한다. 구동유닛(1300은 전,후방양축모터(131)(132)가 정회전력을 발생시키거나 역회전역을 발생시키게 되면 그 회전력이 모터축을 통해 바퀴(120)들에 전달되어 바퀴(120)들을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키게 된다.
바퀴(120)는 탄성 수축이 가능한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은 각각 길이 방향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여 네 개의 바퀴(120)들이 교각(20)의 외면에 접촉된다.
단위 모듈제어유닛(200)은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 각각 구비되어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을 제어한다.
긴장력발생유닛(300)은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 각각 구비되어 그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을 서로 연결하며,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긴장력을 조절함에 의해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이 각각 교각(20)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력을 조절한다. 한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에 복수 개의 긴장력방생유닛(300)들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긴장력발생유닛(300)의 일예로, 긴장력발생유닛(300)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을 서로 연결하는 긴장재(310)와, 그 긴장재(310)를 당기거나 풀어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 사이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긴장력발생기(320)와, 긴장재(310)에 작용하는 긴장력을 감지하는 하중센서(미도시)와, 그 하중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의해 긴장력발생기(32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30)를 포함한다. 긴장재(310)는 고장력 와이어, 강재 와이어 등이 될 수 있다.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 중 한쪽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에 긴장력발생기가 장착되고 다른 한쪽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에 긴장재(310)의 한쪽이 고정되고 그 긴장재(310)의 다른 한쪽은 긴장력발생기(320)에 연결된다. 긴장력발생기(320)는 긴장재(310)를 감거나 풀어 긴장재(310)의 긴장력을 조절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당김력을 조절하게 된다. 긴장력발생유닛(300)은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마다 구비되어 긴장력발생유닛(300)들이 각각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당김력을 조절하여 교각을 둘러싸도록 위치한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각 바퀴(120)들과 교각의 외면과의 접촉력을 조절하게 된다.
교각을 둘러싸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마다 구비되는 긴장력발생유닛(300)들의 각 긴장력발생유닛(300)에서 작용하는 긴장력은 서로 같게 작용하거나 그 긴장력 차이는 허용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업대(400)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 지지되며,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하로 움직인다.
작업대(400)의 제1 실시예로, 작업대(400)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 각각 연결되어 교각을 수평 방향으로 둘러싸는 작업발판(410)들과, 단위 클라이밍모듈(100)과 작업발판(410)을 연결하여 작업발판(410)을 지지하는 지지바들(420)과, 작업발판(410)들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난간(430)을 포함한다. 작업발판(410)은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의 본체(110)에 지지되되, 본체(110)의 길이 방향 한쪽이 전면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바들(420)은 단위 클라이밍모듈(100)과 작업발판(410)의 중간을 연결하는 단축지지바(421)와, 단위 클라이밍모듈(100)과 작업발판(410)의 바깥쪽 단부를 연결하는 장축지지바(422)를 포함한다. 즉, 단축지지바(421)의 한쪽 단부는 작업발판(410)의 중간 부분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의 본체(110) 길이 방향 아래쪽 한쪽에 연결된다. 장축지지바(422)의 길이 방향 한쪽 단부는 작업발판(410)의 바깥쪽 단부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 단부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의 본체(110) 길이 방향 아래쪽 한쪽에 연결되되, 단축지지바(421)가 연결되는 부분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축지지바(421)와 장축지지바(422)는 한쌍으로 작업발판에 복수 개 구비될 수도 있다. 난간(430)은 작업발판(410)들의 각 작업발판(410) 바깥쪽 테두리에 서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는 복수 개의 지주들과, 수평 방향으로 위치하여 지주들에 연결되는 수평바들을 포함한다. 한편,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을 사이에 위치하여 긴장력발생유닛(300)에 의해 교각에 가압되며,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면서 작업대(400)를 지지하는 보조지지유닛(4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지지유닛(440)의 일예로, 보조지지유닛은 긴장력발생유닛(300)이 연결되는 보조몸체(441)와, 그 보조몸체(441)에 구비되어 교각에 밀착되는 롤러(442)들과, 보조몸체(441)와 작업대(400)를 연결하는 지지바(443)들을 포함한다. 롤러(442)는 탄성 수축이 가능한 고무재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량 관리자는 작업대(400)의 작업발판(4100에 탑승하여 작업대(400)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작업대(400)의 제2 실시예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400)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상측을 연결하며 수평을 유지하는 베이스판(450)과, 그 베이스판(450)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교각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비장착부재(460)들을 포함한다. 베이스판(450)은 체결유닛에 의해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베이스판(450)은 복수 개의 조각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장비장착부재(460)들에 각각 카메라(10)를 포함하는 영상수집유닛이 장착된다. 장비장착부재(460)에 카메라(10)를 수평방향으로부터 상측 수직방향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10)를 각회전시키는 카메라회전유닛(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예로, 장비장착부재(460)들에 각각 교각을 검사할 수 있는 장비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
작업대(400)의 제3 실시예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대(400)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에 각각 장착되는 장비장착부재(47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 모두에 각각 장비장착부재(470)가 구비된다. 일예로, 장비장착부재(470)들에 각각 카메라(10)를 포함하는 영상수집유닛이 장착된다. 장비장착부재(470)에 카메라(10)를 수평방향으로부터 상측 수직방향으로 촬영할 수 있도록 카메라를 각회전시키는 카메라회전유닛(미도시)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예로, 장비장착부재(470)들에 각각 교각을 검사할 수 있는 장비들이 장착될 수도 있다.
작업대(400)에 단위 모듈제어유닛(200)들과 긴장력발생유닛(300)들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박스(500)가 구비된다. 또한, 통합제어박스(500)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무선제어기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교량 관리자가 교각을 육안점건하거나 보수 작업을 할 경우 대상 교각의 아래 둘레로 서로 간격을 두고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을 배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 중 한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에 장착된 긴장력발생유닛(300)의 긴장재(310)를 다른 한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의 본체에 연결한다. 그리고, 통합제어박스(500)를 제어하여 긴장력발생유닛(300)들을 각각 작동시켜 긴장재(310)에 긴장력을 발생시킴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 당겨 교각을 둘러싸도록 위치한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각 바퀴(120)들을 교각의 외면에 가압시킨다. 긴장력발생유닛(300)들에 설정된 긴장력을 작용시킨 상태에서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 제1 실시예의 작업대(400)를 설치한 다음 교량 관리자(들)가 작업대(400)에 탑승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단위 모듈제어유닛(200)이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의 구동유닛(130)을 작동시켜 바퀴(120)들을 정회전시키며,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각 바퀴(120)들이 교각의 외면에 가압된 상태에서 정회전함에 따라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이 교각을 따라 위로 이동하게 된다.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이 교각을 따라 위로 이동하게 됨에 따라 교량 관리자가 탑승한 작업대(400)가 함께 위로 이동하게 되며 교량 관리자는 위로 이동하면서 교각의 상태를 육안으로 점검하거나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여 교각을 보수하게 된다. 교각 육안점검이 끝나거나 보수 작업이 끝나게 되면 통합제어박스(500)의 조작으로 단위 모듈제어유닛(200)이 단위 클라이밍모듈(100)의 구동유닛(130)을 작동시켜 바퀴(120)들을 역회전시키며,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각 바퀴(120)들이 교각의 외면에 가압된 상태에서 역회전함에 따라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이 교각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카메라(10)를 포함하는 영상수집유닛으로 교각을 점검시 교각을 둘러싸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 제2 실시예의 작업대(400) 또는 제3 실시예의 작업대(400)를 설치하고 그 작업대(400)에 카메라(10)를 포함하는 영상수집유닛을 장착한다. 그리고 교량 관리자가 지상에서 무선제어기를 이용하여 통합제어박스(500)를 제어함에 의해 교각을 둘러싸는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을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작업대(400)에 장착된 카메라(10)들로 교각의 외면을 찰영한다. 카메라(100들이 촬영한 영상정보로 교각을 점검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교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이 교각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고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의 움직임과 함께 단위 클라이밍모듈(100)들에 설치된 작업대(400)가 상하로 움직이게 되므로 작업대(400)에 교량 관리자가 탑승하여 교각을 육안으로 점검하거나 파손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게 되어 높이가 높은 교량의 교각일 경우에도 교각에 대한 점검 및 유지보수 작업을 안전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대(400)에 교량 관리자가 탑승하지 않고 카메라(10)를 포함하는 영상수집유닛을 설치하거나 기타 점검장비를 설치할 경우 교각 외면 상태에 대한 영상정보로 교각을 점검하거나 기타 정보로 교각을 점검하게 되어 교각의 균열 및 열화손상에 대한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고 유지관리 인력과 탐지비용이 절감되며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100; 단위 클라이밍모듈 200; 단위 모듈제어유닛
300; 긴장력발생유닛 400; 작업대

Claims (15)

  1. 교각의 외면에 수평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며, 상하로 움직이는 단위 클라이밍모듈들;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각각 구비되어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제어하는 단위 모듈제어유닛;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을 서로 연결하여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의 긴장력을 조절함에 의해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이 각각 상기 교각 외면에 밀착되는 밀착력을 조절하는 긴장력발생유닛들; 및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에 지지되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상하로 움직이는 작업대를 포함하며,
    상기 긴장력발생유닛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을 서로 연결하는 긴장재와, 상기 긴장재를 당기거나 풀어 두 개의 단위 클라이밍모듈 사이의 긴장력을 조절하는 긴장력발생기와, 상기 긴장재에 작용하는 긴장력을 감지하는 하중센서와, 상기 하중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긴장력발생기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긴장재는 고장력 와이어 또는 강재 와이어를 포함하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바퀴들과,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단위 모듈제어유닛의 제어에 의해 바퀴들을 구동시키는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에 각각 바퀴가 연결되는 전방양축모터와, 상기 본체의 타측에 장착되어 정,역회전력을 발생시키며 모터축에 각각 바퀴가 연결되는 후방양축모터를 포함하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의 상측을 연결하며 수평을 유지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되 상기 교각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비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단위 클라이밍모듈들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단위 클라이밍모듈에 각각 장착되는 장비장착부재를 포함하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장비장착부재에 카메라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에 단위 모듈제어유닛들과 긴장력발생유닛들을 제어하는 통합제어박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KR1020210098426A 2021-07-27 2021-07-27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KR102561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26A KR102561530B1 (ko) 2021-07-27 2021-07-27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426A KR102561530B1 (ko) 2021-07-27 2021-07-27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890A KR20230016890A (ko) 2023-02-03
KR102561530B1 true KR102561530B1 (ko) 2023-07-31

Family

ID=85225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426A KR102561530B1 (ko) 2021-07-27 2021-07-27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15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026836B (zh) * 2023-10-10 2023-12-29 中铁建安工程设计院有限公司 一种可升降分块折叠的桥墩施工安全防坠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273B1 (ko) * 2005-10-13 2006-01-23 조병철 교각 안전점검 장치
JP2009057763A (ja) * 2007-08-31 2009-03-19 Fujiken:Kk 移動作業装置
JP2017057615A (ja) * 2015-09-16 2017-03-23 五洋建設株式会社 杭式水上構造物の仮設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851908B1 (ko) * 2017-10-20 2018-04-24 김왕기 교량의 교각 안전 점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831B1 (ko) 2010-07-01 2011-08-23 한국도로공사 교량의 멀티 스캔이 가능한 교량 점검용 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273B1 (ko) * 2005-10-13 2006-01-23 조병철 교각 안전점검 장치
JP2009057763A (ja) * 2007-08-31 2009-03-19 Fujiken:Kk 移動作業装置
JP2017057615A (ja) * 2015-09-16 2017-03-23 五洋建設株式会社 杭式水上構造物の仮設足場及びその設置方法
KR101851908B1 (ko) * 2017-10-20 2018-04-24 김왕기 교량의 교각 안전 점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6890A (ko)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1530B1 (ko) 교각 점검 및 보수용 모듈형 클라이밍장비
KR100987297B1 (ko) 교량 보수 점검 장치
CN113463522B (zh) 一种盖梁施工辅助装置及方法
JP7025180B2 (ja) 懸垂型ドローン
KR100991190B1 (ko) 환상형 주행레일 이동식 교량 점검차와 이를 이용한 교량 점검 및 보수방법
KR101851908B1 (ko) 교량의 교각 안전 점검장치
WO2020124153A1 (en) A hoist system and method
KR100687135B1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장치, 및 그를 이용한 교량의상부구조 시공방법
KR100823859B1 (ko) 고가도로 하부 면 점검 및 보수작업 방법 및 그 점검 및보수장치
KR100987262B1 (ko) 교량보수 작업장치
KR100833751B1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의 이동 지지장치
KR102287738B1 (ko) 고정 클램프 조립부재를 이용한 현수식 교각 점검방법
CN210684817U (zh) 全真现场碰撞检测装置
KR20070040345A (ko) 교량 슬래브 작업차
KR100687137B1 (ko) 교량의 상부구조 시공용 철근대차
KR101525557B1 (ko) 3개의 자동 앵커리지 및 유압 실린더를 구비한 빔 런처
KR20050072287A (ko) 이동식 교량세굴 조사장치
CN113356065A (zh) 一种用于深水地区主栈桥施工方法
CN113235926A (zh) 料场棚化工程钢结构施工方法
JP7292584B2 (ja) 亀裂探知システム
CN103758034A (zh) 一种上弦检查车
US20240132331A1 (en) Lifting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operations on a structure
CN217030646U (zh) 一种列车顶部图像采集装置安装架
KR102321720B1 (ko) 워터젯과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교량 상부구조의 단면 하부를 복구하는 공법
WO2023096183A1 (ko) 균열 검출 및 보수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