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851B1 -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851B1
KR100369851B1 KR10-2000-0003324A KR20000003324A KR100369851B1 KR 100369851 B1 KR100369851 B1 KR 100369851B1 KR 20000003324 A KR20000003324 A KR 20000003324A KR 100369851 B1 KR100369851 B1 KR 100369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blender
unit
wood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053A (ko
Inventor
문승규
Original Assignee
문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규 filed Critical 문승규
Priority to KR10-2000-000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851B1/ko
Priority to KR2020000002175U priority patent/KR200187421Y1/ko
Publication of KR20010076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E06B9/386Details of lamella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66Devices or accessories for making or mounting lamellar blinds or par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28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 E06B9/30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 E06B9/303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with horizontal lamellae, e.g. non-liftable liftable with ladder-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ry Formation Of Fiberboard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문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단위편 및 상기 단위편보다 강도가 크고 색깔이 다른 종류의 보강편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 및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목재 브라인더편을 얻음과 동시에 브라인더편을 소정의 두께로 절단후 옹이 등에 의해 발생되는 불량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나무재질의 단위편(7a)을 구비하여 접착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비교적 두께가 얇고 단위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나무재질의 보강편(8a)을 구비하여 접착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편 및 보강편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접착제가 도포된 단위편 및 보강편을 고주파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공정과, 일체화된 단위편 및 보강편을 접착면과 직각되게 절단하여 브라인더편(3a)을 얻는 공정과, 절단된 브라인더편의 가장자리 및 양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연마된 브라인더편의 둘레면을 코팅하는 공정과, 브라인더편에 연결끈(2)이 통과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6)을 천공하는 공정을 거쳐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나무재질의 단위편(7)과, 상기 단위편의 접합면 및 최외측에 위치된 단위편의 양측면에 접착 고정되어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나무재질의 보강편(8)으로 이루어진 목재 브라인더편(3)을 얻는다.

Description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board of wood blinder and method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창문에 설치되어 햇빛을 차단하는 브라인더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브라인더의 핵심부품인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종래의 브라인더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창문의 상측에 위치되게 고정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에 적어도 2줄 이상의 연결끈(2)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브라인더편(3)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어 브라인더편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봉(4)과, 상기 각도조절봉과 반대편에 위치되게 프레임에 설치되어 브라인더편을 승강시키는 브라인더편 위치조절끈(5)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브라인더는 창문으로 비추어지는 햇빛방향 및 세기에 따라 브라인더편(3)을 도 2a와 같이 수평상태로 유지하거나, 도 2b 와 같이 경사지게 조절하여 실내로 비추어지는 빛의 조사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라인더편(3)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브라인더편 위치조절끈(5)을 잡아 당기므로써 브라인더편(3)을 동시에 상측으로 올려 많은 양의 빛이 실내로 비추어지도록 하거나,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브라인더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브라인더의 브라인더편(3)이 비교적 얇은 상태의 금속재질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어 제조공정에서 반드시 표면에 별도의 도색작업을 실시하여야 되었음은 물론 그 두께가 얇아 장기간 사용할 때 변색 또는 변형되어 사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둘째, 연결끈(2)이 통과되는 구멍(6)의 내주면이 날카로워 잦은브라인더편(3)의 승강조작에 따라 연결끈(2)이 구멍에 긁혀 끊어지게 되었다.
셋째, 인테리어의 발달로 인해 실내의 분위기는 환경 친화적인 분위기를 연출하지만, 브라인더편(3)이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되어 있어 실내의 분위기와 어울리지 않게 되었다.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근래 들어 브라인더편(3)을 목재로 가공하여 적용하고 있으나, 이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폭이 넓은 브라인더편(약 50mm 정도)(3)을 생산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원재료인 목재를 건조시키는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둘째,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브라인더편(3)의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에는 복수개(창문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약 20-30개 정도) 설치되는 전체 브라인더편이 무거워 프레임(1)을 천정에 견고히 고정시켜야 되었음은 물론 프레임을 견고히 고정시키더라도 장기간 사용할 때 연결끈(2)이 쉽게 끊어지게 되었고, 또한 브라인더편을 상승시키는데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셋째, 브라인더편(3)의 폭이 넓기 때문에 원재료의 절단작업 전에는 옹이 등의 불량 요인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지만, 소정의 두께(2-3mm 정도)로 절단작업을 완료하고 난 상태에서는 외부에서 보이지 않던 옹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었으므로 부득이 공정의 중간단계에서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브라인더편을 폐기 처분하여야만 되었다.
넷째, 강도가 큰 목재를 이용하여 브라인더편(3)을 제작할 경우에도 전체 무게가 무거워져 둘째항의 문제점이 나타난다.
다섯째, 목재가 갖는 고유의 무늬 모양외에는 다양한 무늬의 표출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단위편 및 강도가 크고 색깔이 다른 종류의 보강편을 조합하여 다양한 형태 및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목재 브라인더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브라인더편의 표면에 반영구적으로 변형되지 않는 다양한 무늬가 표출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브라인더편을 소정의 두께로 절단후 옹이 등에 의해 발생되는 불량 원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인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의 브라인더가 설치된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브라인더편이 동시에 상승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브라인더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브라인더편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연결끈 3, 3a : 브라인더편
7, 7a : 단위편 8, 8a : 보강편
9 : 요입홈 10 : 무늬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연결끈이 통과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목재 브라인더편에 있어서,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나무재질의 단위편과, 상기 단위편의 접합면 및 최외측에 위치된 단위편의 양측면에 접착 고정되어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나무재질의 보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브라인더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나무재질의 단위편을 구비하여 접착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비교적 두께가 얇고 단위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나무재질의 보강편을 구비하여 접착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편 및 보강편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접착제가 도포된 단위편 및 보강편을 고주파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공정과, 일체화된 단위편 및 보강편을 접착면과 직각되게 절단하여 브라인더편을 얻는 공정과, 절단된 브라인더편의 가장자리 및 양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연마된 브라인더편의 둘레면을 코팅하는 공정과, 브라인더편에 연결끈이 통과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을 천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목재 브라인더편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브라인더편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브라인더편(3)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 형성된 나무재질의 단위편(7)과, 상기 단위편의 접합면 및 최외측에 위치된 단위편의 양측면에 접착 고정되어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나무재질의 보강편(8)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브라인더편(3)에는 연결끈(2)이 통과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편(8)의 색상을 단위편(7)과 다르게 하므로써 다양한 형태의 브라인더편(3)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브라인더편(3)의 단위편(7)이 복수개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중심부에 상기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보강편(8)이 반드시 위치하게 되므로 보강편상에 연결끈(2)이 통과하는 구멍(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구멍(6)의 천공작업시 구멍의 가장자리가 매끈하게 형성되므로 브라인더편(3)을 반복적으로 승강시키더라도 연결끈이 구멍(6)의 내주면에 긁혀 끊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브라인더편의 분해 사시도로서, 단위편(7)상에 소정의 모양을 갖는 요입홈(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입홈에는 단위편과 색상이 다르고 형상이 일치되는 나무재질의 무늬편(10)이 삽입 고정되어 있다.
상기 요입홈(9)은 보강편(8)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하여 상감 등과 같은 형태의 무늬편(10)을 삽입 고정시킬 수 있으나, 단위편(7)의 일부분에 특정형태를 갖는 요입홈(9)을 형성하여 특정 동물 또는 식물 등을 외부로 표출시킬 수도 있다.
상기 단위편(7)상에 요입홈(9)을 형성하지 않고 특정형태를 갖는 형상으로 천공하여 천공된 부위에 색상이 다른 무늬편(10)을 삽입 고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단위편(7)의 재질로는 연질 나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소나무등과 같은 침엽수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단위편(7)에 비해 강도가 크고 다양한 색상을 띠는 보강편(8)으로는 연밤색을 갖는 오크, 진밤색을 갖는 호도나무, 적색을 갖는 파득 또는 부빙가, 베이지색을 갖는 하드단풍나무, 진노랑색을 갖는 아카시아나무 등이 주로 사용되므로 별도의 도색공정이나, 염색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자연색을 띠는 브라인더편(3)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공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로서, 완성된 브라인더편(3)의 무게를 최소화하기 위해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나무로된 연질의 단위편(7a)을 구비하여 접착면인 양면을 연마한다.(S1)
이와는 별도로 비교적 두께가 얇고 단위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나무로된 보강편(8a)을 구비하여 접착면을 연마한다.(S2)
상기 단위편(7a) 및 보강편(8a)의 연마공정은 각각의 공정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거나, 뒤바뀌어도 관계는 없다.
상기한 공정을 거쳐 접착면이 연마된 단위편(7a) 및 보강편(8a)이 얻어지고 나면 이들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골고루 도포한 다음 밀착시킨 후 단위편(7a) 및 보강편(8a)을 고주파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체화한다.(S3, S4)
상기 단위편(7a) 및 보강편(8a)이 일체화되고 나면 도 7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접착면과 직각되게 절단하여 반가공상태의 브라인더편(3a)을 얻는다.(S5)
그 후, 절단된 브라인더편(3a)의 가장자리 및 양면이 매끈해지도록 연마한 다음 브라인더편의 둘레면을 코팅하는 코팅공정을 거친다.(S6, S7)
상기 브라인더편(3a)의 코팅공정을 거치고 나면 상기 브라인더편에 연결끈(2)이 통과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6)을 천공하는 공정(S8)을 거치므로써, 목재 브라인더편(3)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얻어진 본 발명의 브라인더편(3)은 종래의 목재 브라인더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첫째, 폭이 넓은 브라인더편(약 50mm 정도)(3)을 생산시 폭이 좁은 복수개의단위편을 사용하므로 목재의 건조에 따른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원재료의 원가를 줄일 수 있게 되므로 목재 브라인더의 생산원가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둘째, 단위편이 연질의 목재로 되어 있더라도 상기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보강편(8)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브라인더편(3)의 무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셋째, 단위편(7a)의 폭이 좁기 때문에 원재료의 절단작업 후 예기치 않은 옹이의 발생 빈도를 최소화하게 되므로 공정의 중간단계에서 소정의 두께로 절단된 브라인더편의 폐기량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넷째, 단위편상에 요입홈(9)을 형성하여 상기 요입홈내에 다른 색상을 갖는 여러 형태의 무늬편(10)을 삽입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무늬의 표출이 가능해지게 된다.

Claims (6)

  1. 연결끈이 통과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이 형성된 목재 브라인더편에 있어서, 복수개로 분할 형성된 나무재질의 단위편과, 상기 단위편의 접합면 및 최외측에 위치된 단위편의 양측면에 접착 고정되어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나무재질의 보강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브라인더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단위편상에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에는 단위편과 색상이 다르고 형상이 일치되는 무늬편이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브라인더편.
  6.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나무재질의 단위편을 구비하여 접착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비교적 두께가 얇고 단위편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단위편보다 강도가 큰 나무재질의 보강편을 구비하여 접착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상기 단위편 및 보강편의 접착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과, 접착제가 도포된 단위편 및 보강편을 고주파 프레스로 가압하여 일체화하는 공정과, 일체화된 단위편 및 보강편을 접착면과 직각되게 절단하여 브라인더편을 얻는 공정과, 절단된 브라인더편의 가장자리 및 양면을 연마하는 공정과, 연마된 브라인더편의 둘레면을 코팅하는 공정과, 브라인더편에 연결끈이 통과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구멍을 천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목재 브라인더편의 제조방법.
KR10-2000-0003324A 2000-01-24 2000-01-24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KR100369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324A KR100369851B1 (ko) 2000-01-24 2000-01-24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002175U KR200187421Y1 (ko) 2000-01-24 2000-01-26 목재 브라인더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324A KR100369851B1 (ko) 2000-01-24 2000-01-24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175U Division KR200187421Y1 (ko) 2000-01-24 2000-01-26 목재 브라인더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053A KR20010076053A (ko) 2001-08-11
KR100369851B1 true KR100369851B1 (ko) 2003-01-30

Family

ID=19641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324A KR100369851B1 (ko) 2000-01-24 2000-01-24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8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6292B1 (ko) * 2005-05-31 2005-11-08 채용식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KR100568127B1 (ko) * 2002-09-13 2006-04-05 김화순 원목에서 옹이가 포함된 부분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용슬래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래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127B1 (ko) * 2002-09-13 2006-04-05 김화순 원목에서 옹이가 포함된 부분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용슬래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래트
KR100526292B1 (ko) * 2005-05-31 2005-11-08 채용식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053A (ko) 200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7933A (en) Sliced veneer having a combination of wood grain patterns and fancy plywood therefrom
US5896903A (en) Method of fabricating bamboo slats for bamboo blinds
US10603812B2 (en) Process of making compreg multi-colored laminated wood and utility, ornamental, decorative products thereof
RU2002119576A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оверхностных элементов
CN106625975A (zh) 门体雕刻加工工艺
KR100369851B1 (ko)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KR200187421Y1 (ko) 목재 브라인더편
CN102059907A (zh) 多色阶木质单板层积材艺术浮雕及其制作方法
US6746745B2 (en) Composite bamboo blinds sla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WO2008136039A1 (en) Semifinished wood product comprising luminescent trims, and finished products thereof
KR20010069621A (ko) 저가 무늬목을 이용한 무늬목 가구의 제조방법 및 그제조방법을 이용한 무늬목 가구
JP2869263B2 (ja) 化粧木材の製造方法及び化粧木材
KR100799355B1 (ko) 미장용 건축자재와 그 제조방법
KR100490588B1 (ko) 장신구 가공용 목재의 제조방법 및 그 목재
KR100257990B1 (ko) 갈포지 도어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0271904A (ja) 板目模様単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06206A (ja) 化粧板の製造法
JPH05318417A (ja) 化粧用建材の製造方法
KR20030051525A (ko) 목재의 결을 입체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 및 그 방법으로제조되는 목재
RU219168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рамочной двери
KR200288443Y1 (ko) 목재 프레임을 갖는 손거울
SU1643187A1 (ru) Способ тиснени узоров на листовых дерев нных заготовках
KR20100094794A (ko) 가구판재의 무늬형성방법
KR200257868Y1 (ko) 폐목을 이용한 바둑판
KR20030075544A (ko) 목재 프레임을 갖는 손거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