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292B1 -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292B1
KR100526292B1 KR10-2005-0046408A KR20050046408A KR100526292B1 KR 100526292 B1 KR100526292 B1 KR 100526292B1 KR 20050046408 A KR20050046408 A KR 20050046408A KR 100526292 B1 KR100526292 B1 KR 10052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lat
unit
unit piece
kno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1427A (ko
Inventor
채용식
Original Assignee
채용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용식 filed Critical 채용식
Priority to KR10-2005-0046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29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1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14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2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2Staining or dyeing wood; Bleaching woo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2240/00Purpose of the treatment
    • B27K2240/70Hydrophobation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함수율이 높은 원목을 준비하며, 이를 슬랫 형상의 단위편으로 제재한 후, 이 단위편에 방부 처리를 하고, 일정 시간의 양생을 거쳐,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스테인 피막을 형성한 슬랫을 구성하여, 이를 블라인드에 사용함으로써, 직사 광선에도 변형이 없고, 슬랫에 자연스러운 나이테와 옹이가 형성되어 있어, 외관이 더욱 미려한 것이다.
본 발명을 도1의 공정도를 참조하여 대략 설명하면, 먼저 함수율 50 내지 80%을 가진 일정 굵기 이상의 원목을 준비하는 원목 준비 공정(S1), 상기 원목을 두께가 얇고,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슬랫 형상의 단위편으로 절단하는 원목 제재 공정(S2), 상기 단위편을 음지에서 건조하여 10 내지 20%의 함수율을 가지도록 하는 단위편 건조 공정(S3), 도포법, 분무법, 침전법, 가압법 등의 방법으로 방부재를 단위편에 골고루 침투시키는 단위편 방부 처리 공정(S4), 방부재가 침투된 단위편을 일정 시간 양생하여 단위편에 방부재를 정착케하는 양생 공정(S5), 마지막으로 적정 색상의 스테인을 상기 단위편에 도포·건조하는 피막 형성 공정(S6)으로, 전면에 자연스런 나이테 및 옹이(10′)가 형성된 슬랫(10)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슬랫(10)은, 통상의 방법으로 블라인드(20)를 제조하여 창가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각 슬랫(10)의 표면에는 나이테와 옹이(10′)가 형성되어 있어, 심미성이 높고, 외관이 미려하며, 먼지나 때가 잘 묻지 않고, 청소가 용이하며, 목재 특성상 가벼운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 the wooden slat with knot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for blind }
본 발명은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함수율이 높은 원목을 준비하며, 이를 슬랫 형상의 단위편으로 제재한 후, 이 단위편에 방부 처리를 하고, 일정 시간의 양생을 거쳐,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스테인 피막을 형성한 슬랫을 구성하여, 이를 블라인드에 사용함으로써, 직사 광선에도 변형이 없고, 슬랫에 자연스러운 나이테와 옹이가 형성되어 있어, 외관이 더욱 미려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니션 블라인드(Venetian blind)는 두께가 얇고, 길이가 긴 사각형상의 슬랫(slat)을 상하로 배열하여, 각 슬랫을 통과하는 실로 슬랫의 승강이나 경사를 조절하여, 실내로 들어오는 빛의 양을 제어하도록 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슬랫은 플라스틱류로 제작하는데, 우아한 원목의 느낌을 살리기 위해, 플라스틱류 슬랫, 합판류 슬랫, 성장 속도가 커서 나무결 무늬가 거의 없는 열대 수종의 슬랫 등에 나무결의 시트를 부착하여, 원목 느낌을 내는 경우가 있으나, 이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트가 벗겨지거나, 변색하여 심미감이 떨어지므로, 나무결이 있는 원목을 슬랫으로 가공하고, 이를 이용한 목재 블라인드가 제작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다.
참고로, 원목에 블라인드용 슬랫에 적용하는데 있어, 먼저 나무의 구조를 살펴보면, 나무는 중앙에 단단하고 색이 진한 심재, 이를 원주 방향으로 둘러싸는 색이 옅은 부분인 변재와, 이를 둘러싸는 껍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나무는 계절에 변화에 따른 나이테를 형성하는데, 이는 성장이 빠른 봄과 여름에는 그 부분의 세포막이 얇고 색이 연한 춘재와, 성장이 더딘 가을과 겨울에는 그 부분의 세포막이 두껍고 단단하며 짙은 추재가 반복되어 생성하는 것이며, 또한, 나무의 줄기에서 가지가 뻗어나와 목질이 구성된 옹이를 형성한다.
그러나 건조된 목재를 두께가 얇은 슬랫으로 가공할 시에는, 옹이 부분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커서 얇게 가공하기가 어렵고, 절단시 톱이 옹이에 걸려 부러지는 등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건조 상태의 목재는 밀도가 큰 옹이 부분과 상대적으로 밀도가 작은 기타 부분의 강도 차이로, 재단된 목재에서 옹이가 쉬이 빠지므로, 가공시에 옹이 부분을 제하고 가공함에 따라, 목재 낭비가 많아지고, 그 길이와 폭에 제한이 생기는데, 실제로 목재 블라인드를 구성하는 목재 슬랫은 플라스틱 슬랫과 달리 그 두께가 더 두껍고, 그 길이와 폭이 좁아서, 창문의 클 경우에는 많은 양의 슬랫이 사용되어 블라인드의 무게가 무겁고, 폭의 제한으로 한 창문에 다수개의 블라인드를 달아야 하므로 심미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소나무, 전나무, 해송 등과 같은 침엽수 수종은, 가볍고 탄력이 좋고, 그 향이 우수하지만, 이는 다른 수종보다 수지가 많고, 옹이가 많이 분포되어 있어 가공이 용이하지 않으며, 벌목된 원목의 굵기가 가늘 경우, 그 활용도가 더욱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참고로 건조된 직육면체의 목재에 가습과 건조를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는 옹이를 그 형상을 따라 제거하고, 이를 얇게 켜서 목재 슬랫을 제조하며, 이 목재 슬랫을 이용하여 블라인드를 제작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옹이를 제거함으로써 목재 슬랫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불균형이 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거된 옹이 부분을 따라 균열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블라인드의 주목적은 햇빛을 가리고 햇빛량을 조절하는 것임을 볼 때, 옹이로 형성한 구멍은 자연스럽기보다는 그 부분으로 햇빛이 실내로 들어오게 되므로, 햇빛량의 조절이 용이하지 못해 실용성이 떨어지는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원목을 구비하고, 이를 얇은 두께로 일정 폭과 길이 방향으로 긴 단위편을 만들며, 이에 방부재로 방부 처리를 한 뒤, 일정 시간 양생하고,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스테인 피막을 형성한 슬랫을 구성하여, 이를 블라인드로 제작되어 창가에 설치함에 따라, 표면에 나이테와 옹이를 자연스럽게 형성한 슬랫으로 자연친화적이고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함수율 50 내지 80%의 원목을 절단하여 단위편을 만들어, 수종 또는 원목의 굵기 등에 구애가 없이 목재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 목재 활용도를 높이고, 옹이에 의한 톱의 부러짐을 방지하며, 방수, 방부 및 방충 처리로 부식과 부패가 없어 수명이 오래가고, 직사 광선에도 변형이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함수율이 높은 원목을 준비하며, 이를 슬랫 형상의 단위편으로 제재한 후, 이 단위편에 방부 처리를 하고, 일정 시간의 양생을 거쳐,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스테인 피막을 형성한 슬랫을 구성하여, 이를 블라인드에 사용함으로써, 직사 광선에도 변형이 없고, 슬랫에 자연스러운 나이테와 옹이가 형성되어 있어, 외관이 더욱 미려한 것이다.
본 발명을 도1의 공정도를 참조하여 대략 설명하면, 먼저 함수율 50 내지 80%을 가진 일정 굵기 이상의 원목을 준비하는 원목 준비 공정(S1), 상기 원목을 두께가 얇고,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슬랫 형상의 단위편으로 절단하는 원목 제재 공정(S2), 상기 단위편을 음지에서 건조하여 10 내지 20%의 함수율을 가지도록 하는 단위편 건조 공정(S3), 도포법, 분무법, 침전법, 가압법 등의 방법으로 방부재를 단위편에 골고루 침투시키는 단위편 방부 처리 공정(S4), 방부재가 침투된 단위편을 일정 시간 양생하여 단위편에 방부재를 정착케하는 양생 공정(S5), 마지막으로 적정 색상의 스테인을 상기 단위편에 도포·건조하는 피막 형성 공정(S6)으로, 전면에 자연스런 나이테 및 옹이(10′)가 형성된 슬랫(10)을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슬랫의 제조 방법을 도1의 공정도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원목 준비 공정(S1)은, 슬랫(10) 제조에 필요한 원목을 구비하는 것으로, 원목은 벌목한 것을 그대로 쓰거나 또는 벌목한 후 시간이 좀 지나 반건조 된 것을 사용하되, 함수율 50 내지 80%의 비교적 높은 함수율을 가진 것을 사용하며, 원목을 고를 시에는 사계절이 뚜렷한 지역에서 자라 뚜렷하고 촘촘한 나이테 및 옹이(10′)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원목 제재 공정(S2)은, 상기 원목을 절단하여 슬랫(10) 형상의 단위편을 만드는 것으로, 원목을 톱으로 켜서, 얇은 두께와 길이 방향으로 길어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진 단위편을 만들되, 후에 건조로 수축하는 것을 고려하여 절단하는데, 함수율이 높은 원목은 건조된 것보다 강도가 떨어지므로, 옹이(10′)에 의해 톱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단위편 건조 공정(S3)은, 상기 단위편을 음지에서 건조하여 포함된 함수율을 10 내지 20%로 낮추되, 건조하는 과정에서 뒤틀리거나 갈라지지 않도록 주의하며, 급작스런 온도 및 습도 변화는 피하여 옹이(10′)가 탈거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단위편 방부 처리 공정(S4)은, 상기 건조된 단위편에 방부재를 침투시켜 곰팡이균, 박테리아 등을 억제하여, 부식 방지 및 방충 효과로 수명을 연장하는 것으로, 상기 단위편에 주로 액체 상태인 방부재를 침투하는 방법으로는, 도포법, 분무법, 침전법, 가압법 등을 쓰는데,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도포법은 단위편에 붓을 이용하여 방부재를 발라 침투시키는 것이고, 분무법은 방부재를 분무기에 넣어 단위편에 뿜어내어 침수시키는 것이며, 침전법은 단위편을 방부재에 일정 시간 담가 놓아 침투시키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가압법은 상기 단위편을 가압탱크에 넣어 압력을 주어 단위편을 팽창시키고, 이에 방부재를 투입하면 단위편에 방부재를 깊이 침투시키는 것으로, 대개 20㎏의 압력에서 3시간 정도 처리하는 것이 기본인데, 방부액의 침투성은 상기 가압법이 가장 효과가 크나, 단위편의 두께가 얇으므로 도포법, 분무법 및 침전법도 무방하다.
그리고 양생 공정(S5)은 상기 단위편을 양생하여 방부재를 정착시키는 것으로, 상온에서 약 3주 정도 자연 양생하거나, 또는, 60℃에서 약 3일 정도 인공 양생하며, 마지막으로 피막 형성 공정(S6)은, 상기 단위편에 투명, 또는 적정 색상의 스테인을 2회 정도로 도포 및 건조를 반복하여, 그 표면에 형성된 피막으로 방충 및 방수를 하는 것으로, 상기의 과정을 통해 블라인드(20)에 사용하는 슬랫(10)을 완성한다.
더욱이, 상기 슬랫(10)에는 블라인드 제작에 필요한 관통된 연결공(11)을 형성하며, 이 공정은 상기 목재 제재 공정(S2) 다음으로, 연결공 형성 공정(S2′)을 추가하되, 이는 베니션 블라인드의 경우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편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연결공(11)을 적절한 위치에 다수개 형성하고, 또, 버티컬 블라인드 경우 일단에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관통된 연결공(1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슬랫(10)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블라인드(20)를 제조하여 창가 등에 설치하여 사용하는데, 각 슬랫(10)의 표면에는 나이테와 옹이(10′)가 형성되어 있어, 심미성이 높고 외관이 미려하며, 먼지나 때가 잘 묻지 않고, 청소가 용이하며, 목재 특성상 가벼운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방부재 및 스테인을 참고로 설명하면, 먼저 방부재는 상기 단위편과 같은 목재의 내·외부에 침투되어, 방부 및 방충 효과로 부후균, 변색균 및 곤충의 침해로부터 보호하고, 목재의 내구성을 높이는 것으로, 크게 수용성 목재 방부재, 유성 목재 방부재, 유화성 목재 방부재, 유용성 목재 방부재 등으로 나뉘며, 먼저 수용성 목재 방부재로는 크롬/구리/비소 화합물계, 알킬 암모니움 화합물계, 크롬/플루오를화구리/아연 화합물계, 산화크롬/ 구리화합물계, 크롬/구리/ 붕소 화합물계, 붕소 화합물, 구리/알킬 암모니움 화합물계가 있고, 유성 목재 방부재로는 크레오소트유가 있으며, 유화성 목재 방부재는 지방산 금속염계가 있고, 마지막으로 유용성 목재 방부재로는 유기 요오드 화합물계, 지방산 금속염계, 유기 요오드/인 화합물계가 있는데, 이 중에서 적절한 것을 골라 적정한 침투 방법으로 사용하되, 인체에 유해한 물질은 피하도록 한다.
또, 스테인(착색제, stain)은 그 종류에 따라 오일 스테인(oil stain), 알코올 스테인(alcohol stain), 래커 스테인(lacquer stain), 화학 스테인, 수성 스테인 등이 있으며, 주로 염료가 같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적절한 색상을 선택하며, 블라인드가 주로 실내에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여, 독성과 같이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는데, 이는 방수, 방부 성능이 있고, 흰개미와 같은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 효과가 있으며, 고내수성과 내부의 수분을 밀어내는 발수성이 있어 목재의 부식과 부패를 방지하고, 종류에 따라 자외선(UV)으로부터 변색이나 퇴색되는 것을 방지하며, 미세 균열 발생을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목을 구비하고, 이를 얇은 두께로 일정 폭과 길이 방향으로 긴 단위편을 만들며, 이에 방부재로 방부 처리를 한 뒤, 일정 시간 양생하고, 그 표면에 다양한 색상의 스테인 피막을 형성한 슬랫을 구성하여, 이를 블라인드로 제작되어 창가에 설치함에 따라, 표면에 나이테와 옹이를 자연스럽게 형성한 슬랫으로, 자연친화적이고 외관이 미려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함수율 50 내지 80%의 원목을 절단하여 단위편을 만들어, 수종 또는 원목의 굵기 등에 구애가 없이 목재 가공을 용이하게 하여, 목재 활용도를 높이고, 옹이에 의한 톱의 부러짐을 방지하며, 방수, 방부 및 방충 처리로 부식과 부패가 없어 수명이 오래가고, 직사 광선에 대한 변형이 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랫의 일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라인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슬랫 11 : 연결공 10′ : 옹이
20 : 블라인드

Claims (4)

  1.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함수율 50 내지 80%을 가진 일정 굵기 이상의 원목을 준비하는 원목 준비 공정(S1), 상기 원목을 두께가 얇고, 일정 폭과 길이를 가지는 슬랫 형상의 단위편으로 절단하는 원목 제재 공정(S2), 상기 단위편을 음지에서 건조하여 10 내지 20%의 함수율을 가지도록 하는 단위편 건조 공정(S3), 건조한 단위편에 방부재를 골고루 침투시키는 단위편 방부 처리 공정(S4), 방부재가 침투된 단위편을 일정 시간 양생하여 단위편에 방부재를 정착케하는 양생 공정(S5)의 제조 방법으로 전면에 자연스런 나이테 및 옹이(10′)가 형성된 슬랫(10)을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의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생 공정(S5) 다음으로, 스테인을 상기 단위편에 도포·건조하는 피막 형성 공정(S6)이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의 제조 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목재 제재 공정(S2) 다음으로, 적정 위치에 관통된 연결공(11)을 다수개 형성하는 연결공 형성 공정(S2′)이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의 제조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
KR10-2005-0046408A 2005-05-31 2005-05-31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KR100526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408A KR100526292B1 (ko) 2005-05-31 2005-05-31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408A KR100526292B1 (ko) 2005-05-31 2005-05-31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427A KR20050061427A (ko) 2005-06-22
KR100526292B1 true KR100526292B1 (ko) 2005-11-08

Family

ID=3725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408A KR100526292B1 (ko) 2005-05-31 2005-05-31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2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52B1 (ko) * 2010-12-08 2011-06-22 주식회사 나무병원 미래원 수목의 외과수술시 목부의 방부처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119B1 (ko) * 2018-01-26 2018-08-09 김창환 목침목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6099A1 (en) * 1999-10-22 2001-05-02 Nien Made Enterprise Co., Ltd. Wooden blind sla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1159281A (ja) * 1999-12-06 2001-06-12 Okuho Sogo Kogyo Kofun Yugenkoshi 木製シャッタブレ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木製シャッタブレード
KR200279162Y1 (ko) * 2002-03-13 2002-06-22 고윤희 수직 접합 목편 및 이를 이용한 목편 블라인드
KR100369851B1 (ko) * 2000-01-24 2003-01-30 문승규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24083A (ko) * 2002-09-13 2004-03-20 김화순 원목에서 옹이가 포함된 부분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용슬래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래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96099A1 (en) * 1999-10-22 2001-05-02 Nien Made Enterprise Co., Ltd. Wooden blind sla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1159281A (ja) * 1999-12-06 2001-06-12 Okuho Sogo Kogyo Kofun Yugenkoshi 木製シャッタブレ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木製シャッタブレード
KR100369851B1 (ko) * 2000-01-24 2003-01-30 문승규 목재 브라인더편 및 그 제조방법
KR200279162Y1 (ko) * 2002-03-13 2002-06-22 고윤희 수직 접합 목편 및 이를 이용한 목편 블라인드
KR20040024083A (ko) * 2002-09-13 2004-03-20 김화순 원목에서 옹이가 포함된 부분을 이용하여 블라인드용슬래트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슬래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3652B1 (ko) * 2010-12-08 2011-06-22 주식회사 나무병원 미래원 수목의 외과수술시 목부의 방부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1427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lausen Biodeterioration of wood
Hon et al. Color and discoloration
Liese et al. Preservation and drying of bamboo
Williams Water repellents and water-repellent preservatives for wood
Ibach et al. Biological properties of wood
KR100526292B1 (ko) 옹이가 포함된 블라인드용 목재 슬랫과 그 제조 방법
US10695945B2 (en) Methods of treatment of laminated timber
Kirker et al. Above ground deterioration of wood and wood-based materials
EP1123787B1 (de) Verfahren zum Schutz von Holzpaletten gegen Pilzbefall
Ibach Biological properties
Joyce et al. Encyclopedia of furniture making
Cao et al. Preservation of wood and other sustainable biomaterials in China
JPS58163605A (ja) 木材の保存剤
Allen et al. Effectiveness of Thiodan, Sevin, and lindane on insects attacking freshly cut Douglas-fir logs
Munro Beetles injurious to timber
Brischke et al. 4.2 Potential hazards and degrading agents
KR102335785B1 (ko) 천연 재료를 포함하는 목재 보존용 조성물
Arango et al. Biodeterioration of wood
Aranyanak Current Problems in the Conservation of Wood in Thailand
Delgado et al. Xylosandrus compactus (Coleoptera: Curculionidae: Scolytinae), a new pest of Swietenia macrophylla in the Peruvian Amazonia
KR100849013B1 (ko) 자재용 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자재용목재
JPS59115805A (ja) 木材用保護剤
AU2009100541A4 (en) Petriwood
Findlay Preservative methods
Schmidt Wood discolo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