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620B1 - 문서 세단기 - Google Patents

문서 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620B1
KR100369620B1 KR1019990029524A KR19990029524A KR100369620B1 KR 100369620 B1 KR100369620 B1 KR 100369620B1 KR 1019990029524 A KR1019990029524 A KR 1019990029524A KR 19990029524 A KR19990029524 A KR 19990029524A KR 100369620 B1 KR100369620 B1 KR 100369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cument
rotating
cov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9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73536A (ko
Inventor
이훈
Original Assignee
(주)정신오.에이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신오.에이시스템 filed Critical (주)정신오.에이시스템
Priority to KR1019990029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9620B1/ko
Publication of KR19990073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6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in the form of three-dimensional bodies, e.g. cones; capable of assuming three-dimensional form, e.g. by inflation or erection to form a geometric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회전커터가 설치된 회동축으로 소음발생 없이 보다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및 수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사용할 때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며, 내부가 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서를 투입하면 이를 자동적으로 잘게 파쇄하는 세단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부 아랫쪽에 수납된 상태에서 세단부재에 의하여 파쇄된 후 낙하되는 문서조각들이 담겨지는 수거함을 포함하고, 상기 세단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수직플레이트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상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그 회동축의 회전동작에 따라 회전되면서 투입되는 문서를 잘게 세단하는 다수의 회전커터로 이루어지는 문서 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세단부재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의 축과 상기 한쌍의 회동축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의 단부에는 각각 스퍼어기어가 키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 후단의 소정 높이로부터 내측으로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모터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그 모터가이드부의 내측단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원형의 모터안착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 상부의 커버상에는 문서투입구를 덮어주는 안전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체인이 아닌 스퍼어기어에 의하여 제1회동축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되어도 동력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수직플레이트의 뒷부분에 모터가이브부가 형성됨에 따라 구동모터의 장착 및 분리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커버상의 문서투입구의 상부에 안전덮개가 설치됨에 따라 이물질이 세단부재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회전커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내측상부에 해당되는 하우징의 전면에 별도의 내부도어가 설치되고, 그 내부도어의 뒷면에 조작패널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수리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수거함의 상방에 해당되는 격한상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도 수거함내에 채워진 문서조각의 양을 감지할 수 있어 구동모터를 미리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거함을 꺼낸 후 낙하되는 문서조각들을 다시 수거해야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안전덮개를 문서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세단하고자 하는 문서를 옮기는 데 필요한 동선(動線)을 줄일 수 있으며, 단일의 베어링하우징상에 한쌍의 베어링시트가 형성됨에 따라 베어링하우징상의 중심이 항상 일치되어 회동축의 설치위치가 균일해지고, 작동시 부하가 증대되어도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문서 세단기{APPARATUS FOR CUTTING DOCUMENT}
본 발명은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회전커터가 설치된 회동축으로 소음발생 없이 보다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및 수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사용할 때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문서 세단기(細斷機)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세단기는 각종 정보가 기록된 문서를 자동적으로 잘게 절단하는 장치로서 관공서 또는 은행 등과 같이 중요한 정보를 취급하는 기관이나 또는 문서를 다량으로 취급하는 기관에서 주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 문서 세단기의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 문서 세단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문서 세단기(10)는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도어(20)가 설치되고 내부가 빈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30) 상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서(40)를 투입하면 이를 자동적으로 잘게 파쇄하는 세단부재(50)와,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공간의 하부에 수납설치된 상태에서 세단부재(50)에 의하여 파쇄된 후 낙하되는 문서조각들이 담겨지는 수거함(6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문서 세단기(10)에서 상기 세단부재(50)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는 일정폭의마운팅플랜지(51a)가 절곡된 한쌍의 수직플레이트(51)(51')와,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51)(51')의 상단 중앙부위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각 수직플레이트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스페이서(Spacer: 52)와,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51)(51')의 선단 아랫부분에 가로질러 설치되어 각 수직플레이트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봉(53)과, 상기 수직플레이트(51)(51')사이에 해당되는 후방의 공간부에서 그 축(54a)이 일측 수직플레이트(51)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고정설치되는 구동모터(54)와,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51)(51') 사이에 해당되는 앞쪽 공간부의 소정 높이에서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임의 회동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모터(54)의 동력을 전달받아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회동축(55)과, 상기 제1회동축(55)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회동축의 동력을 전달받아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축(56)과, 상기 제1회동축(55)과 제2회동축(56)상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제1회동축 및 제2회동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제1회동축과 제2회동축 사이로 투입되는 문서를 세단하는 다수의 회전커터(57)로 이루어진다.
상기 일측 수직플레이트(51)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동모터(54)의 축(51a)과 동일 수직플레이트(51)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회동축(55)의 단부에는 스프라켓(58)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각 스프라켓(58) 사이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체인(59)이 끼워져 설치된다.
또한, 반대쪽 수직플레이트(51')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제1회동축(55)과 제2회동축(56)의 단부에는 각각 기어(55a)(56a)가 고정설치되어 제1회동축(55)이회동되면, 그 회전력이 서로 맞물려 있는 각 기어(55a)(56a)회전동작에 의하여 전달됨에 따라 제2회동축(56)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회동축(55)과 제2회동축(56)의 각 단부가 끼워지는 각 수직플레이트(51)(51')상의 각 관통공(51b)에는 베어링(51c)을 끼우기 위한 단일의 베어링시트(51d)를 갖는 베어링하우징(51e)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0)의 상부에는 커버(32)가 씌워져 결합되며, 상기 제1회동축(55)과 제2회동축(56)사이의 수직상방에 해당되는 커버(32)의 면상에는 하우징(30)의 내부와 연통되는 문서투입구(34)가 형성되며, 커버(32)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세단부재(5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조작패널(C)이 설치되고, 그 조작패널의 하부바닥에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도시되지 않음)이 고정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수납되는 수거함(60)은 도어(20)를 개방한 상태에서 꺼낼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수거함(60)의 상방에 해당되며 세단부재(50)가 탑재되는 공간과 수거함(60)이 수납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36)상에는 직접 접촉되는 방식에 의하여 수거함(60)에 채워진 문서조각의 양을 감지하는 리밋트스위치(38)가 인쇄회로기판상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문서 세단기(10)에서는 사용자가 전원을 ON시킨 상태에서 작동버튼을 누르면, 컨트롤러의 신호인가에 따라 구동모터(54)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체인(59)에 의하여 연결된 제1회동축(55)이 구동모터(54)와 동일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제1회동축(55)과 기어(55a)(56a)에 의하여 연결된제2회동축(56)이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32)상의 문서투입구(34)를 통하여세단하고자 하는 문서(40)를 투입하면, 문서(40)가 제1회동축(55)과 제2회동축(56) 사이를 통과함과 동시에 각 회동축상에 설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회전커터(57)에 의하여 세단되고, 세단된 문서조각들은 하우징(30)의 하부공간에 놓여진 수거함(60)내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세단된 문서조각들이 수거함(60)에 채워져 일정 높이에 이르게되면, 상기 리밋트스위치(38)가 터치되고, 그에 따른 신호가 컨트롤러에 인가되며, 컨트롤러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구동모터(54)에 전달되어 구동모터가 정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문서 세단기(10)에서는 각 수직플레이트(51)(51') 사이에 설치된 구동모터(54)의 장착 및 분리가 어렵기 때문에 구동모터를 장착하거나 사용도중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기 위한 작업성이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문서 세단기(10)에서는 구동모터(54)와 제1회동축(55) 사이의 동력전달이 체인(57)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중 체인이 늘어지는 경우에 동력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은 물론,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며 일정 시간마다 윤활유를 주입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문서 세단기에서는 제1회동축(55)과 제2회동축(56)이 끼워지는 관통공상에 설치되는 베어링하우징(51e)이 하나 하나 별도로 제작된후 스크루 또는 용접방식에 의하여 수작업으로 장착되기 때문에 각 베어링하우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사용중 지속적인 구동모터(54)의 진동에 의하여 이탈되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문서투입구(34)가 형성된 커버(32)상에 별도의 안전덮개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 부주의에 의하여 이물질이 투입되는 경우 세단부재(50)를 구성하는 회전커터(57)가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으며, 조작패널(C)의 하부바닥에 인쇄회로기판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어 고장시 커버(32)전체를 분리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을 점검 또는 수리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회전커터가 설치된 회동축으로 소음발생 없이 보다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구동모터 및 인쇄회로기판의 장착 및 수리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사용할 때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문서 세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문서 세단기의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문서 세단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도어 30 : 하우징
50 : 세단부재 51,51' : 수직플레이트
54 : 구동모터 55 : 제1회동축
56 : 제2회동축 57 : 회전커터
60 : 수거함 110 : 스퍼어기어
120 : 모터가이드부 130 : 모터안착부
140 : 안전덮개 160 : 내부도어
170 : 높이감지센서 180 : 전원 ON/OFF 스위치
190 : 베어링하우징.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에 도어가 설치되며, 내부가 빈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상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서를 투입하면 이를 자동적으로 잘게 파쇄하는 세단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부 아랫쪽에 수납된 상태에서 세단부재에 의하여 파쇄된 후 낙하되는 문서조각들이 담겨지는 수거함을 포함하고, 상기 세단부재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수직플레이트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상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그 회동축의 회전동작에 따라 회전되면서 투입되는 문서를 잘게 세단하는 다수의 회전커터로 이루어지는 문서 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세단부재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의 축과 상기 한쌍의 회동축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의 단부에는 각각 스퍼어기어가 키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 후단의 소정 높이로부터 내측으로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모터가이드부가 형성되며, 그 모터가이드부의 내측단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원형의 모터안착부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 상부의 커버상에는 문서투입구를 덮어주는 안전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안전덮개의 전단 양쪽으로는 힌지축이 돌출되고, 상기 커버의 전면 중앙부에는 문서투입구의 좌우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절개홈이 형성되며, 그 절개홈의 앞쪽 양측면 소정 위치에는 축받이홈이 형성되고, 그 축받이홈에 안전덮개의 전단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축이 끼워져 결합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세단부재가 설치된 공간의 앞부분에 해당되며 도어의 내측에 해당되는 하우징의 전면상부에는 수평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접혀지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별도의 내부도어가 설치되고, 내부도어의 뒷면에는 조작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의 수거함 상방에 해당되는 격판의 소정 위치에는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수거함에 채워진 문서조각의 높이를 감지하는높이감지센서가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각 회동축의 끼움위치에 해당되는 각 수직플레이트상에는 미리 설계된 수치에 따라 형성된 한쌍의 베어링시트를 갖는 단일의 베어링하우징이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내부를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100)는 전면에 좌우방향으로 개폐되도록 도어(20)가 설치되고 내부가 빈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 상(30)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서(40)를 투입하면 이를 자동적으로 잘게 파쇄하는 세단부재(50)와,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공간부에 수납설치된 상태에서 세단부재(50)에 의하여 세단된 후 낙하되는 문서조각들이 담겨지는 수거함(6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세단부재(5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한쌍의 수직플레이트(51)(51') 사이의 뒷부분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4)와, 상기 수직플레이트(51)(51')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구동모터(54)로부터 인가되는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제1회동축(55) 및 제2회동축(56)과, 상기 각 회동축상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각 회동축의 회전동작에 따라 회전되면서 투입되는 문서(40)를 잘게 세단하는 다수의 회전커터(57)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51)(51')의 상단과 하단으로부터 바깥쪽으로는 일정폭의 마운팅플랜지(51a)가 절곡되고,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의 후단 상방에는 각 수직플레이트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손잡이기능을 겸하는 스페이서(52)가 가로질러 설치되며,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51)(51')의 선단 아랫부분에는 각 수직플레이트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봉(53)이 가로질러 설치된다.
상기 세단부재(5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54)의 축(54a)과 상기 제1회동축(55)의 동일 방향 단부에는 각각 스퍼어기어(110)가 키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고, 제1회동축(55)과 제2회동축(56)의 반대쪽 단부에는 각각 기어(55a)(56a)가 설치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51)(51') 후단의 소정 높이로부터 내측으로는 구동모터(54)를 뒤쪽으로부터 앞쪽으로 쉽게 장착하고 분리하기 위하여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모터가이드부(120)가 형성되며, 그 모터가이드부(120)의 내측단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원형의 모터안착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30) 상부의 커버(32)상에는 문서투입구(34)를 덮어줌과 동시에 개방시에는 세단하고자 하는 문서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하는 안전덮개(14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안전덮개(140)가 개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안전덮개(140)의 전단 양쪽으로는 힌지축(141)이 돌출되고, 상기 커버(32)의 전면 중앙부에는 문서투입구(34)의 좌우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절개홈(142)이 형성되며, 그 절개홈(142)의 앞쪽 양측면 소정 위치에는 축받이홈(143)이 형성되고, 그축받이홈(143)에 안전덮개(140)의 전단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축(141)이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절개홈(142)의 내측 소정 위치에는 안전덮개(140)의 개폐동작에 따라 연동되며, 인쇄회로기판상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원 ON/OFF스위치(180)가 설치되는 데, 상기 안전덮개(14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접촉상태가 해제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고, 안전덮개(140)가 열리면 그 안전덮개의 후단과 접촉되면서 전원이 인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세단부재(50)가 설치된 공간의 앞부분에 해당되며 도어(20)의 내측에 해당되는 하우징(30)의 전면에는 수평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접혀지는 별도의 내부도어(160)가 설치되고, 그 내부도어(160)의 뒷면에는 조작패널(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60a)이 설치된다.
상기 조작패널(C)에는 인쇄회로기판(16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CD패널과 다수의 기능조작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LCD패널에는 기능조작버튼의 누름조작에 따라 입력되는 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 내부의 수거함(60) 상방에 해당되는 격판(36)의 소정 위치에는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수거함(60)에 채워진 문서조각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170)가 인쇄회로기판상의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 각 회동축(55)(56)이 끼워지는 각 수직플레이트상의 관통공에는 미리 설계된 수치에 의하여 형성된 한쌍의 베어링시트를 갖는 단일의 베어링하우징(19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세단기(100)에서는 사용자가 안전덮개(140)을 개방시키면, 전원 ON/OFF스위치(180)의 스위칭작용에 따른 컨트롤러의 신호인가에 따라 구동모터(54)가 구동되고, 그에 따라 구동모터(54)의 축(54a)과 스퍼어기어(110)에 의하여 연결된 제1회동축(55)이 구동모터(54)와 동일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기어(55a)(56a)에 의하여 제1회동축(55)과 연결된 제2회동축(56)이 반대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커버(32)상의 문서투입구(34)를 통하여 문서(40)를 투입하면, 문서(40)가 제1회동축(55)과 제2회동축(56)사이를 통과함과 동시에 각 회동축상에 설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회전커터(57)에 의하여 세단되고, 세단된 문서조각들은 하우징(30)의 하부공간에 놓여진 수거함(60)내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세단된 문서조각들이 수거함(60)에 채워지게 되면, 상기 높이감지센서(170)에 의하여 그 채워지는 높이가 계속 감지되면서 컨트롤러에서 미리 설정된 높이값과 비교되고, 그 높이가 설정된 높이에 도달되면 컨트롤러로부터 정지신호가 발생되어 구동모터(54)가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용도중에 구동모터(54)가 손상되어 수리 또는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구동모터를 뒤쪽으로 잡아당기면, 모터안착부(130)로부터 모터가이드부(120)를 통하여 구동모터(54)가 쉽게 분리된다.
또한, 조작패널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을 수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도어(20)를 열고 다시 내부도어(160)를 수평상태로 젖혀 개방시킨 상태에서 그 내부도어(160)의 뒷면에 설치된 인쇄회로기판(160a)을 수리하면 된다.
세단하고자 하는 문서가 많을 경우에는 열려진 상태의 안전덮개(140)상에 문서를 올려 놓으면 되기 때문에 문서를 옮겨오는 데 필요한 동선을 줄일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구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체인이 아닌 스퍼어기어에 의하여 제1회동축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되어도 동력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작동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수직플레이트의 뒷부분에 모터가이브부가 형성됨에 따라 구동모터의 장착 및 분리작업이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커버상의 문서투입구의 상부에 안전덮개가 설치됨에 따라 이물질이 세단부재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어 회전커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패널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인쇄회로기판이 내부도어의 뒷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수리작업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수거함의 상방에 해당되는 격판상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도 수거함내에 채워진 문서조각의 양을 감지할 수 있어 구동모터를 미리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거함을 꺼낸 후 낙하되는 문서조각들을 다시 수거해야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안전덮개를 문서받침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세단하고자 하는 문서를 옮기는 데 필요한 동선(動線)을 줄일 수 있으며, 단일의 베어링하우징상에 한쌍의 베어링시트가 형성됨에 따라 베어링하우징상의 중심이 항상 일치되어 회동축의 설치위치가 균일해지고, 작동시 부하가 증대되어도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안전덮개의 개방동작에 따라 전원이 자동적으로 인가되고, 닫힘동작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증가된다.

Claims (6)

  1. 전면에 도어(20)가 설치되며, 내부가 빈 하우징(30)과, 상기 하우징 상(30)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서(40)를 투입하면 이를 자동적으로 잘게 세단하는 세단부재(50)와, 상기 하우징(30)의 내측 공간부 아랫쪽에 수납된 상태에서 세단부재(50)에 의하여 파쇄된 후 낙하되는 문서조각들이 담겨지는 수거함(60)을 포함하고, 상기 세단부재(50)는 일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된 한쌍의 수직플레이트(51)(51') 사이의 소정 위치에서 구동모터(5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회동축(55)(56)과, 상기 회동축상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그 회동축의 회전동작에 따라 회전되면서 투입되는 문서를 잘게 세단하는 다수의 회전커터(57)로 이루어지는 문서 세단기에 있어서,
    상기 세단부재(50)를 구성하는 구동모터(54)의 축(54a)과 상기 한쌍의 회동축(55)(56)중 어느 하나의 회동축의 단부에는 각각 스퍼어기어(110)가 키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게 설치되고, 상기 각 회동축(55)(56)의 끼움위치에 해당되는 각 수직플레이트(51)(51')상에는 미리 설계된 수치에 따라 형성된 한쌍의 베어링시트를 갖는 단일의 베어링하우징(190)이 설치되며, 상기 각 수직플레이트(51)(51') 후단의 소정 높이로부터 내측으로는 일정한 폭과 길이를 갖는 모터가이드부(120)가 형성되고, 그 모터가이드부(120)의 내측단에는 확장된 직경을 갖는 원형의 모터안착부(13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30) 상부의 커버(32) 전면 중앙부에는 문서투입구(34)의 좌우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절개홈(143)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홈(143)에는 상기 문서투입구(34)를 덮어주는 안전덮개(140)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세단부재(50)가 설치된 공간의 앞부분에 해당되며 도어(20)의 내측에 해당되는 하우징(30)의 전면상부에는 수평위치에서 상방향으로 접혀지는 방식으로 개폐되는 별도의 내부도어(160)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도어(160)의 뒷면에는 조작패널(C)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회로기판(160a)이 설치되며, 상기 하우징(30) 내부의 수거함(60) 상방에 해당되는 격판(36)의 소정 위치에는 직접 터치하지 않고도 수거함(60)에 채워진 문서조각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170)가 컨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덮개(140)의 전단 양쪽으로는 힌지축(141)이 돌출되고, 상기 절개홈(142)의 앞쪽 양측면 소정 위치에는 축받이홈(143)이 형성되고, 그 축받이홈(143)에 안전덮개(140)의 전단 양측으로 돌출된 힌지축(141)이 끼워져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덮개(140)의 설치위치에 해당되는 커버(30)의 전면 내측에는 전원ON/OFF스위치(180)가 설치되어 안전덮개(140)의 개방동작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고, 닫힘동작에 따라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세단기.
KR1019990029524A 1999-07-21 1999-07-21 문서 세단기 KR100369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24A KR100369620B1 (ko) 1999-07-21 1999-07-21 문서 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9524A KR100369620B1 (ko) 1999-07-21 1999-07-21 문서 세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536A KR19990073536A (ko) 1999-10-05
KR100369620B1 true KR100369620B1 (ko) 2003-01-29

Family

ID=37416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9524A KR100369620B1 (ko) 1999-07-21 1999-07-21 문서 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96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841B1 (ko) 2007-09-10 2009-05-27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문서세단기의 자동급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696B1 (ko) * 1999-11-25 2002-06-20 이상용 폐기문서 세단기의 이중투입구장치
KR100555333B1 (ko) * 2003-08-07 2006-02-24 (주)두합 차량용 브레이크의 캘리퍼 피스톤 전자동 전용 가공기
KR100705466B1 (ko) * 2006-08-23 2007-04-13 주식회사 이륜 모듈화된 문서 세단기
KR200446366Y1 (ko) * 2007-10-23 2009-10-22 (주)대진코스탈 대형문서세단기용 폐문서칩배출장치
KR100960678B1 (ko) * 2008-06-09 2010-05-31 주식회사 이륜 세단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841B1 (ko) 2007-09-10 2009-05-27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문서세단기의 자동급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536A (ko)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645A (en) Desktop shredders
US7337999B2 (en) Document shredder with a continuously wound vinyl bag
US8074912B2 (en) Auto-feed built-in a paper shredder
GB2437594A (en) Shredding machine with actuating element
KR100369620B1 (ko) 문서 세단기
US20070034723A1 (en) Waste collection apparatus
GB2461374A (en) Shredder
US20040129810A1 (en) Trash compactor with shredder
US20020100827A1 (en) Paper shredder
US20040188553A1 (en) Disc shredder
JP2001239496A (ja) 書類裁断処理機用上部カバー
KR100549019B1 (ko)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US20040140382A1 (en) Paper shredder
KR100340696B1 (ko) 폐기문서 세단기의 이중투입구장치
CN210357412U (zh) 一种自动碎纸机
US4432278A (en) Can crushing apparatus
KR200167766Y1 (ko) 문서세단기의문서받침대장착구조
US8789783B2 (en) Shredder with shock absorbing element
CN215655568U (zh) 销毁机
KR102498750B1 (ko) 자동 문서 세단기
JPH02194851A (ja) 用紙破断装置
CN220697000U (zh) 自动碎纸机
JP3303448B2 (ja) シュレッダ
JPH0824853B2 (ja) 文書細断機
CN211678086U (zh) 一种具有防误触功能的粉碎刀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