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9019B1 -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 Google Patents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9019B1
KR100549019B1 KR1020040107856A KR20040107856A KR100549019B1 KR 100549019 B1 KR100549019 B1 KR 100549019B1 KR 1020040107856 A KR1020040107856 A KR 1020040107856A KR 20040107856 A KR20040107856 A KR 20040107856A KR 100549019 B1 KR100549019 B1 KR 100549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ion
pair
document
moto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위로
김민호
이동규
안병만
이광호
오만일
박성유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04010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with two or more inter-engaging rotatable cutter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38M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02C2018/0061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with compacting devices for the disintegrated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면으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상부로 문서 투입구가 형성된 커버가 설치되며, 세단된 문서가 낙하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격판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분되는 하우징 본체; 상하단으로 일정폭의 마운팅 플랜지가 절곡된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 중앙부위와 선단 아래부위에 스페이서와 지지봉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후방 공간부에서 일측 수직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모터축이 돌출되게 제 1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전방 공간부에 다수의 회전날이 형성된 제 1 회동축이 설치되며, 그 제 1 회동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다수의 회전날이 형성된 제 2 회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일측의 수직 플레이트에서 상기 모터축과 제 1 회동축이 각 스프라켓에 체결된 상태로 체인과 연결되며, 타측의 수직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1 회동축과 제 2 회동축이 기어를 통해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제 1, 2 회동축의 이격 방지를 위한 이격방지부재가 상기 제 1, 2 회동축 양측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탑재되는 세단부재;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로 양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된 압축 수납부가 설치되고, 그 압축 수납부의 양측면으로 한 쌍의 스크류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 수납부의 후방으로 제 2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일측에 형성된 기어와 상기 제 2 모터의 축에 설치된 기어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며, 상기 격판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 형상의 안내부를 통해 상기 압축 수납부로 안내되어 낙하된 문서 조각을 압축하기 위한 압착판이 부착된 이동부재가 상기 한 쌍의 스크류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압축 배출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한 번에 비워야 하는 세단된 문서 조각의 배출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단기의 사용시 수거함을 자주 비워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세단부재, 회동축, 회전날, 체인, 이격방지부재, 압축 배출부재, 압축 수납부, 롤링텐션부재

Description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A PAPER CUTTER CAPABLE OF COMPR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중 세단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중 압축 배출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본체 101 : 도어
102 : 문서 투입구 103 : 커버
104 : 구멍 105 : 격판
106 : 외부 투명창 200 : 세단부재
201 : 마운팅 플랜지 202 : 수직 플레이트
203 : 스페이서 204 : 지지봉
205 : 모터축 206 : 제 1 모터
207 : 회전날 208 : 제 1 회동축
209 : 제 2 회동축 210 : 스프라켓
211 : 체인 212 : 기어
213 : 이격방지부재 300 : 압축 배출부재
301 : 가이드 302 : 압축 수납부
303 : 스크류 304 : 제 2 모터
305, 306 : 기어 307 : 안내부
308 : 압착판 309 : 이동부재
310 : 잠금장치 311 : 내부도어
312 : 띠부재 313 : 텐션부
314 : 롤링텐션부재
본 발명은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단부재를 통해 파쇄가 이루어진 문서 조각을 수납하고, 그 수납된 문서 조각을 압착판을 이용하여 압축한 후 부피를 줄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보안 및 개인정보의 유출 방지를 위해 서류나 영수증 등의 내용을 알아볼 수 없도록 잘게 부수는 사무기기로서 문서 세단기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서 세단기는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작동하며 길게 일자로 세단하는 것과, 눈꽃 모양으로 잘게 부수는 것 등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으며, 특히, 관공서 또는 은행 등과 같이 중요한 정보를 취급하는 기관이나 문서를 다량으로 취급하는 기관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문서 세단기는, 전면에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내부공간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문서를 투입하면 이를 잘게 파쇄하는 세단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의 하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세단부재에 의해 파쇄된 후 낙하되는 문서 조각들이 담겨지는 수거함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서 세단기의 경우, 박스형의 수거함이 하우징의 내측 공간의 하부에 단순히 탑재되어 설치됨에 따라 세단부재를 통해 파쇄가 이루어진 문서 조각들이 압축되지 않은 상태로 단순히 쌓이게 되고, 그로인해 수거함을 자주 비워야 하는 등 사용상의 불편이 초래될 뿐만 아니라, 한 번에 배출되는 문서 조각들의 양에 있어서도 부피만 클뿐 파쇄가 이루어진 문서 조각의 배출량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 세단기를 사용함에 있어 잦은 배출이 요구되는 번거러움을 줄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압축을 통하여 한 번에 배출되는 문서 조각의 배출량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는, 전면으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상부로 문서 투입구가 형성된 커버가 설치되며, 세단된 문서가 낙하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격판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분되고, 압축된 문서 조각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외부 투명창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하단으로 일정폭의 마운팅 플랜지가 절곡된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 중앙부위와 선단 아래부위에 스페이서와 지지봉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후방 공간부에서 일측 수직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모터축이 돌출되게 제 1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전방 공간부에 다수의 회전날이 형성된 제 1 회동축이 설치되며, 그 제 1 회동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다수의 회전날이 형성된 제 2 회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일측의 수직 플레이트에서 상기 모터축과 제 1 회동축이 각 스프라켓에 체결된 상태로 체인과 연결되며, 타측의 수직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1 회동축과 제 2 회동축이 기어를 통해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제 1, 2 회동축의 이격 방지를 위한 이격방지부재가 상기 제 1, 2 회동축 양측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탑재되는 세단부재;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 탑재되는 것으로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잠금장치가 형성된 내부도어가 설치되고 호퍼 형상의 안내부로부터 안내되는 문서 조각이 낙하될 수 있도록 상부면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로 양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된 압축 수납부가 설치되고, 그 압축 수납부의 양측면으로 한 쌍의 스크류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 수납부의 후방으로 제 2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일측에 형성된 기어와 상기 제 2 모터의 축에 설치된 기어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며, 상기 격판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 형상의 안내부를 통해 상기 압축 수납부로 안내되어 낙하된 문서 조각을 압축하기 위한 압착판이 부착된 이동부재가 상기 한 쌍의 스크류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 수납부의 양측면과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사이에는 낙하된 문서 조각이 상기 스크류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플렉시블한 띠부재와 텐션부의 연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롤링텐션부재를 구비한 압축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른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사시도 및 평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는 하우징 본체(100)와, 세단부재(200), 및 압축 배출부재(3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본체(100)는 전면으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101)가 설치되고, 상부로 문서 투입구(102)가 형성된 커버(103)가 설치되며, 세단된 문서가 낙하될 수 있는 구멍(104)이 형성된 격판(105)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분되는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부 양측면중 일측면에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압축된 문서 조각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외부 투명창(106)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세단부재(200)와 압축 배출부재(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상의 조작패널부(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세단부재(2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상부에 탑재되어 상기 문서 투입구(102)를 통해 투입되는 문서를 잘게 파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세단부재(200)는 상하단으로 일정폭의 마운팅 플랜지(201)가 절곡된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02)가 일정한 간격으로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02)의 상단 중앙부위와 선단 아래부위에 스페이서(203)와 지지봉(204)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203)는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02) 사이가 항상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지봉(204)은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02)가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02)의 후방 공간부에서 일측 수직 플레이트(202)의 외측으로 모터축(205)이 돌출되게 제 1 모터(206)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02)의 전방 공간부에 다수의 회전날(207)이 형성된 제 1 회동축(208)이 설치되며, 그 제 1 회동축(208)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다수의 회전날(207)이 형성된 제 2 회동축(209)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202)의 일측에서 상기 모터축(205)과 제 1 회동축(208)이 각 스프라켓(210)에 체결된 상태로 체인(211)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모터(206)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상기 체인(211)을 통해 상기 제 1 회동축(208)으로 전달된다.
한편, 타측의 수직 플레이트(202)에서는 상기 제 1 회동축(208)과 제 2 회동축(209)이 기어(212)를 통해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 1, 2 회동축(208, 209)의 이격 방지를 위한 이격방지부재(213)가 상기 제 1, 2 회동축(208, 209) 양측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202)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 2 회동축(209)은 상기 제 1 회동축(208)이 회동하는 경우 서로 맞물려 있는 각 기어(212)의 회전동작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회동축(208)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이격방지부재(203)는 문서의 파쇄중 이물질에 의해 부하가 증대되어 상기 제 1, 2 회동축(208, 209)의 간격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 배출부재(300)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부에 탑재되어 상기 세단부재(200)를 통해 잘게 파쇄되어 공급되는 문서 조각들을 수납하고, 그 수납된 문서 조각들을 압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압축 배출부재(300)의 구성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부로 양측면에 가이드(301)가 형성된 압축 수납부(30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압축 수납부(302)의 양측면으로 한 쌍의 스크류(3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수납부(302)의 후방으로 제 2 모터(304)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류(303) 일측에 형성된 기어(305)와 상기 제 2 모터(304)의 축에 설치된 기어(306)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며, 상기 격판(105)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 형상의 안내부(307)를 통해 상기 압축 수납부(302)로 안내되어 낙하된 문서 조각을 압축하기 위한 압착판(308)이 부착된 이동부재(309)가 상기 한 쌍의 스크류(303)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압축 수납부(302)는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하부에 탑재되는 것으로서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전체적인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잠금장치(310)가 형성된 내부도어(311)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호퍼 형상의 안내부(307)로부터 안내되는 문서 조각이 낙하될 수 있도록 상부면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압축 수납부(302)의 양측면과 상기 한 쌍의 스크류(303) 사이에는 낙하된 문서 조각이 상기 스크류(303)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렉시블한 띠부재(312)와 텐션부(313)의 연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롤링텐션부재(314)가 추가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롤링텐션부재(314)는 상기 띠부재(312)의 일측이 상기 이동부재(309)의 일측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텐션부(313)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309)의 전/후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감기거나 풀리도록 동작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의 동작 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조작 패널부의 전원을 온(on)시킨 상태에서 작동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제 1 모터(206)가 구동되고, 그 제 1 모터(206)와 체인(211)을 통해 연결된 제 1 회동축(208)이 상기 제 1 모터(206)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 1 회동축(208)과 기어(212)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 2 회동축(209)이 상기 기어(212)를 통해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회동축(208)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커버(103)상의 문서투입구(102)를 통하여 파쇄하고자 하는 문서를 투입하면 문서가 상기 제 1 회동축(208)과 제 2 회동축(209) 사이를 통과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회동축(208, 209)상에 설치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다수의 회전날(207)에 의하여 파쇄되고, 파쇄된 문서 조각들은 상기 호퍼 형상의 안내부(307)를 통해 상기 압축 배출부재(300)내 압축 수납부(302)로 쌓이게 된다.
상기 압축 배출부재(300)는 상기 세단부재(200)가 기설정된 일정한 시간동안 미사용되거나, 혹은 사용자에 의해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구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압축 배출부재(300)의 구동은 상기 압축 수납부(302)에 문서 조각들이 일정량 쌓여 압축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 2 모터(304)가 구동되고, 그 제 2 모터(304)의 기어(306)를 중심으로 양쪽에서 연결된 한 쌍의 기어(305)가 맞 물려 회전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기어(305, 306)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스크류(303)가 연동하여 회동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류(303)에 설치된 이동부재(309)가 스크류(303)를 타고 전진하게 되며, 상기 이동부재(309)에 설치된 압착판(308)에 의해 상기 압축 수납부(302)에 쌓인 문서 조각들의 압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 2 모터(304)가 구동하는 중에 일정량 이상의 부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제 2 모터(304)는 회전방향을 역방향으로 변환하여 상기 압착판(308)이 형성된 이동부재(309)를 초기의 원상태의 위치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많은 량의 문서 조각들의 압축이 가능하게 되고,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측면에 형성된 외부 투명창(106)을 통해 압축된 문서 조각의 량이 측정되며, 사용자의 배출시기의 선택에 따라 상기 압축 수납부(302)에 압축된 문서 조각들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 수납부(302)에 압축되어 수납된 문서 조각들은 상기 하우징 본체(100)의 도어(101)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압축 수납부(302)의 전면에 설치된 잠금장치(310)가 해제되고, 이어서 내부도어(311)가 오픈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손쉬운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에 의하면, 세단부재를 통해 파쇄가 이루어진 문서 조각을 수납하고, 그 수납된 문서 조각을 압 착판을 이용하여 압축한 후 부피를 줄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한 번에 비워야 하는 세단된 문서 조각의 배출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단기의 사용시 수거함을 자주 비워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해소되어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외부 투명창을 통해 압축된 문서의 양을 직접 확인하고 배출시기를 결정하여 배출시킴에 따라 센서 등의 부가적인 장치의 구성이 불필요한 사용상의 편리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전면으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설치되고, 상부로 문서 투입구가 형성된 커버가 설치되며, 세단된 문서가 낙하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격판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하로 구분되고, 압축된 문서 조각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외부 투명창이 형성된 하우징 본체;
    상하단으로 일정폭의 마운팅 플랜지가 절곡된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상단 중앙부위와 선단 아래부위에 스페이서와 지지봉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후방 공간부에서 일측 수직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모터축이 돌출되게 제 1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직 플레이트의 전방 공간부에 다수의 회전날이 형성된 제 1 회동축이 설치되며, 그 제 1 회동축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다수의 회전날이 형성된 제 2 회동축이 설치되고, 상기 일측의 수직 플레이트에서 상기 모터축과 제 1 회동축이 각 스프라켓에 체결된 상태로 체인과 연결되며, 타측의 수직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 1 회동축과 제 2 회동축이 기어를 통해 맞물려 연결되고, 상기 제 1, 2 회동축의 이격 방지를 위한 이격방지부재가 상기 제 1, 2 회동축 양측에서 상기 수직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탑재되는 세단부재;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 탑재되는 것으로 후면이 개방되고 전면에 잠금장치가 형성된 내부도어가 설치되고 호퍼 형상의 안내부로부터 안내되는 문서 조각이 낙하될 수 있도록 상부면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로 양측면에 가이드가 형성된 압축 수납부가 설치되고, 그 압축 수납부의 양측면으로 한 쌍의 스크류가 설치되며, 상기 압축 수납부의 후방으로 제 2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일측에 형성된 기어와 상기 제 2 모터의 축에 설치된 기어가 서로 맞물려 연결되며, 상기 격판의 하부에 설치된 호퍼 형상의 안내부를 통해 상기 압축 수납부로 안내되어 낙하된 문서 조각을 압축하기 위한 압착판이 부착된 이동부재가 상기 한 쌍의 스크류에 설치되고, 상기 압축 수납부의 양측면과 상기 한 쌍의 스크류 사이에는 낙하된 문서 조각이 상기 스크류에 끼이는 것을 방지하는 플렉시블한 띠부재와 텐션부의 연결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롤링텐션부재를 구비한 압축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40107856A 2004-12-17 2004-12-17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KR100549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856A KR100549019B1 (ko) 2004-12-17 2004-12-17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7856A KR100549019B1 (ko) 2004-12-17 2004-12-17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019B1 true KR100549019B1 (ko) 2006-02-08

Family

ID=37178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7856A KR100549019B1 (ko) 2004-12-17 2004-12-17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01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481B1 (ko) * 2008-05-31 2010-02-12 (주)대진코스탈 폐문서칩 압축장치가 형성된 문서세단기
KR100960678B1 (ko) * 2008-06-09 2010-05-31 주식회사 이륜 세단기
WO2011134298A1 (zh) * 2010-04-29 2011-11-03 Xu Ning 碎纸机的排纸集纸方法和带排纸集纸功能的碎纸机
KR20160076185A (ko) 2014-12-22 2016-06-30 최하람 자동 급지 및 압축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CN108729277A (zh) * 2018-05-29 2018-11-02 谢响玲 一种废纸回收利用制浆系统
CN108745519A (zh) * 2018-04-20 2018-11-06 济南比罗茨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废纸回收装置
CN115007607A (zh) * 2022-05-18 2022-09-06 李远真 一种财务金融会计用账单粉碎装置及粉碎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647A (ja) * 1989-10-02 1991-05-21 Shikoku Nippon Denki Software Kk データ処理装置の主記憶装置内データ転送方式
JPH04326950A (ja) * 1991-04-25 1992-11-16 Ishizawa Seisakusho:Kk 細断屑拡散、圧縮装置付き文書細断機、およびその拡散圧縮装置
JPH11216382A (ja) * 1998-01-30 1999-08-10 Tamura Electric Works Ltd 紙片細断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細断屑圧縮ユニット
KR200292858Y1 (ko) * 2002-06-27 2002-10-25 강태욱 문서 세단기
KR20030061696A (ko) * 2002-01-15 2003-07-22 나가바야시 가부시키가이샤 서류세단압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8647A (ja) * 1989-10-02 1991-05-21 Shikoku Nippon Denki Software Kk データ処理装置の主記憶装置内データ転送方式
JPH04326950A (ja) * 1991-04-25 1992-11-16 Ishizawa Seisakusho:Kk 細断屑拡散、圧縮装置付き文書細断機、およびその拡散圧縮装置
JPH11216382A (ja) * 1998-01-30 1999-08-10 Tamura Electric Works Ltd 紙片細断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細断屑圧縮ユニット
KR20030061696A (ko) * 2002-01-15 2003-07-22 나가바야시 가부시키가이샤 서류세단압축기
KR200292858Y1 (ko) * 2002-06-27 2002-10-25 강태욱 문서 세단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481B1 (ko) * 2008-05-31 2010-02-12 (주)대진코스탈 폐문서칩 압축장치가 형성된 문서세단기
KR100960678B1 (ko) * 2008-06-09 2010-05-31 주식회사 이륜 세단기
WO2011134298A1 (zh) * 2010-04-29 2011-11-03 Xu Ning 碎纸机的排纸集纸方法和带排纸集纸功能的碎纸机
KR20160076185A (ko) 2014-12-22 2016-06-30 최하람 자동 급지 및 압축 기능을 갖는 문서 세단기
CN108745519A (zh) * 2018-04-20 2018-11-06 济南比罗茨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环保用废纸回收装置
CN108745519B (zh) * 2018-04-20 2019-04-26 新昌县正红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环保用废纸回收装置
CN108729277A (zh) * 2018-05-29 2018-11-02 谢响玲 一种废纸回收利用制浆系统
CN115007607A (zh) * 2022-05-18 2022-09-06 李远真 一种财务金融会计用账单粉碎装置及粉碎方法
CN115007607B (zh) * 2022-05-18 2024-04-12 李远真 一种财务金融会计用账单粉碎装置及粉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4270A (en) Shredder and compactor with protective guard
KR100549019B1 (ko) 압축이 가능한 문서 세단기
US20060157600A1 (en) Paper shredder having a manual paper pressing device
CN216172724U (zh) 一种具有筛分功能的粉碎机
US5221052A (en) Household separating compactor
KR101961357B1 (ko) 파쇄물 자동 누름 장치를 포함하는 파쇄기
CN111346715A (zh) 一种用于粉碎废弃纸箱的加工设备
KR100369620B1 (ko) 문서 세단기
JP2001300339A (ja) シュレッダー付ごみ圧縮装置
US4768432A (en) Office paper shredder and compactor
US20110139914A1 (en) Shredder
CN213966850U (zh) 一种固体废弃物处理用粉碎设备
KR101438055B1 (ko) 비닐봉투 파쇄장치가 구비된 음식물쓰레기 수거함
JP2000093830A (ja) 廃棄物破砕装置
JP2004275944A (ja) ごみ圧縮破砕機
CN215655568U (zh) 销毁机
CN220780666U (zh) 一种碎纸机
CN219482910U (zh) 一种碎纸机
CN113858489A (zh) 一种废旧橡胶轮胎的处理装置
CN211988845U (zh) 一种用于萤石开采的筛选装置
CN216573432U (zh) 一种研发项目管理用信息快速清除装置
CN213460840U (zh) 一种配电箱加工用废料回收装置
CN216728770U (zh) 一种财务用账单安全粉碎装置
CN213791856U (zh) 一种新型碎纸压缩机
CN213825206U (zh) 一种可回收碎屑的财务凭证粉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