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9405B1 - 디스크로딩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9405B1
KR100369405B1 KR1019950003581A KR19950003581A KR100369405B1 KR 100369405 B1 KR100369405 B1 KR 100369405B1 KR 1019950003581 A KR1019950003581 A KR 1019950003581A KR 19950003581 A KR19950003581 A KR 19950003581A KR 100369405 B1 KR100369405 B1 KR 100369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main chassis
cam
tray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170A (ko
Inventor
다나카아키라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34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9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9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4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 G11B25/043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flat record carriers, e.g. disc, card using rotating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85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into, or out of, its operative position or across tracks, otherwise than during the transducing operation, e.g. for adjustment or preliminary positioning or track change or selection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주샤시에 즉시 설치될 수 있는 부샤시를 가지는 값싼 디스크 로딩장치는 부샤시가 주샤시(1)로부터 붙었다가 떨어졌다 하기위하여 피보트(3a)의 축으로 부샤시(3)를 이동시키는 부샤시(3)의 피보트(3a)를 가진다. 캠부재(2)는 부샤시(3)의 수직이동하는 캠홈(2b)에 제공된다. 부샤시(3)는 캠홈(2b)과 연결된 체결부(3b)를 가진다. 캠부재(2)는 부샤시(3)의 체결부(3b)가 외부에서 도입되는 절결부(2c)에 제공된다. 게다가, 제한수단(1f)은 부샤시(3)의 피보트(3a)를 부샤시(3)가 움직이는 범위내에서 주샤시(1)로부터 분리하지 못하도록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크 로딩장치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와 같은 광학재생수단등이 트레이 위에 놓여진 디스크를 이동시키고 그리고 제거시키는 디스크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별히 본 발명에서는 조립을 용이하게하도록 주샤시의 확장부에서 피봇-수신개구부와 동일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피봇 주위를 회전하는 주샤시와 부샤시를 가지는 디스크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CD플레이어는 광픽업장치 또는 턴테이블이 인접한 위치나 플레이위치에서 트레이위에 놓여진 디스크를 이동시키고 그리고 제거시키는 디스크 로딩장치에 설치된다. 예를들면, 이 디스크 로딩장치는 부샤시와 캠부재를 구성한다. 부샤시의 한끝은 플레이어의 몸체인 주샤시에 회전하게끔 설치되고, 부샤시의 다른 끝은 상하로 움직인다. 캠부재는 부샤시의 다른 끝을 상하로 움직인다.
제 1도는 CD플레이어의 주샤시에 종래의 디스크 로딩장치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부샤시(100)는 피봇(100a)주위에서 부샤시가 회전하는 축의 반대방향인 한쌍의 피봇(100a)를 포함한다. 피봇(100a)는 부샤시(100)의 우상부 상하끝에 위치한다. 주샤시(101)는 부샤시(100)의 피봇(100a)를 회전하며 지지하는 한쌍의 축지지부(101a)를 포함한다. 주샤시(101)의 축지지부(101a)는 부샤시(100)의 우상부에 피봇(100a)와 짝으로 형성한다. 축지지부(101a)는 상호반대내면에 그리고 부샤시(100)의 축의 반대방향인 피봇(100a)를 받는 각 상면에 열린다. 또한 주샤시(101)는 주축으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을때 부샤시(100)를 받는 개구부(101b)로 정의된다. 부샤시(100)는 제 1도에 나타냈듯이 부샤시(100)의 앞쪽좌부에 형성된 앞확장돌출부(100b)를 포함한다.
캠부재(102)는 제 1도에 나타났듯이 주샤시(101)의 좌면에 설치된다. 캠부재(102)는 부샤시의 좌끝에 위치한 돌출부(100b)와 맞물린 캠홈(102a)을 포함한다. 광픽업(106)과 턴테이블(107)은 부샤시(100)로 지탱하고 그리고 광픽업(106)으로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감지하는 턴테이블(107)위에 놓여진 디스크를 회전하게 위치된다.
부샤시(100)는 지금 설명된 방식으로 주샤시에 설치된다. 우선, 부샤시(100)는 주샤시(101)의 개구부(101b)에 접해있다. 이런 조건하에서 부샤시(100)위에 있는 돌출부(100b)는 회전캠(102)에서 캠홈(102a)에 끼워진다. 그때 부샤시(100)의 피봇(100a)는 축지지부(101a)위에 위치한 주샤시(101)에서 축지지부(101a)안에 떨어진다. 그다음 와셔(103)와 나사(104)는 부샤시(100)를 주샤시(101)와 분리하지 못하도록 축지지부(101a)에 각각 설치된다. 그때 캠부재(102)를 회전시키는 기어(105)는 캠부재(102)에 설치된다.
그래서 제 2도는 부샤시(100)가 이전에 설명된 조립단계에 의하여 주샤시(101)에 설치되는 조건을 나타낸다. 예시된 조건하에서 기어(105)의 회전은 회전캠부재(102)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부샤시(100)위의 돌출부(100b)는 캠부재(102)가 회전할때 회전캠부재(102)에서 캠홈(102a)을 따라 수직으로 움직인다. 제 2도에서 본 바와같이 부샤시(100)의 우쪽끝은 축지지부(101a)와 맞물린 피봇(100a)로 주샤시(101)에 회전하여 유지된다. 그러므로 회전캠부재(102)의 회전으로 부샤시(100)는 제 2도에서 나타났듯이 상하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래서 부샤시(100)에 설치된 광픽업(106)과 턴테이블(107)은 제 2도에서처럼, 주샤시(101)의 트레이(108)위에 놓여진 디스크를 움직이고 그리고 제거할 수 있다.
제 1도와 제 2도에 나타난 장치는 상기 설명된 디스크 로딩장치가 장치의 구조때문에 부샤시(100)를 주샤시(101)에서 설치되고 그리고 추축으로 보호할때 와셔(103)와 나사(104)를 필요로 하는 몇가지 어려움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 디스크 로딩장치는 와셔(103)와 나사(104)를 설치하는 특별한 단계를 포함한 문제를 가진다. 게다가 디스크 로딩장치의 부품수는 와셔(103)와 나사(104)의 존재때문에증가한다. 이런 특징은 부품과 그 조립 비용을 증가시킨다.
상기 문제에 대하여 주샤시에 쉽게 설치가능한 부샤시를 가지는 디스크 로딩장치를 값싸게 공급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전체 목적이다.
발명의 지침에 따라 주샤시로부터 움직이고 그러고 제거하기 위하여 디스크가 놓여진 트레이를 지탱하는 주샤시와, 축 주위를 회전하는 부샤시를 갖는 디스크 로딩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부가목적이다. 그리고 상기 축에 의해 회전하여 유지된 부샤시의 회전부가 주샤시에 부착했다 떨어졌다하는 상기 축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 이 장치의 특징이다.
종래의 문제를 극복하고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을 이루기위한 취지에서 발명에 따른 디스크를 로딩하는 장치는 디스크위에 있는 트레이를 가진다. 주샤시가 개구부로 구성되는 트레이를 지탱하는 주샤시, 주샤시의 첫번째끝에 각각 형성한 개구부를 향해 튀어나온 돌출부, 그리고 같은 방향으로 뻗은 개구부를 포함하는 돌출부에 위치한 한쌍의 지지구멍이다. 부샤시는 주샤시에서 지지구멍이 같은 방향으로 확장된 개구부를 피봇이 가지는데 주샤시를 이동시키고 그리고 제거시키기 위하여 피봇주위를 회전하고 그것은 지지구멍안으로 끼워진다.
본 발명에서 부샤시가 주샤시와 맞물리게 하도록 체결부를 바람직하게 가진다. 주샤시는 부샤시의 체결부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가이드부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샤시의 가이드부는 캠홈에 제공된 캠부를 바람직하게 형성한다. 이 캠부는 캠홀에 맞물린 체결부가 끼워지는 절결부에 형성된다. 캠기어는 부샤시의 두번째끝을 상하로 움직이는 캠부재와 트레이를 움직이는 구동기어를 가지고, 두번째끝은 첫번째끝의 반대에 있다. 주샤시는 캠기어를 설치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부샤시는 주샤시와 맞물리도록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체결부는 캠부재에 의해 가이드된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 부샤시의 상기 회전부를 부샤시가 축주위를 회전하는 범위내에서 주샤시로부터 이탈을 방지하기위한 제한수단이 제공된다. 더우기 본 발명에서 제한수단은 부샤시와 주샤시중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트레이를 주샤시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은 캠부에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되고, 디스크는 트레이위에 위치한다.
상기 설명된 구성의 작동에서 부샤시를 주샤시에 설치하기위하여 부샤시는 축을 따라 우선 이동된다. 이런 방법에서, 부샤시의 회전부는 축을 거쳐 주샤시에 설치된다. 그때, 부샤시의 체결부는 부샤시의 다른끝을 주샤시로 향해 움직이게 하는 동안 캠부에 형성된 절결부를 거쳐 캠홈에 끼워진다. 이런 조건하에서 축의 축을 따른 부샤시의 움직임은 제한수단으로 제한되고 그리고 그런 부샤시의 회전부는 주샤시로부터 분리할 수 없다. 만약 제한수단이 부샤시 또는 주샤시중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되면, 제한수단은 부샤시 또는 주샤시에 일체로 쉽게 형성된다. 게다가 만약 트레이를 움직이는 수단이 캠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면, 그때 트레이가 움직이는 시기가 캠홈의 모양으로 인해 부샤시가 움직이는 시기와 쉽게 상호관련된다.
발명의 여러 특징은 수반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기술된 설명의 상세한 검토로 나타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3도∼제 11도를 참고하여 이후에 상세히 설명된다. 아래에 설명된 실시예가 발명의 바람직한 특정예이므로, 기술적으로 바람직하게 다양한 한계가 부과된다. 그러나, 발명의 범위는 아래에 특별히 다른 방법으로는 진술되지 않는다면 이런 상황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3도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는 CD플레이어 통합 디스크 로딩장치의 주요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제 3도에서 주샤시는 도면부호(1)로 보통 표시된다. 도면에서 보이듯이 주샤시(1)는 주샤시의 중앙에 개구부(1a)를 설치하고 주샤시의 좌측(또는 앞면)에서 오목부(1b)를 설치한다. 오목부(1b)는 캠기어(2)를 수용한다. 주샤시(1)는 또한 캠기어(2)를 회전지지하고 그리고 짝지워진 오목부(1b)의 중앙에 형성된 돌출부(1c)를 포함한다. 주샤시는 또한 오목부(1b)와 주샤시(1)에서 개구부(1a)사이의 벽부에 형성한 수직으로 뻗은 삽입개구부(1d)를 포함한다. 주샤시는 도면에서 보이듯이 주샤시(1)의 오른쪽(또는 뒤쪽) 끝에 형성된 개구부(1a)를 향해 돌출된 한쌍의 안쪽의 방향의 공간분리된 돌출부(1g)를 더욱 규정한다. 부샤시(3)를 설치하기위한 한쌍의 지지구멍(1e)은 돌출부(1g)에 형성된다. 지지구멍(1e)은 화살표(A1)로 나타낸 방향 또는 앞과 뒤(좌측과 우측)방향의 반대의 방향으로 확장되는 개구부를 가진다.
또한 주샤시는 지지구멍(1e)의 하나의 근처의 주샤시(1)에 형성된 제한하는 돌출부(1f)를 포함한다. 돌출부(1f)는 방향(A2)으로 개구부(1a)를 향해 주어진 양을 내민다.
캠부재는 부샤시(3)의 좌측면(도면에서 나타났듯이)을 주샤시(1)와 관련하여상하로 움직이게 공급되고 그리고 구동기어는 캠기어(2)와 일체로 형성된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된 방향(B)으로 트레이(4)를 움직이게 포함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트레이(4)를 움직이는 기어부(2a)는 캠기어(2)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부샤시(3)를 도면에서처럼 상하로 움직이는 캠홈(2b)은 캠기어의 아래바깥면에서 위치하고 도면에서 보이듯 부샤시(3)의 앞부분으로부터 앞으로 튀어나온 부샤시(3)위에 돌출부(3b)와 맞물려 있다.
제 6도에서 나타난듯이 캠홈(2b)은 낮은 단계부(S1), 높은 단계부(S2), 낮은 단계부(S1)와 높은 단계부(S2)를 연결하는 경사진 전이부(S3)로 구성된다. 낮은 단계부(S1)는 높은 단계부(S2)보다 길다. 부샤시(3)위의 돌출부(3b)를 아래에서 캠홈(2b)으로 도입하는 캠기어(2)에서의 절결부(2c)는 캠홈(2b)의 높은 단계부(S2)하에서 인접하게 위치된 낮은 단계부(S1)의 하부벽에 형성된다.
반면, 제 3도에서 나타났듯이 화살표(A)의 방향(A2)으로 돌출된 한쌍의 피봇(3a)는 부샤시(3)의 우측 끝에 형성된다. 제 1도에서 나타난 반대방향의 피봇(100a)와 비교하여 피봇(3a)는 동축방향(A2)으로 각기 뻗어있다. 화살표(B1)로 나타낸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b)는 부샤시(3)의 좌측끝에 형성된다. 부샤시(3)는 개구부(3c)를 중심에 설치된다.
턴테이블(6)과 광픽업(7)(제 7도 참조)을 설치하는 지지대(5)는 부샤시(3)에서 개구부(3c)와 면하도록 부샤시(3)의 하부면에 설치된다. 지지대(5)는 스프링(9)과 나사(10)에 의해 방진용 절연체(8)를 거쳐 부샤시에 설치된다.
디스크 로딩장치는 캠기어(2)와 부샤시(3)로 구성된다. 트레이(4)는트레이(4)의 상단 표면위에 놓인 디스크를 제 7도와 제 11도에서 나타난 열린위치(P1)와 제 9도와 제 10도에서 나타난 닫힌 위치(P2)로 움직이는 화살표(B) 방향(B1)에서 주샤시(1)로 이동한다.
제 3도에서 나타났듯이, 오목의 디스크 재치부(4a)는 이동트레이(4)의 중앙에 형성된다. 슬롯(4b)은 주샤시(1)를 향해 디스크 재치부(4a)의 중앙으로부터 연장된다. 트레이(4)가 닫힌위치(P2)에 있을때, 슬롯(4b)으로 인하여 턴테이블(6)과 광픽업(7)이 트레이(4)위에 디스크(D)(제 11도 참조)에 직면하게 한다. 도시한 것처럼 턴테이블(6)과 광픽업(7)은 지지대(5)(제 3도)를 거쳐 부샤시(3)에 설치된다.
전기모터(11), 첫번째기어(12), 그리고 두번째기어(13)는 또한 주샤시(1)에 설치된다. 제 4도와 제 5도에 나타났듯이 모터(11)의 회전력은 모터(11)의 출력기어(11a)에서 첫번째기어(12)로 전달된다. 회전력은 첫번째기어(12)에서 두번째기어(13)와 그때 캠홈(2a)을 포함하는 캠기어(2)에 전달된다.
게이트모양의 척킹빔(chucking beam)(14)은 주샤시(1)의 상단에 반대로 설치된다. 척킹풀리(15)는 청킹빔(14)의 하부면에 회전하여 설치된다.
부샤시를 디스크 로딩장치의 주샤시(1)에 설치하는 절차는 아래에 설명된다.
제 3도에서 나타났듯이 캠기어(2)는 주샤시(1)에서 오목부(1b)에 우선 끼워진다. 캠기어(2)의 중앙부는 돌출부(1c)에 의해 위치되고 유지된다. 연이어, 나사(16)(제 3도 참조)는 캠기어(2)를 돌출부(1c)에 안전화하기 위해 캠기어(2)를 거쳐 주샤시(1)에 나사로 죄여진다. 따라서 캠기어(2)는 주샤시(1)에 회전하여 안전화된다. 이런 경우에, 캠기어(2)에서의 절결부(2c)는 제 3도와 제 5도에서 나타났듯이 주샤시(1)에서 수직으로 연장된 삽입개구부(1d)를 면하게 된다.
제 4도와 제 5도에서 나타났듯이 출력기어(11a)를 가진 모터(11), 첫번째기어(12), 그리고 두번째기어(13)는 상기에서 설명된 것처럼 캠기어(2)의 설치앞의 주샤시(1)에 설치된다. 연이어 부샤시(3)는 피봇(3a)가 위쪽으로 직면할 동안 주샤시(1)아래에서 개구부(1a)로 끼워진다. 피봇(3a)의 측은 주샤시(1)에서 지지구멍(1e)의 축과 일치하거나 또는 부합되게 된다. 이런 조건하에서 부샤시(3)는 제 3도에서 나타난 A2의 방향에서 즉, 피봇(3a)와 같은 축 방향으로 수평적으로 그리고 동축을 따라 일치하여 이동된다. 그때, 피봇(3a)는 주샤시(1)의 돌출부(1g)에서 지지구멍(1e)에 끼워진다. 부샤시(3)의 한끝 즉, 제 3도에서 나타났듯이 오른쪽끝은 주샤시(1)에 이처럼 회전하여 유지된다.
연이어 다른끝, 즉 제 3도에서 나타났듯이 부샤시(3)의 좌쪽끝은 위로 회전된다. 돌출부(3b)는 주샤시(1)의 삽입개구부(1d)를 통하여 주샤시(1)에서 오목부(1b)에 끼워진다. 이 경우, 캠기어(2)의 절결부(2c)는 주샤시(1)에서 삽입개구부(1d)의 측면에 위치하고 그리고 부샤시(3)위에 그런 돌출부(3b)는 캠기어(2)에서 캠홈(2b)에 끼워진다. 그때 캠기어(2)는 제 4도에서 나타난 시작위치(Q1)에서 부샤시(3)위에 위치한 돌출부(3b)를 배치하도록 약간 회전한다.
이런 조건하에서 부샤시(3)를 주샤시(1)에 설치하려는 작동이 끝난다. 또한, 이런 조건하에서 피봇(3a)의 축을 따라 부샤시(3)의 움직임은 주샤시(1)에서 제한돌출부(1f)에 의해 제한된다. 즉, 일단 부샤시(3)가 주샤시(1)에 설치된다면, 부샤시는 주샤시(1)와 맞물리지 않게 된다. 이 경우, 부샤시(3)위의 돌출부(3b)는 제 6도에서 나타난 캠홈(2b)의 낮은 단계부(S1)와 맞물린다. 그러므로, 부샤시(3)의 한끝은 제 11도에서 나타났듯이 다른끝에 대해서 아래로 기울어진다.
지지대(5), 턴테이블(6), 광픽업(7), 그리고 다른성분은 부샤시(3)가 주샤시(1)에 설치되기전 또는 후에 부샤시(3)에 설치된다. 트레이(4)는 트레이가 열린위치(P1)에 있을때 주샤시(1)에 설치된다. 이 경우 예를들면, 캠기어(2)는 기어(2)를 회전없이 트레이(4)의 하부면에 형성된 랙(도시하지않음)과 함께 맞물린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 디스크 로딩장치에서 부샤시(3)는 종래의 제 1도와 제 2도에서 처럼 와셔 또는 나사를 사용하지않고 주샤시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부샤시(3)는 쉽게 설치된다. 그래서 조립단계수는 감소된다.
제 8도∼제 10도는 열린위치(Q1)(제 8도), 닫힌 정지위치(Q2)(제 9도), 그리고 녹음재생위치(제 10도)에 대한 디스크 트레이(4)의 위치를 분명히하고, 부샤시(3)의 앞측면은 상승된 위치에 있다.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위치(Q1, Q2, Q3)는 경사 또는 전이부(S3)를 통해서 낮은 단계부(S1)에서 높은 단계부(S2)까지 캠홈(2b)에서 돌출부(3b)의 움직임의 이동과 상호관련된다.
게다가, 발명에 따른 디스크 로딩장치는 와셔와 나사없이 가능하다. 그래서 부품의 수를 감소시킨다. 다음에는 이 장치의 비용은 낮아진다. 게다가 이 디스크 로딩장치에서 나사의 고정, 예를들면, 나사의 부력으로 인한 질의 변화, 나사에서 분열, 그리고 같은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결과로, 장치의 질은 안정하고 그리고 장치의 신뢰성은 고양된다.
더욱이, 이 디스크 로딩장치에서 부샤시(3)가 주샤시(1)로부터 분리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수단은 주샤시(1)의 부분, 예를들면, 단순 구조의 제한돌출부(1f)로 구성된다. 이것은 제한수단을 제조하는데 용이하다. 이 제한수단은 또한 부샤시(3)에서 형성된다.
CD플레이어의 작동, 주로 디스크 로딩장치의 작동은 이제 설명된다. 트레이(4)가 제 7도와 제 11도에서 나타난 열린위치(P1)에 있을때, 만약 모터(11)가 앞방향으로 회전하면, 캠기어(2)는 제 5도와 제 6도에서 화살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트레이(4)는 제 7도와 제 10도에서 나타난 닫힌 위치(P2)로 된다.
이 경우 부샤시(3)의 돌출부(3b)는 제 6도에서 나타났듯이 캠홈(2b)에 대해 낮은 단계부(S1)의 전이부(S3)앞에 인접하게 위치한 정지부(Q2)로 된다. 그때, 모터(11)는 앞으로 회전한다. 부샤시(3)위의 돌출부(3b)는 제 6도에서 나타난 정지위치(Q2)로부터 캠홈의 전이부(S3)를 통해 높은 단계부(S2)(이후에 녹음재생위치(Q3)로 칭함) 위의 위치 된다.
그러므로 제 11도에서처럼, 부샤시(3)는 수평위치에 두고, 그리고 트레이(4)의 디스크 재치부(4a)위에 놓은 디스크(D)는 턴테이블(6)에 의해 상승된다. 디스크(D)는 턴테이블(6)에 의해 척킹풀리(15)를 향해 움직이고 그리고 그 디스크는 턴테이블(6)의 회전에 의해 풀리(15)와 회전한다. 부샤시(3)가 수평자세를 취할때, 광픽업(7)은 디스크(D)에 닫힌 위치에 둔다. 그러므로, 디스크(D)가 회전할때마다 디스크(D)에서 정보는 광픽업(7)에 의해 광학적으로 판독된다.
부샤시(3)위의 돌출부(3b)가 정지위치(Q2)에서 녹음재생위치(Q3)까지 움직일때 트레이(4)는 캠기어(2)가 트레이(4)의 랙과 함께 맞물리지 않기때문에 움직이지 않는다. 디스크(D)의 녹음재생이 끝날때, 모터(11)는 역행된다. 부샤시(3)위의 돌출부(3b)는 녹음재생위치(Q3)에서 정지위치(Q2)까지 움직인다. 결과로, 부샤시(3)의 앞측면은 제 11도에서처럼 아래로 기운다. 턴테이블(6)과 다른성분은 아래로 당겨진다. 결과로 디스크(D)는 트레이(4)의 디스크 재치부(4a)위에 위치 된다. 만약 모터(11)가 반대로 회전하면, 돌출부(3b)는 부샤시(3)의 앞측면이 아래로 경사질동안 정지위치(Q2)에서 시작위치(Q1)를 향해 캠홈(2b)의 낮은 단계부(S1)를 통해 움직인다.
부샤시(3)위의 돌출부(3b)가 시작위치(Q1)에 이를때, 트레이(4)는 열린위치(P1)에 위치되고, 트레이는 주샤시(1)로부터 당겨진다. 이 이유로 만약 트레이(4)가 열린 위치(P1)에 위치한다면, 부샤시(3)위의 돌출부(3b)는 캠홈(2b)에서 절결부(2c)를 분리하지 못한다. 이 경우 디스크 로딩장치에서 부샤시(3)는 움직이는 캠기어(2)는 또한 트레이(4)를 움직일 수 있다. 결과로, 트레이(4)가 움직이는 시기와 부샤시(3)가 움직이는 시기가 쉽게 결정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샤시에 즉시 설치되는 부샤시를 가지는 값싼 디스크 로딩장치가 제공된다.
제 1도는 종래 디스크 로딩장치가 CD플레이어의 주샤시에 설치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제 2도는 제 1도에서 나타난 CD플레이어의 주요부의 확장된 투시도이다.
제 3도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형성하는 CD플레이어 통합 디스크 로딩장치의 주요부의 조립투시도이다.
제 4도는 힘이 캠기어로 전달되는 경로를 보여주는 제 3도에서 나타난 CD플레이어의 개략적인 투시적 평면도이다.
제 5도는 제 4도의 단면도, 측면도이다.
제 6도는 제 2도∼제 4도의 캠기어에서 캠홈의 확장도이다.
제 7도는 디스크 트레이가 열린위치에 있으며, 제 3도에서 나타나는 CD플레이어의 투시적 평면도이다.
제 8도는 제 7도에서보다 더욱 상세하게 열린위치(Q1)에서 또한 나타난 발명의 디스크 로딩장치의 상단개략부분도이다.
제 9도는 제 8도와 유사하나, 닫힌 정지위치(Q2)에서 나타나는 발명의 디스크 로딩장치의 상단개략부분도이다.
제 10도는 제 8도와 제 9도와 유사하나, 부샤시의 앞면이 상승하는 녹음재생위치(Q3)에서 나타난 발명의 디스크 로딩장치의 상단 개략부분이다.
제 11도는 제 7도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주샤시 1a. 개구부 1b. 오목부
1e. 지지구멍 2. 캠기어 2a. 기어부
2b. 캠홈 2c. 절결부 2f. 제한돌기
3. 부샤시 3a. 피봇(pivots) 3b. 돌출부
3c. 개구부 4. 트레이 5. 지지대
6. 턴테이블 7. 광픽업 8. 방진용 절연체
9. 스프링 10. 나사 11. 모터
12. 첫번째기어 13. 두번째기어 14. 척킹빔

Claims (14)

  1. 디스크가 놓여진 트레이와, 상기 트레이를 지지하기 위한 주샤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디스크 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샤시의 첫번째 끝에 형성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향해서 돌출된 한쌍의 돌출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를 갖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한쌍의 지지구멍과,
    상기 주샤시로부터 떨어지거나 향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지지구멍이 연장하고 상기 지지구멍내로 삽입되는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피봇의 축에 대해서 회전하는 부샤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주샤시는 부샤시의 수평모션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지지구멍을 향해 소정 양이 돌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부샤시는 부샤시의 수평모션을 제한하는 제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한부는 지지구멍이 열린 반대방향에서 소정량이 돌출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부샤시의 두번째끝을 상하로 움직이는 캠부재와 디스크가 위치된 방향으로 트레이를 움직이기 위한 구동기어를 가지는 캠기어는 첫번째끝에 반대인 두번째끝이 정지 그리고 열린위치에 있고, 주샤시는 캠기어를 설치하는 설치부를 더 포함하고, 부샤시는 주샤시와 맞물린 체결부를 더 포함하고 체결부는 캠부재에 의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캠부재는 체결부가 끼워지는 절결부와 함께 제공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캠부재는 부샤시의 두번째끝을 상하로 움직이지 못하게하는 첫번째 가이드홈과 부샤시의 두번째끝을 상하로 움직이는 두번째 가이드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캠기어는 트레이의 랙과 함께 맞물리는 첫번째부분과 트레이의 랙과 함께 맞물리지 않는 두번째 부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구동기어의 첫번째부분의 회전위상은 캠부재의 첫번째 가이드홈의 회전위상과 실제로 같고,
    구동기어의 두번째부분의 회전위상은 캠부재의 두번째 가이드홈의 회전위상과 실제로 같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9. 디스크가 놓인 트레이를 지지하는 주샤시와 상기 주샤시로부터 떨어지거나 향하여 이동하도록 한 쌍의 피봇의 축에 대해서 회전하는 부샤시를 갖는 디스크 로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유지된 상기 부샤시의 한 쌍의 피봇이 상기 축을 따라서 이동됨으로써, 상기 피봇이 주샤시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샤시는 상기 주샤시와 맞물린 체결부를 가지고, 상기 주샤시는 부샤시의 체결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샤시의 가이드부는 캠홈을 가지는 캠부이고, 캠부는 상기 부샤시의 체결부가 끼워진 절결부에 공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샤시가 상기 축에 대해 회전하는 범위내에서 상기 주샤시로부터 상기 부샤시의 상기 한 쌍의 피봇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수단은 상기 부샤시와 상기 주샤시중 하나에 형성된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샤시를 향해 트레이를 움직이려는 이동수단은 상기 디스크를 트레이 위에 둔 상기 캠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로딩장치.
KR1019950003581A 1994-02-25 1995-02-23 디스크로딩장치 KR100369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52770 1994-02-25
JP05277094A JP3511668B2 (ja) 1994-02-25 1994-02-25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94-052770 1994-02-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170A KR950034170A (ko) 1995-12-26
KR100369405B1 true KR100369405B1 (ko) 2003-03-26

Family

ID=12924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581A KR100369405B1 (ko) 1994-02-25 1995-02-23 디스크로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768238A (ko)
JP (1) JP3511668B2 (ko)
KR (1) KR100369405B1 (ko)
CN (1) CN107147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8606B1 (en) * 1996-10-08 2001-03-27 Kabushiki Kaisha Toshiba Disc reproducing apparatus
US6061320A (en) * 1998-04-13 2000-05-0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Loading mechanism for dis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evices
US6341114B1 (en) * 1999-03-23 2002-01-22 Michael Anh Nguyen Universal loader platform for optical storage device
US6059389A (en) * 1999-06-01 2000-05-09 Hsu; Chen-Tung Device housing for CD-ROM player and the like
US7158832B2 (en) * 2000-09-27 2007-01-02 Cvrx, Inc. Electrode designs and methods of use for cardiovascular reflex control devices
EP1642291B1 (en) * 2003-06-27 2007-12-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ickup unit homing mechanism for a disk drive unit
JP2005174440A (ja) * 2003-12-10 2005-06-30 Orion Denki Kk 補強構造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TWM256997U (en) * 2004-03-11 2005-02-11 Lite On It Corp Optical disk access device
JP2005267776A (ja) * 2004-03-19 2005-09-29 Orion Denki Kk トレイを備えたディスク装置
CN100395829C (zh) * 2004-11-26 2008-06-18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光盘读取装置
CA2735867C (en) 2008-09-16 2017-12-05 Dixie Consumer Products Llc Food wrap basesheet with regenerated cellulose microfiber
KR101513436B1 (ko) * 2008-12-29 2015-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크 로딩장치
JP2014207034A (ja) * 2013-04-12 2014-10-30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2290B2 (ja) * 1989-08-31 1997-12-17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2692363B2 (ja) * 1990-09-26 1997-12-1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Cdローディング装置
JPH07122951B2 (ja) * 1991-06-04 1995-12-25 日本コロムビア株式会社 ディスク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1470C (zh) 2001-09-19
JPH07240085A (ja) 1995-09-12
KR950034170A (ko) 1995-12-26
US5768238A (en) 1998-06-16
JP3511668B2 (ja) 2004-03-29
CN1119324A (zh) 1996-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9405B1 (ko) 디스크로딩장치
KR100243191B1 (ko) 광 기록 재생 장치
KR980011127A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US5390057A (en) Cassette loading apparatus
US5729522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US5978347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KR100230265B1 (ko) 디스크 플레이어
JPH06259869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002312956A (ja) 光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JP3739914B2 (ja) ディスク再生装置
JP2957918B2 (ja) 動作機構の取り付け装置
JP2587153Y2 (ja) 記録媒体の挿入装置
JP2001052345A (ja) ピックアップ傾き調整機構を有するディスク記録又は再生装置
KR200280140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0188941B1 (ko) 디스크드라이브의 픽업 안내장치
JPH07311925A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ーのオーディオヘッドの位置調節装置
KR200280138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0588923B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기어 캠
KR200374589Y1 (ko) 디스크데크의스큐조정장치
KR0147658B1 (ko) 픽업 안내장치가 개선된 디스크 드라이브
KR100278676B1 (ko) 광디스크드라이브
KR970003636Y1 (ko) 카스테레오의 이젝트 레버구조
KR200151885Y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오삽입 방지장치
KR0147562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하프 로딩장치
KR19980021840A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방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