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831B1 -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831B1
KR100367831B1 KR10-1999-0017879A KR19990017879A KR100367831B1 KR 100367831 B1 KR100367831 B1 KR 100367831B1 KR 19990017879 A KR19990017879 A KR 19990017879A KR 100367831 B1 KR100367831 B1 KR 100367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difference
chrominance
pixel
difference signal
back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7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5682A (ko
Inventor
박철수
문주희
김해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1999-0017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831B1/ko
Priority to US09/335,636 priority patent/US6577352B1/en
Priority to AT99112285T priority patent/ATE248486T1/de
Priority to EP99112285A priority patent/EP0969669B1/en
Priority to DE1999610695 priority patent/DE69910695T2/de
Priority to JP18226899A priority patent/JP3439155B2/ja
Publication of KR2000000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8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9/00Image coding
    • G06T9/20Contour coding, e.g. using detection of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7Filters, e.g. for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2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 H04N19/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object coding with binary alpha-plane coding for video objects, e.g. context-based arithmetic encoding [C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양정보를 갖는 영상의 영상포멧 변환과정에서 색차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물체 색차 정보 및 배경 색차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간축 필터링 또는 보간 필터링함으로써, 물체와 배경의 경계부분 또는 물체 영역 사이에서 발생하는 색번짐 현상을 제거하고 이로써 화질의 저하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FILTERING METHOD AND APPARATUS OF CHROMINANCE SIGNAL OF AN IMAGE}
본 발명은 물체 단위 영상 필터링(object-based image filtering)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영상 포맷 변환을 위한 색차 신호의 필터링시 색차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임 내의 물체와 배경들을 서로 구별하고 이들에 대하여 각각 독립적인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신호 간섭에 의한 색상번짐 (color bleeding)을 방지할 수 있는 영상의 색차 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영상 신호 부호화 방식으로는 직사각형의 프레임(rectangular frame) 또는 화면(picture) 전체를 부호화하는 프레임 단위 부호화(frame-based coding)와 임의의 형태의 영역(arbitrary shaped region)만을 부호화하는 방식인 물체 단위 부호화(object-based coding) 방식이 있다. 물체 단위 부호화의 대표적인 예로는 ISO/IEC JTC1/SC29/WG11의 MPEG-4, ISO/IEC JTC1/SC29/WG1 JPEG2000 등의 표준화 방안들이 있다.
모양정보(shape information)를 이용하는 물체 단위 부호화(object-based coding)는 영역분할 (segmentation) 기법을 사용하여 전체 영상 시퀀스 내에서 사용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거나 필요로 하는 특정 영역(region)- 혹은 물체(object) - 만을 추출하여 부호화한 후, 이를 정해진 순서에 따라 프레임 내에 재구성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물체 단위 부호화에서는 기추출된 물체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모양 정보를 사용한다. 상기 모양정보는 영상을 물체영역과 비물체영역(배경)으로 구분하는 정보로서 부호화기 및 복호화기에서 전체 영상 대신 물체영역을 중심으로 하는 신호처리를 가능하게 하며, 이러한 모양정보는 이진모양정보 또는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모양 정보로 표현될 수 있다. 이진 모양 정보는 한 시퀀스 내의 두 물체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 모양 정보는 한 시퀀스 내의 여러 개의 물체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들의 표현 범위에 있어서, 이진 모양 정보는 0과 1 또는 0과 255와 같은 두 개의 값들로 표현되고, 그레이 스케일 (Gray Scale) 모양 정보는 소정의 범위내의 수치, 예컨대 0부터 255 사이의 값으로 표현된다. 물체단위 영상처리에서 물체의 영상신호(휘도,색차) 중 색차에 대한 모양정보는 영상신호의 표본화 비와 픽쳐 타입에 따른 휘도와 색차신호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휘도의 모양정보를 서브샘플링하여 추출된다.
영상 처리에 있어 동영상 주사 방식으로는 크게 순차 주사방식과 비월 주사방식의 두 가지 방식이 있다. 순차 주사방식에서는 하나의 프레임의 영상은 모두 같은 시간에 샘플링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데 반해, 비월 주사방식에서는 한 프레임의 영상이 서로 다른 시간에 샘플링된 두 장의 필드 영상, 즉, 상부 필드 및 하부 필드 영상들로 구성된다.
종래의 대부분의 영상 부호화 및 처리 기법들은 프레임 단위의 처리를 위한 것들이어서, 물체단위 영상 부호화 및 처리에 적용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다.
특히, 프레임 단위 처리에서 전혀 고려되지 않았던 임의의 모양을 갖는 물체의 경계부분에서 이러한 문제들이 심각하게 나타난다. 그러한 문제들 중 필터링을 이용한 영상포멧 변환시에 물체의 경계부분에서 색차신호가 번지는 색번짐 현상(color bleeding)은 방송 등의 고화질의 영상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비월주사 영상의 처리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시각은 휘도 신호에 비해 색차 신호에 대해 덜 민감한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색차신호를 간축/보간하는 기술은 영상신호의 데이터 양을 감소시켜 전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색차성분의 대역을 적당한 폭으로 제한하여 간축 또는 보간하는 필터링 과정을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종래의 필터링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신호(Ci)에 대하여 적절한 필터계수(Wj)를 곱하여 이들을 가산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터의 특성은 필터계수와 이들간의 상대적인 관계에 의해 결정되는데, 예컨대 중간값 필터링 (Median Filtering)을 수행하면, 이는 입력신호의 평균적 특성을 구하는 것이므로, 일반적으로 입력신호에 대한 필터계수는 거의 동일할 것이다. 필터링에서 필터계수 또는 필터 탭의 갯수 등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맞게 임의의 값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필터링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필터링을 통해서 생성하고자 하는 색차신호를 A라 할 때, 도 2에 도시된 필터를 통해 수득되는 필터링 결과는 하기 수학식 1로 표시할 수 있다.
A=W1×Ci-2+W2×Ci-1+W3×Ci+W4×Ci+1+W5×Ci+2+W6×Ci+3
(상기 식에서, Ci는 영상의 색차 신호를 의미하고, Wj는 필터의 계수를 의미한다)
그러나, 물체단위 부호화와 처리를 위한 영상에 대하여 이러한 종래의 필터링 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면 A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신호들이 동일한 영역에 속해있지 않거나 동일하지 않은 물체 영역에 속한 경우, 서로 다른 영역 또는 물체간에 간섭을 주게 되어 색상번짐(color bleeding)이 발생하여 화질이 저하되며, 이러한 현상은 물체 경계 부분에서 특히 심하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필터링하고자 하는 화소가 물체의 영역에 속한 화소인 경우, Ci-1, Ci+1및 Ci+2가 255(물체)이고, Ci-2, Ci및 Ci+3은 0(배경)이며 W1, W2, W3, W4,W5및 W6이 각각 0.1, 0.2, 0.4, 0.6, 0.3, 및 0.2라고 가정할 때, A=131.58(A=0×0.1+255×0.2+0×0.4+255×0.6+255×0.3+0×0.2)이 되므로, 물체 내의 255 값을 갖는 색차신호가 배경에 있는 0값을 갖는 색차신호의 영향을 받아 131.58로 화질이 저하되어 물체 둘레에 회색 띄가 형성된다. 이러한 색번짐 현상은 필터탭의 수가 많아질수록 더욱 더 심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물체단위 영상 처리에서 종래의 필터링 방법의 적용시에 대두되는 색번짐 문제를 극복하는 것으로, 색차신호의 필터링시 적절한 색차 모양정보를 사용하여 프레임내의 물체들 및 배경들을 서로 구별하고 이들에 의하여 각각 독립적인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서로 다른 영역 또는 물체 간의 신호간섭에 의한 색상 번짐을 제거하여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영상의 색차 정보 간축 필터링시 휘도신호의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탭내에 필터링하고자 하는 색차 신호와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하지 않은 색차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그러한 색차 신호가 존재할 경우, 해당 필터탭내의 동일하지 않은 물체 영역에 속한 색차 신호를 마킹하여 이를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한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영상의 색차 정보 간축 필터링시 간축 필터의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물체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소스 물체 색차 신호의 수가 필터 탭과 동일한 경우에는 종래의 방법과 동일한 필터링이 수행된다), 휘도신호의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자 하는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인지 배경 색차 화소인지를 구별하는 단계; 해당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일 경우필터탭내의 배경 색차화소값들을 마킹하여 물체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배경 색차화소 재생 단계; 필터링할 화소가 배경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물체 색차화소값들을 마킹하여 배경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물체 색차화소 재생 단계 및 재생된 값들을 필터 계수와 탭 별로 연산하여 색차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영상의 색차 정보 보간 필터링시 휘도신호의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탭내에 필터링하고자 하는 간축 색차 신호와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하지 않는 간축 색차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여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하지 않는 간축색차신호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필터탭내의 동일하지 않은 물체 영역에 속한 간축 색차 신호를 마킹하여 이를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한 간축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상은 영상의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물체 정보 보간 필터링시 보간 필터의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자 하는 간축 색차 화소가 간축 물체 색차화소인지 간축 배경 색차 화소인지를 구별하는 단계; 간축 물체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간축 배경 색차화소들을 마킹하여 간축 물체 색차화소 값으로 재생하는 배경 색차화소 재생 단계; 해당 화소가 간축 배경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간축 물체 색차화소값들을 마킹하여 간축 배경 색차 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물체 색차화소 재생 단계 및 상기 물체 정보 보간 필터링을 위해 재생한 색차신호들을 보간 필터에 미리 설정된 필터 계수와 탭 별로 연산하여 색차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영상 색차신호 필터링을 보여주는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색차신호 필터링을 보여주는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의 물체-기반 색차 신호 필터링 장치의 내부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체-기반 색차 신호 간축 및 보간 필터링 방법의 플로우 챠트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의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물체 색차화소 재생기의 블럭도,
도 7은 배경 색차화소 마킹의 플로우 챠트이고,
도 8은 물체 색차화소 마킹의 플로우 챠트이고,
도 9는 6-탭 필터를 이용한 배경 색차화소 재생 과정의 설명도,
도 10은 6-탭 필터를 이용한 물체 색차화소 재생 과정의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물체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배경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물체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의 제 2 실시예의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배경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의 제 2 실시예의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물체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의 제 3 실시예의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배경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의 제 3 실시예의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물체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방법의 제 1 실시예의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물체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방법의 제 2 실시예의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의 물체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방법의 제 3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물체-기반 영상 부호화 및 복호화 시스템의 블럭도,
도 21은 도 20중 전처리부의 상세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물체 색차화소 재생기 5: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
6: 간축/보간 필터 41: 물체 색차화소 마커
51: 배경 색차화소 마커 42, 52: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
110; 전처리부 390: 물체-기반 색차 필터링부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모양정보를 갖는 영상포멧 변환과정에서 물체 경계부분에 발생하는 색번짐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영상의 색차신호의 간축 필터링(decimation filtering) 및 보간 필터링(interpolation filtering)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간축 필터링은 4:4:4 또는 4:2:2 영상을 4:2:0 영상으로 하향변환시에 적용되고, 보간 필터링은 4:2:0 영상을 4:2:2 또는 4:4:4 영상으로 상향변환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데, 반드시 이러한 경우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필터링 방법에서는 필터링에 사용되는 색차 신호가 물체의 경계부분에 위치하는지 또는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하는지를 판별하기 위하여 휘도 신호의 서브샘플링에 의해 수득된 색차신호 모양정보를 이용한다. 서브 샘플링 방법은 여러 가지가 존재하는데, 비월주사 영상의 경우에는 물체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휘도신호 대 색차신호의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해서 영상신호의 샘플링과 주사방식에 관한 비월주사 영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생성하려는 색차신호와 동일한 필드내의 휘도 신호만을 사용하여 서브샘플링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색차 신호의 모양정보는 하나의 색차 신호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접한 동일한 필드 내의 2x2 휘도신호의 모양정보 중 하나 이상이 물체이면, 물체로 하고, 그러지 않으면 배경으로 서브샘플링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향변환에 한하여 4:2:2 영상의 색차신호를 소스 색차 신호(source chroma sample)라 하고, 상향변환에 한하여 보간 색차 신호 (interpolated chroma sample)라 표기한다. 그리고, 하향변환과 상향변환 모두에 대해서, 4:2:0 영상의 색차신호를 간축 색차 신호(decimated chroma sample)라 표기한다. 또한, 물체의 모양정보를 갖는 소스 색차 신호, 간축 색차 신호 및 보간 색차신호들을 각각 소스 물체 색차 신호(source object chroma sample), 간축 물체 색차 신호(decimated object chroma sample) 그리고 보간 물체 색차 신호
(interpolated object chroma sample)라 하고, 배경의 모양정보를 갖는 신호들을 각각 소스 배경 색차 신호(source background chroma sample), 간축 배경 색차 신호(decimate background chroma sample) 그리고 보간 배경 색차 신호(interpolated background chroma sample)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된 소스 색차 신호, 간축 색차 신호, 그리고 보간 색차 신호의 모양정보를 사용하여 간축 필터링과 보간 필터링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체 단위 색차신호 간축 및 보간 필터링 시스템의 블럭도로서, 먼저 순차주사방식 서브샘플러(Progressive Shape Subsampler)(1)는휘도 모양정보와 픽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그 입력정보의 영상타입에 따라 순차주사방식 영상을 서브샘플링한 후 색차 모양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월주사방식 서브샘플러(Interlaced Shape Subsampler)(2)는 휘도 모양정보와 픽처 타입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그 입력정보의 영상타입에 따라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을 서브샘플링한 후 색차 모양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필터링 화소 모양 피커(Filtering Pixel's Shape Picker)(3)는 상기 순차주사방식 서브샘플러(1) 및 비월주사방식 서브샘플러(2)에서 색차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필터링하고자 하는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인지를 판단하는 동시에 필터 탭 안에 데이타를 채울 때, 배경은 배경끼리 물체는 물체 끼리 데이타를 채워나가는 역할을 한다. 또한, 물체 색차화소 재생기(4) 및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5)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필터 안에 들어갈 데이타를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 3과 같은 물체-기반 색차 간축 및 보간 필터링 시스템에서의 필터링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영상의 픽처 타입에 대한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시스템은 픽쳐 타입에 따른 휘도와 색차신호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입력된 휘도의 모양정보를 서브샘플링하여 색차에 대한 모양정보를 추출하되, 입력된 영상이 순차주사 영상인지를 판단하여, 순차주사 영상인 경우에는 순차주사방식의 서브샘플링을 수행하고, 순차주사 영상이 아닌 경우에는 입력되는 휘도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비월주사방식의 서브샘플링을 수행한다(S1). 이어서 모양정보 추출된 각 영상에 대하여 현재 필터링하고자 하는 색차신호에 해당하는 모양정보를 가져오는 필터링 화소 모양 피킹(Filtering Pixel's Shape Picking)(S2)을 행하여가져온 색차 모양정보가 물체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물체이면 필터 탭내의 배경 색차화소값을 제거하고 이를 물체 색차화소값으로 채우는 배경화소재생을 행하고(본 발명에서 재생이라 함은 기존의 값을 제거하고 새로운 값을 할당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와 반대로 필터링하고자 하는 화소가 배경 색차화소인 경우에는 필터 탭내의 물체 색차화소값들을 배경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물체화소재생을 행한다(S3). 이와 같이 해서 배경은 배경끼리 물체는 물체 끼리 간축 또는 보간 필터링을 행함으로써 간축 또는 보간된 색차 신호를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모든 화소에 대해 수행하고 마지막 화소인지 판단하여(S4) 마지막 화소가 아닐 경우 단계 1(S1)부터 다시 반복하고 마지막 화소일 경우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간축/보간 필터링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도 3의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5)는 그 세부 구성에 있어 색차 신호와 색차 모양정보를 입력받은 후 색차 모양정보를 기초로 제거할 배경 색차화소를 마킹하는 배경 색차화소 마커(51)와 마킹된 화소 값을 임의의 적당한 물체 값으로 채워주는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도 5 참조).
한편, 도 3의 상기 물체 색차화소 재생기(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차 신호와 색차 모양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기초로 제거 대상 물체화소를 마킹하는 물체 화소 마커(41)와 마킹된 화소 값을 임의의 적당한 배경 값으로 채워주는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경화소 재생기(5)의 배경화소 마커(51)에 의한 마킹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차 모양정보를 입력하고 이러한 색차 모양 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자 하는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물체 색차화소일 경우 색차 신호를 그대로 이용하고, 물체 색차화소가 아닌 배경 색차화소인 경우 이를 적당한 물체값으로 재생하기 위해 마킹하여 마킹된 색차신호들을 출력한다. 한편, 물체화소재생기(4)의 물체 색차화소 마커(41)에 의한 물체 색차신호 마킹시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차 모양정보를 입력하고, 이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자 하는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배경 색차화소일 경우 색차 신호를 그대로 이용하고, 배경 색차화소가 아닌 물체 색차화소인 경우 이를 제거하고 새로운 값을 할당하기 위해 마킹하여 마킹된 색차신호들을 출력한다.
도 6 및 도 7의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들(42, 52)은 마킹된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일련의 신호를 입력받아 마킹된 화소에 각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는 임의의 값을 재생한다. 이 때 마킹된 부위에 채워지는 값들은 마킹되지 않은 화소값들의 평균 또는 공간적으로 거리가 가장 가까운 화소값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새로운 값을 부여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해서 재생된 화소값들은 통상의 간축/보간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다.
상기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5)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배경화소 마킹 과정 및 마킹된 화소값 재생 과정을 6 탭 필터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을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색차 신호(Ci-2, Ci-1, Ci, Ci+1, Ci+2및 Ci+3)와 배경 색차 화소와 물체 색차화소를 구분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색차 모양정보(Si-2,S i-1 , Si,S i+1 , S i+2 및 Si+3)가 입력되면 배경 색차화소 마커(51)는본래의 물체 색차 화소는 그대로 두고 배경 색차화소를 제거하기 위해 마킹한다(M 1 , Ci-1,M 2 , Ci+1, Ci+2M 3 )(도 9 및 기타의 본원의 도면에서 ○은 배경에 해당하는 모양정보를 의미하고 ◎는 물체에 해당하는 모양정보를 나타낸다).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52)는 마킹된 화소만 찾아 새로운 값을 할당한다. 도 9에서 Ri-1, Ri+1, Ri+2값은 Ci-1, Ci+1, Ci+2값을 그대로 복사한 값인 반면에,R i-2 ,R i , 및R i+3 값은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에 의해 새로 부여된 값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재생된 색차 신호 값들은 통상의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다.
물체 색차화소 마킹 및 재생 과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색차 신호(Ci-1, Ci, Ci+1,Ci+2, Ci+3및 Ci+4)와 색차 모양정보(S i-1 , Si,S i+1 ,S i+2 , Si+3및 Si+4)가 입력되면 물체 색차화소 마커(41)는 본래의 배경 색차 화소는 그대로 두고 물체 색차화소를 제거하기 위해 마킹한다(M 1 , Ci,M 2 , M 3 , Ci+3및 Ci+4).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42)는 마킹된 화소만 찾아 새로운 값을 부여한다. 도 10에서 Ri,Ri+3및 Ri+4값은 Ci, Ci+3및 Ci+4값을 그대로 복사한 값인 반면에,R i-1 ,R i+1 R i+2 값은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42)에 의해 새로 부여된 값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재생된 색차 신호 값들은 통상의 필터에 의해 필터링된다.
본 발명에서 간축 필터링시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색차 신호가 모두 물체 색차 신호이거나 배경 색차 신호인 경우에는 기존의 간축 필터링과 동일하게 필터 탭내의 모든 색차 신호에 대해서 필터링을 수행한다.
물체단위 동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조작 및 처리를 행하는 응용에서 프레임 내의 배경에 속한 영상신호는 중요하지 않기 때문에, 영상의 보간필터링시 배경 색차 신호의 보간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고 미리 정의된 임의의 배경 값을 할당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배경색차신호의 보간필터링이 필요한 경우에는 물체 색차신호의 보간필터링과 동일한 방법으로 필터링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마킹된 화소 값을 재생하는 방법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단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수의 변형들이 만들어질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한 사항이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필터 탭의 갯수가 6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첨부한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서, 이는 간축 물체 색차신호 및 간축 배경 색차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간축 필터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간축 물체 색차 신호의 생성시(도 11 참조)에,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물체 색차 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각각의 모든 소스 배경 색차 신호(source background chroma sample)를 마킹하여(M1, M2) 이에 대해서는 공간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물체 색차 신호를 재생하여 소스 배경 색차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만약, 동일한 거리의 소스 물체 색차 신호가 하나 이상일 경우에는 간축 물체 색차 신호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소스 물체 색차 신호를 재생한다.
또한, 도 12의 경우와 같은 간축 배경 색차신호 (Decimated background chroma smaple)의 생성 시에는,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배경 색차 신호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필터 탭내에 포함된 각각의 모든 소스 물체 색차 신호(C2및 C4)를 마킹하고(M1, M2) 이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소스 배경 색차 신호를 재생하여 소스 물체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만약, 동일한 거리의 소스 배경 색차 신호가 하나 이상일 경우에는 간축 배경 색차 신호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소스 배경 색차 신호를 재생한다(C3).
실시예 2
첨부한 도 13 및 도 14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서 간축 물체 색차 신호를 생성하는(도 13 참조)에,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물체 색차 신호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필터 탭내의 포함된 각각의 모든 소스 배경 색차 신호(C2및 C4)를 마킹하고(M1, M2) 이에 대해서는 공간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2개의 소스 물체 색차 신호를 재생하고, 이들의 평균값(Avg1=(C1+C3)/2, Avg2=(C3+C5)/2)을 소스 배경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만약, 소스 물체 색차 신호가 하나 밖에 없을 경우, 이 샘플 값을 소스 배경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간축 배경 색차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배경 색차 신호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필터 탭내에 포함된 각각의 모든 소스 물체 색차 신호에 대해서는 공간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2개의 소스 배경 색차 신호를 재생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소스 물체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Avg1=(C1+C3)/2, Avg2=(C3+C5)/2). 만약, 소스 배경 색차 신호가 하나 밖에 없을 경우, 이 샘플 값을 소스 물체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실시예 3
첨부한 도면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물체 정보 간축 필터링시 간축 필터의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물체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배경 색차신호를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물체 색차신호들에 대한 평균값으로 대치한 후 필터링할 물체 색차신호로 재생하고, 배경 정보 간축 필터링시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배경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물체 색차신호를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배경 색차신호들에 대한 평균값으로 대치한 후 필터링할 배경 색차신호로 재생하여 필터링한다.
즉, 하향변환에 적용되는 간축 필터링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축 물체 색차 신호 생성시에,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물체 색차 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배경 색차 신호를 마킹하고(M1, M2) 이에 대해서는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물체 색차 신호들에 대한 평균값을 소스 배경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Avg=(C1+C3+C5+C6/4).
또한, 도 16에 도시된 간축 배경 색차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배경 색차 신호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물체 색차 신호(C2, C4)를 마킹하고(M1, M2) 이에 대해서는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배경 색차 신호에 대한 평균값을 소스 물체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Avg=(C1+C3+C5+C6/4).
실시예 4
이하의 본 발명의 제 4 내지 제 6 실시예에서는 영상의 색차 신호 보간필터링(Interpolation Filtering)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제 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제 4 실시예에서 물체 정보 보간 필터링시 보간 필터의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간축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간축 물체 색차 신호를 재생하여 간축 배경 색차 신호 대신에 필터링할 간축 물체 색차신호로 재생하여 보간 필터링을 행한다.
즉, 상향변환에 적용되는 보간 필터링에서, 보간 물체 색차 신호의 생성시에, 보간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물체 색차 신호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보간 필터 탭내에 포함된 각각의 모든 간축 배경 색차 신호(C2, C4)를 마킹하고(M1, M2) 이에 대해서는 공간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간축 물체 색차 신호를 재생하여, 간축 배경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만약, 동일한 거리의 간축 물체 색차 신호가 하나 이상일 경우에는 보간 물체 색차 신호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보간 물체 색차 신호(C3)를 재생한다.
실시예 5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제 5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는, 물체 정보 보간 필터링시 보간 필터의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간축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2개의 간축 물체 색차 신호의 평균값을 재생하여 보간 필터링하게 된다.
즉, 상향변환에 적용되는 보간 필터링에서, 보간 물체 색차 신호의 생성시에,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물체 색차 신호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필터 탭내에 포함된 각각의 모든 간축 배경 색차 신호(C2, C4)를 마킹하고(M1, M2) 이에 대해서는 공간적 거리가 가장 가까운 2개의 간축 물체 색차 신호를 재생하고, 이들의 평균값(Avg1=(C1+C3)/2, Avg2=(C3+C5)/2)을 간축 배경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 만약, 간축 배경 색차 신호가 하나 밖에 없을 경우, 이 샘플 값을 간축 배경 색차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실시예 6
도 19는 본 발명에 의한 제 6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6 실시예에서는 물체 정보 보간 필터링시 보간 필터의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간축 배경 색차신호를 필터 탭내의 모든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평균값으로 대치한 후, 필터링할 물체 색차신호를 재생하여 간축 색차신호를 보간 필터링하게 된다.
즉, 상향변환에 적용되는 보간 필터링에서, 보간 물체 색차 신호의 생성시에,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물체 색차 신호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보다 작은 경우, 필터 탭내에 포함된 각각의 모든 간축 배경 색차 신호(C2,C4)를 마킹하고(M1, M2) 이에 대해서는 필터 탭내의 모든 간축 물체 색차 신호들의 평균값(Avg=(C1+C3+C5+C6/4)을 간축 배경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배경 정보 보간 필터링은 물체 정보 보간 필터링과 동일하게, 필터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배경 색차 신호 수가 양수이고 필터 탭의 크기 보다 작은 경우, 필터 탭내에 포함된 각각의 모든 간축 물체 색차 신호(C2,C4)를 마킹하고 이에 대해서는 필터 탭내의 공간적으로 가장 근접한 간축 배경 색차 신호, 가장 근접한 2개 배경 색차 신호의 평균값 또는 필터 탭내의 모든 배경 색차신호의 평균값을 간축 물체 색차 신호 대신 필터링에 사용하여 필터링한다.
본 발명의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는 물체 기반 처리를 행하는 MPEG 4와 같은 동영상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에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영상중 사용자가 원하거나 필요로 하는 특정 영역(물체)만을 추출하여 조작(manipulation)하는 컨텐트 크리에이션(content creation)에도 응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을 응용한 물체 단위 영상 신호 부호화 장치 및 복호화 시스템을 일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색차 신호 필터링 방법이 응용된 물체 단위 동영상 압축 부호화 및 복호화 시스템의 일실시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시스템은 전처리부(110), 모양정보부호화부(120), 색차 모양정보 추출부(130), 움직임 추정 및 움직임 보상부(140), 텍스춰정보 부호화부(160), 감산기(150), 가산기(170), 이전재현 VOP부(180) 및 다중화부(190)로 구성되는 부호화기(100)와; 전송매체(200)와; 및 모양정보 복호화부(320), 색차 모양정보 추출부(330), 움직임 보상부(350), 텍스춰정보 부호화부(340), 가산기(360), 이전재현 VOP부(370), 역다중화부(310) 및 물체-기반 색차신호 필터링부(390)로 구성되는 복호화기(300)로 구성된다.
물체 단위 영상 신호 압축 부호화시 입력된 영상신호는 전처리부(110)에서 영상신호를 영역들로 분할하여 이를 모양정보로 표시하고, 각 영역에 대한 모양정보는 모양정보 부호화부(120)와 움직임정보 추정부(140)에 입력된다. 이러한 전처리부(11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된 영상신호의 영역을 분할하는 물체 분할부(111)와 물체-기반 색차 신호 필터링부(112)로 구성되는데, 상기 물체-기반 색차 신호 필터링부(112)에서 본 발명에 의한 색차 신호의 필터링이 구현된다. 모양정보 부호화부(120)에서는 해당 물체의 모양정보가 부호화되고, 부호화된 후 재현된 휘도 모양정보(reconstructed luminance shape information)는 색차 모양정보 추출부(130), 움직임정보 추정부 및 움직임 보상부(140) 및 텍스춰 정보 부호화부(texture information encoding part)(160)에 입력되어 이들의 동작을 물체 단위로 수행하게 한다. 한편, 모양정보 부호화부(120)의 또 다른 출력인 휘도 모양정보 비트열(luminance shape information bitstream)은 다중화부(190)로 입력된다.
본 발명에서 색차 모양정보 추출부(130)는 픽춰 타입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아 픽춰 타입에 따라 순차주사 방식의 프레임 구조 픽춰인 경우에는 기존의 보존 서브-샘플링 색차 모양정보 서브-샘플링(conservative chrominance shape subsampling)을 행하고, 비월주사 방식의 필드 구조인 경우에는 필드-기반 색차 모양정보 서브-샘플링(field-based chrominance shape subsampling)을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움직임정보 추정부는 상기 모양정보 부호화부(120)로부터 입력받은 모양정보를 가지고 현재 물체의 텍스춰 정보와 이전 재현 VOP부(previous reconstructed object memory) (180)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물체의 텍스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물체 텍스춰 정보의 움직임정보를 찾는다. 찾아진 움직임정보는 움직임 보상 예측(motion compensated prediction)을 위하여 움직임 보상부 (140)로 입력된다. 또한 추정된 움직임정보들은 압축 부호화되어 움직임정보 비트열(motion information bitstream)의 형태로 다중화부(190)로 입력된다. 움직임 보상부(140)는 움직임정보 추정부에서 구한 움직임정보와 이전 재현 VOP부(180)의 이전 재현 물체 텍스춰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 예측을 수행한다.
감산기(subtractor)(150)에서는 입력 텍스춰 정보와 움직임 보상부(140)에서 구해진 움직임 보상 예측 텍스춰 정보 사이의 차이, 즉 예측 오차(prediction error)를 구한다. 그리고 텍스춰 정보 부호화부(160)에서 이 신호를 부호화한다. 생성된 텍스춰 정보 비트열(texture information bitstream)은 다중화부(190)로 입력되고, 재현된 예측 오차 신호는 가산기(170)로 입력된다. 가산기(170)에서 움직임 보상 예측 신호와 재현된 오차 신호를 더하여 해당 물체의 재현 텍스춰 정보 신호를 만들고, 이 신호는 이전 재현 VOP부(180)에 저장되어 다음에 입력되는 물체의 부호화 시에 이용된다. 다중화부(190)는 모양정보 부호화부(120)로부터의 휘도 모양정보 비트열, 움직임 추정 및 보상부(140)로부터의 움직임 정보 비트열 및텍스춰 정보 부호화부(160)로부터의 텍스춰정보 비트열을 다중화하여 영상 비트열(image bitstream)을 전송매체(200)로 전송한다.
한편, 부호화된 후 전송매체(200)를 거쳐 복호화기(300)에 입력되는 영상 비트열은 역다중화부(310)를 통하여 움직임정보 비트열, 휘도 모양정보 비트열, 텍스춰 정보 비트열 및 픽춰 타입 정보열로 나누어진다. 모양정보 복호화부(320)는 휘도 모양정보 비트열을 입력 받아서 재현 모양정보를 출력한다. 이 재현 모양정보는 색차 모양정보 추출부(330), 움직임 복호화 및 보상부(350)와 텍스춰 정보 복호화부(340)로 입력되어 물체 단위의 복호화를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색차 모양정보 추출부(330)는 전송매체를 통해서 휘도 모양정보만이 전송되었으므로 이를 기초로 색차 모양정보를 추출하며, 그 구성 및 동작은 부호화기(100)의 색차 모양정보 추출부(130)와 완전히 동일하다. 추출된 색차 모양정보는 텍스춰 정보 복호화부(340) 및 움직임 복호화 및 보상부(350)에 입력된다. 텍스춰 정보 복호화부(340)는 모양정보 복호화부(320)로부터 입력받은 재현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텍스춰 정보를 복호화하고, 움직임 복호화 및 보상부(350)는 움직임정보 복호화부의 출력인 움직임정보와 이전 재현 VOP부(previous reconstructed VOP) (370)의 이전 텍스춰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보상 예측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 때에도 물체 영역 내부의 수행이 필요하므로 모양정보 복호화부(320)의 출력인 재현 모양정보가 입력되어 이용된다. 움직임 복호화 및 보상부(350)의 출력인 움직임 보상 예측 신호는 텍스춰 정보 복호화부(340)에서 재현된 텍스춰 정보와 가산기(360)에서 더해져서 해당 물체를 복원한다. 이 복원된 물체는 이전 재현 VOP부(370)에 저장되어 다음 프레임의 부호화에 이용되며, 한편 복원된 재현 VOP(380)는 물체-기반 색차 필터링부(390)에 의해 본래의 영상 신호로 복원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의 영상포멧 변환과정에서 휘도신호의 모양정보를 사용하여 물체 색차 정보 및 배경 색차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간축 필터링 또는 보간 필터링 함으로써, 물체 경계부분에서 발생하는 색번짐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색번짐 현상의 제거로 화질의 저하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5)

  1. 영상의 색차 간축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간축 필터의 탭내에 포함되는 소스 물체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 휘도신호의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자 하는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인지 배경 색차 화소인지를 구별하는 단계; 해당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배경 색차화소값들을 마킹하여 물체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배경 색차화소 재생 단계; 필터링할 화소가 배경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물체 색차화소값들을 마킹하여 배경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물체 색차화소 재생 단계 및 재생된 값들을 필터 계수와 탭 별로 연산하여 색차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화소 재생 단계가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물체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소스 배경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배경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경 색차화소 재생 단계가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소스 물체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물체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신호 재생시 소스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동일한 소스 물체 색차신호가 다수개 존재할 경우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위치에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소스 물체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물체 색차신호로 재생하고;
    상기 배경 색차신호 재생시 소스 물체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동일한 소스 배경 색차신호가 다수개 존재할 경우 간축 배경 색차신호의 위치에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소스 배경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배경 색차 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화소 재생 단계가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물체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2개의 소스 배경 색차신호들의 평균값을 필터링할 배경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경 색차화소 재생 단계가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2개의 소스 물체 색차신호를 재생하여 이들의 평균값을 물체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물체 색차신호 재생시 소스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소스 물체 색차신호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이 소스 물체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물체 색차신호로 재생하고;
    상기 소스 배경 색차신호 재생시 소스 물체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소스 배경 색차신호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이 소스 배경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배경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화소 재생 단계가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물체 색차신호를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배경 색차신호들에 대한 평균값으로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배경 색차화소 재생 단계가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배경 색차신호를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소스 물체 색차신호들에 대한 평균값으로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7. 영상의 색차 신호 간축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필터의 탭내에 필터링하고자 하는 색차 신호와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하지 않은 색차 신호가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하지 않는 색차 신호가 존재할 경우, 상기 필터탭내의 동일하지 않은 물체 영역에 속한 색차 신호를 마킹하여 이를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한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 재생 단계가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동일한 물체영역에 속하지 않은 소스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동일한 물체영역의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신호 재생 단계가 동일한 물체영역에 속하지 않는 모든 소스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동일한 물체영역내의 색차신호가 다수개 존재할 경우 해당 색차신호의 위치에서 동일한 물체영역내에서 공간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소스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색차 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 재생 단계가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동일한 물체영역에 속하지 않는 소스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2 개의 동일한 물체영역내의 소스 색차신호들의 평균값을 필터링할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 색차신호 재생시 소스 색차신호에 대해서 동일한 물체영역내의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소스 색차신호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이 소스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신호 재생 단계가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동일한 물체영역에 속하지 않는 소스 색차신호에 대해서 필터 탭내에 포함된 동일한 물체영역내의 모든 소스 색차신호들에 대한 평균값을 필터링할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단계로 이루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13. 각 화소값과 필터 계수를 탭 별로 연산하여 색차신호를 필터링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간축 필터링 장치에 있어서, 색차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을 통해 생성하고자 하는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인지를 판단하여 물체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배경 색차화소값들을 마킹하여 물체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 필터링할 화소가 배경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물체 색차화소값들을 마킹하여 배경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물체 색차화소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화소 재생기는 색차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 탭 내의 물체 색차화소들을 재생하기 위해 마킹하는 물체 색차화소 마커와 상기 물체 색차화소 마커에 의해 마킹된 화소값들을 배경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는 색차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 탭 내의 배경 색차화소들을 재생하기 위해 마킹하는 배경 색차화소 마커와 상기 배경 색차화소 마커에 의해 마킹된 화소값들을 물체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가 공간적으로 거리가 가장 가까운 마킹되지 않은 색차신호의 화소값을 마킹된 화소값으로 재생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는 공간적으로 거리가 가장 가까운 2 개의 마킹되지 않은 색차신호들의 평균값을 새로운 화소값으로 재생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는 필터탭내에 포함된 모든 마킹되지 않은 색차신호들의 평균값을 새로운 화소값으로 재생하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장치.
  18. 영상의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물체 정보 보간 필터링시 보간 필터의 탭내에 포함되는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수가 양수이고 필터의 탭 수보다 작을 경우, 휘도 신호의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자 하는 화소가 간축 물체 색차화소인지 간축 배경 색차화소인지를 구별하는 단계; 간축 물체 색차화소일 경우 보간 필터탭내의 간축 배경 색차화소들을 마킹하여 간축 물체 색차화소 값으로 재생하는 배경 색차화소 재생 단계; 해당 화소가 간축 배경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간축 물체 색차화소값들을 마킹하여 간축 배경 색차 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물체 색차화소 재생 단계 및 상기 물체 정보 보간 필터링을 위해 재생한 색차신호들을 보간 필터에 미리 설정된 필터 계수와 탭 별로 연산하여 색차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신호 재생시 간축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동일한 간축 물체 색차신호가 다수개 존재할 경우 보간 물체 색차신호의 위치에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간축 물체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물체 색차신호로 재생하고;
    상기 배경 색차신호 재생시 간축 물체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동일한 간축 배경 색차신호가 다수개 존재할 경우 보간 배경 색차신호의 위치에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간축 배경 색차신호를 필터링할 배경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신호 재생시 간축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2개의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평균값을 필터링할 물체 색차 신호로 재생하고;
    상기 배경 색차신호 재생시 간축 물체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가장 근접한 2개의 간축 배경 색차신호의 평균값을 필터링할 배경 색차 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신호 재생시 간축 배경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동일한 간축 물체 색차신호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그 간축 물체 색차신호를 보간 필터링을 위한 간축 물체 색차신호로 재생하고;
    상기 배경 색차신호 재생시 간축 물체 색차신호에 대해서 공간적 거리가 동일한 간축 배경 색차신호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 그 간축 배경 색차신호를 보간 필터링을 위한 간축 배경 색차신호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22.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물체 색차신호 재생시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간축 배경 색차신호를 필터 탭내의 모든 간축 물체 색차신호의 평균값으로 재생하고;
    상기 배경 색차신호 재생시 상기 필터 탭내에 포함된 모든 간축 물체 색차신호를 필터 탭내의 모든 간축 배경 색차신호의 평균값으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23. 영상의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방법에 있어서, 필터링하고자 하는 간축 색차 신호와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하지 않는 간축 색차 신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필터링하고자 하는 간축 색차 신호와 동일한 물체 영역에 속하지 않는 간축 색차 신호가 존재할 경우, 이들 신호들을 마킹하여 필터링하고자 하는 간축 색차 신호와 동일한 물체 영역의 화소값으로 재생한 후 얻어진 신호들을 가지고 보간 필터에 미리 설정된 필터 계수와 탭 별로 연산하여 색차신호를 필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24. 색차신호들을 보간 필터에 미리 설정된 필터 계수와 탭 별로 연산하여 색차신호를 보간 필터링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보간 필터링 장치에 있어서,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필터링하고자 하는 간축 색차 화소가 물체 색차화소인지 배경 색차화소인지를 판단하여 물체 색차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배경 색차 화소들을 마킹하여 물체 색차화소 값으로 재생하는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 및 배경 색차 화소일 경우 필터탭내의 물체 배경 색차 화소들을 마킹하여 배경 색차화소 값으로 재생하는 물체 색차화소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색차화소 재생기가 색차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보간 필터 탭 내의 배경 색차화소들을 재생하기 위해 마킹하는 배경 색차화소 마커와 상기 배경 색차화소 마커에 의해 마킹된 화소값들을 물체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 색차화소 재생기가 색차 모양정보를 이용하여 보간 필터 탭 내의 물체화소들을 재생하기 위해 마킹하는 물체 색차화소 마커와 상기 물체 색차화소 마커에 의해 마킹된 화소값들을 배경 색차화소값으로 재생하는 마킹된 화소값 재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장치.
KR10-1999-0017879A 1998-06-30 1999-05-18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 KR100367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7879A KR100367831B1 (ko) 1998-06-30 1999-05-18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
US09/335,636 US6577352B1 (en) 1998-06-30 1999-06-18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chrominance signals of image
AT99112285T ATE248486T1 (de) 1998-06-30 1999-06-25 Verfahren und apparat zum filtern von bildfarbsignalen
EP99112285A EP0969669B1 (en) 1998-06-30 1999-06-25 Method and apparatus for filtering chrominance signals of image
DE1999610695 DE69910695T2 (de) 1998-06-30 1999-06-25 Verfahren und Apparat zum Filtern von Bildfarbsignalen
JP18226899A JP3439155B2 (ja) 1998-06-30 1999-06-28 映像の色差信号フィルタリング方法及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80026100 1998-06-30
KR1019980026100 1998-06-30
KR10-1999-0017879A KR100367831B1 (ko) 1998-06-30 1999-05-18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682A KR20000005682A (ko) 2000-01-25
KR100367831B1 true KR100367831B1 (ko) 2003-01-10

Family

ID=2663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7879A KR100367831B1 (ko) 1998-06-30 1999-05-18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77352B1 (ko)
EP (1) EP0969669B1 (ko)
JP (1) JP3439155B2 (ko)
KR (1) KR100367831B1 (ko)
AT (1) ATE248486T1 (ko)
DE (1) DE6991069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2568B2 (en) * 2000-02-03 2006-07-04 Sony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producing apparatus, and reproducing method
US7133569B1 (en) * 2000-07-31 2006-11-07 Polaroid Corporation Aliasing artifact attenuation system
US7649947B2 (en) * 2001-06-05 2010-01-19 Qualcomm Incorporated Selective chrominance decimation for digital images
US7136417B2 (en) 2002-07-15 2006-11-14 Scientific-Atlanta, Inc. Chroma conversion optimization
KR20060015759A (ko) * 2003-06-23 2006-02-20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장면 합성을 위한 방법 및 디코더
CN101616329B (zh) * 2003-07-16 2013-01-0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色彩图像的视频编码/解码装置和方法
US7924922B2 (en) * 2005-03-07 2011-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or registration in a digital video
JP4614823B2 (ja) * 2005-05-31 2011-01-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ビデオ信号前処理方法,ビデオ信号前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前処理プログラム
CN101662679B (zh) * 2008-08-26 201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滤波的方法和装置
JP4785957B2 (ja) * 2009-06-17 2011-10-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ビデオ信号前処理方法,ビデオ信号前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前処理プログラム
JP4785953B2 (ja) * 2009-06-17 2011-10-0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ビデオ信号前処理方法,ビデオ信号前処理装置およびビデオ信号前処理プログラム
WO2012036468A2 (en) 2010-09-14 201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hierarchical picture encoding and decoding
CN103650512B (zh) * 2011-07-12 2017-04-19 英特尔公司 基于亮度的色度帧内预测
US9998750B2 (en) 2013-03-15 2018-06-12 Cisco Techno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uided conversion of video from a first to a second compression format
US11004213B2 (en) 2016-01-25 2021-05-11 KoreoGRFX,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motion of a devic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983A (ko) * 1995-04-08 1996-11-25 배순훈 확장-내삽을 이용한 윤곽선 물체의 부호화 장치
KR970073154A (ko) * 1996-04-09 1997-11-07 배순훈 물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인장-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having an object by using an extension-interpolation technique)
JPH113414A (ja) * 1996-06-07 1999-01-06 Ultimatte Corp 画像合成システムにおいて見えないウィンドウ・エッジを生成する方法
WO1999017553A1 (en) * 1997-09-30 1999-04-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mixing pictures and a display apparatus
KR19990065601A (ko) * 1998-01-15 1999-08-05 구자홍 칼라 영상의 선명도 향상회로
KR20000060403A (ko) * 1999-03-15 2000-10-16 구자홍 영상 데이터의 칼라 포맷 변환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3232A (en) * 1990-08-01 1994-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Filter device for decimation and interpolation of chrominance components of a video signal
US5748804A (en) * 1992-05-14 1998-05-05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images with symbols with dense edges
US5268967A (en) * 1992-06-29 1993-12-0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utomatic foreground and background detection in digital radiographic images
JP3503166B2 (ja) * 1993-07-29 2004-03-02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変換装置および方法
US5598514A (en) * 1993-08-09 1997-01-28 C-Cube Microsystems Structure and method for a multistandard video encoder/decoder
EP0673153B1 (en) * 1994-03-18 2001-10-10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n abstract image
US5631976A (en) * 1994-04-29 1997-05-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Object imaging system
US5640200A (en) * 1994-08-31 1997-06-17 Cognex Corporation Golden template comparison using efficient image registration
JPH08154172A (ja) * 1994-11-29 1996-06-11 Hitachi Ltd 画像処理方法、画像ファイル及び画像処理用ファイル
KR100423379B1 (ko) * 1995-05-12 2004-07-2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키신호생성장치및화상합성장치와,키신호생성방법및화상합성방법
US5778104A (en) * 1996-06-19 1998-07-07 Northrop Grumman Corporation Adaptive luminance-based filter
US5748789A (en) * 1996-10-31 1998-05-05 Microsoft Corporation Transparent block skipping in object-based video coding systems
US6192162B1 (en) * 1998-08-17 2001-02-20 Eastman Kodak Company Edge enhancing colored digital imag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9983A (ko) * 1995-04-08 1996-11-25 배순훈 확장-내삽을 이용한 윤곽선 물체의 부호화 장치
KR970073154A (ko) * 1996-04-09 1997-11-07 배순훈 물체를 포함하는 영상신호를 인장-보간 기법을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mage signal having an object by using an extension-interpolation technique)
JPH113414A (ja) * 1996-06-07 1999-01-06 Ultimatte Corp 画像合成システムにおいて見えないウィンドウ・エッジを生成する方法
WO1999017553A1 (en) * 1997-09-30 1999-04-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for mixing pictures and a display apparatus
KR19990065601A (ko) * 1998-01-15 1999-08-05 구자홍 칼라 영상의 선명도 향상회로
KR20000060403A (ko) * 1999-03-15 2000-10-16 구자홍 영상 데이터의 칼라 포맷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77352B1 (en) 2003-06-10
EP0969669B1 (en) 2003-08-27
JP2000050305A (ja) 2000-02-18
ATE248486T1 (de) 2003-09-15
DE69910695T2 (de) 2004-06-17
EP0969669A2 (en) 2000-01-05
EP0969669A3 (en) 2000-11-22
JP3439155B2 (ja) 2003-08-25
DE69910695D1 (de) 2003-10-02
KR20000005682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831B1 (ko) 영상의 색차신호 필터링 방법 및 장치
US5946043A (en) Video coding using adaptive coding of block parameters for coded/uncoded blocks
AU648969B2 (en)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using a plurality of motion compensators
CN100539694C (zh) 运动图象解码方法和运动图象解码设备
US6665445B1 (en) Data structure for image transmission, image 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US7408990B2 (en) Efficient motion vector coding for video compression
US7421127B2 (en) Spatial scalable compression scheme using spatial sharpness enhancement techniques
RU257325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е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де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способ код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а изображ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US5694173A (en) Video data arranging method and video data encoding/decoding apparatus
KR100701443B1 (ko) 코드화된 비디오 신호의 트랜스코딩 방법 및 움직임 벡터 선택의 트랜스코더
KR20060105408A (ko) 영상 신호의 스케일러블 인코딩 및 디코딩 방법
JP2001514830A (ja) ビデオ画像の誤り隠蔽
KR20090007461A (ko) 기준 픽쳐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인코딩/디코딩하는 방법 및 장치
JPH1155664A (ja) 二値形状信号符号化装置
KR20080000588A (ko) 기준 픽쳐를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디코딩하는 방법 및장치
US6229930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data structure, and data storage media
JPH0937243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復号装置
KR100256859B1 (ko) 동화상을 코딩/인코딩하는 장치와 방법 그리고동화상을 저장하는 저장매체
US6556714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3439146B2 (ja) 飛越し走査方式映像のための色差信号形状情報抽出方法及び装置
US7426311B1 (en) Object-based coding and decoding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mage signals
KR20040086400A (ko) 비디오 이미지 처리 방법
JP4909592B2 (ja) 動画像再生方法及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552263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ディジタル画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4193252B2 (ja)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信号復号装置、並びに信号符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