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7304B1 -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304B1
KR100367304B1 KR10-2000-7004333A KR20007004333A KR100367304B1 KR 100367304 B1 KR100367304 B1 KR 100367304B1 KR 20007004333 A KR20007004333 A KR 20007004333A KR 100367304 B1 KR100367304 B1 KR 100367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sealing ring
cooking vessel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1339A (ko
Inventor
한스위르겐 벡
아몰드 텔렌
우베 디트리히
Original Assignee
에이엠씨 인터내셔날 알파 메탈크래프트 코포레이션에이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엠씨 인터내셔날 알파 메탈크래프트 코포레이션에이쥐 filed Critical 에이엠씨 인터내셔날 알파 메탈크래프트 코포레이션에이쥐
Publication of KR2001003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3Locking devices using a clamping ring or clamping seg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향 절곡된 원륜상 용기 테두리(2)를 갖는 조리용기(1)와 외향 절곡된 원륜상 뚜껑 테두리(4)를 갖는 뚜껑(3)을 포함하는 조리 용기에 관한 것이다. 용기는 용기 테두리와 뚜껑 테두리에서 작용하는 밀폐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뚜껑으로 밀봉된다. 밀폐 메카니즘은 용기 테두리 외주에 설치된 내측으로 개방된 C-형 단면의 밀폐 링을 갖고 있다. 이 밀폐 링은 작동 메카니즘(7)의 도움으로 뚜껑(3)이 용기로부터 들어올려질 수 있는 큰 직경의 개방위치로부터 용기 테두리와 뚜껑 테두리가 밀폐 링의 상부 측벽(8,9)와 하부 측벽(8,9) 사이에 위치하는 밀봉 링과 함께 압착되는 작은 직경의 밀폐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안전성과 작동의 용이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밀폐 링은 외주 측벽에 측벽의 연부 쪽으로 개방되고 외주연부에 걸쳐 분산된 방사상 홈(10)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또한 측벽들을 외주 방향으로 길이가 짧은 C-형 단면의 절곡편(16)으로 형성하여 이 절곡편들을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외측의 원륜상 연결 부재(11) 내주면에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조리 용기{COOKING VESSEL}
본 발명에서 밀폐 메카니즘은 내측으로 개방되는 C-형 단면의 밀폐 링을 포함하는바, 이 밀폐 링은 용기의 전체 외주에 걸쳐지고 높이가 변하지 않지만 방사방향의 개방위치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고유의 강성을 갖고 있으며, 뚜껑에 설치된 작동 메카니즘에 의하여 용기 테두리가 밀폐 링의 하부 측벽으로부터 벗어나서 뚜껑을 분리할 수 있는 큰 직경의 개방위치로부터 용기 테두리와 뚜껑 테두리가 밀폐 링의 상하 두 측벽 사이에 있는 밀봉 링을 사이에 두고 압착되는 작은 직경의 밀폐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었다.
이러한 형태의 조리용기는 WO-A-96 35621호에 공개되었다. 이 용기의 뚜껑은 외향 절곡된 원륜상 테두리를 갖고 있는 용기에 사용하도록 되었다. 용기는 용기 테두리의 외주연부에 작용하는 밀폐 메카니즘을 갖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뚜껑 테두리에 팽창하였을 때 직경이 커지도록된 탄성 금속으로된 개폐 링이 설치되어있다. 안전위치에서는 밀폐 링이 원륜상 용기 테두리와 뚜껑 테두리의 원륜상 비절곡 부분 사이에 압착된다. 밀폐 메카니즘은 스프링 탄성에 반발하도록 밀폐 링의 직경을 확장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밀폐 링은 밀폐 메카니즘이 작용하는 양측 단부 사이에 있는 연속 측벽을 갖는 C-형 단면형태로 되었다. 이러한 밀폐 링의 문제점은 밀폐위치에 있는 밀폐 링이 완전한 원형을 형성하지 않으므로 최대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 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문제점은 압력용기에서 나타나는 압력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밀폐 링을 높이가 변형되지 않으면서 방사방향의 필요한 탄성과 용이한 조절능력을 갖는 비교적 강한 물질로 제조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요구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은 그리 용이한 일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 조리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생산비의 증가 없이 더 안전하고 작동이 용이한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원륜상 테두리를 갖는 조리할 음식물을 수용하는 조리용기와 원륜상 테두리를 갖는 뚜껑을 포함하고 용기 테두리와 뚜껑 테두리에서 작용하는 밀폐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뚜껑이 조리용기에 밀봉 결합되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 링의 외주에 걸쳐서 분산된 내측으로 개방된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갖는 방사상의 홈을 형성하거나 또는 원륜상 연결 부재에 외주를 따라 분산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짧은 길이의 C-형 단면 절곡편을 부착하여 형성한 밀폐 링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한 길이와 폭을 갖는 홈 또는 공간부에 의하여 높이가 변경되는 밀폐 링의 변형이 없이 최적의 작동성이 얻어진다. 따라서 밀폐 링 또는 C-형 단면의 절곡편들은 밀폐 안전성이 나타나도록 두꺼운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두꺼운 재질로 형성하여도 작동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밀폐 링의 외주가 홈 또는 공간부에 의하여 원형 형태에 가깝도록 형성되므로 안전성은 더 증가한다.
밀폐 링의 하부 측벽이 상부 측벽 보다 짧도록 밀폐 링의 측벽 길이를 다르게 하면 개방위치의 외측 방향으로 밀폐 링이 이동하는 중에 상부 측벽이 뚜껑 테두리에 지지된 상태에서 용기 테두리는 하부 측벽에서 벗어나게 되고, 홈의 길이 차이에 의하여 상부 및 하부 측벽에서의 방사상 변형이 동시에 일어나게 되어 두 측벽의 홈들은 C-형 바닥 측벽의 표면에서 동일한 거리에서 끝나게 된다.
또 하나의 기능성 안전성의 개선은 밀폐 링이 뚜껑에 있는 스프링으로 분리되게 지지된 뚜껑 축에 수직으로 되게 설치된 덮개 링에 안내되게 하므로 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예에서는 밀폐 링이 개방위치에서 덮개 링에 의하여 형성되고 뚜껑 외주에 평행하게 연장된 외주 지지턱에 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은 밀폐 링의 하부 측벽의 내측 테두리 연부가 밀폐 링의 개방위치에서 뚜껑을 쉽게 올려놓고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데 요구되는 용기 테두리의 해당 연부로부터 최소한의 간격만이 나타나도록 형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이점은 용기 테두리와 뚜껑 테두리 및 밀폐 링의 두 플랭크가 대향되게 절곡된 절곡부를 갖고 있어서 테두리와 플랭크가 서로 견고하게 접촉하고 이러한 부재들이 서로 안내되도록 하므로 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에 따르면 밀폐 링이 그 직경이 감소하는 개방위치에서 자동적으로 밀폐위치로 이동하도록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안전성의 증가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는 밀폐 링의 두 단부가 힘을 주기 위한 작동 메카니즘에 연결되면 개폐작동이 더 용이하게 된다.
작동 메카니즘은 작동 소자의 이동이 밀폐 링을 외주 방향으로 밀폐 링의 단부를 이동시키는 힘의 전달 및 변환을 가져온다.
밀폐 링이 자동적으로 개방위치로부터 밀폐위치로 이동 및 그 반대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작동 메카니즘과 밀폐 링 자체 및 밀폐 링의 단부들이 개방 및 밀폐 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어야 한다.
안전성을 위하여 작동 메카니즘은 용기 내부의 압력이 배출되었을 때 만 밀폐 링이 밀폐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되도록 밀폐 링을 벌어지게 하는 작동이 시작되도록 중립압력 안전 메카니즘과 결합될 수 있다.
작동 메카니즘은 개방을 위한 작동 중에 일차적으로 용기 내부에 압력이 해소될 때까지 증기를 배출하고, 중립압력 안전 메카니즘은 밀폐 링의 단부 들이 잠금 부재로부터 벗겨지고 작동 소자가 잠금 소자를 개방하여 밀폐 링의 단부들이 외주방향으로 분리되게 이동하도록 하는 작동경로를 수행하게 된다.
작동 메카니즘은 작동 부재로서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바, 이 슬라이더에 의하여 중립압력 안전 메카니즘, 추가된 작동 부재인 밀폐 링을 개방하기 위한 로타리 버튼 및 밀폐 링의 단부들이 잠기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보다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 들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1은 본 발명의 조리용기에 사용되는 뚜껑의 저면도이고,
도2는 도1의 뚜껑과 조리용기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며,
도3a와 3b는 다르게 표현한 도2에 해당하는 개략도로서, 도3a는 개방상태의 밀폐 링을 도시한 것이고 도3b는 밀폐 상태의 밀폐 링을 도시한 것이며,
도4a 및 5a는 밀폐 링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이고,
도4b 및 5b는 각각 도4a 및 도5a의 A-A 단면도이며,
도6은 작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뚜껑의 일부 절취 저면 사시도이고,
도7 및 8은 밀폐 링을 위한 작동 메카니즘이 설치된 조리용기 부분의 일부 절취 사시도이다.
[도면에 의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에 도시된 조리용기는 조리할 재료를 수용하는 용기(1)와 용기 내부를 압력 밀봉하는 뚜껑(3)을 포함한다. 용기(1)는 완만하게 외향 잘곡된 원륜상 용기 테두리(2)를 갖고 있으며, 뚜껑(3)은 완만하게 외향 절곡된 뚜껑 테두리(4)를 갖고 있다. 용기 테두리(2)와 뚜껑 테두리(4)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외주연부에 상향 절곡된 절곡 연부(14)를 갖고 있다.
조리 용기용 밀폐 메카니즘은 용기 외주연부에 설치되는 단단한 밀폐 링(6)을 갖고 있으며, 이 밀폐 링(6)은 내측으로 개방된 C-형 단면 형태로 되었고, 높이는 변하지 않지만 방사 방향으로는 탄성적으로 변형되게 되었다. 이 밀폐 링(6)은 뚜껑(3)에 설치된 작동 메카니즘(7)의 도움으로 큰 직경의 개방위치로부터 작은 직경의 밀폐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밀폐 링(6)의 개방위치에서는 용기 테두리(2)가 밀폐 링(6)의 하부 측벽(8)으로부터 벗어나서, 뚜껑(3)을 용기(1)로부터 위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밀폐 링(6)의 폐쇄위치에서는 밀폐 링(6)의 하부 측벽(8)이 개방위치에 있을 때 보다 작은 직경으로 되면서 용기 데두리(2)와 뚜껑 테두리(4)가 밀폐 링(6)의 하부 짧은 측벽(8)과 상부 긴 측벽(9)사이에 위치하는 밀봉 링(5)을 사이에 두고 압착된다.
도4a 내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링(6)은 밀폐 링(6)의 외주에 균일하게 형성된 일정한 깊이와 폭을 갖는 두 개의 측벽(8)(9)와 홈(10)을 갖고 있다. 또한 전술한 밀페 링(6)은 폭이 작은 C-형 단면의 절곡편을 와이어와 같은 원륜상 연결 부재(11')에 일정한 간격으로 스폿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4a에 따르면 짧은 측벽(8)과 긴 측벽(9) 사이에 형성되는 홈(10)은 그 길이가 다르게되었으며, 각개 슬롯들의 바닥은 C-형 소재의 바닥 측벽에서 일정한 거리에 위치하고 있다.
도2 내지 3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폐 링(6)의 내주면부를 형성하는 측벽(8)(9)의 외단부에는 용기 테두리(2)와 뚜껑 테두리(4)와 접촉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내측으로 꾸부러진 절곡 연부(14)가 형성되었다.
도3a 및 3b에 따르면, 개방 및 밀폐작동 시의 밀폐 링(6)은 회전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놓여 있는 합성수지제 덮개 링(12)에서 안내되는바, 이 덮개 링(12)은 금속 뚜껑(3)에 있는 스프링(도시하지 않았음)의 도움으로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되었다. 이 덮개 링(12)은 밀폐 링(6)을 위한 작동 메카니즘(7)(도6 내지8 참조)을 받아들이도록 되었다. 덮개 링(12)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위치의 밀폐링(6)이 C-형 원륜상 연결 부재(11)와 접촉하여 중앙에 지지되도록 하는 원륜상 지지턱(13)을 형성한다.
도1 및 도6 내지 도8에 따르면, 작동 메카니즘(7)은 밀폐위치에서 밀폐 링(6)의 잠금편(16)을 가로질러서 잠그는 방사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는 잠금 소자(15)를 갖고 있다. 이 작동 메카니즘(7)은 예를 들면 로타리 버튼과 같은 구조로 된 또 하나의 작동 소자(도시하지 않았음)를 밀폐 링(6)의 단부를 원주 방향 쪽으로 이동시키는 레버 기어(17)를 포함한다.
개방작동은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작동 메카니즘(7)의 슬라이더(18)에 의하여 용기 내부는 배출 증기에 의하여 중립압력으로 된다. 이어서 중립압력 안전 메카니즘은 슬라이더(18)의 경로를 따라 진행된다. 그에 따라 잠금 소자(15)는 그의 개방위치로 이동한다. 동시에, 밀폐 링(6)이 개방되도록 로타리 버튼이 분리된다. 로타리 버튼의 회전은 밀폐 링(6)의 단부를 밀폐 링(6)이 그 직경이 크게되는 방향에서 밀폐 링이 뚜껑 링(12)의 외주 지지턱(13)에 지지될 때까지 이동시킨다. 개방위치에서는 로타리 버튼이 밀폐 링(6)이 그 원륜상 중앙 개방위치에 유지되도록 협지된다. 이 위치에서는 용기 테두리(2)가 밀폐 링(6)의 하부 측벽(8)으로부터 분리되므로 뚜껑(3)을 용기로부터 쉽게 위로 들어올릴 수 있다.
밀폐할 때는 밀폐 링(6)의 단부들이 합쳐지면서 밀폐위치로 되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용기 테두리(2)와 뚜껑 테두리(4)가 밀봉 링(5)을 사이에 두고 밀폐 링(6)의 측벽(8),(9)에 의하여 밀착된다. 이러한 공정은 밀폐 링(6)의 보강에 의하여 향상되므로 개폐작동이 용이하게 된다. 뒤이어 전술한 방법으로 슬라이더(18)에 의하여 잠가진다.
[도면의 부호설명]
1... 용기
2... 용기 테두리
3... 뚜껑
4... 뚜껑테두리
5... 밀봉링
6... 밀폐링
7... 작동메카니즘
8... 하부측벽
9... 긴측벽
10... 홈
10'... 공간
11... 연결부재
11'... 연결부재
12... 덮개링
13... 원륜상 지지턱
14... 절곡연부
15... 잠금부재
16... 잠금편
17... 레버기어
18... 슬라이더

Claims (12)

  1. 외향 절곡된 용기 테두리(2)를 갖는 용기(1)와 외향 절곡된 뚜껑 테두리(4)를 갖는 용기(1)위에 덮이는 뚜껑(3)을 포함하고 용기(1)가 용기 테두리(2)와 뚜껑 테두리(4)에서 작동하는 밀폐 메카니즘의 도움으로 뚜껑(3)에 의하여 기밀성으로 밀봉되도록 되었으며, 밀폐 메카니즘은 용기의 전체 외주에 씌워지는 높이가 변경되지 않고 방사방향으로만 탄성적으로 변형되며 뚜껑(3)에 설치된 작동 메카니즘(7)의 도움으로 용기 테두리(2)가 하부 측벽(8)에서 벗어나서 뚜껑(3)을 들어올릴 수 있는 큰 직경의 개방위치로부터 용기 테두리(2)와 뚜껑 테두리(4)가 상부(9) 및 하부 측벽(8)과 함께 밀봉 링(5)을 사이에 두고 압착되는 내측으로 개방된 C-형 단면의 단단한 밀폐 링(6)을 포함하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밀폐 링(6)의 원륜상 측벽(8,9)이 내측 연부 쪽으로 개방되고 원주 상에 분산된 일정한 길이와 폭의 홈(10)을 갖고 있거나 또는 측벽(8,9)들이 원주상에 일정한 공간부(10')가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원륜상 연결 부재(11')에 부착하여서된 짧은 C-형 단면의 절곡편(16)으로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2. 제1항에서, 하부 측벽(8)과 상부 측벽(9)의 홈(10)들이 C-형 단면의 연결부재 바닥면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3. 제1 또는 2항에서, 밀폐 링(6)이 뚜껑(3)에 있는 스프링과 분리될 수 있게결합되고 뚜껑 축에 수직으로 된 합성수지 덮개 링(12)에서 안내되게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밀폐위치의 밀폐 링(6)이 뚜껑의 외주에 평행하게 연장된 덮개 링(12)에 의하여 형성된 외주 지지턱(13)에 지지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용기 테두리(2)와 뚜껑 테두리(4) 및 밀폐 링(6)의 측벽(8,9)가 서로 대향되게 절곡된 절곡 연부(14)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밀폐 링(6)이 그 직경이 축소되도록 압력을 받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밀폐 링(6)의 두 단부가 압력을 가하는 작동 메카니즘(7)에 연결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8. 제1항에서, 작동 메카니즘(7)에서 작동 소자의 운동으로부터 외주 방향으로의 밀폐 링(6) 운동으로 힘의 전달과 변환이 일어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작동 메카니즘(7) 및/또는 밀폐 링(6)이 개방위치 및/또는 밀폐위치에서 정지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작동 메카니즘(7)이 중립압력 안전 메카니즘과 결합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11. 제8항에서, 작동 메카니즘(7)의 개방 작동 중에 용기 내부의 압력이 중립압력으로 될 때까지 용기 내부의 증기가 배출되며, 중립압력 메카니즘은 밀폐 링(6)의 단부가 잠금 부재(15)에서 벗어나서 밀폐 링(6)의 단부들이 외주 방향으로 분리되는 이동을 할 수 있도록 작동 소자가 밀폐 링(6)을 개방시킬 수 있는 작동 경로를 따라 작동되도록 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12. 제1항, 제2항 또는 제8항 중의 한 항에서, 작동 메카니즘이 중립압력 안전 메카니즘, 밀폐 링(6)을 개방하기 위한 로타리 버튼을 잠그는 작동 소자인 슬라이더(18)를 갖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KR10-2000-7004333A 1997-10-22 1998-10-02 조리 용기 KR100367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46509.9 1997-10-22
DE19746509A DE19746509C2 (de) 1997-10-22 1997-10-22 Kochgefä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339A KR20010031339A (ko) 2001-04-16
KR100367304B1 true KR100367304B1 (ko) 2003-01-09

Family

ID=784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333A KR100367304B1 (ko) 1997-10-22 1998-10-02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540097B1 (ko)
EP (1) EP1024735B1 (ko)
JP (1) JP3637532B2 (ko)
KR (1) KR100367304B1 (ko)
CN (1) CN1133392C (ko)
AT (1) ATE212522T1 (ko)
DE (2) DE19746509C2 (ko)
ES (1) ES2172228T3 (ko)
HR (1) HRP20000238B1 (ko)
MY (1) MY126836A (ko)
PL (1) PL187860B1 (ko)
WO (1) WO1999020164A1 (ko)
YU (1) YU49157B (ko)
ZA (1) ZA9893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56463B3 (de) * 2004-11-23 2006-03-16 Gero Vertriebs Gmbh Kochgefäß
US7802827B2 (en) * 2005-11-07 2010-09-28 Rieke Corporation Closing ring for lid and container combination
US7497489B2 (en) * 2006-10-03 2009-03-03 Rieke Corporation Container and lid combination with closing ring assembly
ES2566231B1 (es) * 2014-10-09 2016-11-30 Isogona, S.L. Tapa para olla a presión
AU2018316266A1 (en) 2017-08-09 2020-02-20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4447S1 (en) 2018-06-19 2021-03-30 Sharkninja Operating Llc Air diffuser
USD883015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and parts thereof
USD883014S1 (en) 2018-08-09 2020-05-05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D903413S1 (en) 2018-08-09 2020-12-01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basket
USD934027S1 (en) 2018-08-09 2021-10-26 Sharkninja Operating Llc Reversible cooking rack
EP3931493A1 (en) 2019-02-25 2022-01-05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system with guard
US20190254476A1 (en) 2019-02-25 2019-08-2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D918654S1 (en) 2019-06-06 2021-05-11 Sharkninja Operating Llc Grill plate
USD982375S1 (en) 2019-06-06 2023-04-04 Sharkninja Operating Llc Food preparation device
US11647861B2 (en) 2020-03-30 2023-05-1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81150A (en) * 1922-03-20 1928-08-14 Self Seal Pressure Cooker Co I Container
US1682203A (en) * 1922-03-24 1928-08-28 Pressure cooker
US1784516A (en) * 1927-03-19 1930-12-09 Luke J Fairbanks Container and means for holding said containers in cooperation
US1901699A (en) * 1931-03-30 1933-03-14 Burper Can Sealer Company Cover clamp for pressure cooking vessels
US2191975A (en) * 1936-07-06 1940-02-27 Percy W Stephens Pressure cooker
US2801764A (en) * 1954-12-03 1957-08-06 Luber Finer Inc Sealing structure
US3193129A (en) * 1963-01-31 1965-07-06 Berkefeld Filter Ges Und Celle Multiple section container
US4219125A (en) * 1978-12-07 1980-08-26 Structural Fibers, Inc. Tank closure assembly
US4294377A (en) 1980-03-14 1981-10-13 Chen Shin I Constant pressure cooker and fastener
DE3232907A1 (de) * 1982-09-04 1984-03-08 Boehm, Hans-Georg, Dipl.-Phys. Dr.rer.nat, 6242 Kronberg Dampfdruckkochtopf
US4828300A (en) * 1987-10-01 1989-05-09 Olson Manufacturing Co. Retaining ring
KR0181712B1 (ko) 1990-05-26 1999-03-20 호르스트 슐츠 조리용기
US5284270A (en) * 1991-08-02 1994-02-08 Self Industries, Inc. Lever latch ring for securing a cover panel to a container
US5361928A (en) * 1992-06-08 1994-11-08 Stolzman Michael D Closure assembly
SK112796A3 (en) * 1994-03-04 1997-04-09 Nordpunkt Ag Sterilization container
HRP960207B1 (en) 1995-05-08 2000-10-31 Amc Int Alfa Metalcraft Corp Cover for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37532B2 (ja) 2005-04-13
ATE212522T1 (de) 2002-02-15
YU49157B (sh) 2004-03-12
US6540097B1 (en) 2003-04-01
DE59802983D1 (de) 2002-03-14
CN1276707A (zh) 2000-12-13
ES2172228T3 (es) 2002-09-16
EP1024735A1 (en) 2000-08-09
WO1999020164A1 (de) 1999-04-29
ZA989372B (en) 1999-04-19
JP2003517323A (ja) 2003-05-27
PL187860B1 (pl) 2004-10-29
HRP20000238B1 (en) 2003-12-31
DE19746509C2 (de) 2003-03-27
DE19746509A1 (de) 1999-04-29
KR20010031339A (ko) 2001-04-16
MY126836A (en) 2006-10-31
YU21900A (sh) 2001-09-28
PL339859A1 (en) 2001-01-15
HRP20000238A2 (en) 2001-02-28
CN1133392C (zh) 2004-01-07
EP1024735B1 (de) 2002-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304B1 (ko) 조리 용기
US3885672A (en) Combined stacking ring and container cover
US5762228A (en) Vented seal with rocking vent cover
US4504009A (en) Closure having means for retention in tubular container
FI84425C (fi) Tryckkokare med taetning foer saekring mot tryckfall i kittelns insida.
KR100217539B1 (ko) 용기용 마개 조립체
GB2023555A (en) Container closure
EP0445977B1 (en) Manlid for a container tank
US3223278A (en) Snap ring closure seal for plastic containers
IE912926A1 (en) Cooking pot
US3840144A (en) Plastic cover for cylindrical containers of large capacity
US6412717B1 (en) Grater
US2120487A (en) Container
US20070295221A1 (en) Pressure-Cooking Recipient Provided With A Lid Engageable By Controlled-Deformation And A Corresponding Lid
FI69959C (fi) Lock
KR19980071414A (ko) 식품 및 액체 용기용 뚜껑
US3424340A (en) Shipping containers and plastic lids therefor
EP0552210A4 (en) Pressurized fuel vessel
US4182461A (en) Closure arrangement for container
US3225958A (en) Plastic overcap for domed top aerosol can
US4369892A (en) Container with expansion type locking closure
CA1130241A (en) Canister closure
CA1084879A (en) Overcap for aerosol container
JPS6058102B2 (ja) 張力帯鋼および該張力帯鋼を用いる容器の密閉方法
JPH02180217A (ja) 電子レンジ容器用圧力調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