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717B1 -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 Google Patents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717B1
KR100366717B1 KR10-2000-0011404A KR20000011404A KR100366717B1 KR 100366717 B1 KR100366717 B1 KR 100366717B1 KR 20000011404 A KR20000011404 A KR 20000011404A KR 100366717 B1 KR100366717 B1 KR 100366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quantum
particles
ultra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6946A (ko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엠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엠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엠씨텍
Priority to KR10-2000-001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717B1/ko
Publication of KR20010086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6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liqu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5/02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Landscapes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에 대한 것이다. 콴텀홀이란 구멍의 직경의 크기가 나노미터 단위의 크기를 가지는 구멍을 말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콴텀홀을 가공하는 기술을 바탕으로 수 나노미터 단위의 초 미립자를 다른 초 미립자로부터 분리하거나 필요한 갯수만큼 추출해 내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은 유전자를 분리해 내서 특정유전자를 분리해 내는 기술등에 응용이 가능하다. 전기적 성질을 가지는 초 미립자에 전계를 형성하여 전기적으로 유도하여 이동시키며, 또한 이들을 콴텀홀을 가지는 박막을 사용하여 필요한 크기의 초 미립자만 선택적으로 이동시키어 모을 수 있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THE METHOD AND APPARATUS OF SEPARTING VERY MINUTE PARTICLES BY USING QUANTUM AND ELECTRIC FIELD}
본 발명은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 미립자의 크기에 따른 분리를 가능케 하며, 특정한 크기를 가지는 초 미립자만 선택적으로 가려 낼 수 있는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미립자를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된 정보를 가지고, 로보트를 사용하여 하나하나의 초미립자를 분리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이러한 분리방법은 매우 수동적이며,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초 미립자의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으며, 특정한 크기를 가지는 초미립자만 선택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계를 이용하여 특수한 물질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일정개수의 초 미립자를 추출할 수 있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는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이 담겨져 있는 통체(31)와;상기 통체(31)의 내부에 삽입되고, 감싸여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특정한 크기의 기준미립자보다 조금 큰 콴텀홀이 형성되어 추출하고자 하는 특정 초미립자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와;이 필터의 상,하측을 지지하는 상,하측지지부와;상기 필터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져 공간에 전류공급장치(30)에서 전류를 공급받아 상반되는 극성의 전계를 형성하여 초미립자를 유인할 수 있는 전극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방법은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이 담겨져 있는 통체(31)를 제공하는 단계와;상,하측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감싸여져 공간을 이루며, 특정한 크기의 기준미립자보다 조금 큰 콴텀홀이 형성된 필터를 상기 통체(31)의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에 담그는 단계와;상기 필터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 전류공급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을 삽입하는 단계와;상기 전류공급장치(30)에서 전류를 상기 전극으로 공급하여 상기 콴텀홀을 통해 필터 내부 공간으로 미립자를 유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전계와 콴텀홀을 이용한 초미립자의 분리장치의 한 실시예도,
제 2 도는 다양한 종류의 초미립자를 제 1 도의 분리장치에 부은 상태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분리장치의 기준전극과 소경전극에 양극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상태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분리장치에 기준필터와 소경필터에 음극의 전류를 흐르게 하는 상태도,
제 5 도는 제 1 도의 분리장치에서 기준미립자를 완전히 분리한 상태의 상태도,
제 6 도는 기준미립자를 일정한 갯수만큼 추출할 수 있는 장치의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
1:제 1 단자 2:제 2 단자 3:제 3 단자
4:제 4 단자 5:대경공간 6:기준공간
7:소경공간 8:기준필터 9:소경필터
10:기준전극 11:소경전극 12:콴텀홀
13:미립자선택장치 14:전류단자 30:전류공급장치
31:통체 32:덮개 33:제1상층지지부
34:제1하측지지부 35:제2상층지지부 36:제2하측지지부37:필터 38:상층지지부 39:하측지지부
본 발명은 초미립자를 전계를 사용하여 이동시키며, 이들을 특수한 크기의 초미립자만 선택하기 위하여 일정크기의 콴텀홀을 이용하여 필터링하게 하며 원하는 크기의 초미립자만을 분리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정 초미립자를 다수의 초미립자로 부터 원하는 갯수만큼 추출해 낼 수가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콴텀홀이란 나노미터 단위의 크기를 가지는 홀이 무수히 형성되어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콴텀홀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집속이온빔(FOCUSED ION BEAM 약자로 FIB라 칭함)에 의하여 형성한다. 이온빔의 직경을 수 nm ( =0.1㎛ )에서 부터 수백 nm ( =0.1㎛ )의 크기정도 포커싱하여 박막의 기판위에 콴텀홀을 형성한다. FOCUSED ION BEAM을 이용하여 콴텀홀을 형성함에 있어서 포커싱되어지고 가속전압에 의하여 운동력을 가지게 된 이온빔을 자계에 의하여 극미세 박막에 주사하듯이 스퍼터링하게 되면 이온빔의 굵기와 동일한 스폿형상의 콴텀홀이 규칙적으로 형성이 되어지게 된다. 고 진공상태에서 이를 행하게 되면 짧은시간 이내의 수백만개의 콴텀홀을 형성할 수가 있게 된다. 극미세 박막의 소재에 따라 달라지나 1 mm X 1mm 의 넓이의 면적은 불과 수십분이내에 100nm의 깊이로 400만개 정도의 콴텀홀을 형성할 수가 있다. 이때 형성이 되어지는 콴텀홀의 깊이는 이온빔을 가속시키는 가속전압을 조절함으로서 가능하며, 콴텀홀과 콴텀홀간의 간격의 조절은 배율을 조절함으로서 가능하며, 콴텀홀의 크기는 포커싱의 정도를 조절함으로서 가능하다. 이와 같이 가속전압과 배율과 포커싱 정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크기와 깊이와 간격의 콴텀홀의 제작이 가능하며, 상기 FOCUSED ION BEAM을 이용하여 짧은 시간안에 무수한 콴텀홀의 형성을 가능케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콴텀홀을 형성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콴텀홀을 본 발명에서는 얇은 박막에 관통하게 형성하여 초미립자를 걸르는 필터로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초미립자 분리장치에 대한 설명도이다. 특정크기의 콴텀홀에 의하여 형성이 되어진 기준필터(8)가 상부가 개방된 통체(31)와 이 통체(31)의 개방부를 덮고 있는 덮개(32)로 구성된 큰통안에 삽입되어진다. 이 기준필터(8)는 제1 상측지지부(33)와 제 1 하측지지부(34)에 지지되어 감싸여져 기준공간(6)을 형성한다. 즉, 기준필터(8)란 분리하고자 하는 특정한 초미립자의 크기보다 조금 더 큰 콴텀홀이 형성되어진 필터를 의미하며, 수많은 콴텀홀이 관통되게 형성되어진 극히 얇은 박막으로 기준공간(6)을 형성하며, 상기 기준필터를 통하여 기준필터를 구성하는 콴텀홀의 크기보다 작은 사이즈의 초미립자만 기준공간내로 들어올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분리하고자 하는 크기의 초미립자의 직경의 크기를 기준사이즈라고 정의하겠다. 상기 기준필터에 의하여 형성되는 기준공간(6)의 내부에는 다시 기준필터를 형성하는 콴텀홀의 크기보다도 더욱 미세한 관통홀을 형성한 소경필터(9)가 형성되며, 상기 소경필터를 통하여 더욱 미세한 초미립자가 들어갈 수 있는 소경공간(7)이 형성이 되어진다. 즉, 이 소경필터(9)는 제2 상측지지부(35)와 제2 하측지지부(36)에 지지되어 감싸여져 소경공간(7)을 형성한다. 상기 기준필터(8)와 상기 상부가 개방된 통체(31)의 사이에는 기준사이즈보다 더 큰 초미립자들이 존재하는 대경공간(5)이 형성이 되어진다. 또한 소경공간(7)내에는 소경전극(11)이 형성되어지며 기준공간(6)내에는 기준전극(10)이 형성이 되어 진다.상기 기준필터(8)는 전류공급장치(30)의 제 1 단자(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고, 상기 기준전극(10)는 전류공급장치(30)의 제 2 단자(2)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으며, 상기 소경필터(9)와 소경전극(11)은 전류공급장치(30)의 제 3 단자(3)와 제 4 단자(4)로부터 각각 전류를 공급받는다.
제 2 도는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을 본 발명의 초미립자 분리장치에 부은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 2 도에 나타난 상태는 혼합된 초미립자들을 본 발명의 대경공간(5)에 부은 상태이다. 기준사이즈보다 큰 초미립자를 대미립자라 정의하며, 기준사이즈의 미립자를 기준미립자라하고 기준미립자보다 작은 사이즈의 초미립자를 소미립자라고 정의한다. 대미립자, 기준미립자, 소미립자가 혼재된 상태의 초미립자에는 양, 음의 이온을 띠도록 사전에 처리작업을 행하는 것이 중요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하고자 목적하는 기준미립자에만 전기적 이온화를 행할 수 있도록 하면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기의 전극을 이용하여 목적하는 기준미립자에 전기를 특성을 띄게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즉 전계를 이용하여 기준미립자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기준미립자에 음이온을 띄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전계를 통하여 그리고 콴텀홀을 이용하여 기준미립자를 분리해 나가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즉 음이온을 띤 기준미립자와 대미립자와 양이온의 소미립자의 및 음이온의 소미립자 등의 초미립자로 분류할 수가 있게 된다. 제 2 도의 상태는 아직 전계를 가하지 않고 단순히 대경공간에 초미립자들을 부어 넣은 상태만을 의미한다.
제 3 도는 본 발명의 분리장치에 기준전극과 소경전극에 양극의 전류를 흐르게 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대경공간(5)의 초미립자중에서 음이온의 기준미립자와 음이온의 소미립자는 전계에 이끌려서 기준필터(8)를 통과하여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음이온의 소미립자는 전계에 이끌려서 소경필터(9)를 통과하여 소경공간(7)에 까지 들어 갈 수가 있게 된다. 이때 대미립자중에서 음전기를 띤 것도 전계에 이끌려서 기준공간(6)내로 들어가고자 하나 기준필터(8)에 의하여 막혀서 들어가지 못하게 되고 기준필터의 콴텀홀을 막게 된다. 이와 같이 일정시간이 지나면 기준필터의 콴텀홀이 음이온의 대미립자에 의하여 많이 막히게 되므로 이를 다시 떼어줄 필요성이 제기가 된다.
제 4 도는 본 발명의 분리장치에 기준필터와 소경필터에 음극의 전류를 흐르게 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기준필터(8)와 소경필터(9)에 음극의 전기를 통하게 되면 기준필터와 소경필터의 콴텀공을 막고 있던 음이온을 띤 사이즈가 큰 초미립자들이 모두 분리되어 떨어져 나가게 되어 제 3 도 상태의 필터의 콴텀공들이 다시 개방이 되어지게 된다. 또한 이들의 전극의 변화에 의하여 대경공간내의 극성을 지니는 초미립자들이 전반적으로 운동을 행하게 되어 교반효과를 얻을 수가 있게 된다.
제 3 도와 제 4 도에서와 같은 행위를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면 대경공간내의 초미립자들은 자기들의 가지는 전기적 특성에 의하여 끊임없이 이동하게 되며, 또한 이러한 이동의 반복으로 인하여 필터내로 들어갈 수가 있는 초미립자들은 결국에는 모두 자기의 크기에 알맞은 공간내로 들어가 자리를 잡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하여 혼합되어진 초미립자가 들어있는 곳에 전극을 반복적으로 교대로 걸어주게 됨으로 인하여 전계에 의한 초미립자의 끊임없는 운동을 통해서 그들의 사이즈와 전기적 특성에 알맞는 공간으로 각각 분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 5 도는 상기의 제 2 도와 제 3 도의 전극변화를 수없이 반복하고 난 뒤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목적한 바의 초미립자의 분리가 이루어 졌을 때의 상황으로 이때의 전류의 상태는 기준전극전류(2)와 소경전극전류(4)에는 양극의 전기가 흐르게 되는 상황이다. 기준공간(6)내에는 음이온을 가지는 기준미립자가 기준전극을 중심으로 하여 모여 있는 상태가 되며, 음이온의 소미립자는 소경공간내에서 소경전극을 중심으로 모여 있게 된다. 그리고 양이온은 크기를 불문하고 기준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며, 음이온중에서는 대미립자만 기준필터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즉 결국에는 도면 제 5 도의 그림에서와 같이 각 미립자들이 전기적 특성과 크기적 특성에 의하여 정확히 분리가 이루어 지는 것을 의미한다.
제 6 도는 기준미립자를 필요한 갯수만큼 인출하여 낼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 내지 5에 제시된 바와 같은 필터(37)와 이 필터(37)가 상측지지부(38) 및 하측지지부(39)에 지지되어 감싸여져 형성된 공간(6,7)의 내부에 기준사이즈 보다 조금 더 크게 필요한 갯수만큼 콴텀홀 (12)이 형성된 미립자 선택장치(13)를 삽입하고, 이 미립자 선택장치(13)에 전류공급장치(30)의 전류단자(14)로부터 기준미립자의 전기적 극성과 상반된 극성의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상기 일정한 갯수와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콴텀홀로 구성되는 미립자선택장치의 각각의 콴텀홀에 기준미립자가 위치되게 한 뒤, 이를 밖으로 인출하게 되면, 원하는 초미립자만 원하는 갯수만큼 원하는 위치에 위치를 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초미립자의 크기는 나노미터의 크기에 불과하므로 손으로서는 결코 선택을 할 수가 없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개수만큼 원하는 위치에 위치시킨다는 것을 거의 불가능한 일이나 최근 로보트에 의하여 한정되어진 갯수와 속도로 초미립자를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보다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는 없었다.
본 발명은 콴텀홀을 이용한 필터와 전기적 특성을 충분히 이용하여 초미립자가 다양하게 혼재되어진 상태에서 원하는 크기의 기준미립자를 용이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분리하여 낼 수가 있음은 물론 원하는 갯수 만큼 추출 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이 담겨져 있는 통체(31)와;
    상기 통체(31)의 내부에 삽입되고, 감싸여져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특정한 크기의 기준미립자보다 조금 큰 콴텀홀들이 형성되어 추출하고자 하는 특정 초미립자를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와;
    이 필터의 상,하측을 지지하는 상,하측지지부와;
    상기 필터의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져 공간에 전류공급장치(30)에서 전류를 공급받아 상반되는 극성의 전계를 형성하여 초미립자를 유인할 수 있는 전극으로 구성되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2.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상기 콴텀홀들보다 작은 콴텀홀들을 갖는 필터와, 이 필터를 지지하는 상하측지지부들과 전극으로 이루어진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가 둘 이상 존재하되,
    상기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들은 작은 콴텀홀들의 크기를 갖는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가 큰 콴텀홀들의 크기를 갖는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의 필터로 이루어진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3. 상기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로 이루어진 공간에는,
    상부에 특정한 기준미립자보다 큰 요홈이 형성된 콴텀홀들을 다수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특정한 기준미립자의 전기적 극성과 상반된 극성의 전류가 흘러 상기 콴텀홀들에 특정한 기준미립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전류공급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미립자 선택장치(1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4. 상기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콴텀홀들의 크기는 10nm 이상 100nm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5.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이 담겨져 있는 통체(31)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하측지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감싸여져 공간을 이루며, 특정한 크기의 기준미립자보다 조금 큰 콴텀홀들이 형성된 필터를 상기 통체(31)의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에 담그는 단계와;
    상기 필터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 전류공급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을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공급장치(30)에서 전류를 상기 전극으로 공급하여 상기 콴텀홀들을 통해 필터 내부 공간으로 미립자를 유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방법.
  6. 상기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를 유인하는 단계후, 상기 필터에 미립자의 극성과 동일한 전류를 인가하여 콴텀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이 담겨져 있는 통체(31)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콴텀홀들을 갖는 필터와, 이 필터를 지지하는 상하측지지부들과 상기 필터로 이루어진 공간의 내부에 전류공급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극으로 이루어진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를 상기 통체(31)의 초미립자들이 혼합된 용액에 담그는 단계와;
    상기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의 콴텀홀들보다 작은 콴텀홀들이 형성된 필터를 갖는 둘 이상의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들을 상기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전류공급장치(30)에서 전류를 상기 전극으로 공급하여 상기 콴텀홀들을 통해 필터 내부 공간으로 미립자를 유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방법.
  13. 상기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의 콴텀홀들보다 작은 콴텀홀들이 형성된 필터를 갖는 둘 이상의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들을 상기 공간에 삽입하는 단계에서,
    상기 둘 이상의 특정 초미립자 분리세트들은 큰 콴텀홀들이 형성된 필터를 갖는 분리세트 내부에 작은 콴텀홀들이 형성된 필터를 갖는 순차적인 분리세트들이 콴텀홀들의 크기 순서로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방법.
  14. 상기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콴텀홀들의 크기는 10 nm 이상 100 nm 이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방법.
KR10-2000-0011404A 2000-03-04 2000-03-04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KR100366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404A KR100366717B1 (ko) 2000-03-04 2000-03-04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404A KR100366717B1 (ko) 2000-03-04 2000-03-04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946A KR20010086946A (ko) 2001-09-15
KR100366717B1 true KR100366717B1 (ko) 2003-01-09

Family

ID=19653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404A KR100366717B1 (ko) 2000-03-04 2000-03-04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717B1 (ko) * 2019-11-14 2020-06-10 주식회사 에프에이치아이코리아 이온화된 세균 멸균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7428A (en) * 1995-08-07 1998-01-13 Environmental Elements Corp. Laminar flow electrostatic precipitation system
KR0150670B1 (ko) * 1994-09-06 1998-10-15 심상철 전기영동현상을 이용한 연삭,연마가공액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 회수, 여과방법
JP2000046720A (ja) * 1998-07-28 2000-02-18 Rikagaku Kenkyusho 微分型電気移動度測定器
KR100312855B1 (ko) * 1999-10-26 2001-11-05 안강호 초미세입자를 이용한 분진포집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0670B1 (ko) * 1994-09-06 1998-10-15 심상철 전기영동현상을 이용한 연삭,연마가공액 중에 존재하는 미세입자 회수, 여과방법
US5707428A (en) * 1995-08-07 1998-01-13 Environmental Elements Corp. Laminar flow electrostatic precipitation system
JP2000046720A (ja) * 1998-07-28 2000-02-18 Rikagaku Kenkyusho 微分型電気移動度測定器
KR100312855B1 (ko) * 1999-10-26 2001-11-05 안강호 초미세입자를 이용한 분진포집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6946A (ko) 200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04944A (ja) ナノ粒子及びマイクロ粒子の製造方法
CN100359626C (zh) 粒子束发生器
US92908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orting and/or depositing nanotubes
EP1069955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anipulierung von mikropartikeln in fluidströmungen
WO1993014250A2 (de) Verfahren zur oberflächenbearbeitung mit ionen
US9176207B2 (en) Method for producing an electrical component and electrical component
KR102060099B1 (ko) 수직 나노갭 유전영동 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자 포집 및 분리 방법
DE60105199T2 (de) Sem mit einem sekundärelektronendetektor mit einer zentralelektrode
KR100366717B1 (ko) 콴텀홀과 전계를 이용한 초미립자 분리장치 및 분리방법
DE69815498T2 (de) Rasterelektronenmikroskop unter kontrollierter umgebung mit mehrpolfelder zur erhöter sekundärelektronenerfassung
US7323227B2 (en) Process for precise arrangement of micro-bodies
WO2010076337A1 (de) Elektromagnetisches mikrosystem zur manipulation magnetischer mikro- oder nanoperlen
DE2704187B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inigen von verunreinigtem Metallpulver
Kishimoto et al. Electrodynamic trapping of spinless neutral atoms with an atom chip
US7063753B1 (en) Electronic device utilizing magnetic nanotubes
KR100857278B1 (ko) 나노 전자석을 이용한 자성 나노 입자의 포획 방법
Stuke et al. Laser-direct-write creation of three-dimensional OREST microcages for contact-free trapping, handling and transfer of small polarizable neutral objects in solution
KR101391010B1 (ko) 나노입자로 조립된 3차원 구조물 제조방법
WO2009148881A2 (en) Electron detection systems and methods
US11351602B2 (en) Nanowires and process for their production
JP3910474B2 (ja) 電子励起原子移動による表面ナノスケール構造の製造方法。
Yamazaki et al. Feasibility of control of particle assembly by dielectrophoresis in liquid-cell
DE19619287A1 (de) Verfahren zum Erzeugen von Strukturen aus Nanoteilchen
DE102015104213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und Aussendung eines ladungs- und massenseparierten Ionenstrahls variabler Energie
Tuboltsev et al. Ion beam processing of Au nanowi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