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268B1 -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 Google Patents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268B1
KR100366268B1 KR1020000038071A KR20000038071A KR100366268B1 KR 100366268 B1 KR100366268 B1 KR 100366268B1 KR 1020000038071 A KR1020000038071 A KR 1020000038071A KR 20000038071 A KR20000038071 A KR 20000038071A KR 100366268 B1 KR100366268 B1 KR 100366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signal
transponder
ton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8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4317A (ko
Inventor
정동석
김지태
Original Assignee
(주)크레디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디패스 filed Critical (주)크레디패스
Priority to KR1020000038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268B1/ko
Priority to PCT/KR2001/000928 priority patent/WO2002003560A1/en
Priority to JP2002507526A priority patent/JP2004503125A/ja
Priority to AU60781/01A priority patent/AU775854B2/en
Priority to CNA200410033952XA priority patent/CN1604492A/zh
Priority to CNB018018696A priority patent/CN1233104C/zh
Priority to US10/049,458 priority patent/US6894624B2/en
Priority to TW090115181A priority patent/TW497085B/zh
Publication of KR2002000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43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 G01S13/751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 G01S13/753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using frequency selective elements, e.g. reson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3/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waves whose nature or wavelength is irrelevant or unspecified
    • G01S13/74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 G01S13/75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 G01S13/751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 G01S13/758Systems using reradiation of radio waves, e.g. secondary radar systems; Analogous systems using transponders powered from received waves, e.g. using passive transponders, or using passive reflectors wherein the responder or reflector radiates a coded signal using a signal generator powered by the interrogation sign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2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using dipole a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동 트랜스폰더(passive transponder)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다른 무선 주파수(RF)신호의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 무선 주파수 신호 중 하나는 톤(tone)변조된 것으로 수동형 트랜스폰더 에 의해 수신되어 그들의 합 주파수와 동일한 고주파에서 재 복사 되게 비선형 임피던스를 통해 혼합시켜 협대역 수신기에 의해 인식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떤 종류의 전원도 가지지 않는 수동형 트랜스폰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Passive Ident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정보의 저장, 고유번호의 송출에 의한 수동 트랜스폰더(passive transponder)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IC)카드와 병행되어 근접거리에서 인식을 필요로 하는 출입카드, 버스, 지하철 카드 및 기타 이와 유사한 시스템에 유용한 무선 주파수(RF) 수동 트랜스폰더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는 이동체에 휴대할 수 있는 초소형의 송수신회로를 내장한 원격 트랜스폰더를 필요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원거리 그리고 고속의 이동체에 대한 인식기술을 제공하는 수동 트랜스폰더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은 트랜스폰더 태그(tag)등의 안테나에 의해 감지되도록 단일 무선 주파수를 송신하고, 여기에 사용된 반도체 다이오드와 같은 비선형 임피던스는 수신장치에 의해 감지되도록 재 복사되는 송신신호의 선택된 고조파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인식 시스템은 감지영역에서 트랜스폰더의 감지를 확실히 하기 위한 감도 및 다양한 조건에 대한 응답시 판독 오류의 발생 등으로 실용화에는 만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한 것은 송신기회로와 그 소자에 있어서 비선형은 본래부터 기본적인 송신 주파수와 함께 고조파가 발생되며, 트랜스폰더에 비선형 임피던스 소자가 없는 상태에서도 수신기에 신호가 유입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만약 이와 같이 직접 발사되는 송신 고조파의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신기의 감도를 낮게 한다면 수동 트랜스폰더 소자에 의해 재 복사된 약한 에너지 고조파는 그 속에 묻혀 수신기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다. 물론, 송신기 및 수신기에 대한 적당한 차폐나 무선 주파수 여파회로(RF Filtering)에 의해 이러한 문제가 최소화 될 수 있겠지만 여파기(Filter)는 송신신호의 작은 주파수 편이 조차도 쉽게 여파기 통과대역의 외부에 존재하는 재 복사 주파수가 되어질 수 있으므로 상당히 정교한 차단 특성이 있어야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파수 편이는 감지영역 내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트랜스폰더에서 발생하는 도플러 효과에 의해서도 기인될 수 있다. 반면에 이러한 고조파 신호는 설계된 감지영역의 외부로 쉽게 전파될 수 있으며, 감지영역 밖의 트랜스폰더로부터 잘못된 데이터 정보를 복사하는 원인이 된다.
결과적으로, 고주파 에너지는 다중 정재파 등과 같은 예측할 수 없는 반사에 의해 전파되어 시스템의 의도된 목적에 효과적이지 못하게 된다.
역으로 수신된 에너지 및 고조파로 재 복사되는 에너지가 불충분하다면 감지영역 내에서 트랜스폰더 소자의 실재적 존재에도 시스템은 응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컨대, 송신 전계의 편파에 대해서 트랜스폰더 안테나가 부적당하게 지향되었거나 안테나가 전자기적으로 가까이에 있는 차량, 도로의 벽, 톨게이트의 차단봉 등에 의해 수신기로부터 차폐되었을 경우 이러한 일이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인간의 신체, 금속물체와 같은 것에 대한 트랜스폰더의 근접은 공진 탱크회로의 동조를 벗어나게 하여 수신기에서 필요로 하는 고주파 에너지를 분산시키게 된다. 여기에 신호추적회로가 송신기 주파수 변동을 보상하기 위해 수신기에서의 주파수 응답을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동조 탱크회로가 정상 주파수가 아닌 다른 주파수에서 발진하도록 할 때마다 트랜스폰더의 효율은 저하된다.
또한, 미국특허 제6,060,815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진 두 개의 송신신호에 대해 합과 차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신호 믹서로서 동작하는 비 직선형 임피던스 소자를 갖는 트랜스폰더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면 이러한 이중 주파수 믹서 시스템은 계획된 감지영역에서 고주파 전송을 제한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고전력과 관련된 고주파 전자계장 및 감지영역 반대편에 배치된 불연속 도체 사이에서 형성된 저주파 정전기장을 이용한 이중필드(Field)시스템을 사용한다. 이런 두 가지 필드에 적용된 비 선형 임피던스 소자는 수신기로 재 복사되는 합·차 주파수를 생성하기 위한 믹서로서 동작한다. 그러나, 감지영역 내에서 필요로 하는 정전계를 형성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전력은 중요한데, 이러한 저주파 정전계는 주위를 둘러싼 도체에 의해 트랜스폰더로부터 차폐될 수 있으며, 주변의 금속성 교통 표식이나 그와 비슷한 금속 구조물에 의해 트랜스폰더로부터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저주파 정전계는 근접한 금속구조물에 의해 원거리로 쉽게 시스템의 판독 오류 및 부동작 상태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동 트랜스폰더(passive transponder)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 개의 다른 무선 주파수(RF)신호의 전송방식을 이용하는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 무선 주파수 신호 중 하나는 톤(tone)변조된 것으로 수동형 트랜스폰더에 의해 수신되어 그들의 합 주파수와 동일한 고주파에서 재 복사되게 비선형 임피던스를 통해 혼합시켜 협대역 수신기에 의해 인식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어떤 종류의 전원도 가지지 않는 수동형 트랜스폰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 등 이동체 인식 시스템에 사용하는 태그로 반도체의 집적회로와 같은 비선형 임피던스 소자를 포함한 수동 트랜스폰더로 선택된 중심 주파수의 양쪽으로 편이된 마이크로 스트립 안테나에 연결된다.
상기의 비선형 임피던스 소자는 선택된 중심 주파수의 2배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동조 탱크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 한쪽 끝에서 폐쇄 루프영역의 양쪽을 연결한다.
그리고, 제 1번 송신기는 중심 주파수의 한쪽으로 편이된 톤(tone)변조된 고주파를 발생하며, 제 2번 송신기는 중심 주파수의 나머지 한쪽으로 편이된 연속파(CW) 고주파를 발생한다. 이러한 두 송신신호는 필요영역을 포함(COVER)할 수 있도록 위치한 상호 직각으로 배열된 다이폴 안테나 스트립에 각각 독립적으로 급전한다. 상기에서 각각 다른 주파수에 대해 다이폴 스트립은 각 측면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며, 같은 주파수에 대해서는 다른 반대측에 대해서 상호직각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필요로 하는 검출영역 내에서 양 주파수에 대해서 교차편파(Cross Polarized)된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수동 트랜스폰더에서 수신된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는 비선형 임피던스 소자에 의해 혼합되고, 탱크회로는 두 주파수의 합과 동일하며 중심 주파수의 2배인 단일 고주파에 공진 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생성된 공진 주파수는 수신기(interrogator)에 의해 인식 될 수 있도록 재 복사되어 진다. 이것은 수동 트랜스폰더에서 생성되어 탑재된 데이터 정보가 합 주파수에 응답하는 초 협대역 수신기에 의해 검출된다.
수동 트랜스폰더로부터 인입된 데이터 신호를 포함한 변조 톤(Tone)은 감지된 신호가 충분한 신호강도와 지속시간을 가진 경우에만 일정한 간격으로 수신 데이터 코드를 출력하도록 사전에 설정된 기준레벨과 비교를 위하여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전하를 수신신호로부터 생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질문기와 트랜스폰더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질문기에서 두 개의 다른 무선주파수가 복사되어 트랜스폰더에서 두 주파수의 합 주파수가 재 복사되는 개념도
도 3a는 본 발명의 트랜스폰더의 기능을 도시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의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 회로부의 구체적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톤 변조된 송신기의 기능별 신호 흐름을 보인 회로 구성도
도 5는 도 1의 연속파 송신기의 기능별 신호 흐름을 보인 회로 구성도
도 6은 도 1의 트랜스폰더에서 변조된 데이터 수신기의 기능별 신호 흐름을 보인 회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송신기 110 : 송신 안테나
200 : 트랜스폰더 210 : 안테나
220 :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 회로부 230 : 챠저 펌프회로
300 : 협대역 수신기 310 : 수신안테나
311 : 필터 312 : 비교기
313 : 프리 앰블 검출회로 314 : 국부발진기
319 : 믹서 323 : 수정변별기
325 : 클램프회로 328 : 데이터 검출기
본 발명은 질문기(interrogator)와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특히, 차량의 전면유리 또는 차량 번호판, 소포, 병원환자, 동물, 신용카드 등 기타 모니터링 및 인식을 필요로 하는 물체에 부착된 유전체 마이크로 스트립(printed dielectric micro-strip)안테나에 연결된 반도체의 비선형 임피던스 소자를 이용한 수동형(passive)의 보다 개선된 인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정보는 디지털 형태로 저장하게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감지대상 지역의 차량이나 대상물의 존재를 감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대상 지역 내에서 2개의 상이한 주파수의 무선 주파 신호를 송신 안테나(110)로 복사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 중 하나는 일정한 저주파로 변조되는 송신기(100)와, 2개의 상이한 중심 주파수에 동조된 안테나(210)를 가지며, 상기 안테나에 삽입된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회로부(220)가 두 개의 무선 주파수를 혼합하고, 그 혼합 주파수에 데이터 톤 반송신호를 재 복사하기 위해 상이한 두 주파수의 합과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가진 탱크회로를 가지는 트랜스폰더(200)와, 저주파 변조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송신 무선주파 신호 및 그 고조파를 배제하여 그 반송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는 수신안테나(310)를 포함한 협대역 수신기(300)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송신된 무선 주파신호 중 하나는 협대역 주파수 변조에 의해 발생되는 톤 변조된 고주파(f1)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된 무선 주파수에서의 연속파(비변조 CW : f2)이며, 저주파 변조는 연속 톤 변조 무선 주파신호를 구성하고, 그것들은 한정된 주파수 범위 내에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다른 두 개의 고조파 신호가 유전체 다이폴 송신안테나(110)로부터 감지대상 영역으로 송신되는데, 이들 중 한 신호(f2)는 도 5와 같이, 고정 주파수(905㎒)의 고안정 수정 발진기(111)로부터 연속파(CW)로 발진되며, 이것은 선택된 중심 주파수로부터 약 1%정도로 편이 되어 있다. 또 다른 송신신호(f1)는 1 ~ 25㎑범위의 값으로 톤 변조된 신호로서, 이것은 반송파 주파수로부터 ±5㎑ 편이된 고주파 신호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이 고주파(925㎑)도 도 4의 VCO(Voltage Controlled Oscillator)(112)에 의하여 만들어진 것이며, 이러한 두 개의 고주파는 선택된 중심 주파수로부터 균일하게 편이된 것이다. 따라서, 두 신호의 평균 중심 주파수는 선택된 중심 주파수와 같다.
고주파의 하나인 톤 변조된 신호(f1)는 수동 트랜스폰더(200) 감지대상 영역 내에서 브라인드 스폿(blind spot)을 초래하는 정재파 패턴의 발생을 억제시킨다.
상기의 트래스폰더(200)는 선택된 중심 주파수의 제 2 고조파 공진 주파수에 동조하기 위한 탱크회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폐루프 영역의 마주보는 사이의 종단부에 연결된 챠저 펌프(Charge Pump)회로(230)와 유전체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Passive Dielectric substrate folded dipole antenna)(210) 및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 회로부(220)로 구성된다. 상기의 챠저 펌프회로(230)는 캐패시터와 인덕턴스로 이루어지며,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 회로부(220)는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220A),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Diode)(D), 콘덴서(C1)(C2)로 구성되고, 상기 반도체(220A)내부에 파워부가 구성된다.
상기의 협대역 수신기(300)는 도 6과 같이, 반송 신호용 수신안테나(310), 트랜스폰더(200) 공진 주파수에서 발생된 협대역을 제외한 모든 신호를 차단하는 필터(311), 여과된 반송신호 폭을 비교출력 측정을 가동시키는 신호폭 검출, 상기의 비교측정이 설정된 기준레벨을 초과할 경우에만 상기의 저주파 변조 검출하고, 비교기(312)의 비교측정에 따라 반응하는 복조기를 구성한다. 상기에서, 검출은 저주파 변조의 검출을 의미하며, 트랜스폰더(200)에서 생성되고 협대역 수신기(300)에 의해 검파된 신호의 세기 및 지속 시간이 설정된 최소값을 초과할 때 마다 감지대상 지역내에 수동 트랜스폰더(200)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정해진 디지털 스트림을 시작하기 위한 수단으로 협대역 수신기(300)에 의해 중첩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검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변조검출은 상기 저주파 변조의 검출이 시작 된 후 최소 시간동안 데이터 흐름 출력을 가동하도록 프리 앰블(PRE AMBLE) 검출 회로(313)에 의한 저주파 변조에 반응하는 기능을 가진다. 상기에서, 저주파 변조는 연속 톤 변조 무선 주파신호를 구성하며, 그것들은 한정된 좁은 주파수 범위내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기(300)는 수신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공진 주파수에서 발생된 협대역 이외의 신호를 차단하는 밴드패스 필터(311), 상기 필터(311)의 통과대역 내에서 신호 복조용 중간 주파수(IF)를 가동하는 국부 발진기(314), 체배기(315)(316), 필터(317)(318) 및 믹서(319)로 이루어진 수단 들, 상기의 중간 주파 신호를 증폭기(320)로 증폭하고, 중간 주파수 폭 비교측정을 위한 증폭기(321)(322), 비교기(312)의 비교출력의 폭이 사전 설정된 문지방(threshold)값을 초과할 경우에만 상기의 저주파 변조를 발생시키도록 상기의 중간 주파수를 복조하는 비교측정 출력에 따라 반응하는 협대역 수정 변별기(32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저주파 변조는 좁은 주파수 편차 한계내에 있는 무선 주파 신호중 하나로 일정한 톤 변조를 구성하고, 협대역 수신기(300)는 상기의 고정 톤 주파수에 동조되는 VCO(324)에 의한 위상고정 통신방식과 각 출력이 개시되는 일정한 시간동안 디지털 데이터 흐름이 가동되도록 출력까지 연결되는 증폭기(340)의 작동을 포함한다.
한편으로, 감시 대상지역 내에서 수동 트랜스폰더(200)의 존재를 검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정한 저주파 톤에 의해 변조된 반송 주파수로 대역폭이 좁은 무선 주파수를 가동하고 복사하는 송신기(100)를 포함하고, 송신기(100)주파수 신호에 반응하는 트랜스폰더(200)는 상이한 고조파로 반송신호를 가동하고 재 복사하도록 상기의 송신기(100)에 의해 복사되고, 재 복사된 신호를 저주파 톤에 데이터 흐름을 덧붙혀 고정된 저주파 톤을 구성하며, 수신기(300) 시스템이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는 상기의 재 복사된 반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재 복사 신호에 상응하여 여과된 출력이 나오도록 상기의 고조파에서 재 복사된 반송신호를 포함하고, 대역 이외의 주파수까지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차단하는 협대역 필터(311), 비교기(312)가 사전에 설정된 문지방값을 초과하여 작동할 경우에만 저주파 변조 신호가 나와 상기의 필터된 출력을 복조 하도록 출력 비교수준에 반응하는 복조수단을 갖는다.
상기, 수신기 시스템에서는 저주파 변조 신호의 감시가 시작된 후 최소한의 시간동안 출력을 가동하는 상기의 저주파 변조에 대한 감시에 응답하는 복조수단들을 갖는다. 그리고, 대역폭이 좁은 무선주파 신호는 고정된 오디오 톤에 의해 변조된 안정적인 반송을 구성하며, 상기의 협대역 필터(311)는 국부발진기(314)와 중간주파 신호를 구동하는 믹서(319) 및 상기 중간주파 신호용으로 협대역 수정필터(324)를 포함하고, 폭 감지는 상기의 패스대역 내에서 비교측정을 가동하고 수정필터(324)로부터 신호의 복조를 위해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수단들이 상기의 수정필터(324)로부터의 출력폭에 상응하여 포함시키며, 상기의 복조 수단들은 출력시 고정 톤 변조 신호가 나오도록 협대역 주파수 변별장치 및 수정변별기(323)의 출력을 고정하기 위해 비교측정에 반응하는 클램프회로(325)를 구성하고, 상기의 비교기(312)에 의한 비교측정은 문지방 값을 초과할 때를 제외시킨다. 또한, 상기 수신기 시스템(300)은 일정한 시간동안 디지털 데이터 흐름 출력을 가동시키기 위한 상기의 복조 수단들과 디지털 코드 흐름은 수동 트랜스폰더(200)내에 부착된 메모리회로(반도체 : 220A)에 의존하여 16킬로비트에서 64킬로비트까지 포함된다. 도 6의 도면중 328은 데이터 검출기, 320는 비트에러 검출기, 341, 342는 로우패스 필터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반도체(220A)의 정전용량과 안테나(210)의 인접한 폐쇄 루프영역의 인덕턴스에 의해 결정되는 제 2 고조파(본 발명의 예에서는 1830㎒)를 위한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 회로부(220) 및 챠저 펌프회로(230)를 지나 연속된 긴 안테나 영역은 대략적으로 도 3과 같이 선택된 중심 주파수(본 발명의 예에서는 915㎒)에 대한 ??/4의 근사값이다.
도 3에서 Z는 전송라인 임피던스(50ohms)이고, I1, I2는 고주파 정류된 DC전류의 흐름을 나타낸 것이며, 쇼트키 다이오드(D)는 수신기로 보내기 위한 믹싱 + 주파수 더블링 + 데이터 스트림 추가를 위해 f1+ f2로부터 얻어진 고주파 정류된 전류를 반도체(220A)내의 파워부에 공급하고, 반도체(220A)는 소트키 검출 다이오드(D)에 의해 f1(mod) + mix 된 챠저 펌프 전력으로 데이터를 탑재한다.
더욱 중요한 것으로서, 두 개 주파수에 의한 운영방법은 송신 주파수 드리프트 효과를 감소시키고, 입사하는 백 스캐터(back scatter)고주파 신호의 재 복사에 있어 트랜스폰더 효율의 측면에서 시스템 대역폭을 증가시킨다. 특히 트랜스폰더(200) 안테나(210)가 동조된 주파수는 심각한 트랜스폰더 효율(efficiency)의 감소없이 송신된 두 개의 주파수 사이의 어디든지 존재할 수 있다. 이렇게해서 정확한 안테나 제작의 필요성을 제거하고 현장의 비 동조와 관련된 문제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트랜스폰더(200)의 일반적인 동조 포인트는 트랜스폰더에 근접한 물체의 유전체 로딩효과(dielectric loading effect) 때문에 낮은 주파수 쪽으로 편이 된다. 예를 들어 트랜스폰더(200) 안테나의 선택된 중심 주파수로부터 하향으로 재동조 되었다면 이것은 보다 낮은 송신 주파수에 대하여 트랜스폰더(200)의 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전체적인 믹서는 적당한 믹싱이 10 또는 그 이상의 고주파 전력비에 의하여 일어나므로 심각히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송신기의 주파수 드리프트(Drift)효과는 최소화된다. 즉, 송신기의 한쪽에 대한 편이가 한 개의 주파수 시스템에서 재 복사된 고조파에서와 같이 다중화 되지 않으며 한 주파수에서의 드리프트는 다른 송신기에서의 반대 편이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
재 복사된 트랜스폰더(200)신호의 강도 및 주파수 안정도는 해당 수신기의 충돌방지 소프트웨어와 함께 잘못된 이중 인식의 가능성을 없애고 수신기의 최대감도 및 최소 대역폭을 제공한다. 재 복사된 신호는 송신 주파수를 차단하는 매우 협소한 대역통과 필터를 거쳐 원편파의 수신안테나(310)로부터 수신되며, 이 신호는 도 6과 같이 일반적 복조기술을 이용하여 변조 데이터 톤(Tone)이 얻어지게 증폭된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톤(예 : 2㎑)은 수신기 안테나(310)로부터 여파 및 증폭된 신호가 믹서(319)의 출력에서 적당한 중간 주파수(1F 21.5㎒)를 만들도록 안정된 국부발진기(314)로부터 발생된 신호(1808.5㎒)를 입력신호를 수신하는 수동형 믹서에 인가될 수 있도록 무선 반송파를 변조하는데 이용된다. 믹서(319)에서의 중간 주파수 출력은 증폭기(320)에 의해 증폭되고, 사전검출 대역폭을 규정 짓는 협소한 통과대역필터(예 : 30㎑)(324) 및 수정 변별기(323)에 의한 수정변별(Discrimination) 과정을 거쳐 수행되며, 이 출력은 그 입력이 시스템의 감도를 정하기 위해 설정된 기준레벨을 초과하는 AGC검출기(326)전압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세기가 될 때까지 클램프회로(325)에 의해 클램핑 된다. 이후 클램프(325)의 개방으로 톤은 VCO(327)가 데이터 톤과 같은 자주 주파수(Free running frequency)를 가지고 협소 주파수범위(±10%)내에서 안정된 데이터 톤을 취득할 수 있는 PLL/데이터 톤 검출회로(VCO(327)와 프리 앰블 검출회로(313)에 의한 검출회로)에 인가되고, 루프가 데이터 톤 신호를 얻으면 직교 검파기는 CPU에서 디지털 정보를 취득하고, 저장할 만한 충분한 지속성을 가진 수신된 트랜스폰더 데이터 정보를 출력하는 위상 잠김 상태로 되어 검출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에서 문제로 되었던 인식거리의 제한과 이동체에 사용시 도플러 효과에 의한 주파수 변동 등에 기인한 오차문제를 해결하며, 차량과 같은 이동체에 적용하는 통행료 징수 시스템 등 원거리 또는근거리의 이동체 인식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게 하는 기술로서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구조에는 다양한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4)

  1. 감지대상 지역 내에서 2개의 상이한 주파수의 무선 주파 신호를 송신 안테나(110)로 복사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 중 하나는 일정한 저주파로 변조되는 송신기(100)와, 2개의 상이한 중심 주파수에 동조된 안테나(210)를 가지며 두 개의 무선 주파수를 혼합하고, 그 혼합 주파수에 데이터 톤 반송신호를 재 복사하기 위한 트랜스폰더(200)와, 그 반송신호를 수신 및 복조 하는 수신안테나(310)를 포함한 협대역 수신기(300)로 이루어진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트랜스폰더(200)는 선택된 중심 주파수의 제 2 고조파 공진 주파수에 동조하기 위한 탱크회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폐루프 영역의 마주보는 사이의 종단부에 연결된 챠저 펌프회로(230)와 유전체 폴디드 다이폴 안테나(210) 및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 회로부(220)로 구성하되, 송신된 무선 주파수 신호중 하나는 협대역 주파수 변조에 의해 발생되는 톤 변조된 고주파(f1)이고, 다른 하나는 고정된 무선 주파수에서의 연속파(CW)를 송신하도록 하고, 저주파 변조 신호는 연속톤 변조 무선 주파신호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트랜스폰더(200)에서 생성되고 협대역 수신기(300)에 의해 검파된 신호의 세기 및 지속시간이 설정된 최소값을 초과할 때마다 감지대상 지역내에 수동 트랜스폰더(200)가 존재함을 나타내기 위해 미리 정해진 디지털 스트림을 시작하기 위한 수단으로 협대역 수신기(300)에 의해 중첩된 디지털 데이터 신호를 검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비선형 임피던스 반도체 회로부(220)는 선택된 중심 주파수의 2배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로 갖는 동조 탱크회로를 형성하기 위해 안테나 (210)한쪽 끝에서 폐쇄루프 영역의 양쪽을 연결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협대역 수신기(300)는 저주파 변조신호를 검출하기 위하여 송신 무선 주파신호 및 그 고주파를 배제하고, 그 반송신호를 수신 및 복조하기 위하여 반송 신호용 수신안테나(310), 트랜스폰더(200) 공진 주파수에서발생된 협대역을 제외한 모든 신호를 차단하는 필터(311), 여과된 반송신호 폭을 비교출력 측정을 가동시키는 신호폭 검출, 상기의 비교측정이 설정된 기준레벨을 초과할 경우에만 상기의 저주파 변조 검출하고, 비교기(312)의 비교측정에 따라 반응하는 복조기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변조검출은 상기 저주파 변조의 검출이 시작 된 후 최소 시간동안 데이터 흐름 출력을 가동하도록 저주파 변조에 반응하는 기능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수신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공진 주파수에서 발생된 협대역 이외의 신호를 차단하는 밴드패스 필터(311), 상기 필터(311)의 통과대역 내에서 신호 복조용 중간 주파수(IF)를 가동하는 수단들, 상기의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기(320)로 증폭하고, 중간 주파수 폭 비교측정을 위한 증폭기(321)(322), 비교기(312)의 비교출력의 폭이 사전 설정된 문지방값을 초과할 경우에만 상기의 저주파 변조를 발생시키도록 상기의 중간 주파수를 복조하는 비교측정출력에 따라 반응하는 협대역 수정 변별기(323)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저주파 변조는 좁은 주파수 편차 한계 내에 있는 무선 주파 신호중 하나로 일정한 톤 변조를 구성하고, 협대역 수신기(300)는 상기의 고정 톤 주파수에 동조되는 VCO(324)에 의한 위상고정 통신방식과 각 출력이 개시되는 일정한 시간동안 디지털 데이터 흐름이 가동되도록 출력까지 연결되는 증폭기(340)의 작동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 대상지역 내에서 수동 트랜스폰더(200)의 존재를 검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는 일정한 저주파 톤에의해 변조된 반송 주파수로 대역폭이 좁은 무선 주파수를 가동하고 복사하는 송신기(100)를 포함하고, 송신기(100)주파수신호에 반응하는 트랜스폰더(200)는 상이한 고조파로 반송신호를 가동하고 재 복사하도록 상기의 송신기(100)에 의해 복사되고, 재 복사된 신호는 저주파 톤에 데이터 흐름을 덧붙혀 고정된 저주파 톤을 구성하며, 협대역 수신기(300) 시스템이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는 상기의 재 복사된 반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 재 복사 신호에 상응하여 여과된출력이 나오도록 상기의 고조파에서 재 복사된 반송신호를 포함하고, 대역 이외의 주파수까지 안테나(310)에 의해 수신된신호를 차단하는 협대역 필터(311), 비교기(312)가 사전에 설정된 문지방값을 초과하여 자동할 경우에만 저주파 변조 신호가 나와 상기의 필터된 출력을 복조 하도록 출력 비교수준에 반응하는 복조수단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수신기 시스템에서는 저주파 변조 신호의 감시가 시작 된 후 최소한의 시간동안 출력을 가동하는 상기의 저주파 변조에 대한 감시에 응답하는 복조수단들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13. 제 11항에 있어서, 대역폭이 좁은 무선주파 신호는 고정된 오디오 톤에 의해 변조된 안정적인 반송을 구성하며, 상기의 협대역 필터(311)는 국부발진기(314)와 중간주파 신호를 구동하는 믹서(319) 및 상기 중간주파 신호용으로 협대역 수정필터(324)를 포함하고, 폭 감지는 상기의 패스대역 내에서 비교측정을 가동하고 수정필터(324)로부터 신호의 복조를 위해 중간주파 신호를 증폭시키는 수단들이 상기의 수정필터(324)로 부터의 출력폭에 상응하여 포함시키며, 상기의 복조 수단들은 출력 시 고정 톤 변조 신호가 나오도록 협대역 주파수 변별장치 및 수정변별기(323)의 출력을 고정하기 위해 비교측정에 반응하는 클램프회로(325)를 구성하되, 상기의 비교기(312)에 의한 비교측정은 문지방 값을 초과할때를 제외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시스템.
  14. 삭제
KR1020000038071A 2000-07-04 2000-07-04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KR100366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71A KR100366268B1 (ko) 2000-07-04 2000-07-04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PCT/KR2001/000928 WO2002003560A1 (en) 2000-07-04 2001-06-01 Passive transponder identification system and credit-card type transponder
JP2002507526A JP2004503125A (ja) 2000-07-04 2001-06-01 受動トランスポンダ認識システム及びクレジットカード式トランスポンダ
AU60781/01A AU775854B2 (en) 2000-07-04 2001-06-01 Passive transponder identification system and credit-card type transponder
CNA200410033952XA CN1604492A (zh) 2000-07-04 2001-06-01 信用卡类发射机应答器
CNB018018696A CN1233104C (zh) 2000-07-04 2001-06-01 无源型发射机应答器识别系统
US10/049,458 US6894624B2 (en) 2000-07-04 2001-06-01 Passive transponder identification and credit-card type transponder
TW090115181A TW497085B (en) 2000-07-04 2001-06-21 Passive transponder identification system and credit card type transpon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8071A KR100366268B1 (ko) 2000-07-04 2000-07-04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317A KR20020004317A (ko) 2002-01-16
KR100366268B1 true KR100366268B1 (ko) 2002-12-31

Family

ID=19676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8071A KR100366268B1 (ko) 2000-07-04 2000-07-04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2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367B1 (ko) * 2006-02-13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태그로부터의 정보 리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30502A (ko) * 2013-03-15 2015-11-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근접 장 통신 디바이스들에서의 직접 전력 송신 로드 변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721B1 (ko) * 2002-05-27 2004-10-20 주식회사 더즈텍 수동 트랜스폰더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70009304A (ko) * 1986-03-14 1987-10-24 죠지 와이더커, 위르그 스코치 식별 시스템
KR880002088A (ko) * 1986-07-14 1988-04-29 에이. 란트 제레미 특정물체 식별시스템
US5101200A (en) * 1989-06-09 1992-03-31 Swett Paul H Fast lane credit card
US5166676A (en) * 1984-02-15 1992-11-24 Destron/Idi, Inc. Identification system
JPH07294637A (ja) * 1990-08-03 1995-11-10 Bio Medic Data Syst Inc 受動応答器
US6060815A (en) * 1997-08-18 2000-05-09 X-Cyte, Inc. Frequency mixing passive transpond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6676A (en) * 1984-02-15 1992-11-24 Destron/Idi, Inc. Identification system
KR870009304A (ko) * 1986-03-14 1987-10-24 죠지 와이더커, 위르그 스코치 식별 시스템
KR880002088A (ko) * 1986-07-14 1988-04-29 에이. 란트 제레미 특정물체 식별시스템
US5101200A (en) * 1989-06-09 1992-03-31 Swett Paul H Fast lane credit card
JPH07294637A (ja) * 1990-08-03 1995-11-10 Bio Medic Data Syst Inc 受動応答器
US6060815A (en) * 1997-08-18 2000-05-09 X-Cyte, Inc. Frequency mixing passive transpond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367B1 (ko) * 2006-02-13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Rfid 태그로부터의 정보 리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30502A (ko) * 2013-03-15 2015-11-2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근접 장 통신 디바이스들에서의 직접 전력 송신 로드 변조
KR101707480B1 (ko) 2013-03-15 2017-02-16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근접 장 통신 디바이스들에서의 직접 전력 송신 로드 변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4317A (ko)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4624B2 (en) Passive transponder identification and credit-card type transponder
US5119099A (en) Microwave responder
FI98573C (fi) Läheisyysdetektori
US7487921B2 (en) Reader/writer and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US6946989B2 (en) Transponder, including transponder system
AU2005227368B2 (en) Transponder, including transponder system
JP2002500465A (ja) トランスミッタ及びデータ送信方法
AU630307B2 (en) Apparat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rf signals
GB2509562A (en) An NFC reader transmits a frequency modulated signal and determines that a tag has been detected if a higher harmonic of the modulation frequency is detected
KR100366268B1 (ko) 수동 트랜스폰더 인식 시스템
KR910000108B1 (ko) 고주파 도난 방지 장치
US7978073B2 (en) Transmitter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FI73532C (fi) Dubbelfrekvent stoeldbekaempningssystem.
JP4020206B2 (ja) 非接触スマートカード呼掛け装置
RU2002103506A (ru) Пассивная транспондерная система идентификации и транспондер в виде кредитной карточки
EP0474440A2 (en) Moving vehicle transponder
JPH05314331A (ja) 非接触icカード
KR880002492B1 (ko) 이중주파수 도난방지장치
JPH07240699A (ja) 近距離マイクロ波識別システム
JPH11186931A (ja) 耐干渉性通信回路
RO127585A2 (ro) Aparat pentru prelucrarea semnalului provenit de la carduri rfid care funcţionează prin modularea semnalului retro-împrăşti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