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4707B1 -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4707B1
KR100364707B1 KR10-2000-0023093A KR20000023093A KR100364707B1 KR 100364707 B1 KR100364707 B1 KR 100364707B1 KR 20000023093 A KR20000023093 A KR 20000023093A KR 100364707 B1 KR100364707 B1 KR 100364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urvature
shadow mask
radius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8261A (ko
Inventor
나건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3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4707B1/ko
Priority to US09/826,873 priority patent/US6583546B2/en
Priority to JP2001113720A priority patent/JP2001351540A/ja
Priority to CNB011170913A priority patent/CN1175463C/zh
Publication of KR20010098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4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47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8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after passing the main deflection system, e.g. for post-acceleration or post-concentration, for colour switching
    • H01J29/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after passing the main deflection system, e.g. for post-acceleration or post-concentration, for colour switching using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94Geometrical arrangements, e.g. curv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01J2229/862Parameterised shape, e.g. expression, relationship or equation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섀도우 마스크에 높은 구조 강도를 부여할 수 있는 내면 곡률 구조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면과 소정의 곡률을 갖는 내면을 포함하며, 섀도우 마스크가 후방에 위치되는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가: Rxp가 상기 패널 내면의 장축방향 곡률반경; Ryp가 상기 패널 내면의 단축방향 곡률반경; Rdp가 상기 패널 내면의 대각축 방향 곡률반경; Rdm이 섀도우 마스크의 대각축 방향 곡률반경; 그리고 W가 패널중앙부 두께에 대한 패널 유효면 끝단 두께의 비율일 때,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PANEL IN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음극선관의 전면에 장착되며, 그 내면에 화상이 구현되는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예를 들어, 텔레비젼 수상기 또는 컴퓨터 모니터와 같은 영상 표시 장치에서 화상이 구현되는 주요 구성부이며, 도 1은 이와 같은 칼라 음극선관을 일부 단면을 포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의 전면에 장착되는 패널(1)의 내면에는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가 도포되어 이루어진 형광막(1a)이 형성되고, 상기 패널(1)의 후방에는 펀넬(2)이 프릿 글라스에 의해 융착되며, 상기 펀넬의 네크부(2a) 내부에는 전자총(4)이 제공된다.
상기 패널(1)의 내면에는 도포된 형광막(1a)의 근접 위치에 전자총(4)에서 발사된 전자빔(3)의 색선별 작용을 하는 섀도우 마스크(5)가 프레임(6)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6)은 이에 고정된 지지 스프링(8)에 의해 패널(1)의 측벽에 고정된 스터드 핀(1b)에 끼워지고 이에 의해 상기 패널(1) 측벽에 매달리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6)의 일측면에는 형광막(1a)측으로 이동하는 전자빔(3)을 외부의 지자계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인너 쉴드(7)가 고정 스프링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네크부(2a)의 외주면에는 전자빔(3)이 정확히 소정의 형광체를 타격하도록 그 진행궤도를 수정하여 주는 다수개의 극을 갖는 편향 요크(10)가 부착되고,음극선관의 외주면에는 음극선관의 동작시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밴드(9)가 감긴다.
상기 음극선관의 기본적 구조내에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5)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성형되고 상기 패널(1)에 대해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되어 패널과 함께 패널 어셈블리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전자총(4)에서 방사된 3개 전자빔(3)은 섀도우 마스크(5)를 통해 패널(1)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체를 정확히 타격 가능하게되어 화상을 재현한다.
따라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6)는 정확한 곡률 설계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곡률 설계 조건으로 패널(1) 내면 곡률이 우선적으로 고려된다.
도 2는 패널 어셈블리의 횡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상기 패널 내면 곡률과 섀도우 마스크의 곡률과의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널(1)은 내/외면이 곡면을 이루며, 패널(1) 외면의 곡률반경(Rop)과 패널(1) 내면의 곡률반경(Rip)은 음극선관 내부의 진공상태를 견디기 위해 Rop>Rip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곡률반경들(Rop,Rip)은 각각의 곡률과는 반비례 관계를 가지므로, 상기 패널(1) 내면 곡률 자체는 패널(1) 외면 곡률보다 상대적으로 커진다.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1) 및 섀도우 마스크(5)의 기하학적 특성이 일치하여야 하므로, 상기 패널(1)의 내면 곡률은 섀도우 마스크(5) 곡률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되며, 여기서 결정된 섀도우 마스크(5) 곡률이 섀도우 마스크(5)의 구조 강도 및 열변형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즉,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을 크게 할수록 구조강도 및 열변형 특성이 향상된다.
상술된 곡률 및 곡률반경 사이의 관계와 더불어, 상기 패널(1) 내면 및 섀도우 마스크(5)에 적용되는 곡률 형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실선으로 표시된 아크(arc) 곡률과 점선으로 표시된 슈퍼 아크(super arc) 곡률이 있다. 상기 아크 곡률은 구(sphere)의 일부를 곡률에 적용한 것이고, 상기 수퍼 아크곡률은 바깥쪽으로 갈수록 곡률이 커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곡률 형태는 상기 패널(1) 내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도 아크 또는 수퍼 아크 곡률을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슈퍼 아크 곡률은 아크 곡률에 비해 섀도우 마스크(5)의 높이의 변위가 상대적으로 작게 나타나므로, 섀도우 마스크(5)의 열변형에 보다 효과적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패널(1) 및 섀도우 마스크(5)에 상기 아크 곡률과 슈퍼 아크 곡률이 특별한 구분없이 적용되었으나, 열변형 특성을 고려하여 수퍼 아크 곡률이 보다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구조 강도 측면에 있어서, 종래에는 상기 패널(1) 뿐만 아니라 이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도 충분히 크게 설계되므로, 별다른 고려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화상 품질 개선을 위해 패널(1)의 외면이 완전평면 또는 평면에 준하도록 외면 곡률반경이(Rop) 40,000mm 이상으로 설계되고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패널(1)의 외면 곡률반경(Rop)에 의해 결정되는 내면 곡률반경(Rip)도 증가되고, 상기 내면곡률(Rip)에 의해 결정되는 섀도우마스크(5)의 곡률반경도 함께 증가된다. 즉, 곡률과 곡률반경사이의 반비례 관계에 의해, 상기 패널(1) 내면 곡률 및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은 각각 감소된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이러한 감소된 섀도우 마스크(5) 곡률에 의해 섀도우 마스크(5)의 구조 강도 및 열변형 특성이 저하된다. 특히 상기 구조 강도의 감소에 의해 충격 또는 스피커음에 의해 화면이 떨리는 하울링(howling) 현상이 발생되며, 화면색이 부분적으로 변화되는 색 재현성의 불량이 발생한다. 또한 외부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쉽게 섀도우 마스크(5)의 변형이 발생된다.
현재 상기 열변형은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이나 곡률 형태가 아닌 전자빔(3)이 충돌하는 면에 반사막(도시는 생략함)을 코팅하여 열전자를 반사시키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고 있으므로,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섀도우 마스크의 구조강도를 향상시키는 내면 곡률 구조를 갖는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음극선관을 일부 단면을 포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어셈블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아크 곡률과 슈퍼 아크 곡률을 비교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대각축을 기준으로 섀도우 마스크의 곡률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a는 장축 및 단축을 기준으로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b는 대각축을 기준으로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 : 패널 1c : 패널 유효면
5 : 섀도우 마스크 5a : 섀도우 마스크 유효면
Rxp : 패널내면의 장축방향 곡률반경
Ryp : 패널내면의 단축방향 곡률반경
Rdp : 패널내면의 대각축방향 곡률반경
Rdm : 섀도우마스크의 대각축방향 곡률반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면과 소정의 곡률을 갖는 내면을 포함하며, 섀도우 마스크가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패널의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가: Rxp가 상기 패널 내면의 장축방향 곡률반경; Ryp가 상기 패널 내면의 단축방향 곡률반경; Rdp가 상기 패널 내면의 대각축 방향 곡률반경; Rdm이 섀도우 마스크의 대각축 방향 곡률반경; 그리고 W가 패널중앙부 두께에 대한 패널 유효면 끝단 두께의 비율일 때,
(E=0.011, F=6.655)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장축방향 곡률반경(Rxp)는(A=-0.217, 1.607 < B < 2.446)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단축방향 곡률반경 (Ryp)는(C=-0.074, 0.799 < D < 1.227)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 중앙부와 패널 유효면 끝단의 두께비(W)는 1.4 < W < 2.5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대각축 곡률반경(Rdm)은 Ldme가 섀도우 마스크 중심에서 대각축 방향 유효면 끝단까지의 거리이고, Hdme가 섀도우 마스크 대각축 방향 끝단에서의 높이일 때
로 표현된다.
한편, 상기 패널 패널과 더불어 높은 구조 강도를 갖도록 최적화된 섀도우 마스크의 곡률 구조는: Xm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 장축상의 임의 좌표; Ym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 단축상의 임의 좌표; 그리고 Zm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 높이축상의 임의 좌표일 때,로 표현된다.
여기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 패널의 곡률 구조는 제조 공정 및 편향 요크등에 의한 산포를 고려하여,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이러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종래에는 패널(1) 내/외면 곡률을 먼저 설계하고 이를 기준하여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을 설계하였다. 이와는 다르게, 본 발명에서는 섀도우 마스크(5)의 구조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먼저 최적화된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 구조가 설계되고 이를 기준으로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면을 갖는 패널(1) 내면의 곡률 구조가 최적화 된다.
도 4는 대각축을 기준으로 섀도우 마스크의 곡률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이를 참조하여 최적화된 섀도우 마스크 곡률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기하학적 구조는 2차원 평면상에서 3개의 좌표축, 즉 장축(X축), 단축(Y축), 대각축(D축)을 기준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각축(D축)은 기준 좌표축(X축,Y축)과는 달리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임의로 설정된 좌표축이다.
그리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기하학적 구조는 3차원 공간상에서 3개의좌표축, 즉 장축(X축), 단축(Y축), 높이축(Z축)을 기준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표축들, 즉, 장축(X축), 단축(Y축), 대각축(D축), 높이축(Z축)의 원점은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중심에 설정된다.
또한 Xm, Ym, Zm이 각각 상기 섀도우 마스크(5) 3차원 좌표축(X축,Y축,Z축)상의 임의 지점의 좌표일 때, Ldm은 2차원 평면내에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중심에서 임의 좌표(Xm,Ym)까지의 거리이다.
여기서 적용되는 곡률 형태인 수퍼 아크 또는 아크 곡률에 따라, 동일한 유효면 끝단(5a)에서의 높이를 가질 때라도 상기 섀도우 마스크(5)는 서로 다른 강도 특성을 갖는다. 즉,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열변형에 대해서는 수퍼 아크 곡률이 유리하지만 강도측면에서는 실제적으로 아크 곡률이 유리하며, 이는 실험 및 구조 해석을 통해서도 입증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5)에는 종래에 사용되던 수퍼 아크 곡률을 대신하여 아크 곡률이 적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이 구(sphere)의 일부인 아크 곡률로 형성되므로, 동일 좌표축상의 임의의 곡률 반경들은 서로 동일하게 된다.
상기 설정된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 형태를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5) 곡률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 구조는 장축(X축) 및 단축(Y축) 좌표를 포함하는 대각축(D축)을 기준으로 높이축(Z축) 좌표를 표현함으로서 전체적으로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대각축을 기준한 곡률 구조에서 Rdm은 대각축 곡률 반경이며,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대각축 임의 지점에서 곡률 반경(Rdm)들은 상기 대각축 위치에 상관없이 서로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임의 지점의 높이축 좌표(Zm)는 섀도우 마스크(5) 중심에서 대각축 곡률 반경(Rdm')에서 길이(A)를 뺀 값이 된다.
그리고 상기[수학식 1]에서의 길이(A)는 상기 임의 지점에서의 곡률 반경(Rdm")과 길이(B) 사이의 기하학적 관계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길이(B)는 상기 2차원 평면상의 거리(Ldm)와 동일하며 상기 길이(Ldm)은 상기 임의 지점의 2차원 좌표(Xm,Ym)의 기하학적 관계로부터 정의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 1- 수학식3에서의 Rdm' 및 Rdm"는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 구조는 전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 구조에는 제조 공정 및 편향 요크등에 의해 산포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산포를라 할 때 상기 곡률 구조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수 있다.
상기 산포()는 실험 및 경험식등에 의해 정의될 수 있으며 이를 상기 수학식 5 에 포함하여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상기 섀도우 마스크(5) 곡률 구조에 있어서 섀도우 마스크(5) 중심에서 대각축 방향 유효면 끝단(5a)까지의 거리는 Ldme, 섀도우 마스크(5) 대각축 방향 높이는 Hdme로 표현된다. 상기 거리(Ldme)와 높이(Hdme)는 생산되는 음극선관의 사양에 따라 섀도우 마스크(5) 설계시 사전에 정해지며,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기하학적 관계로부터 섀도우 마스크(5)의 곡률을 결정하는 곡률 반경(Rdm)이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상기 거리(Ldme)가 결정되고 이로부터 곡률 반경(Rdm)이 정해지면 상기 수학식 6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5) 곡률 구조가 전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섀도우 마스크(5) 곡률 구조는 기본적으로 높은 강도 특성을 갖는 곡률 형태 즉, 아크 곡률을 적용하고 이의 허용 범위를 포함하기 때문에 구조 강도에 대하여 최적화된다. 또한 동일한 전체 높이를 갖는 수퍼 아크 곡률에 대해서도 높은 강도 특성을 갖는다.
한편 칼라 음극선관의 화질 및 색순도등이 확보되기 위해서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5)와 패널(1) 사이의 기하학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기하학적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섀도우 마스크(5) 곡률 구조와 패널(1) 내면 곡률 구조가 서로 상관 관계를 갖도록 최적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1) 내면 구조는 상기 최적화된 섀도우 마스크(5) 곡률 구조에 따라 최적 설계되어야 한다.
도 5a는 장축 및 단축을 기준으로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b는 대각축을 기준으로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섀도우 마스크 곡률 구조에 따라 최적화된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차원 평면 및 3차원 공간상의 좌표에 있어서, 상기 패널(1)의 좌표축은 상기 섀도우 마스크(5)의 좌표축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설정된 좌표축에 대하여 Rxp, Ryp, Rdp는 각각 상기 패널(1) 내면의 장축 방향, 단축 방향 그리고 대각축 방향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그리고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Tc는 상기 패널(1)의 중심부 두께를 나타내며, Te는 대각축 방향 유효면(1c) 끝단에서의 두께를 나타낸다.
이러한 패널(1)의 기본적 곡률 구조에 대하여, 종래의 패널(1) 외면이 곡면인 음극선관에서는 패널(1) 내면이 장축방향 곡률 반경(Rxp) 및 단축 방향 곡률 반경(Ryp)이 동일한 완전 구면 곡률 구조를 갖도록 설계된다. 그러나 패널(1) 외면이 완전 평면이거나, 이에 근사한 편평도를 갖는 본 발명의 음극선관에서는, 설계상 문제로 인해 패널(1) 내면은 기본적으로 장축 방향 곡률 반경(Rxp) 및 단축 방향 곡률 반경(Ryp)이 서로 다른 곡률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두께(Te)에 상기 두께(Tc)의 비율(이하 웨지(wedge)율)이 W일 때 상기 장축(X축) 방향 곡률 반경(Rx)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도록 설정된다.
(A=-0.217, 1.607 B < 2.446)
그리고 단축(Y축) 방향 곡률 반경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갖도록 설정된다.
(C=-0.074, 0.799 D < 1.227)
상기 수학식 8 및 수학식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장축 및 단축 방향 곡률반경(Rxp,Ryp)은 상기 최적화된 섀도우 마스크(5)의 기하학적 특성 즉, 곡률 구조를 반영하도록 상기 곡률반경(Rdm)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1) 자체의 구조적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적정한 웨지율이 또한 고려된다.
따라서 상기 조건들 즉, 곡률 반경(Rdm) 및 웨지율(W)에 등에 따라 상기 변수(A,B,C,D)등이 구조해석을 통해 결정되며, 이에 의해 상기 장축 및 단축 방향 곡률반경(Rxp,Ryp)은 상기 패널(1) 내면 곡률에 대해 최적화된다.
또한 상기 대각축 방향 곡률 반경(Rdp)은 상기 장축 및 단축 방향 곡률 반경(Rxp,Ryp) 및 웨지율(W)을 기준으로 변수(E,F)를 구조해석을 통해 결정함으로서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E=0.011, F=6.655)
상기 수학식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대각축 방향 곡률 반경(Rdp)은 상기 장축 방향 곡률 반경(Rxp)과 단축 방향 곡률 반경(Ryp)을 포함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로 정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내면 곡률은 실질적으로 상기 대각축 방향 곡률 반경(Rdp)에 의해서 표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웨지율(W)의 값이 1.5이하가 되면 패널(1) 주변부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아지게 되므로 음극선관의 내부 진공에 대한 강도가 약화된다 또한, 반대로 상기 관계식(1)의 값이 2.5이상이 되면 패널(1) 주변부의 두께가 너무 두껍게 되어 열 전도도가 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패널(1) 외면 및 내면온도차이에 의한 열응력이 발생하므로 제조 공정중 또는 작동중에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상기 패널(1) 내면의 곡률을 설계함에 있어서, 웨지율(W)은 1.5보다 크고 2.5보다 작은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5)가 높은 강도를 갖도록 최적화 설계되고, 상기 섀도우 마스크(5)와의 기하학적 상관 관계를 만족하도록 패널(1) 내면 곡률이 설계됨으로서 본 발명은 섀도우 마스크에 높은 구조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된 본 명세서에서 단지 하나의 실시예가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그 취지와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많은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상술된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섀도우 마스크의 구조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서 내진동 특성이 향상된다. 따라서 섀도우 마스크의 색 재현도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곡률 구조가 적용되어 구조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외부 하중에 의한 섀도우 마스크의 변형 현상이 최소화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면과 소정의 곡률을 갖는 내면을 포함하며, 섀도우 마스크가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패널의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가:
    Rxp가 상기 패널 내면의 장축방향 곡률반경;
    Ryp가 상기 패널 내면의 단축방향 곡률반경;
    Rdp가 상기 패널 내면의 대각축 방향 곡률반경;
    Rdm이 섀도우 마스크의 대각축 방향 곡률반경; 그리고
    W가 패널중앙부 두께에 대한 패널 유효면 끝단 두께의 비율일 때,
    (E=0.011, F=6.655) 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축방향 곡률반경(Rxp)이
    (A=-0.217, 1.607 < B < 2.446)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방향 곡률반경(Ryp)이
    (C=-0.074, 0.799 < D < 1.227)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4. 실질적으로 평평한 외면과 소정의 곡률을 갖는 내면을 포함하며, 섀도우 마스크가 후방에 위치되는 상기 패널의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패널 내면의 곡률 구조가:
    Rxp가 상기 패널 내면의 장축방향 곡률반경;
    Ryp가 상기 패널 내면의 단축방향 곡률반경;
    Rdp가 상기 패널 내면의 대각축 방향 곡률반경;
    Rdm이 섀도우 마스크의 대각축 방향 곡률반경; 그리고
    W가 패널중앙부 두께에 대한 패널 유효면 끝단 두께의 비율일 때,
    (A=-0.217, 1.607 < B < 2.446)
    (C=-0.074, 0.799 < D < 1.227)
    (E=0.011, F=6.655) 인 관계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중앙부와 패널 유효면 끝단의 두께비(W)가 1.4 < W < 2.5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 마스크의 대각축 곡률반경(Rdm)이
    Ldme가 섀도우 마스크 중심에서 대각축 방향 유효면 끝단까지의 거리이고,
    Hdme가 섀도우 마스크 대각축 방향 끝단에서의 높이일 때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7.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후방에 위치한 섀도우 마스크의 곡률 구조가:
    Xm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 장축상의 임의 좌표;
    Ym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 단축상의 임의 좌표; 그리고
    Zm이 상기 섀도우 마스크 높이축상의 임의 좌표일 때,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의 패널.
  8. 제 7 항에 있어서,
    가 제조 공정 및 편향 요크등에 의한 산포일 때, 상기 섀도우 마스크 패널의 곡률 구조가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포()가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패널.
KR10-2000-0023093A 2000-04-29 2000-04-29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KR100364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093A KR100364707B1 (ko) 2000-04-29 2000-04-29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US09/826,873 US6583546B2 (en) 2000-04-29 2001-04-06 Color cathode ray tube
JP2001113720A JP2001351540A (ja) 2000-04-29 2001-04-12 カラー陰極線管
CNB011170913A CN1175463C (zh) 2000-04-29 2001-04-24 彩色阴极射线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093A KR100364707B1 (ko) 2000-04-29 2000-04-29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261A KR20010098261A (ko) 2001-11-08
KR100364707B1 true KR100364707B1 (ko) 2003-02-06

Family

ID=1966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093A KR100364707B1 (ko) 2000-04-29 2000-04-29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83546B2 (ko)
JP (1) JP2001351540A (ko)
KR (1) KR100364707B1 (ko)
CN (1) CN117546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9542B1 (ko) 2001-07-24 2003-06-2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39268B1 (ko) * 2001-12-19 2004-07-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평면형 컬러음극선관
KR100443611B1 (ko) * 2002-06-26 2004-08-0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음극선관용 패널
KR100486723B1 (ko) * 2003-07-08 2005-05-03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 음극선관
JP2006049145A (ja) * 2004-08-05 2006-02-16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受像管
JP2006059574A (ja) * 2004-08-17 2006-03-02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受像管
US7242137B2 (en) * 2004-09-30 2007-07-1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 ray tube with cone having non-circular cross-section
US20060087215A1 (en) * 2004-10-22 2006-04-27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 ray tube
US20170251342A1 (en) * 2014-10-02 2017-08-31 Rajesh Bhalla Group communication with a logical group of wireless devices operating in different network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7322A (en) * 1982-12-13 1985-08-27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Glass envelope for a cathode-ray tube
JPS62177841A (ja) * 1986-01-30 1987-08-04 Matsushita Electronics Corp カラ−受像管
KR930024060A (ko) * 1992-05-21 1993-12-21 이시이 에이지 컬러 음극선관용 패널
US5663610A (en) * 1994-08-09 1997-09-02 Kabushiki Kaisha Toshiba Cathode ray tube that minimizes mislanding of electron beams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vibration
JPH11144648A (ja) * 1997-09-02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展張型シャドウグリルを具備したカラー受像管装置
KR20000011098A (ko) * 1997-03-14 2000-02-25 니시무로 타이죠 칼라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0695B2 (ja) * 1996-10-30 2004-04-19 旭硝子株式会社 陰極線管用ガラスバルブ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7322A (en) * 1982-12-13 1985-08-27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Glass envelope for a cathode-ray tube
US4537322B1 (en) * 1982-12-13 1998-03-10 Tokyo Shibaura Electric Co Glass envelope for a cathode-ray tube
JPS62177841A (ja) * 1986-01-30 1987-08-04 Matsushita Electronics Corp カラ−受像管
KR930024060A (ko) * 1992-05-21 1993-12-21 이시이 에이지 컬러 음극선관용 패널
US5663610A (en) * 1994-08-09 1997-09-02 Kabushiki Kaisha Toshiba Cathode ray tube that minimizes mislanding of electron beams due to thermal expansion and vibration
KR20000011098A (ko) * 1997-03-14 2000-02-25 니시무로 타이죠 칼라음극선관
JPH11144648A (ja) * 1997-09-02 1999-05-28 Mitsubishi Electric Corp 展張型シャドウグリルを具備したカラー受像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351540A (ja) 2001-12-21
CN1175463C (zh) 2004-11-10
KR20010098261A (ko) 2001-11-08
CN1322003A (zh) 2001-11-14
US6583546B2 (en) 2003-06-24
US20010045796A1 (en) 2001-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1818B1 (ko)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36470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KR100420730B1 (ko) 칼라 음극선관
JP2000113839A (ja) 陰極線管用ガラスファンネル及び陰極線管
KR100383213B1 (ko) 칼라 음극선관
EP0989582A1 (en) Cathode-ray tube
KR100357169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9840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_
JP3636631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のパネル
JPH10144238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12582B1 (ko) 음극선관
JP2001126632A (ja) カラー受像管
KR100331820B1 (ko) 평면 음극선관
US7005791B2 (en) Flat panel for cathode-ray tube
KR100605761B1 (ko) 음극선관
JP2003346677A (ja) 陰極線管用マスクフレーム
KR20000033685A (ko) 음극선관
KR101049932B1 (ko) 음극선관의 패널
KR100524865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33508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 마스크
KR100692043B1 (ko) 음극선관
US20020050777A1 (en) Mask in color cathode ray tube
KR100607245B1 (ko) 칼라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20050001877A (ko) 칼라 음극선관
JP2000306528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