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0730B1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0730B1
KR100420730B1 KR10-2002-0007876A KR20020007876A KR100420730B1 KR 100420730 B1 KR100420730 B1 KR 100420730B1 KR 20020007876 A KR20020007876 A KR 20020007876A KR 100420730 B1 KR100420730 B1 KR 10042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enter
effective
shadow mask
effective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7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7643A (ko
Inventor
나카가와신이치로
이토요시아키
무라이다카시
이노우에마사츠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20067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7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7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13Faceplates
    • H01J2229/8616Faceplates characterised by shape
    • H01J2229/862Parameterised shape, e.g. expression, relationship or equation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용기의 패널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고, 유효부의 외면은 거의 평면 또는 약간의 곡률을 갖고 있다.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은 중심에서 장축, 단축방향 단부까지의 거리를 각각 “H”, “V”로 하고, 이때, 유효면의 중심에서 장축방향 중간점까지의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H1”, 유효면 중심에서 장축방향 단부까지의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H2”, 유효면 중심에서 단축방향 중간점까지의 단축방향 곡률반경을 “RV1”, 유효면 중심에서 단축방향 단부까지의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V2”로 할 때,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은,
2≤RH1/RH2≤4 및 1〈RV1/RV2≤1.47을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COLOR CATHODE RAY TUB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발명은 2001년 2월 15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번호 제 2001-038023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상기 우선권의 내용은 명세서에서 참고로 설명된다.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패널의 유효부 외면이 평탄화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칼라 음극선관은 최근 시인성 향상을 위해 패널의 유효부 외면을 평탄화하는 경향에 있다. 유효부 외면의 평탄화에 수반하여 유효부 내면, 또는 이 유효부 내면에 설치된 형광체스크린과 대향하는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을 평탄화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유효면이 구면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섀도우마스크의 곡률반경을 단순히 크게 함으로써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을 평탄화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고휘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전자총으로부터 고밀도 전자빔을 방출시키면 고밀도 전자빔이 섀도우마스크에 충돌함으로써 섀도우마스크가 국부적으로 크게 열팽창하여 형광체스크린 방향으로 팽창(도밍현상)하고, 색순도의 열화가 발생한다. 또, 섀도우마스크의 곡면 유지 강도가 저하하고, 칼라 음극선관의 제조시나 수송시에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해 변형하여 칼라 음극선관이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상기 문제를 경감하는 수단으로서, 일본 특개평9-245685호 공보에는 패널의 유효부 외면을 평탄하게 하고, 내면의 장축 방향 곡률반경을 거의 무한대, 단축방향 곡률반경을 거의 일정하게 한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평10-199436호 공보에는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을 동일한 형상으로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 일본 특개평11-242940호 공보에는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의 주변부에서 곡률을 크게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널이나 섀도우마스크는 각각 상기 문제에 대해 일정한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칼라 음극선관의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한층 더 패널의 유효부 내면이나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의 평탄화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또, 섀도우마스크에 대해서는 보다 곡면 유지 강도를 높이는 형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의 곡면 유지 강도가 높고, 또 시인성이 향상된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해하며,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인 칼라 음극선관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상기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장축을 따른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단축을 따른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섀도우마스크의 곡률과 좌굴(座屈)압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6은 상기 칼라 음극선관의 섀도우마스크의 장축상의 장축방향 곡률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단축상의 단축 방향 곡률반경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섀도우마스크의 장축상의 장축방향 곡률반경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9는 상기 다른 실시형태의 섀도우마스크의 단축상의 단축방향 곡률반경을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유효부(패널) 2 : 스커트부(패널)
3 : 패널 4 : 퍼넬
5 : 형광체스크린 6 : 유효면(마스크 본체)
7 : 마스크 본체 8 : 마스크프레임
9 : 섀도우마스크 10 : 진공 외관용기
11 : 넥 12B, 12G, 12R : 3 전자빔
13 : 전자총 15 : 편향장치
20 : 탄성 지지체 22 : 스터드핀
24 : 스커트부(마스크 본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태양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외면이 거의 평면 또는 약간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는 패널을 구비한 외관용기와, 상기 유효부의 내면에 설치된 형광체스크린, 상기 형광체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및 상기 형광체스크린과 상기 전자총 사이에 배치된 섀도우마스크를 포함하고, 이 섀도우마스크는 상기 형광체스크린과 대향하고, 또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면을 갖고, 이 유효면은 관축과 직교하는 장축과, 관축 및 장축과 직교하는 단축을 갖고, 상기 형광체스크린측에 볼록 형상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의 중심에서 유효면의 장축 단부까지의 거리를 “H”로 할 때, 유효면의 중심에서 장축방향 중간점까지의 거리(H/2)와 상기 장축방향 중간점의 상기 유효면 중심에 대한 관축방향의 함몰량(ZH1)에 의해 규정되는 유효면의 장축상의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H1”, 거리(H)와 상기 장축 단부의 상기 유효면의 중심에 대한 관축방향의 함몰량(ZH2)으로 규정되는 장축상의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H2”로 나타내고,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의 중심에서 단축방향 단부까지의 거리를 “V”로 할 때, 유효면의 중심에서 단축방향 중간점까지의 거리(V/2)와 상기 단축방향 중간점에서의 상기 유효면 중심에 대한 관축방향의 함몰량(ZV1)으로 규정되는 단축상의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V1”, 단축방향 단부까지의 거리(V)와 상기 단축방향 단부에서의 상기 유효면 중심에 대한 관축방향의 함몰량(ZV2)으로 규정되는 단축상의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V2”로 나타내면, 상기 섀도우마스크는,
2≤RH1/RH2 ≤4
1〈RV1/RV2≤1.47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 및 이점들이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되어 부분적으로 명확해지거나, 본 발명의 실행에 의해 학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들은 지금부터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실시예와 결합예에 의해 획득되고 실현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패널(3) 및 퍼넬(4)을 갖는 진공 외관용기(10)를 구비하고 있다. 패널(3)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1)와 유효부의 주변부에 세워 설치된 스커트부(2)로 구성되어 있다. 패널(3)의 유효부(1)의 내면에는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3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진 형광체스크린(5)이 설치되어 있다.
또, 패널(3)의 내측에는 형광체스크린(5)과 대향하여 섀도우마스크(9)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섀도우마스크(9)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면(6)을 갖는 마스크 본체(7)와 이 마스크 본체(7)의 주변부에 부착된 마스크프레임(8)을 갖고 있다. 마스크 본체(7)의 유효면(6)에는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섀도우마스크(9)는 마스크프레임(8)에 부착된 탄성지지체(20)를 패널(3)의 스커트부(2) 내면에 설치된 스터드핀(22)에 걸어 고정함으로써 패널에 대해 탈착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한편, 퍼넬(4)의 넥(11)내에는 3개의 전자빔(12B, 12G, 12R)을 방출하는 전자총(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칼라음극선관에서는 전자총(13)으로부터 방출된 3개의 전자빔(12B, 12G, 12R)을 퍼넬(4)의 외측에 장착된 편향장치(15)가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편향하고, 섀도우마스크(9)를 통해 형광체스크린(5)을 수평, 수직 주사함으로써 칼라 화상을 표시한다.
패널(3)에 있어서, 시인성 향상을 위해 유효부(1)의 외면은 대각축 방향의 평균 곡률반경을 10000mm 이상으로 하는 평면 또는 약간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형성되고, 내면은 섀도우마스크(9)의 유효면(6)에 대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평탄화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섀도우마스크(9)의 마스크 본체(7)는 거의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면(6)과, 유효면의 둘레 테두리부를 구부려 형성된 스커트부(24)를 갖고 있다. 또 유효면(6)은 형광체스크린(5)측에 볼록 형상을 이루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또 관축(Z)과 직교하는 장축(X축) 및 단축(Y축)을 갖고 있다. 마스크중심에서 유효면(6)의 장축(X)단까지의 거리는 “H”, 중심에서 유효면의 단축(Y)단까지의 거리는 “V”로 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7)에 있어서 장축(X)방향의 중간점(마스크 중심(C)에서 거리(H/2)의 점)에서의 관축(Z)방향의 함몰량을 “ZH1”으로 할 때, 중심(C)으로부터 장축방향 중간점(H/2)까지를 평균한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H1)은,
RH1={(ZH1)2+(H/2)2}/(2·ZH1)
로 나타내어진다.
마찬가지로, 장축(X)방향 단부(중심(C)으로부터 거리(H)의 점)에서의 함몰량을 “ZH2”로 하면, 중심(C)으로부터 장축 단부까지를 평균한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H2)은,
RH2={(ZH2)2+(H)2}/(2·ZH2)로 나타내어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축(Y)방향 중간점(중심(C)으로부터 거리(V/2)의 점)에서의 관축(Z)방향의 함몰량을 “ZV1”로 할 때, 중심(C)에서 단축방향 중간점(V/2)까지를 평균한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V1)은,
RV1={(ZV1)2+(V/2)2}/(2·ZV1)
로 나타내어진다.
마찬가지로, 단축 방향 단부(중심에서 거리(V)의 점)의 함몰량을 “ZV2”로 하면 단축방향 단부까지를 평균한 단축 방향 평균 곡률반경(RV2)은,
RV2={(ZV2)2+(V)2}/(2·ZV2)
로 나타내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외면이 평탄하고 내면이 곡면 형상으로 되어 있는 패널(3)인 경우, 패널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의 증가에 따라서 패널 두께의 증가가 현저해진다. 또, 패널 내면이 구면인 경우, 패널의 장축단과 대각축단 사이에서 두께차가 크고, 패널을 경사진 가로 방향에서 본 경우의 화면 단변부의 평탄성이 손상된다. 따라서, 패널 내면의 장축단과 대각축단의 함몰량의 차를 작게 하여 화면 단변부의 평탄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패널의 장축상과 장변상의 사이에서 함몰량의 차가 작아져 패널 주변부에 있어서 단축방향의 곡률반경이 중심 부분에 비해 작아지는 경향이 된다. 이 때문에 이와 같은 패널에 대응하여 형성된 섀도우마스크에서는 마스크 주변 부분의 단축방향의 곡률반경을 작게 하여 국부 도밍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섀도우마스크(9)에 의하면 마스크 본체(7)의 곡면 형상은 장축(X)상의 장축방향 곡률반경이 마스크 중심(C)에서 장축(X)단 방향의 도중까지 구면 형상(RH1/RH2=1) 보다도 크게 평탄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또, 마스크 주변부에서는 장축(X)상의 장축방향 곡률반경이 마스크 중심부보다도 작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섀도우마스크 형상으로 하면 단변측의 주변부에서 장축(X)상과 장변상의 사이의 함몰량의 차를 작게 할 수 있고, 또 단축(Y)방향의 곡률반경을 작게 할 수 있다.
마스크 중심(C)에서 장축(X)상의 도중까지 마스크 유효면(6)을 평탄에 가깝게 하는데, 이 경우 RH1과 RH2의 비는,
2≤RH1/RH2≤4
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RH1/RH2)가 2 보다 작으면 마스크 주변부에서 단축(Y)방향의 곡률반경이 커진다. 그 결과, 마스크 본체(7)의 도밍에 의한 미스랜딩(miss landing)량이 커진다. 또, 비(RH1/RH2)가 4보다 크면 마스크 중심 부근의 곡면 유지 강도가 약해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섀도우마스크(9)의 유효면(6) 전체에 하중(압력)을 가해 섀도우마스크를 변형시키는 시뮬레이션을 실시했다. 유효면(6)이 크게 변형했을 때의 하중을 좌굴압력으로 하고, 이 좌굴압력을 섀도우마스크의 곡면 유지 강도의 지표로 했다.
도 5는 유효면(6)의 장축(X), 단축(Y), 대각축(D)의 각 축 단부의 함몰량을 동일하게 형성한 섀도우마스크(9)에 대해 비(RV1/RV2)와 좌굴압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파선은 비(RH1/RH2)를 하한값(2)으로 설정했을 때의 비(RV1/RV2)와 좌굴압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실선은 비(RH1/RH2)를 상한값(4)으로 설정했을 때의 비(RV1/RV2)와 좌굴압력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제품으로서 실용 가능한 좌굴압력의 범위를 50Pa 이상으로 한 경우, RH1/RH2=2일 때의 비(RV1/RV2)의 범위는 0.99∼1.47, RH1/RH2=4일 때의비(RV1/RV2)의 범위는 1.06∼1.39로 되어 있다. 따라서, 비(RV1/RV2)의 범위로서는,
1〈RV1/RV2≤1.47
가 바람직하다.
유효면(6)의 단축(Y)상의 단축방향 곡률반경(RV)은 바람직하게는 유효면(6) 중심에서 단축(Y)단에 걸쳐 단조롭게 감소하고, 또 장축(X)상의 장축방향 곡률반경(RH)도 유효면(6)의 중심에서 장축(X)단에 걸쳐 단조롭게 감소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섀도우마스크(9)를 갖는 칼라 음극선관에 의하면 패널(3)의 유효부(1)를 더 평탄화한 경우에도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6)의 곡면 유지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시인성이 향상된 칼라 음극선관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섀도우마스크(9)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예 1)
최근의 주류인 패널(3)의 유효부(1)의 종횡비가 16:9이고, 화면의 대각 길이가 76㎝인 와이드 타입의 칼라 음극선관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은 섀도우마스크(9)의 유효면(6)의 장축(X)상의 장축방향의 곡률반경을, 도 7은 단축(Y)상의 단축방향의 곡률반경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섀도우마스크(9)는 유효면(6)의 중심(C)을 통과하는 단축(Y) 방향의 평균 곡률반경이 장축방향의 평균 곡률반경의 약 0.37배로 되어 있다.
각 축 방향의 중간점, 단부에서의 함몰량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장축(X)방향: 중심(C)에서 장축(X)단까지의 거리(H)=314mm)
장축방향 중간점에서의 함몰량(ZH1)=1.0mm
장축방향 단부에서의 함몰량(ZH2)=12.3mm
중심(C)에서 중간점까지를 평균한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H1)=12325mm
중심(C)에서 단부까지를 평균한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H2)=4014mm
(단축(Y)방향: 중심(C)에서 단축(Y)단까지의 거리(V)=178mm)
단축방향 중간점에서의 함몰량(ZV1)=2.3mm
단축방향 단부에서의 함몰량(ZV2)=10.8mm
중심(C)에서 중간점까지를 평균한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V1)=1723mm
중심(C)에서 단부까지를 평균한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V2)=1472mm
(대각축 방향: 중심(C)에서 대각축단까지의 거리(D)=361mm)
대각축 방향 중간점에서의 함몰량(ZD1)=3.2mm
대각축 방향 단부에서의 함몰량(ZD2)=15.1mm
중심(C)에서 중간점까지를 평균한 대각축 방향 평균 곡률반경(RD1)=5029mm
중심(C)에서 단부까지를 평균한 대각방향 평균 곡률반경(RD2)=4323mm
상기 섀도우마스크에 의하면 각 축방향의 곡률반경의 비는,
RH1/RH2=3.1
RV1/RV2=1.2
가 된다. 이때의 섀도우마스크의 좌굴압력은 71Pa가 되어 기준값 50Pa를 상회하고 있어서, 섀도우마스크는 충분한 곡면 유지 강도를 갖고 있다.
(실시예 2)
패널(3)의 유효부(1)의 종횡비가 4:3이고, 화면의 대각 길이가 68㎝인 칼라수상관을 예로 설명한다. 도 8은 섀도우마스크(9)의 유효면(6)의 장축(X)상에서의 장축방향의 곡률반경을, 도 9는 단축(Y)상에서의 단축방향의 곡률반경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섀도우마스크(9)는 유효면(6)의 중심(C)을 통과하는 단축(Y)방향의 평균 곡률반경이 장축방향의 평균 곡률반경의 약 0.60배로 되어 있다.
각 축 방향의 중간점, 단부에서의 함몰량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되어 있다.
(장축(X)방향: 중심(C)에서 장축(X)단까지의 거리(H)=257mm)
장축방향 중간점에서의 함몰량(ZH1)=1.2mm
장축방향 단부에서의 함몰량(ZH2)=12.1mm
중심(C)에서 중간점까지를 평균한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H1)=6881mm
중심(C)에서 단부까지를 평균한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H2)=2735mm
(단축(Y)방향: 중심(C)에서 단축(Y)단까지의 거리(V)=193mm)
단축방향 중간점에서의 함몰량(ZV1)=2.7mm
단축방향 단부에서의 함몰량(ZV2)=11.4mm
중심(C)에서 중간점까지를 평균한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V1)=1726mm
중심(C)에서 단부까지를 평균한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RV2)=1639mm
(대각축 방향: 중심(C)에서 대각축단까지의 거리(D)=321.4mm)
대각축 방향 중간점에서의 함몰량(ZD1)=4.1mm
대각축 방향 단부에서의 함몰량(ZD2)=15.6mm
중심(C)에서 중간점까지를 평균한 대각축 방향 평균 곡률반경(RD1)=3151mm
중심(C)에서 단부까지를 평균한 대각방향 평균 곡률반경(RD2)=3319mm
상기 섀도우마스크에 의하면 각 축방향의 곡률반경의 비는,
RH1/RH2=2.5
RV1/RV2=1.1
가 된다. 이때의 섀도우마스크의 좌굴압력은 95Pa가 되어 기준값 50Pa를 상회하여, 섀도우마스크는 충분한 곡면 유지 강도를 갖고 있다.
이상과 같이, 모든 칼라 음극선관에서도 섀도우마스크의 곡면 유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이 섀도우마스크를 조립한 칼라 음극선관에서는 패널의 유효부 외면을 평탄화해도 섀도우마스크의 국부 도밍을 억제할 수 있고, 시인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추가적인 이점 및 변형예가 해당 분야에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 의해 쉽게 발생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광범위한 측면은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도시된 특정한 상세 내용 및 대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항 및 이와 동일한 것에 의해 한정된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4)

  1. 외면이 거의 평면 또는 약간의 곡률을 가진 곡면으로 이루어져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부를 갖는 패널을 구비한 외관용기;
    상기 유효부의 내면에 설치된 형광체스크린;
    상기 형광체스크린을 향해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및
    상기 형광체스크린과 상기 전자총 사이에 배치된 섀도우마스크를 포함하는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이 섀도우마스크는 상기 형광체스크린과 대향하고 있고, 또 다수의 전자빔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유효면을 갖고, 이 유효면은 관축과 직교하는 장축과, 관축 및 장축과 직교하는 단축을 갖고, 상기 형광체스크린측에 볼록 형상을 이루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의 중심에서 유효면의 장축 단부까지의 거리를 “H”로 할 때, 유효면의 중심에서 장축방향 중간점까지의 거리(H/2)와 상기 장축방향 중간점의 상기 유효면 중심에 대한 관축방향의 함몰량(ZH1)에 의해 규정되는 유효면의 장축상의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H1”, 거리(H)와 상기 장축 단부의 상기 유효면의 중심에 대한 관축방향의 함몰량(ZH2)으로 규정되는 장축상의 장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H2”로 나타내고,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의 중심에서 단축방향 단부까지의 거리를 “V”로 할 때, 유효면의 중심에서 단축방향 중간점까지의 거리(V/2)와 상기 단축방향중간점에서의 상기 유효면 중심에 대한 관축방향의 함몰량(ZV1)으로 규정되는 단축상의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V1”, 단축방향 단부까지의 거리(V)와 상기 단축방향 단부에서의 상기 유효면 중심에 대한 관축방향의 함몰량(ZV2)으로 규정되는 단축상의 단축방향 평균 곡률반경을 “RV2”로 나타낼 때,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유효면은,
    2≤RH1/RH2 ≤4
    1〈RV1/RV2≤1.47
    의 관계를 만족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단축상의 단축방향 곡률반경은 유효면의 중심에서 단축단에 걸쳐 단조롭게 감소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장축상의 장축방향 곡률반경은 상기 유효면의 중심에서 장축단에 걸쳐 단조롭게 감소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단축상의 단축방향 곡률반경은 상기 유효면의 중심에서 단축단에 걸쳐 단조롭게 감소하고,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장축상의 장축방향 곡률반경은 상기 유효면의 중심에서 장축단에 걸쳐 단조롭게 감소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2-0007876A 2001-02-15 2002-02-14 칼라 음극선관 KR100420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38023A JP2002245948A (ja) 2001-02-15 2001-02-15 カラー受像管
JPJP-P-2001-00038023 2001-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7643A KR20020067643A (ko) 2002-08-23
KR100420730B1 true KR100420730B1 (ko) 2004-03-02

Family

ID=18901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876A KR100420730B1 (ko) 2001-02-15 2002-02-14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50036B2 (ko)
JP (1) JP2002245948A (ko)
KR (1) KR100420730B1 (ko)
CN (1) CN121075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12356B2 (en) * 2002-07-15 2006-03-14 Lg. Philips Displays Korea Co., Ltd. Color cathode ray tube
KR100662942B1 (ko) * 2003-07-23 2006-12-2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음극선관
KR100525902B1 (ko) * 2003-08-25 2005-11-04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EP1617455B1 (en) * 2004-06-01 2007-08-01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olor picture tube
JP2006049145A (ja) 2004-08-05 2006-02-16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受像管
JP2006059574A (ja) * 2004-08-17 2006-03-02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カラー受像管
US7242137B2 (en) 2004-09-30 2007-07-10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 ray tube with cone having non-circular cross-section
US20060087215A1 (en) * 2004-10-22 2006-04-27 Matsushita Toshiba Picture Display Co., Ltd. Cathode ray tube
KR100708845B1 (ko) * 2004-12-07 2007-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KR100748975B1 (ko) * 2005-02-24 2007-08-13 엘지.필립스 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칼라음극선관
CN101295616B (zh) * 2008-04-29 2010-06-02 彩虹显示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提高显像管白场均匀性的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950A (ja) * 1993-06-17 1994-06-10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ブラウン管
JPH07211244A (ja) * 1994-01-17 1995-08-11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KR19980081086A (ko) * 1997-04-12 1998-11-25 손욱 음극선관
JPH11242940A (ja) * 1997-12-26 1999-09-07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KR20000031417A (ko) * 1998-11-06 2000-06-05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20000013151U (ko) * 1998-12-23 2000-07-15 김순택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301321B1 (ko) * 1997-03-14 2001-10-29 니시무로 타이죠 칼라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7001A (en) * 1983-09-06 1989-12-12 Rca Licensing Corporation Cathode-ray tube having faceplate panel with essentially planar screen periphery
US4697119A (en) 1985-01-11 1987-09-29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non-spherical curved mask
US4881004A (en) 1987-08-26 1989-11-14 Kabushiki Kaisha Toshiba Color cathode ray tube
JPH0614454B2 (ja) * 1990-03-22 1994-02-2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受像管
IT1239510B (it) * 1990-03-30 1993-11-03 Videocolor Spa Tubo a raggi catodici avente una lastra frontale perfezionata, con rapporto larghezza/altezza di 16/9"
JPH0536359A (ja) * 1991-07-31 1993-02-12 Hitachi Ltd カラー受像管用シヤドウマスク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3354254B2 (ja) 1993-02-16 2002-12-09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JP3526466B2 (ja) 1993-11-26 2004-05-17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JP3354297B2 (ja) 1994-08-09 2002-12-09 株式会社東芝 カラー受像管
JPH10199436A (ja) 1997-01-13 1998-07-31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45685A (ja) 1996-03-06 1997-09-19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TW341711B (en) 1996-03-06 1998-10-01 Toshiba Co Ltd Cathode ray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H11288676A (ja) 1997-12-10 1999-10-19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JP2000149809A (ja) 1998-11-05 2000-05-30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2950A (ja) * 1993-06-17 1994-06-10 Hitachi Ltd シャドウマスク型カラーブラウン管
JPH07211244A (ja) * 1994-01-17 1995-08-11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KR100301321B1 (ko) * 1997-03-14 2001-10-29 니시무로 타이죠 칼라음극선관
KR19980081086A (ko) * 1997-04-12 1998-11-25 손욱 음극선관
JPH11242940A (ja) * 1997-12-26 1999-09-07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KR20000031417A (ko) * 1998-11-06 2000-06-05 구자홍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KR20000013151U (ko) * 1998-12-23 2000-07-15 김순택 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09451A1 (en) 2002-08-15
US6650036B2 (en) 2003-11-18
KR20020067643A (ko) 2002-08-23
JP2002245948A (ja) 2002-08-30
CN1210754C (zh) 2005-07-13
CN1371117A (zh) 2002-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3829B1 (ko) 음극선관및그제조방법
KR100420730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91219B1 (ko) 칼라수상관
JP3354254B2 (ja) カラー受像管
KR100323935B1 (ko) 음극선관
KR0130023B1 (ko) 칼라 수상관
KR100277797B1 (ko) 음극선관
KR100394420B1 (ko) 칼라음극선관과 이를 구비한 칼라수상관장치
KR10036470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패널
KR100341230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405235B1 (ko) 칼라수상관
KR20010013730A (ko) 음극선관장치
JP3435376B2 (ja) カラー陰極線管用シャドウマスク及びカラー陰極線管
KR100426575B1 (ko) 음극선관용 패널 구조
KR100420729B1 (ko) 컬러음극선관
JP2002042698A (ja) パネル表面がフラットなシャドーマスク型カラー陰極線管
KR100332293B1 (ko) 음극선관
KR0177121B1 (ko) 브라운관의 패널
KR100405234B1 (ko) 칼라음극선관
KR100370523B1 (ko) 패널 표면이 편평한 섀도우 마스크형 칼라 음극선관
KR100524861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 프레임
KR100524865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331533B1 (ko) 칼라음극선관
JP2002008563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3100231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