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3354B1 - 촬상장치의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촬상장치의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3354B1
KR100363354B1 KR1019960059395A KR19960059395A KR100363354B1 KR 100363354 B1 KR100363354 B1 KR 100363354B1 KR 1019960059395 A KR1019960059395 A KR 1019960059395A KR 19960059395 A KR19960059395 A KR 19960059395A KR 100363354 B1 KR100363354 B1 KR 100363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imaging device
data
control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1853A (ko
Inventor
아끼라 시미즈
요시나리 기리야마
하지메 미즈까미
히로미쯔 니와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3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1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3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3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촬상 장치의 동작을 퍼스널 컴퓨터 측에서 제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촬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어 데이터 파일을 설정하고, 이 제어 데이터 파일의 각 영역 B01 내지 B06에 기억되는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 매뉴얼 지정 데이터 IRM, WBM, 및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를 재기록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동작 조건의 설정을 변경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컴퓨터 기기에 화상 정보의 입력 장치로서 접속되는 촬상 장치를 컴퓨터 기기 측에서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촬상 장치에는 고체 촬상 소자의 노광 상태를 최적으로 유지하도록 노광 제어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노광 제어 수단으로는, 고체 촬상 소자에 입사하는 광량을 피사체의 휘도에 따라 제어하는 기계적인 조리개 기구나, 고체 촬상 소자의 전하 축적 시간을 피사체의 휘도에 따라 제어하는 소위 전자 셔터 등이 알려져 있다.
도 6은 프레임 전송 방식의 CCD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7은 그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고체 촬상 소자(1)는 촬상부(li), 축적부(Is), 수평 전송부(1h), 및 출력부(Id)로 구성된다. 촬상부(li)는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며 수직 방향으로 연속하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지고, 이들 시프트 레지스터의 각 비트는 복수의 수광 비트를 형성하여, 피사체 영상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정보 전하를 축적한다. 축적부 (Is)는 촬상부(li)의 각 시프트 레지스터에 연속하고 또한 비트 수가 일치하는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이들 시프트 레지스터의 각 비트는 축적 비트를 형성하여 각 축적 비트에 촬상부(li)로부터 전송되는 1 화면분의 정보 전하를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수평 전송부(lh)는 축적부(Is)의 복수의 시프트 레지스터의 각 출력이 자각 각 비트에 접속되는 단일의 시프트 레지스터로 이루어지며, 축적부(Is)에 축적되는 1 화면분의 정보 전하를 1행 단위로 수신하여 순차 수평 방향으로 전송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출력부(Id)는 전기적으로 독립한 용량 및 그 용량의 전위 변화를 추출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지며, 수평 전송부(lh)로부터 출력되는 정보 전하를 1 비트 단위 용량으로 받아 전압치로 변환하고, 화상 신호 YO(t)으로서 출력한다.
클럭 발생 회로(2)는 프레임 전송 클럭 발생부(2f), 수직 전송 클럭 발생부(2v), 수평 전송 클럭 발생부(2h), 및 기판 클럭 발생부(2b)로 구성된다. 프레임 전송 클럭 발생부(2f)는 수직 동기 신호 VD에 동기하여, 수직 주사의 공백 기간 내에 촬상부(li)의 정보 전하를 신속하게 축적부(Is)로 전송하는 프레임 전송 클럭f를 촬상부(li)에 공급한다. 수직 전송 클럭 발생부(2v)는, 프레임 전송 클럭f에 의해 전송된 정보 전하를 축적부(Is)에 받아들임과 함께, 받아들인 1 화면분의 정보 전하를 수평 동기 신호 HD에 동기하여 수평 주사의 공백 기간 내에 1행씩 수평 전송부(1h)로 전송하는 수직 전송 클럭v를 축적부(Is)에 공급한다. 수평전송 클럭 발생부(2h)는 수평 동기 신호 HD에 동기하여, 축적 클럭h에 응답해서 1행마다 받아들이는 정보 전하를 순차 출력부(Id) 측으로 전송하는 수평 전송 클럭h를 수평전송부(lh)에 공급한다. 또한, 수평 전송 클럭 발생부(2h)에서는, 출력부(Id)의 용량에 1 비트 단위로 축적되는 정보 전하를 수평 전송 클럭h에 동기하여 배출하는 리셋 클럭r이 생성되고 출력부(Id)에 공급된다. 그리고, 기판 클럭 발생부(2b)는 수직 주사 기간 도중에 소정 기간 상승되는 기판 클럭b를 고체 촬상 소자(1)의 기판 측에 인가한다. 이 기판 클럭b는 촬상부(li)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기판 클럭b에 의한 정보 전하의 배출 동작이 완료되고 나서 수직 클럭v에 의한 정보 전하의 전송 동작이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 L이 정보 전하의 축적 시간이 된다. 또한, 기판 클럭b가 상승되는 기간에는 프레임 전송 클럭f가 전송 동작을 수반하지 않고 클럭킹되어 촬상부(li)의 정보 전하를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타이밍 제어 회로(3)는 수직 동기 신호 VD 및 수평 동기 신호 HD에 기초하여 수직 주사에 동기한 프레임 전송 타이밍 신호 FT,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에 동기한 수직 전송 타이밍 신호 VT, 및 수평 주사에 동기한 수평 전송 타이밍 신호 HT를 생성하여 클럭 발생 회로(2)의 각 부(2f, 2v, 2h)에 공급한다. 또한, 후술할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6)로부터 공급되는 노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배출 타이밍 신호 BT를 생성하여 클럭 발생 회로(2)의 기판 클럭 발생부(2b)에 공급한다. 이 배출 타이밍 신호 BT는 화상 데이터 Dl(n)의 1 화면마다의 적분치를 나타내는 노광 데이터가 적정치보다 커긴 경우에는 타이밍을 늦춰 정보 전하의 축적 시간 L을 짧게하고, 반대로 적정치보다 작아지는 경우에는 타이밍을 빠르게 하여 정보 전하의 축적 시간을 길게 하도록 생성된다. 이에 따라, 고체 촬상 소자(1)의 노광 상태가 항상 적정하게 되도록 피드백 제어가 행하여진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는 고체 촬상 소자(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 Y0(t)을 수신하여 샘플 홀드, AGC(자동 이득 제어) 등의 처리를 행하고 소정 포맷에 따른 화상 신호 Yl(t)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면, 샘플 홀드 처리에서는 기준 레벨과 신호 레벨이 일정한 주기로 교대로 반복되는 화상 신호 Y0(t)으로 부터 각 레벨의 차만이 추출되고, AGC 처리에서는 화상 신호 Yl(t)의 1 화면 내의 평균 레벨이 적정 범위에 있도록 화상 신호 Y0(t)에 대한 이득이 조정된다. A/D 변환 회로(5)는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 Yl(t)을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4)의 처리 동작(고체 촬상 소자(1)의 출력 동작)에 동기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고체 촬상 소자(1)의 각 수광 비트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Dl(n)을 생성한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6)는 화상 데이터 Dl(n)을 수신하고 윤곽 보정이나 1 화면 단위로의 적분 처리, 더욱이 컬러 촬상의 경우에는 색 밸런스의 제어나 필터링 등의 처리를 행하여 새로운 화상 데이터 D2(n)로서 출력한다. 이 화상 데이터 D2(n)는 D/A 변환 회로에 의해 아날로그 값으로 변환되어 표시 장치로 전송되던가 또는 그대로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그런데, 퍼스널 컴퓨터나 워드 프로세서 등의 컴퓨터 기기에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 피사체 원고(原稿)를 주사하여 판독하는 이미지 스캐너를 이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지만, 최근에는 입체적인 피사체의 촬상이 용이한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촬상 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CCD 고체 촬상 소자를 구비한 촬상 장치를 컴퓨터 기기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비디오 캡쳐 보드라고 칭하는 확장 보드를 컴퓨터 기기에 장착하고, 촬상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컴퓨터 기기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한 후, 컴퓨터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에 보유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비디오 캡쳐 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비디오 캡쳐 보드(10)는 프레임 메모리(11), 동기 검파 회로(12), 타이밍 제어회로(13), 및 인터페이스 회로(14)로 구성된다. 프레임 메모리(11)는 촬상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D2(n)를 1 화면 단위로 수신하여 기억한다. 이 프레임 메모리(11)에는 예를 들면 듀얼 포트 타입의 RAM이 이용되어 화상 데이터 D2(n)의 기입과 판독이 동시에 행하여진다. 동기 검파 회로(12)는 촬상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D2(n)에서 동기 신호를 검출하고, 수직 주사 및 수평 주사의 각 타이밍에 따른 타이밍 펄스를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 회로(13)는 동기 검파 회로(12)로부터 공급되는 타이밍 펄스에 기초해서 프레임 메모리(11)에 대한 화상 데이터 D2(n)의 기입 및 판독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즉, 촬상 장치로부터 1 화면 단위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D2(n)를 1 화면 단위로 프레임 메모리(11)에 기억시키고, 동시에 1 화면 단위로 판독하여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각 부의 동작 타이밍을 동기시킨다. 인터페이스 회로(14)는 타이밍 제어 회로(13)의 지시에 따라 프레임 메모리(11)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 D2(n)를 판독해서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 전송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회로(14)는 타이밍 제어 회로(13)로부터 출력되는 인터럽트 지시를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 전송함과 함께,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부여되는 판독 지시를 타이밍 제어 회로(13)에 공급한다. 이에 의해서, 프레임 메모리(11)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 D2(n)가 1 화면 단위로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 전송되게 된다. 그리고, 비디오 캡쳐 보드(10)로부터 화상 데이터 D2(n)를 수신하는 퍼스널 컴퓨터에서는 키보드로부터 입력되는 커맨드나 동작 프로그램에 따른 커맨드에 응답하여 화상 데이터 D2(n)의 수신이나 각종 연산, 내장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 화면의 표시 제어 등이 시분할 처리로 되풀이된다.
퍼스널 컴퓨터 측에서 촬상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경우, 고체 촬상 소자의 구동 타이밍이나 화상 데이터의 생성 과정에서의 처리 조건 등의 설정이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순차 실행된다. 그리고, 각 조건의 설정을 변경할 때에는 그 때마다 프로그램 데이터를 재기록한 후에 재차 동작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촬상 장치에 대한 제어 항목이 많아지면, 제어 조건의 설정이 번잡하게 되어 세밀한 설정이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새롭게 설정한 제어 조건에 따라 동작하는 촬상 장치의 동작 확인을 용이하게 할 수 없어서 촬상 장치의 응답성이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측에서 촬상 장치의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 특징으로 하는 것은, 복수의 수광 화소가 행렬 배치된 고체 촬상 소자를 포함하며, 이 고체 촬상 소자를 소정 타이밍으로 구동하여 얻은 출력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1 화면 단위의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촬상 장치에 대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컴퓨터 기기 측에서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구동 타이밍 및 상기 화상 정보의 생성 과정에서의 처리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파일을 설정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구동 타이밍을 지정하는 노광 데이터 및 상기 화상 정보의 처리 조건을 지정하는 화상 처리 데이터의 초기값을 상기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상기 노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기동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화상 처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출력에 대한 신호 처리의 조건을 설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얻은 화상 정보를 1 화면 단위로 수신하고, 화상 정보에 따른 화상을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 4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최적 구동 타이밍 및 상기 화상 정보의 최적 처리 조건을 추정하고, 이 추정에 기초하여 상기 노광 데이터 및 화상 처리 데이터를 재설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특정 화상을 확정하는 화상 확정 명령을 받을 때까지, 상기 제2 단계 내지 상기 제5 단계를 반복하여 모니터 화면상에 일정 주기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서,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될 제어 데이터를 재기록함으로써 촬상 장치의 구동 타이밍 및 화상 정보의 제어 조건의 설정이 변경되게 한다. 이 때문에, 일정 주기로 촬상을 반복하는 촬상 장치에 대해서는 촬상 화면을 확인하면서각종 제어 데이터의 재기록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제어 정보 기억 파일의 구성 내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퍼스널 컴퓨터의 제어 화면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동작이 제어되는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5는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동작이 제어되는 촬상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
도 6은 종래의 찰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7은 종래의 촬상 장치의 동작을 도시하는 타이밍도.
도 8은 비디오 캡쳐 보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촬상 제어의 루틴 및 표시 제어의 루틴과 이들 제어 루틴 내에서 실행되는 서브루틴을 도시한다.
촬상 제어의 루틴은 촬상 개시를 지시하는 명령을 받아 기동한다. 촬상 제어 루틴이 기동하면, 치음에 퍼스널 컴퓨터의 메모리 영역 내에 설정된 제어 데이터 기억용 파일에 초기 설정용 수치 데이터를 기입한다. 제어 데이터 파일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영역 B01 내지 B06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 매뉴얼 지정 데이터 IRM, WBM, 및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를 각각 각 영역 B01 내지 B06에 저장한다.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은 촬상 장치에서 고체 촬상 소자의 전하 축적 시간 즉, 셔터 속도를 설정하는 데이터로서, 고체 촬상 소자의 셔터 동작의 타이밍이 수치에 대응된다. 2개의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은 각 색 성분의 게인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색 밸런스를 조정하는 데이터로서, R(레드) 성분 및 B(블루) 성분에 대한 게인이 수치에 각각 대응된다. 초기 설정 동작에서는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 및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이 각각 결정된 표준적인 값으로 설정된다. 2개의 자동 지정 데이터 IRM, WBM은 각각 아이리스 제어 및 화이트 밸런스 제어를 구동으로 행할지 또는 자동으로 행할지의 여부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수동 제어를 지정하면 「1」 이 저장되고, 자동 제어를 지정하면 「0」이 저장된다. 초기 설정 동작에서는 매뉴얼 지정 데이터 IRM, WBM은 모두 자동 제어를 지정하는 「0」 이 설정된다. 그리고,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는 촬상 장치로부터 연속하여 추출되는 화상 데이터를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사이즈를 지정하는 것으로서, 연속 표시에 대응한 축소 사이즈를 지정하면 「1」 이 저장되고, 확정 화상의 표시에 대응한 확대 사이즈를 지정하면 「0」이 저장된다. 초기 설정 동작에서는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는 축소 사이즈를 지정하는 「1」 이 설정된다.
제어 데이터 파일의 초기 설정 동작이 완료되면, 서브루틴이 기동된다. 이 서브루틴의 처리는 촬상 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 조건의 설정을 행한 후, 촬상 장치로부터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퍼스널 컴퓨터의 메모리 영역 내에 확보되는 화상 데이터 기억용의 파일에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자세한 동작은 나중에 상술한다. 서브루틴의 처리가 완료되면, 화상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어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된다. 이 때,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가 참조되고, 연극 표시용의 축소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서브루틴의 기동 시로 되돌아가서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또한,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에서 확대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그대로 촬상 제어의 루틴을 종료시킨다. 초기 설정에서는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가 「1」 에 설정되어 있으며, 이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가 후술하는 표시 제어 루틴에서 「0」 으로 재기록될 때까지는 서브루틴의 기동과 화상 데이터의 판독 및 표시가 반복된다. 이 때, 화상 데이터 파일에 저장되는 화상 데이터는 모니터 화면의 일부에 축소 화상을 표시한다.
표시 제어의 루틴은 화상 확정을 표시시키는 명령을 받아 기동한다. 표시 제어의 루틴이 기동하면, 처음에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가 확대 사이즈를 지정하는 「0」으로 재기록된다. 이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가 「0」 으로 재기록된 시점에서 상술한 촬상 제어 루틴이 종료된다. 또한, 표시 제어 루틴과 촬상 제어 루틴은 독립하여 동작하고 있다.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의 재기록이 완료되면 서브루틴이 기동된다. 이 서브루틴은 촬상 제어 루틴에서 기동되는 서브루틴과 동일한 것으로서, 촬상 장치의 동작 조건을 설정한 후 촬상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파일에 기입한다. 서브루틴의 처리가 완료되면, 화상 테이터 파일에 저장된 화상 데이터가 판독되고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되어 표시 제어 루틴을 종료시킨다.
서브루틴은 촬상 제어 루틴 또는 표시 제어 루틴으로부터의 기동 명령을 받아 기동한다. 서브루틴이 기동하면, 우선 제어 데이터 파일에 기억된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 매뉴얼 지정 데이터 IRM, WBM, 및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가 판독된다. 계속해서, 판독된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를 참조하여, 처리할 화상 데이터가 연속 표시용의 축소 사이즈인지 또는 확정 화상 표시용의 확대 사이즈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에 축소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찰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서 데이터를 추출함으로써 축소 처리가 실시되고, 모니터 화면의 일부 영역에 축소된 화상을 표시시키는 축소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에 확대 사이즈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터의 처리 과정에서 애스펙트비 변환에 의해 왜곡 보정 처리를 실시하여 모니터 화면의전면에 화상을 표시시키는 표준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다. 이들 화상 데이터의 처리는 촬상 장치에서의 처리와는 달리, 촬상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퍼스널 컴퓨터 내에서 행해진다. 계속해서, 매뉴얼 지정 데이터 IRM이 참조되어 촬상 장치의 노광 제어가 수동인지 또는 자동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매뉴얼 지정 데이터 IRM에 자동 제어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화상 정보의 화면마다의 적분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셔터 속도가 산출된다. 그리고, 그 산출치에 따른 셔터 동작을 행하는 타이밍을 지정하도록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이 재기록된다. 매뉴얼 지정 데이터 IRM에 수동 처리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의 재기록은 행해지지 않고 그대로 다음 처리로 넘어간다. 계속해서, 매뉴얼지정 데이터 WBM이 참조되어 화이트 밸런스 제어가 수동인지 또는 자동인지의 여부가 판별된다. 매뉴얼 지정 데이터 WBM에 자동 제어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화상 정보의 1 화면분 내지 수 화면분의 적분 정보에 기초하여 최적의 화이트 밸런스를 얻기 위한 R 성분 및 B 성분에 대한 게인이 산출된다. 그리고, 그 산출치에 따른 게인을 부여하도록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이 재기록된다. 매뉴얼 지정 데이터 WBM에 수동 제어가 지정되어 있을 때에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의 재기록은 행해지지 않고 그대로 다음 처리로 넘어간다. 이들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 및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의 재기록 시의 화상 정보의 적분 처리나 그 적분 정보로부터의 최적 셔터 속도의 산출 및 최적 화이트 밸런스 게인의 산출은 화상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퍼스널 컴퓨터 측에서 행한다.
촬상 장치의 셔터 속도의 설정 및 화이트 밸런스 게인의 설정이 완료되면,필요에 따라 재기록된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 매뉴얼 지정 데이터 IRM, WBM, 및 사이즈 지정 데이터 SMS가 다시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다. 그리고, 소정의 처리가 완료된 화상 경보가 화상 정보 기억 파일에 기입되어 서브루틴을 종료시킨다.
또한, 제어 데이터 파일에 대해서는 서브루틴에서의 처리와는 관계없이 촬상장치의 노광 상태의 수동 제어 시 노광 억제 명령 또는 노광 촉진 명령에 의해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이 재기록된다. 예를 들면, 노광 억제 신호 CLOSE를 수신하여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을 증분하고, 노광 촉진 신호 OPEN을 수신하여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을 감소한다. 그리고,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이 재기록됨과 함께, 메뉴얼 지정 데이터 IRM은 수동 제어를 지정하는 「1」 로 재기록된다. 마찬가지로, 화상 정보의 화이트 밸런스의 수동 제어 시 각 색 성분마다 증폭 명령 또는 감쇠 명령에 의해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이 재기록된다. 예를들면, R 성격 및 B 성분에 대응한 증폭 신호 R+, B+를 수신하여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을 각각 증분하고, 감쇠 신호 R-, B-를 수신하여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을 각각 감소한다. 그리고,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이 재기록됨과 함께, 매뉴얼 지정 데이터 WBM은 수동 제어를 지정하는 「1」 로 재기록된다. 이로써, 촬상 소자의 구동 타이밍 및 화이트 밸런스를 수동제어로 한 경우에는 서브루틴 처리에서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 및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의 자동 설정이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 및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의 경우에는 항상 촬상 장치 측으로 송신하여 촬상 장치에 내장된 레지스터에 보유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촬상 장치의 제어를 퍼스널 컴퓨터 측에서 행하는 경우에는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화면상에 각종 제어 버튼을 배치하고, 화면상의 버튼을 각각 클릭함으로써 각 버튼에 대응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면, 촬상 개시 명령을 실행하는 스타트 버튼, 표시 화면을 확정시키는 디스플레이 버튼, 또한 노광 제어용 및 화이트 밸런스 제어용의 각종 버튼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치하고, 그 중앙 부분에 촬상 장치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로 표시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 대응하는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이고, 도 5는 그 동작을 설명하는 타이밍도이다.
고체 촬상 소자(1) 및 클럭 발생 회로(2)는 도 6과 동일하며, 클럭 발생 회로(2)에 의해 고체 촬상 소자(1)가 펄스 구동되어 화상 신호 Y0(t)을 얻도록 구성된다. 즉, 고체 촬상 소자(1)의 각 부에 있어서, 프레임 전송 클럭f, 수직 전송 클럭v, 및 수평 클럭h가 CCD 고체 촬상 소자(1)의 각 부에 공급되어 각 수광 화소에 축적되는 정보 전하가 1행마다 전송 출력됨과 함께, 기판 클럭b에 의해 고체 촬상 소자(1)의 셔터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21)는 커맨드 레지스터(25)에 저장된 제어 데이터에 기초하여 고체 촬상 소자(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 Y0(t)에 대해 샘플 홀드, AGC(자동 이득 제어) 등의 처리를 행하여 화상 신호 Yl(t)을 생성한다. A/D 변환 회로(22)는 고체 촬상 소자(1)의 구동 타이밍에 동기하여, 아날로그 신호처리 회로(21)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 Yl(t)을 1 비트씩 디지털/아날로그 변환하여 화상데이터 Dl(n)을 생성한다. 타이밍 제어 회로(23)는 일정 주기의 기준 클럭에 기초하여 프레임 전송 타이밍 신호 FT를 생성하여 클럭 발생 회로(2)에 공급한다. 이 프레임 전송 타이밍 신호 FT의 주기 V는 고체 촬상 소자(1)의 수직 주사 주기를 결정하는 것으로서, 커맨드 레지스터(25)에 저장된 커맨드에 의해 설정된다. 이 프레임 전송 타이밍 신호 FT를 받는 클럭 발생 회로(2)는 프레임 전송 타이밍 신호 FT의 상승 타이밍에서 수직 클릭v를 기동하여 고체 촬상 소자(1)의 촬상부(li)의 정보 전하를 축적부(Is)로 전송한다. 이 때, 타이밍 제어 회로(23)는 고체 촬상 소자(1)에서 1 화면분의 정보 전하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 것을 나타내는 인터럽트 신호 IT를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 송신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 회로(23)는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라인 이송 트리거 HS에 응답하여 수직 전송 타이밍 신호 VT를 생성하여 클럭 발생 회로(2)에 공급한다. 이 수직 전송 타이밍 신호 VT를 받는 클럭 발생 회로(2)는 수직 전송 타이밍 신호 HT의 상승 타이밍에서 수직 전송 클럭v를 기동하여 고체 촬상 소자(1)의 축적부(Is)의 정보 전하를 1행씩 수평 전송부(1h)로 전송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 회로(23)는 아이리스 제어 회로(24)의 지시에 응답하여 고체 촬상 소자(1)의 전하 배출 타이밍을 결정하는 배출 타이밍 신호 BT를 생성하여 클럭 발생 회로(2)에 공급한다. 이 배출 타이밍 신호 BT에 응답하여 클럭 발생 회로(2)는 배출 클럭b를 상승시킴과 함께, 프레임 전송 클럭f를 전송 동작없이 클럭킹시켜서 고체 촬상 소자(1)의 정보 전하를 배출시킨다. 아이리스 제어 회로(24)는 커맨드 레지스터(25)에 저장된 아이리스 제어 데이터 IRN에 응답하여 타이밍 제어 회로(23)의 배출 타이밍 신호 BT의 상승 타이밍을 결정한다. 그리고, 커맨드 레지스터(25)는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제어 데이터를 수신하여 타이밍 제어 회로(23)의 동작 타이밍이나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21)의 처리 조건을 지정한다.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 처리 회로(21), A/D 변환 회로(22), 타이밍 제어 회로(23). 아이리스 제어 회로(24), 및 커맨드 레지스터(25)는 제1 제어부(20)로서 집적화된다.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1)는 제1 제어부(20)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Dl(n)에 대한 것으로서, 색 분리, 매트릭스 연산, 화이트 밸런스 조정 등의 처리를 행하여 휘도 성분 및 색차 성분으로 이루어진 (또는 R, G, 및 B의 색 성분으로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 D2(n)를 생성한다. 예를 들면, 매트릭스 연산에서는 분리 처리된 각 색 성분을 합성함으로써 휘도 성분을 생성하고, 각 색 성분을 감산 또는 가산함으로써 소정의 색 성분(R, G, B)에 대응한 색 성분을 생성한다. 또한, 각 색 성분으로부터 휘도 성분을 감산함으로써 색차 성분을 생성한다. 또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서는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에 기초하여 각 색차 성분에 대한 게인을 개별적으로 설정하여 재생 화상의 시각적인 색 밸런스를 조정한다. 라인 메모리(32)는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1)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 데이터 D2(n)를 1행분 기억한다. 이 라인 메모리(32)는, 예를 들면 FIFO 방식의 버퍼로 구성되어 데이터의 기입 타이밍을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1)의 처리 동작에 동기시키며, 판독타이밍을 퍼스넉 컴퓨터 측의 데이터 공급 동작에 동기시켜 제어한다, 그리고, 라인메모리(32)의 비트 수는 데이터의 출력 형식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통상, 퍼스널 컴퓨티에 수신되는 데이터의 형식으로는 휘도 성분에 8 비트를 할당하고 색차 성분에 8 비트를 할당한 16 비트 구성, R, G, B의 각 색 성분에 각각 5 비트를 할당한 15 비트 구성 등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에는 라인 메모리(32)의 비트 수를 16 비트라고 하면 된다.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33)는 라인 메모리(32)에 1행 단위로 기억된 화상데이터 D2(n)를 퍼스널 컴퓨터 측의 수급 주파수에 따른 주기로 판독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데이터 버스로 송출한다. 동시에, 카메라 유닛 측의 제1 제어부(20)로부터 공급되는 인터럽트 신호 IT를 수신하여 퍼스널 컴퓨터의 제어 버스로 송출한다. 또한,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33)는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라인 이송 트리거 HS를 수신하여 제1 제어부(20)로 공급한다. 또한, 제1 제어부(20) 및 제2 제어부(30)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는 각종 커맨드를 제어 버스로부터 수신하여 제1 제어부(20)의 커맨드 레지스터(25) 및 제2 제어부(30)의 커맨드 레지스터(34)에 저장한다. 그리고, 커맨드 레지스터(34)는 제1 제어부(20)의 커맨드 레지스터(25)와 마찬가지로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커맨드를 저장함과 함께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1)의 처리 조건이나 라인 메모리(32)의 기입 주기를 결정한다. 화상 데이터 D2(n)의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하기 위한 화이트 밸런스 제어 데이터 RGN, BGN도 이 커맨드 레지스터(34)에 수신된다.
이상의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31), 라인 메모리(32), 인터페이스 제어 회로(32), 및 커맨트 레지스터(34)는 제2 제어부(30)로서 집적화된다.
이러한 촬상 장치에서는 제1 제어부(20)에 내장되는 커맨드 레지스터(25) 및 제2 제어부(30)에 내장되는 커맨드 레지스터(34)에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공급되는 각종 제어 커맨드가 수신된다. 그리고, 이들 제어 커맨드에 기초하여 각 부동작이 제어되기 때문에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촬상 장치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퍼스널 컴퓨터 측으로부터 촬상 장치의 아이리스 제어및 하이트 밸런스 제어를 행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그 밖의 제어를 행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촬상 장치 측에서 미리 화상 데이터를 축소할 경우에는 그 축소 사이즈의 지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퍼스널 컴퓨터 측에서 촬상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동안에 각종 제어 조건의 설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건 설정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서 촬상 장치의 응답성이 좋아진다. 또한, 촬상 장치로부터 추출되는 화상 데이터를 항상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의 촬상 화면을 확인하면서 조건 설정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컴퓨터 기기에 접속되는 촬상 장치의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복수의 수광 화소가 행렬 배치된 고체 촬상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구동하여 얻은 출력에 소정의 신호 처리를 실시하여 1 화면 단위의 화상 정보를 출력하는 촬상 장치에 대하여, 상기 화상 정보를 수신하는 컴퓨터 기기 측에서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구동 타이밍 및 상기 화상정보의 생성 과정에서의 처리 조건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어 데이터를 기억하는 파일을 설정하고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구동 타이밍을 지정하는 노광 데이터 및 상기 화상 정보의 처리 조건을 지정하는 화상 처리데이터의 초기값을 상기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하는 제1 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상기 노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 촬상 소자를 기동시키는 제2 단계;
    상기 제어 데이터 파일에 저장된 화상 처리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출력에 대한 신호 처리의 조건을 설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촬상 장치로부터 얻은 화상 정보를 1 화면 단위로 수신하여 화상 정보에 따른 화상을 모니터 화면상에 표시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수신된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최적 구동 타이밍 및 상기 화상 정보의 최적 처리 조건을 추정하고, 이 추정에 기초하여 상기 노광 데이터 및 화상 처리 데이터를 재설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특정한 화상을 확정하는 화상 확정 명령을 받을 때까지 상기 제2 단계 내지상기 제5 단계를 반복하여 모니터 화면상에 일정 주기로 화상을 표시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단계에서는 축소된 화상을 모니터 화면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고, 화상 확정 명령을 받아서 특정 화상이 확정된 후에 모니터 화면상에 확정 화상을 확대 표시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노광 데이터 및 상기 화상 처리 데이터 중 적어도 한쪽을 보유하는 레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노광 데이터 또는 상기 화상 처리 데이터를 상기 컴퓨터 기기로부터 상기 레지스터로 전송하여 상기 고체 촬상 소자의 구동 타이밍 또는 상기 화상 정보의 신호 처리 조건을 지정하는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9960059395A 1995-11-30 1996-11-29 촬상장치의제어방법 KR100363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07295 1995-11-30
JP95-312072 1995-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1853A KR970031853A (ko) 1997-06-26
KR100363354B1 true KR100363354B1 (ko) 2003-03-06

Family

ID=1802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9395A KR100363354B1 (ko) 1995-11-30 1996-11-29 촬상장치의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26219A (ko)
KR (1) KR100363354B1 (ko)
TW (1) TW33941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61596B2 (ja) * 1996-11-27 2004-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3887060B2 (ja) * 1997-04-09 2007-02-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の画像補正情報記録装置および画像復元処理装置
JP3239087B2 (ja) * 1997-07-15 2001-12-17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US6897895B1 (en) * 1998-05-28 2005-05-24 Sanyo Electric Co., Ltd. Digital camera
US6963360B1 (en) * 2000-11-13 2005-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aptive and learning setting selection process with selectable learning modes for imaging device
JP2003174619A (ja) * 2001-12-07 2003-06-20 Konica Corp 電子機器
JP4051979B2 (ja) * 2002-03-28 2008-02-27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システム
US8159548B2 (en) * 2003-01-30 2012-04-17 Qualcomm Incorporated Modular architecture having reusable front end for processing digital video data
JP4481758B2 (ja) * 2004-07-28 2010-06-16 株式会社東芝 信号処理装置及びデータ処理装置
TW200630852A (en) * 2005-02-24 2006-09-01 Sonix Technology Co Ltd Image output and input systems
JP4662880B2 (ja) * 2006-04-03 2011-03-30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20080002034A1 (en) * 2006-06-29 2008-01-03 Chia-Lin Tsai Image output system
JP2008238593A (ja) * 2007-03-27 2008-10-09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884871B2 (en) * 2007-06-15 2011-02-08 Aptina Imaging Corporation Images with high speed digital frame transfer and frame processing
WO2013034771A2 (en) * 2011-09-08 2013-03-14 Borowski, André 3d imager and method for 3d imag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6911A (ja) * 1994-02-15 1995-08-22 Eastman Kodak Japan Kk 電子スチルカメラ
JP3542653B2 (ja) * 1995-02-14 2004-07-1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における画像データ伝送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26219A (en) 1999-07-20
KR970031853A (ko) 1997-06-26
TW339418B (en) 1998-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3354B1 (ko) 촬상장치의제어방법
US6493025B1 (en) Image sensing system equipped with interface between image sensing apparatus and computer machinery
US5032769A (en) Device for measuring a characteristic of a color cathode ray tube based on synchronized signals
CN101729782B (zh) 成像设备和成像方法
KR100347493B1 (ko) 촬상 장치
JP3239087B2 (ja) 撮像装置
US6762792B1 (en) Digital still camera
US6118481A (en)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apparatus
KR100479403B1 (ko) 촬상 장치
JP3143245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測光方法およびその合焦制御方法ならびに撮像方法
JP2005303673A (ja) 画像撮影処理システム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H09212635A (ja) 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059920B2 (ja) 撮像装置
WO2004043059A1 (ja) 画像信号処理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US5187582A (en) Solid-state image pickup apparatus for inserting an image in a main screen
JP3059921B2 (ja) 撮像装置
JP3944926B2 (ja) カメラ装置
JP4525382B2 (ja)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1061672A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プログラム
CN106664355A (zh) 摄像装置、图像处理装置以及摄像显示装置
JP2003244714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3276820B2 (ja) 撮像装置
JP2003198929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
JP2001036792A (ja) デジタル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の記録方法
JP3101390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