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454B1 - 농업용 급수장치 - Google Patents

농업용 급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454B1
KR100362454B1 KR1020000025065A KR20000025065A KR100362454B1 KR 100362454 B1 KR100362454 B1 KR 100362454B1 KR 1020000025065 A KR1020000025065 A KR 1020000025065A KR 20000025065 A KR20000025065 A KR 20000025065A KR 100362454 B1 KR100362454 B1 KR 100362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opening
water supply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3479A (ko
Inventor
김하집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농업기반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기반공사 filed Critical 농업기반공사
Priority to KR102000002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2454B1/ko
Priority to KR2020000013516U priority patent/KR200199239Y1/ko
Publication of KR20010103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454B1/ko

Links

Landscapes

  • Float Valv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수의 공급과 차단을 완전자동화 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용수의 수압이 낮은 곳에서도 그 작동이 원활하게 되는 농업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서의 급수장치는 급수장치로 공급되는 용수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당한 정도의 수압을 가지는 곳에서만 장치가 작동되는 것으로 용수가 일반수로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흐르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제한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용수가 입수되는 입수실(1)과, 입수실로 유입된 용수가 배출실(2)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수단(4)과, 논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4)을 동작시키는 수위 감지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이 부력을 가지는 밸브(40)로 구성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5)과 밸브(40)는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로드(41)로 연결시켜 부구(50)의 상승동작에 의해 밸브(40)가 통공(31)을 폐쇄시키고, 부구(50)의 하강동작에 의해 밸브(40)가 통공(31)을 개방시킬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육시기에 적합한 수위를 조정한 후 논으로 용수를 공급시키게 되면 논의 수위가 조정한 수위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용수의 공급을 차단시키고, 논의 용수가 자연증발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시점에서 용수를 자동으로 공급시킬 수 있어 농민의 노동력과 귀중한 용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농업용 급수장치 {Watering controller for Irrigation canal}
본 발명은 논으로 공급되는 용수의 조절을 자동으로 할 수 있게 하는 농업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의 선 등록 발명인 226204호 및 226205호를 개량하여 용수의 공급과 차단을 완전자동화 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용수의 수압이 낮은 곳에서도 그 작동이 원활하게 되는 농업용 급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 중 226204호는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1)를 구비하는 입수실(100)과; 입수실(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된 용수를 논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121)를 구비하는 배출실(120)과; 상기 입수실(100)과 배출실(120)을 구획하는 판체(130)와; 판체(130)에 형성된 통공(131)의 상측에 설치되어 입수실(100)로 유입된 용수를 배출실(120)로 유입되게 하거나 차단시키는 개폐수단(140)과; 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140)을 동작시키는 수위감지수단(150)과; 상기 수위감지수단(150)에 수위조정수단(160)을 연결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 등록 발명은 논으로 유입되는 용수가 만수위가 되는 시점에서 개폐수단(140)이 배출실(120)로 유입되는 용수를 차단시킨 다음에는 자동으로 열릴 수 없는 구조임에 따라 논으로 유입된 용수가 증발되어 추가로 용수를 공급시키기 위하여는 인위적으로 개폐수단(140)을 열어주어야만 하는 불편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등록 발명 226205호는 첨부된 도면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관수로와 연결된 입수관(21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관(211)과, 상기 분기관(211)을 통하여 공급되는 용수를 분사시켜 수차(230)를 회전동작시키는 각각의 분사노즐(222)(223)을 구비하며, 각각의 분사노즐(222)(223)로 용수를 선택 공급시켜 수차(230)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방향변환장치(200)와, 논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며, 상기 방향변환장치(200)를 제어하는 수위 감지 수단(240)과, 수차(230)의 회전에 의하여 동작되며 입수관(210)상부에 설치된 밸브(238)를 개폐방시키는 밸브개폐장치(203)로 구성되며, 상기 수위 감지수단(240)은 논의 수면에 띄워지는 부구(204)와 상기 부구(204)의 상면에 설치되는 조절막대(241)와 상기 조절막대(241)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밀대(242)와, 일단이 상기 밀대(242)와 조절막대(241)의 사이에 관통설치되고, 타단은 방향변환장치(200)의 걸림핀(227)과 연결되는 횡간(245)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선 등록 발명은 급수장치로 공급되는 용수가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당한 정도의 수압을 가지는 곳에서만 장치가 작동되는 것으로 용수가 일반수로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흐르는 곳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제한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용수의 공급과 차단을 완전자동화 시킬 수 있게 함은 물론 용수의 수압이 낮은 곳에서도 원활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하는 농업용 급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용수가 유입되는 입수구를 구비하는 입수실과; 입수실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된 용수를 논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배출실과; 상기 입수실과 배출실을 구획하는 판체와; 판체에 형성된 통공의 상측에 설치되어 입수실로 유입된 용수를 배출실로 유입되게 하거나 차단시키는 개폐수단과; 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을 동작시키는 수위감지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용수가 입수되는 입수실(1)과, 입수실로 유입된 용수가 배출실(2)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수단(4)과, 논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4)을 동작시키는 수위 감지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이 부력을 가지는 밸브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급수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또 다른 급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입수실 2. 배출실
4. 개폐수단 5. 수위감지수단
7. 개방유지장치 11. 입수구
15. 벽체 21. 배출구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급수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용수가 유입되는 입수구(11)를 구비하는 입수실(1)과; 입수실(1)의 하부에 설치되며 유입된 용수를 논으로 배출시키는 배출구(21)를 구비하는 배출실(2)과; 상기 입수실(1)과 배출실(2)을 구획하는 판체(3)와; 판체(3)에 형성된 통공(31)의 상측에 설치되어 입수실(1)로 유입된 용수를 배출실(2)로 유입되게 하거나 차단시키는 개폐수단(4)과; 논의 수위를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4)을 동작시키는 수위감지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을 부력을 가지는 반구형상의 밸브(40)로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위감지수단(5)과 밸브(40)는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로드(41)로 연결되어 부구(50)의 상승동작에 의해 밸브(40)가 통공(31)을 폐쇄시키고, 부구(50)의 하강동작에 의해 밸브(40)가 통공(31)을 개방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 로드(41)의 하단부에는 밸브(40)가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개방유지장치(7)를 설치시켜 밸브(40)가 입수실(1)로 유입되는 용수의 수압에 의해 통공(31)을 폐쇄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방유지장치(7)는 로드(41)에 철편(70)을 결합시키고, 철편(70)의 하부에 영구자석(71)을 설치하여 로드(41)의 하강동작시 철편(70)이 영구자석(71)에 부착되어 밸브(4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구(50)에 무게추(58)를 설치하여 논의 용수가 증발되어 부구(50)가 하강되는 경우 밸브(40)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무게추(58)는 용수가 부구(50)를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물에 잠겨 무게추(58)의 무게가 대략 1/6 정도로 줄어들 수 있도록 물과 가장 먼저 접촉하는 부구(50)의 하단부에 설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수실(1)로 용수를 공급하는 입수구(11)의 내측에 벽체(15)를 설치하여 입수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압이 밸브(40)에 직접적으로 전가되는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배출실(2)의 배출구(21) 또한 배출실(2)의 바닥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시켜 배출실(2)로 낙하되는 용수가 배출구(21)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압에 의해 논의 바닥이 쓸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최초 논으로 용수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 가이드바(51)에 설치된 받침편(61)을 이동시켜 농작물의 생육시기에 적합한 수위를 설정한 다음 부구(50)를 놓게 되면 부구(50)가 무게추(58)에 의해 하향 이동되고 이에 따라 로드(41)의 후단부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하향 이동되며, 로드의 선단부는 상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밸브(40)가 통공(31)을 개방시켜 입수실(1)의 용수를 배출실(2)로 유입되게 한다.
통공(31)을 개방시킨 밸브(40)는 통공(31)에서 이격되는 순간부터 통공(31)을 통과하는 용수에 의해 뜨게되어 밸브(40)가 닫히는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밸브(40)를 개방시키는 로드(41)의 하단에 설치된 철편(70)은 로드(41)의 회동동작에 의해 영구자석(71)에 부착되어 입수구(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압이 밸브(40)의 상단부를 가압하더라도 밸브(40)가 눌려 닫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입수구(11)의 내측에 설치된 벽체(15)가 입수구(11)를 통하여 공급되는 용수의 수압을 상쇄시켜 밸브(40)가 수압에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통공(31)을 통과한 용수는 배출실(2)의 바닥으로 낙하되어 배출실(2)을 채운 다음 배출구(21)로 넘치는 물이 논으로 공급됨에 따라 용수의 낙하에너지에 의해 논의 바닥이 패이거나 쓸려나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용수의 유입으로 논의 수위가 점차적으로 상승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수위감지수단(5)인 부구(50) 또한 상승되다가 논의 수위가 적정수위 즉, 최초 설정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가이드바(51)에 설치된 받침편(61)이 로드(41)의 후단부를 밀어올리게 되고 밀어올리는 힘 즉, 부구(50)의 부력이 더욱 상승되면 로드(41)에 설치된 철편(70)이 영구자석(71)으로부터 분리 이격되면서 로드(41)가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로드의 선단부가 하향으로 이동되는 힘이 밸브(40)의 부력을 능가하는 시점에서 밸브(40)가 통공(31)을 폐쇄시켜 배출실(2)로 유입되는 용수를 차단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농작물의 생육시기에 적합한 수위를 조정한 후 논으로 용수를 공급시키게 되면 논의 수위가 조정한 수위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용수의 공급을 차단시키고, 논의 용수가 자연증발되어 수위가 낮아지는 시점에서 용수를 자동으로 공급시킬 수 있어 농민의 노동력과 귀중한 용수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용수가 입수되는 입수실(1)과, 입수실로 유입된 용수가 배출실(2)로 이동되는 것을 제어하는 개폐수단(4)과, 논물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개폐수단(4)을 동작시키는 수위 감지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4)이 부력을 가지는 밸브(40)로 구성하고, 상기 수위감지수단(5)과 밸브(40)는 힌지축(42)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로드(41)로 연결시켜 부구(50)의 상승동작에 의해 밸브(40)가 통공(31)을 폐쇄시키고, 부구(50)의 하강동작에 의해 밸브(40)가 통공(31)을 개방시킬 수 있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급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41)의 하단부에는 밸브(40)가 개방되었을 때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개방유지장치(7)를 설치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급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유지장치(7)는 로드(41)에 철편(70)을 결합시키고, 철편(70)의 하부에 영구자석(71)을 설치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급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50)에 무게추(58)를 설치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급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실(1)로 용수를 공급하는 입수구(11)의 내측에 벽체(15)를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급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실(2)의 배출구(21)를 배출실(2)의 바닥면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급수장치.
KR1020000025065A 2000-05-10 2000-05-10 농업용 급수장치 KR100362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065A KR100362454B1 (ko) 2000-05-10 2000-05-10 농업용 급수장치
KR2020000013516U KR200199239Y1 (ko) 2000-05-10 2000-05-12 농업용 급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065A KR100362454B1 (ko) 2000-05-10 2000-05-10 농업용 급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516U Division KR200199239Y1 (ko) 2000-05-10 2000-05-12 농업용 급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479A KR20010103479A (ko) 2001-11-23
KR100362454B1 true KR100362454B1 (ko) 2002-11-30

Family

ID=45809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065A KR100362454B1 (ko) 2000-05-10 2000-05-10 농업용 급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245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73A (ko) * 1997-06-19 1999-01-15 유근학 농업용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2173A (ko) * 1997-06-19 1999-01-15 유근학 농업용 급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479A (ko) 200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0369Y1 (ko) 2개 이상의 토출구를 갖는 플로트밸브가 구비된자동수위조절장치
KR200199239Y1 (ko) 농업용 급수장치
KR100662861B1 (ko) 수로와 물받이블럭의 수문개폐장치
KR100362454B1 (ko) 농업용 급수장치
KR200344147Y1 (ko) 농업용 급수장치
KR100263368B1 (ko) 양변기의배수량조절장치
JP4038436B2 (ja) 転倒ゲート装置
KR20050057902A (ko) 농업용 급수장치
JPH1189450A (ja) 水田の給排水装置
JP2002335781A (ja) 水位調節弁
KR100919132B1 (ko)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KR100256845B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JP3516924B2 (ja) 水路の上流水位調節ゲート
JP3965612B2 (ja) ラジアルゲート
JP4055057B2 (ja) 下流水位制御装置
KR100226204B1 (ko) 농업용 급수장치
KR200287466Y1 (ko) 양변기의 배수량 조절장치
US20110203681A1 (en) Pilot fill valve
KR102470885B1 (ko) 무동력 기계식 논물 자동 수위 조절 시스템
KR100226205B1 (ko) 농업용 자동 급수장치
KR100349496B1 (ko) 양변기용 로우 탱크의 개폐밸브.
KR200214288Y1 (ko) 농업용수의 자동급수장치
KR100919131B1 (ko) 수문용 관리수위 유지구조 및 그를 이용한 수문
KR19990022163U (ko) 하수맨홀용개폐밸브
KR200344345Y1 (ko) 양변기 수조의 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