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337B1 - 원격통신네트워크에서무선송신기-수신기로및무선송신기-수신기로부터의통신대역폭요구조건을줄이기위한분산기지국 - Google Patents

원격통신네트워크에서무선송신기-수신기로및무선송신기-수신기로부터의통신대역폭요구조건을줄이기위한분산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337B1
KR100362337B1 KR1019950704663A KR19950704663A KR100362337B1 KR 100362337 B1 KR100362337 B1 KR 100362337B1 KR 1019950704663 A KR1019950704663 A KR 1019950704663A KR 19950704663 A KR19950704663 A KR 19950704663A KR 100362337 B1 KR100362337 B1 KR 100362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ceiver
interface
communication link
kb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칸 미카엘 할렌
페르 빅터 이스라엘슨
한스 레나르트 린백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35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05Fixed allocated frame structures
    • H04J3/1623Plesiochronous digital hierarchy [PDH]
    • H04J3/1635Format conversion, e.g. CEP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82Allocation of channels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demands of the users, e.g. concentrated multiplexers, statistical multiplexers
    • H04J3/1688Allocation of channels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demands of the users, e.g. concentrated multiplexers, statistical multiplexers the demands of the users being taken into account after redundancy removal, e.g. by predictive coding, by variable samp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최소한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부, 최소한 하나의 무선 송수신기 및 상기 최소한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최소한 하나의 무선 송수신기간에 송신된 디지탈적으로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멀티플렉싱하고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최소한 하나의 멀티플렉서를 갖는 TDMA 셀룰러 이동 무선 시스템에서 압축을 통하여 대역폭을 줄이므로써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최소한 하나의 멀티플렉서의 무선 송수신기측 상에서 요구되는 대역폭을 줄이기 위한 장치로서, 비교적 높은 변조 속도로 상기 최소한 하나의 멀티플렉서에 도달하는 상기 디지탈적으로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버퍼링하여 비교적 낮은 변조 속도로 상기 버퍼링된 디지탈적으로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재송신하기 위한 수단 및 비교적 낮은 변조 속도로 상기 최소한 하나의 멀티플렉서로부터 도달하는 상기 디지탈적으로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버퍼링하여 비교적 높은 변조 속도로 상기 버퍼링된 디지탈적으로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재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송신기-수신기로 및 무선 송신기-수신기로부터의 통신 대역폭 요구 조건을 줄이기 위한 분산 기지국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송신기-수신기간 통신용 대역폭 요구 조건(bandwidth requirements)을 줄이기 위한 분산된 기지국(decentralized base station)과 그에 관련된 이동 서비스 센터(mobile service center)에 관한 것이다.
GSM 시스템 또는 이동 통신 시스템용 전역 시스템(Global System)에 대한 규정은 2주년 전에 그 초안(draft)이 규정되었다, 그 당시, 마이크로셀(microcell) 및 피코셀(picocell)들은 셀룰러 원격 통신 시스템(cellular telecommunication system)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마이크로- 및 피코셀들의 출현은 비록 장점을 갖는다 하더라도 그와 같은 셀들을 각자의 기지국들에 접속시키는데 있어서 어려움과 많은 비용을 초래했다. GSM에 대해 규정된 인터페이스(interface)들은 많은 할당된 주파수와 (본 명세서에서는 TRX들 또는 송수신기들로 언급되는) 많은 송신기-수신기들을 갖는 기지국들을 갖춘 통상의 셀들에 적합하다. 그와 같은 시스템들 중의 한 예가 필립 카라스(Philippe Charas)에 의하여 1993년 11월 9일 출원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으며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함께 사용된, 현재 계류중인 출원 제08/149,532호, 제목 "A Radio Mobile Included in a Primary RadioStation, and a Radio Structure Containing Such Modules"에 개시된다.
종래의 기지국의 구성요소(component)들은 전형적으로 하나의 위치 또는 하우징(housing) 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A도에서, IS-54 표준을 사용하는 멕시코(Mexico)의 셀룰러 이동 무선 시스템은 한쪽으로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에 접속되며 다른 쪽으로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ase Station: BS, 12)에 접속된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 MSC, 10)을 포함한다. 정보는 초당 2048 k비트(2048 kbps)의 비트 속도로 상기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 MSC와 기지국간에 교환된다. 각각의 기지국 BS(12)는 및몇의 장비 래크(equipment rack) 또는 하우징 내에 보통 실질적으로 배치되며, 다수의 송수신기 TRX(14, TRX1내지 TRXn)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송수신기 TRX(14)는 제한된 수, 예를 들어 3개의 무선 채널[즉, 무선 접속에서의 트래픽(traffic) 및/또는 제어 채널들]만을 다룰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기지 제어 기능 모듈(Base Control Function module: BCF, 16)과 송수신기 인터페이스(TRI, 18)들이 구비된다. 상기 기지 제어 기능 모듈 BCF(16)은 상기 BS 내에서 공통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은 실질적으로 디지탈 타임 스위치(digital time switch)인데, 이는 상기 스위치의 양측 상에 2048 kbps 링크(link)로서 접속된 64 kbps 트래픽 채널(기술된 예에서, 각각의 송수신기 TRX에 대해 3개의 트래픽 채널)들을 스위칭시킬 수 있다. 특히, 64 kbps로 송신하는채널들을 각각 갖는 하나 또는 몇몇의 PCM(Pulse Code Modulation) 링크의 모든 채널들이 좌측상에서 접속될 수 있다. 종래의 PCM 링크는 멕시코에서는 32개의 채널들을 갖으며,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4)는 다양한 송수신기 TRX 사이에 인입 PCM 채널들을 분산시킨다. 특히,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은 각각의 작동 송수신기(active transceiver) TRX에/로부터 3개의 연속적인 64 kbps PCM 타임 슬롯(time slot)들을 송신/수신한다. 만일 단지 하나의 송수신기 TRX만이 작동 상태라면, 각각의 PCM 링크 상의 속도(speed)가 2048 kbps이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과 하나의 송수신기 TRX(14)간에 요구되는 최대 평균 속도가 단지 192 kbps이기 때문에, 나머지 29개의 PCM 타임 슬롯들은 아이들(idle) 상태이다. 그러나 현재의 시스템에서는, 상기 송수신기 TRX(14)가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로부터 떨어져 위치될 수 있다. 한편으로 종래에는, 특수한 동축 케이블링(coaxial cabling)이 상기 2048 kbps 속도를 처리하는데 사용되었다. 그와 같은 동축 케이블링은 구입하여 설치하는데 비용이 많이 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제1B도는 GSM 시스템에 대한 전형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적어도 하나의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 MSC(10')이 공중 교환 전화 네트워크 PSTN에 접속된다. 제1A도에 도시된 구성요소(element)와 유사한 구성요소들은 GSM 구성요소들과 다른 셀룰러 전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간의 근소한 기능상 차이에 기인하여 프라임(prime)을 갖는 참조번호로 표시(labelling)된다.
제1B도에서, 기지국 시스템 BSS(Base Station System, 20)은 무선 관련 기능을 담당하며, 하나 또는 몇몇의 셀들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시스템BSS(20)은 2개의 부분, 즉 기지국 제어기(Base Station Controller: BSC, 22)와 각 셀에 대해 하나씩인 다수의 기지 송수신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 24)들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 MSC(10')은 "A"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와 통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함께 사용된)GSM 권장안 ETSI/TC GSM 08.01-08.20은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와 기지국 시스템간의 기능적 분할과 A 인터페이스를 규정한다. 기지국 제어기 BSC(22)와 개개의 기지 송수신국 BTS(24)들은 "A-bis"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통신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유럽 무선 통신 표준 기구 ETSI/TC GSM 08.5x-08.6x 규정 시리즈(specification series)에서 규정되며,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사용된다.
A-bis 인터페이스는 3개의 다른 내부 기지 송수신국 BTS(24) 구성을 지원할 수 있는데, 이에는 단일 송수신기 TRX(도시되지 않음), 모든 송수신기들이 공통 물리적 접속(physical connection, 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서비스 받는 송수신기 TRX들의 집합 및 자신의 물리적 접속에 의하여 각각 서비스 받는 송수신기 TRX들의 집합들이 있다. 상기 마지막 구성은 제1B도에 단일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이 A-bis 2048 kbps 링크를 통하여 다수의 송수신기 TRX1내지 TRXn(14')들과 하나의 기지국 제어 기능 모듈 BCF(16')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만일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 기능을 지원하는 노드가 자신의 모든 예하기지 송수신국 BTS(24)들과 함께 배치되지 않는다면, 상기 2048 kbps A-bis 인터페이스는 GSM 권장안 08.51에 따라 명령된다. 이는 보통 상기 기지국 시스템 BSS가많은 셀들을 지원하는 경우인데, 이는 상기 셀들이 다른 물리적 영역(physical area)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스웨덴왕국 스톡홀름의 에릭슨 무선 시스템(Ericsson Radio System) AB로부터 상업적으로 구입하며 사용 가능한 종래의 TRI(18')은 제1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TRI는 GSM 시스템에서 독립적 유니트(free-standing unit) 또는 BSC의 일부분일 수 있다. 제1C도에서는, 단지 디지탈 크로스 접속(Digital Cross Connect) 스위치 DCC를 통한 정보 라우팅(routing)용 필수 블럭들만이 도시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도시되지 않음)가 동작 및 유지를 위하여 요구될 수 있다. 상기 디지탈 크로스 접속 스위치 DCC(30)은 각 네트워크 링크(34)마다 하나씩인 다수의 G703 인터페이스 I/F(32)를 통하여 외부 전송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이러한 링크 또는 버스(34)들은 약 2 Mbps의 속도로 송신한다. 링크(34)의 수는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서 변한다. 각 링크(34)는 개별 송신 라인(separate transmit line, 36)과 개별 수신 라인(separate receive line, 38)로 구성된다. 상기 G703 인터페이스의 네트워크측 상에, I/F(32) 변성기(transformer, 40)가 도시되는데, 이는 상기 PCM 링크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키기 위한 공지된 방법이다.
상기 G703 인터페이스 I/F(32)에서, 상기 송신/수신 신호들은 TTL 레벨로 라인 코딩된 신호(line coded signal) HDB3[최대 3개의 연속한 제로(zero)들을 갖는 고밀도 바이폴라 코드(high density bipolar code)]로/부터 변환된다. 상기 수신라인 중의 하나가 8 ㎑ 프레임 동기를 추출하기 위하여 선택되며, 추출된 신호는 상기 인터페이스(32)에 의하여 라인(42) 상에 출력된다. 이러한 프레임 동기는 네트워크 동기 위상 고정 루프(phase lock loop: PLL, 44)에 인가되는데, 이러한 PLL은 DCC 스위치 시스템 타이밍을 2048 ㎑ 또는 4096 ㎑로 안정 프레임 동기(Frame Sync: FS) 라인(46)과 비트 클릭 라인(48)에 발생시킨다. 상기 스위치 DCC(30)의 우측 상에서, 상기 송신 및 수신 데이타는 상기 2 Mbps 버스(34)에 접속된다. 상기 DCC 스위치(30)에서의 접속들은 통합(configure) 입력 라인(50)에 의한 제어 기능 입력에 의하여 설정된다.
개방 시스템 상호접속(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규약에 따라서,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를 상기 기지 송수신국 BTS(24)에 접속시키는 상기 A-bis 인터페이스는 3개의 계층으로 다시 나뉘는데, 이에는 물리적 계층(계층 1), 데이타 링크 계층(계층 2) 및 네트워크 계층(계층 3)들이 있다. 상기 물리적 계층 1은 상기 OSI 기준 모델에서 가장 하위의 계층이며, 이는 물리적 매체(physical medium) 상에 비트 스트림(bit stream)을 전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모든 기능들을 지원한다. 계층 2는 상기 네트워크의 인접 장치들간의 에러-프리(error-free) 통신을 담당하며, 계층 3은 다른 것들 가운데 호출 제어(call control), 이동성 유지(mobility management) 및 무선 자원 관리(radio resource management)들을 담당한다. 계층 1은 32×64 kbps 타임 슬롯의 프레임 구성을 갖는 2048 kbps 속도의 디지탈이다.
제1B도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기지 송수신국 BTS(24)는 각각이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채널을 지원하는 다수의 송수신기 TRX1내지 TRXn(14')및 중앙에 위치되거나 또는 분산된 기지 제어 기능 모듈 BCF(16')들로 구성되는데, 상기 모듈들은 기지 송수신국 BTS(24) 내의 공통 제어 기능을 처리한다.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은 상기 기지 송수신국 BTS(24) 내의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와 상기 TRX(14')들 및 기지 제어 기능 모듈 BCF(16')들 사이에 접속된다. 상기 기지 송수신국 BTS(24)에 할당된 중요한 기능들은 다운링크(downlink,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방향의 채널 코딩과 변조 및 업링크 방향의 복조, 등화(equalization)와 채널 디코딩이다. 음성 코딩/디코딩 및 데이타 변환코딩(transcoding, 도시되지 않음)들은 기지 송수신국 BTS(24) 내에 위치되거나, 또는 상기 BTS(24) 밖에, 예를 들어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 또는 상기 이동국 서비스 교환 센터 MSC(10')측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종래의 GSM 시스템에서, 음성 코더(도시되지 않음)는 통상 64 kbps PCM 음성(펄스 코드 변조)를 13 kbps 속도의 음성 프레임으로 변환시킨다. 만일 (본 명세서에서는 변환코더로 언급되는) 상기 음성 및 데이타 변환코더들이 상기 기지 송수신국 BTS(24)의 외부에 위치된다면,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함께 사용된) GSM 권장안 ETSI/TC GSM 08.06에 따라 "원격 변환코더 및 속도 어뎁터(rate adapter)에 대한 밴드내 제어(inband control)"에 대한 특정 규약이 사용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규약은 음성 또는 데이타 전송, 시그널링(signalling) 및 동기를 위하여 16 kbps 채널을 사용한다. 상기 변환코더들이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 MSC 내에 위치되는 경우의 그와 같은 한 응용이 하마르(Hammar) 등의 이름으로 1992년 1월 31일 출원되어 본 출원인인 양수인에게 양도되고 본 명세서에서 참조로서 함께 사용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828,574호(1993년 9월 23일에 출원된 현재의 출원 번호 제08/125,136호)에 개시된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와 상기 기지 송수신국 BTS(24)들 간의 시그널링을 위하여, 16 kbps 또는 64 kbps의 시그널링 채널들이 사용된다. 각각의 TRX/BCF 조합에 대하여, 논리적 링크(logical link)들의 집합들은 정의되고 호출된 동작 및 유지 링크(Operation and Maintenance Link) OML, 무선 시그널링 링크(Radio Signalling Link) RSL 및 계층 2 유지 링크(Layer 2 Management Link) L2ML들인데, 이들은 상기 시그널링 채널로 맵핑된다. 다수의 논리적 링크들이 각각의 시그널링 채널 상으로 멀티플렉싱(multiplexing)될 수 있다. 상기 무선 시그널링 링크 RSL은 특히 이동국으로부터 네트워크 통신으로의 트래픽 유지 프로씨져(precedure)를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나의 RSL 링크가 송수신기 TRX(14')마다 구비된다. 상기 동작 및 유지 링크 OML은 전송 동작 및 유지 메시지(message)와 같은 네트워크 유지 프로씨져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나의 OML 링크가 송수신기 TRX(14')와 기지 제어 기능 모듈 BCF(16')마다 구비된다. 상기 계층 2 유지 링크 L2ML은 계층 2 유지 메시지들을 상기 송수신기 TRX(14') 또는 기지 제어 기능 모듈 BCF(16')에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하나의 L2ML 링크가 송수신기 TRX(14')와 기지 제어 기능 모듈 BCF(16')마다 구비된다.
상기 변환코더가 상기 기지 송수신국 BTS(24) 내에 위치되며, 하나의 64 kbps 시그널링 채널이 각각의 송수신기 TRX(14')에 할당된다고 가정하면, TRX(14')마다 요구되는 채널 용량(channel capacity)는 9×64 kbps(8개의 트래픽 채널들과하나의 시그널링 채널)이다. 다른 한편으로, 만일 상기 변환코더가 원거리 위치되고 단지 하나의 16 kbps 시그널링 채널만이 각각의 TRX(14')마다 할당된다면, 전체용량 요구(capacity demand)는 TRX(14')마다 9×16 kbps 또는 2×64 kbps +16 kbps이다.
상기 GSM 권장안 08.54는 계층 1이 2048 kbps(32×64 kbps 타임 슬롯) 속도 또는 64 kbps 속도의 디지탈 전송을 사용할 것을 규정한다. 양 경우 모두, 상기 인터페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함께 사용된 국제 전신 및 전화 협의 위원회(International Telegraph and Telephone Consultative Committee) CCITT 권장안 G703에 규정된 바와 같이 정의되어야만 하며, 물리적/전기적 특징들은 권장안 G703을 따라야만 한다.
마이크로- 및 피코셀들의 출현은 GSM 시스템의 송수신기 TRX들의 분산을 초래했다. 특히, 오늘날의 GSM 기지국(BTS)들은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에 근접 위치된 많은 송수신기 TRX들을 갖는다. 이러한 접속들은 상기 GSM 규정의 2048 kbps A-bis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정의된 바와 같은 2048 kbps PCM 링크들을 통하여 구현된다.
상기 GSM 규정에 의하여 정의된 상기 2048 kbps 인터페이스의 한 단점은 비용이 비싸다는 점이다. 특히, 마이크로- 피코셀 응용에 있어서, 내부(indoor) 및 외부(outdoor) 시스템 양자 모두 하나 또는 2개의 TRX들로 각 셀들에 충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각자의 셀에 대한 2 Mbps 트렁크(trunk)의 분배는 상당한 비용을 유발한다. 상기 TRI가 상기 TRX들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대부분의 경우, 2 Mbps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이 반드시 사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는 예를 들어 그와 같은 케이블링을 포함하지 않는 빌딩 내에 상기 BTS를 설치하는 비용을 상당히 증가시킨다.
요약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송수신기 및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화 상기 무선 송수신기간에 송신되는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멀티플렉싱 및 디멀티플렉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멀티플렉서를 갖는 TDMA 셀룰러 이동 원격 시스템에서 압축을 통하여 대역폭을 감소시킴으로써 메시지를 송신하기 위해 상기 멀티플렉서의 무선 송수신기측 상에서 요구되는 대역폭을 감소시키는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장치는 비교적 높은 변조 속도로 상기 멀티플렉서에 도달하는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고 압축된 음성을 버퍼링(buffering)하며 버퍼링된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비교적 낮은 변조 속도로 재송신하기 위한 수단과, 비교적 낮은 변조 속도로 상기 멀티플렉서에 도달한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버퍼링하며 버퍼링된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을 비교적 높은 변조 속도로 재송신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부 및 멀티플렉싱 수단과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포함하는 셀룰러 TDMA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대역폭 요구를 줄이는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될 음성 데이타를 디지탈 인코딩하여 압축하며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멀티플렉싱 수단 사이에서 적어도 1 Mbps의 속도로 송신하도록 적응된 고속 링크를 포함하는 제1 통신 링크, 및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과 상기 멀티플렉싱 수단 사이에서 1 Mbps미만의 속도로 송신하도록 적응된 저속 링크를 포함하는 제2 통신 링크를 더 포함한다. 상기 멀티플렉싱 수단은 상기 송수신기를 향해 비교적 높은 전송 속도로 송신되는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링된 음성 테이타를 비교적 낮은 전송 속도로 재송신하기 위한 버퍼링 수단, 및 비교적 낮은 전송 속도로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도달하는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버퍼링하며 상기 버퍼링된 음성 데이타를 비교적 높은 전송 속도로 재송신하기 위한 버퍼링 수단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분산된 기지국이 셀룰러 TDMA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데, 이경우 상기 기지국은 적어도 하나의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원거리에 제공되며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될 음성 데이타를 디지탈 인코딩하여 압축하기 위한 변환코더 수단 및 이동국들과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은 네트워크 제어부와 송수신기간에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비교적 높은 전송 속도로 송신하도록 적응된 제1 통신 링크,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와 각각의 송수신기들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비교적 낮은 전송 속도로 송신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제2 통신 링크, 및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통신 링크의 속도를 상기 제2통신 링크의 낮은 속도로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들을 더 포함한다.
역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부수적 특징(attendant advantage)들이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자세한 설명을 판독하므로써 본 기술에 숙련된 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이 이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단지 예시적인 의미로 주어진 장치에 대한 양호한 실시예를 참조로 더 자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A도는 멕시코의 종래의 원격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도시도.
제1B도는 GSM 규정에 따른 종래의 원격 통신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도시도.
제1C도는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에 대한 종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대한 도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A-bis 인터페이스를 따라 삽입된 멀티플렉싱 장치에 대한 도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멀티플렉싱 장치에 대한 구현도.
제5A도 내지 제5D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프레임 동기에 대한 도시도.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산된 기지국은 A-bis 인터페이스의 물리적 계층(계층 1)에 대한 대안을 가지며, A-bis 표준의 모든 다른 계층들을 보존한다. 이러한 기술은 앞서 언급된 하마르 외 다수에 의한 출원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변환코더가 기지국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정보는 디지탈인코딩되어 압축된 형식으로 기지국으로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다. 이러한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코드는 공중 인터페이스(air interface)에서도 사용되며, GSM에서 한 음성 채널에 대해 약 13 kbps를 요구한다. 이는 변환코더들이 기지국 내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또는 기지국으로 음성을 전송하기 위하여 앞서 사용된 CCITT G703에 따른 비압축 PCM 인코딩 음성(uncompressed PCM encoded speech)에 대해 요구되는 64 kbps와 비교된다. 상기 압축된 코드는 약 4 배 정도 작은 대역폭 또는 8 비트 PCM 워드의 8 비트 가운데 단지 2 비트만을 필요로 한다. 충분히 낮은 비트 속도로 상기 코드에 대한 압축과 그 결과에 대한 디멀티플렉싱 및 멀티플렉싱의 조합만이 하나의 TRX를 처리하는 때에 4 또는 2-배선 전송(wire transmission)에 의하여 동축 케이블을 대체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실, 즉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이 사용된다는 사실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방향으로의 192 kbps 전송을 지원가능한 구리 배선들의 이중쌍(dual pair)들이 기지국 내의 TRX/BCF들과 집중 노드(concentrating node)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즉, 기지국을 구성하는 송수신기 인터페이스와 원거리(remote) 및 근거리(local) 송수신기들 사이에 통상의 전화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이 감소되고 구현이 더욱 용이해진다. 단지 단일쌍 접속(single pair connection)을 사용하는 다른 대안 역시 제시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현존 시스템들이 역적용(retrofitting)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새로운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 MSC(10'), (GSM, TDMA 시스템을 위한) 기지국 제어기 BSC(22) 및 송수신기 TRX(14')들을 제공하는 새로운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변환코더 수단(25)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떨어져 위치되는 것을 가정한다. 상기 변환코더(25)는 상기 MSC(10')의 일부분으로서 제2도에 도시된다.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는 GSM 기지국 BTS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기능적 모듈이다. 제2도의 구성요소들은 제1B도에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참조하는데 사용된 참조번호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거나, 또는 제1B도의 구성요소와는 다른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하여 동일 참조번호에 이중 프라임(double prime)을 갖도록 함으로써 참조된다.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 또는 멀티플렉서(18")은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 상의 2 Mbps 링크와 상기 TRX/BCF측 상의 192 kbps 링크간의 인터페이싱과 전송 방향(travel) 및 각각의 처리된 음성 채널 트래픽 볼륨(volume)에 따라 상기 전송 속도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상기 멀티플렉서(18")이 가능하도록 하는 멀티플렉싱 능력(capability)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와 상기 TRX(14') 사이의 종래 기술의 동축 케이블링의 필요가 없어진다.
특히, 출원인의 분산 기지국은 다수의 송수신기 TRX1내지 TRXn을 포함하는 데, 이들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며 192 kbps ISDN(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인터페이스 라인에 의하여 상기 기지국 BTS 내의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은 2048 kbps 라인을 사용하여 임의의 수의 근거리 또는 근접 송수신기 TRX(14')에 역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TRI(18")은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TRX(14')는 두개의 접속기(connector)를 포함하는데, 하나는 저속 원거리 접속(low speed remote connection, 26)용이며 다른 하나는 고속 근거리 접속(high speed local connection, 25)이다.
제3도는 기지국 제어기 BSC(22)와 TRX/BCF(14'/16')들 사이의 전송 경로에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이 부가된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3도의 실시예에서, 상기 TRX(14')는 동일 또는 다른 셀들에 속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와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18") 사이에는 A-bis 권장안에 따라 다수의 2 Mbps 트렁크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접속들은 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들일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18")과 상기 TRX/BCF(14'/16')들 사이의 물리적 통신 링크들은 4-배선(4-wire) 또는 꼬인쌍(twisted-pair) 링크("S" 인터페이스)들이다. 상기 S-인터페이스는 CCITT 권장안 I.412와 I.430(계층 1 규정)에 의하여 규정된 ISDN 기본 사용자-네트워크 인터페이스(Basic User-Network Interface)라 불리는데, 이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2B+D 채널 구성을 갖는데, 이는 각각 64 kbps인 2개의 B-채널들과 16 kbps의 하나의 D-채널이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4-배선 또는 꼬인쌍 링크들은 192 kbps의 속도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과 상기 송수신기 TRX(14')사이에 2-배선 접속을 사용할 수 있다. 2-배선 접속을 통한 완전 듀플렉스(full duplex) 전송을 지원하기 위하여, 반향 소거(echo cancelling)가 상기 인터페이스에 부가되어야만 할 수 있다. 상기 2-배선 인터페이스는 ISDN 용어상 "U" 인터페이스라 불린다.
만일 상기 변환코더가 상기 송수신기 TRX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되고 단지 16 kbps만이 시그널링에 사용된다면, 2B+D 채널 구성은 하나의 송수신기 TRX를 요구하는데 매우 적절하다. 각각이 16 kbps를 요구하는 8개의 TDMA 채널들은 GSM 권장안을 따르는 CCITT 권장안 I-460(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함께 사용된다)에 따라서, 상기 2개의 B-채널 상으로 멀티플렉싱된다. 16 kbps인 나머지 D-채널은 채널을 시그널링하고 논리적 링크 RSL, OML 및 L2ML을 지원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에서, 상기 D-채널들은 다른 D-채널들과 함께 64 kbps로 조절 또는 멀티플렉싱된다. 모든 송수신기 TRX(14')로부터의 상기 조절 또는 멀티플렉싱된 D-채널들 및 B-채널들과 기지 제어 기능 모듈 BCF(16')들은 상기 2 Mbps 링크(제2도 또는 제3도에 도시되지 않음)들 상으로 멀티플렉싱된다. 상기 D-채널들에 대한 멀티플렉싱은 예를 들어 대기(queuing)시키므로써 계층 2에서 통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TRI(18")은 전송 방향에 따라 멀티플렉싱 및 디멀티플렉싱 동작들을 수행한다. 제4도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은 디지탈 크로스 접속 스위치 DCC(30)을 포함한다. 상기 디지탈 크로스 접속 스위치 DCC(30)은 네트워크쪽 상에서는 임의의 64 kbps 타임 슬롯에 상기 송수신기 TRX(14')쪽 상에서는 임의의 64 kbps 접속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DCC(30)을 통한 상기 접속 구성은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에 의하여 근거리에서 제어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기지국 제어기 BSC(22) 또는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 MSC(10')에 의하여 원거리에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에 대한 상기 접속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4도는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TRI(18')에 대한 상기 접속들에 대한 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을 들여다 볼 때 제4도의 좌측은 스위치의 2 Mbps로 종료된 우측 부분까지 포함하여 제1C도에 도시된 상기 TRI(18')과 동일한 종류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을 다시하지 않는다.
출원인의 장치는 통신 버퍼링과 전보 재송신에 요구되는 대역폭을 줄인다. 상기 장치는 원거리 송수신기 TRX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낮은 주파수 형식(low frequency version)의 논리적으로 변경되지 않은 A-bis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이러한 장치는 상기 2 Mbps 버스(34)들의 우측에 접속된 다수의 I.430(2B+D) 인터페이스 I/F1 내지 I/Fn(52)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 I/F1 내지 I/Fn(52)의 다른쪽들은 192 kbps ISDN 링크들에 의해 변성기(54)들을 거쳐 상기 원거리 TRX/BCF(14'/16')들에 접속된다. 각각의 I.430 인터페이스 I/F(52)들은 예를 들어 상기 B-채널 각각에 하나 및 상기 D-채널에 하나씩인 3개의 64 kbps 타인 슬롯들을 처리한다. 가능한 경우, 제4 타임 슬롯이 상기 I.430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제어/상태 정보 채널(control/status information channel)에 할당될 수 있다.
각각의 버스는 32개의 타임 슬롯들을 전송하는데, 즉 만일 3개의 타임 슬롯들이 각각의 I.430 인터페이스에 할당된다면, 각각의 버스는 10개의 ISDN 접속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인터페이스마다 4개의 슬롯들을 할당하므로써, 단지 8개의 ISDN 접속들만이 사용될 수 있다.
3개 또는 4개의 타임 슬롯들이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 Mbps 프레임으로부터 연속적으로 할당될 수 있다. 데이타를 송신 및 수신하는 것에 덧붙여서, 상기 프레임 및 비트 동기 신호들은 모든 I.430 인터페이스들에 접속된다.
상기 2 Mbps 데이타 스트림에 상기 인터페이스(52)들을 동기시키는 가능한한 방법은 프레임 동기 라인 FS(46)들을 상기 인터페이스(52)들간에 데이지 체인(daisy chain) 방식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다. 각각의 인터페이스에 제공된 상기 프레임 동기 신호는 인터페이스의 액세스 윈도우(access window)를 결정한다. 한편, 상기 동기 신호는 3개 또는 4개의 타임 슬롯 동안 지연된 후 다음 인터페이스의 입력에 인가된다. 이는 제5B도 내지 제5D도의 타이밍 다이어그램에 도시된다. 상기 프레임 동기 라인 FS1 내지 FS10들은 제4도에 도시된다.
2 Mbps 버스 상의 모든 타임 슬롯들은 64 kbps 속도의 8 비트 정보로 구성된다. 위에 지적된 바와 같이, 상기 I.430 인터페이스의 D-채널은 단지 16 kbps 채널이며, 따라서, 상기 D-채널은 64 kbps 채널로 조정된 속도를 가져야만 한다. 이는 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타임 슬롯들 중 하나의 단지 첫번째 2개의 비트에 상기 D-채널 비트들을 끼워 넣으므로써 수행된다. 상기 타임 슬롯의 나머지 6개 비트들은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진수 1로 설정된다.
상기 I.430 인터페이스는 변성기들을 통하여 4개 배선 접속들에 직접 접속된 단일 구성소자(component)로 구현될 수 있다. 만일 단일 꼬인쌍 접속들이 사용된다면, 하이브리드(hybrid)들이 4 배선 접속들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단일 구성소자는 (속도 조절을 포함하여) 다음의 기능들을 포함할 수 있다:
- 상기 꼬인쌍 또는 4 배선 접속 상으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2 Mbps 버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다운링크" 버퍼들 및 2 Mbps 버스상으로 전송하기 전에 상기 꼬인쌍 또는 4 배선 접속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업링크" 버퍼; 이때 "다운링크"는 이동 교환 서비스 센터 MSC로부터 이동국들로의 전송을 말하며, "업링크"는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 제어기 BTS 및 상기 이동 교환 서비스 센터 MSC로의 전송을 말한다;
- 4 배선 인터페이스에 적용가능한 상기 I.430 권장안에 따른 의사-3진수(pseudo-ternary) 라인 코더/디코더 및 꼬인쌍 인터페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반향 소거 코더/디코더;
- 라인 구동기 및 라인 수신기; 및
- 제어 및 타이밍.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제어 및 타이밍 기능은 FS1 위치로부터 시작하여 2048(또는 4096) ㎑ 클럭을 사용하여 24 또는 32 비트(3 또는 4개의 타임 슬롯)을 다운링크 버퍼에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정보는 상기 I.430 규약에 따라 다시 포맷(format)되는데, 이에는 제어 비트들을 삽입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정보는 상기 버퍼로부터 192 kbps 속도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 업링크 경로가 상기 제어 및 타이밍 기능에 의하여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한된 수의 쉽게 구입가능한(off-the shelf) 제품들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제품 그룹의 예는 MITEL 계열(family) 구성소자들이다. 제5도에 도시된 각각의 디지탈 크로스 접속 DCC 블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MITEL 구성소자들이 있다. G703 I/F는 MITEL MH89790, CEPT PCM 30/CRC-4 프레머 및 인터페이스(Framer & Interfac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변성기와 수동 네트워크(passive network)를 통하여 라인에 접속된 하나의 완전한 듀플렉스 2 Mbps 트렁크를 지원하는 40개의 핀을 갖는 하이브리드 회로이다. 네트워크 동기 위상 고정 루프 PLL은 MITEL MT8940, T1/CEPT 디지탈 트렁크 PLL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DCC는 MITEL MT8980D 디지탈 스위치 또는 MT8981D 디지탈 스위치일 수 있다. 상기 8980D는 32×64 kbps의 8배의 입력 채널을 32×64 kbps의 8배 출력 채널들로 스위칭시킨다. 상기 8981D는 상기 8980D 용량의 반을 용량으로 갖는다. 상기 I.430 I/F 인터페이스는 MITEL MT8930 가입자 네트워크 인터페이스회로일 수 있는데, 이는 하나의 2B+D 4-배선 접속을 지원한다. 위의 구성소자들은 단지 예시적인 의도로서 설명된다. 상기 구성소자들은 통상 기술자(ordinary artisan)의 기술 수준 내에서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ASIC과 같은 임의의 동등 제품으로 대체되는 것이 가능하다.
어떤 경우에는, 상기 기본 액세스 2B+D 채널 구성은 TRX가 요구하는 용량을 만족시키기 못한다. 예를 들어, 상기 TRX가 1/2 속도의 트래픽 채널들을 전송하는 때에는 16 kbps의 16배(즉, 4개의 B-채널)가 요구될 수도 있다. 또한, 16 kbps D-채널은 과중한 시그널링 부하를 갖거나 또는 작은 시그널링 지연을 요구하는 송수신기 TRX에 불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두배로 될 수 있는데, 즉, 상기 2B+D 채널 구성의 용량이 충분하지 않은 때에는 2쌍(two pairs)이 사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인터페이스의 대역폭이 증가될 수 있다. 현재, 새로운 ANSI 표준이 HDSL(High-bit-rate-Digital Subscriber Line)으로 불리는 2 배선 구리 케이블 상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개발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함께 사용된) 1992년 2월 14일자 TI E1.4/92-002 RI 기술 보고서(Technical Report)의 "A Technical Report on High-Bit-Rate Digital Subscriber Lines "HDSL""을 참조하시오. 상기 인터페이스의 비트 속도는 반향 소거 기법을 사용하는 784 kbps이다. 상기 인터페이스를 두배로 하는 것, 즉 2쌍을 사용하는 것은 64 kbps의 24배를 허용하는데, 이는 T1 트렁크의 용량이다. 상기 기본 액세스 2B+D 채널 구성 대신에 이러한 HDSL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하나보다 많은 송수신기TRX들을 처리할 수 있는 용량을 갖는 시스템을 제공한다.
삿갓 셀(umbrella cell)들은 종종 등록(registration), 페이징(paging) 및 호출 설정(set-up)을 촉진하도록 과중한 이동 트래픽인 영역에서 사용된다. 실제의 대화(conversation)들은 예를 들어 가입자에 근접한 데스크탑(desktop) 원거리송수신기에 의하여 저전력 레벨로 전송된다. 표준 핸드오프(handoff) 기법들이 호출 설정 다음에 바로 음성 채널을 할당시키는데 사용된다. 호출 설정은 몇몇의 삿갓 위치(umbrella site)들에 집중되므로써 요구되는 기지국들의 수를 줄이게 된다. 이러한 경우, 2 또는 4 배선 전화 라인들에 의하여 접속된 데스크탑 원거리 송수신기들은 상기 대화 단계(conversation phase)를 처리할 것이다. 그와 같은 시스템에서, 상기 기지국들은 채널들의 조절 선택을 위하여 동기되며, 단지 하나의 타임 슬롯에 영향을 주는 단일 실내 호출(in-house call)의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동기된다. 또한, 2개의 합성기(synthesizer)를 포함하는 단일 원거리 송수신기는 다른 주파수로 프레임 내의 타임 슬롯 상에서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는데, 그에 따라 호출 설정시 및 핸드 오프 동안 채널 조절 선택을 허용한다. 전용 제어 정보(dedicated control information)와 페이징들은 예를 들어 자신의 무선파(radiowave)들을 사용하여 빌딩 전체를 담당하는 채널인 삿갓 채널(umbrella channel)을 통하여 시스템에 인입된다. 상기 삿갓 셀은 상기 호출이 데스크탑 원거리 송수신기로의 핸드 오프가 가능할 때까지 진행할 수 있는 트래픽 채널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기술적 배경에 대한 더 완벽한 설명에 대하여는,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서 함께 사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5,235,632호와 1991년 6월 13일 출원되어 계류중인 미합중국 출원 번호 제07/714,566호를 참조하시오.
본 발명은 다른 사항들 가운데 실내 전화 케이블링이 데스크탑 TRX들에 대한 케이블링을 공유하도록 가능하게 만들기 때문에 큰 상업적 가치를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본 발명은 종래의 실내 전화 케이블링을 포함하는 빌딩 내의 특수 동축 케이블링에 대한 필요를 제거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버퍼링 능력을 갖는 송수신기 인터페이스가 셀룰러 이동 전화 시스템에서 원거리 TRX들과 통신하는데 사용된다. 64 kbps가 원거리 TRX에 대해 너무 느려 원거리 TRX와 통신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2048 kbps가 사용되어야 하는 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명성을 갖는 인터페이스가 GS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데, 상기 시스템은 2048 kbps 또는 64 kbps A-bis 접속들을 허용하는 표준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인터페이스의 버퍼링 능력을 사용하는 것은 상기 I.430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제공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인터페이스 및 상기 TRX에서의 속도 변환(speed conversion)을 제공하므로써 동일한 TRX들이 근거리에서 또는 원거리에서 사용되도록 허용한다. 각각의 TRX에는 2개의 접속기(connector)들이 구비되는데, 이중 하나는 상기 TRX가 기지국 BTS 내의 근거리에서 사용되는 때에 2048 K비트/초(Kbits/s)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며, 다른 접속기는 상기 TRX가 상기 BTS로부터 원거리에서 본 발명의 멀티플렉서와 함께 사용될 때에 192 K비트/초로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2개의 종료부(termination)들은 도면들에서 하나로서 도시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I.430 인터페이스는 192 K비트/초 종료부 상에서 사용된다.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앞의 설명들은 다른 사람들이 현재의 기술 지식을 응용하므로써 상기 총괄체인 개념(generic concept)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그와 같은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응용을 위하여 쉽게 변형 및/또는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본 발명의 일반적인 본질을 매우 완전하게 개시할 것이며, 따라서 그와 같은 응용들과 변형들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의 등가 의미 및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표현(phraseology)은 제한적이 아닌 설명적 목적을 갖는다.

Claims (16)

  1. 셀룰러 TDMA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대역폭 요구 조건(bandwidth requirements)을 저감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부에 접속되고, 멀티플렉싱 수단(18") 및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14')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에 송신될 음성 데이타를 디지탈 인코딩(digitally encoding)하여 압축하고, 디지탈 인코딩되고 압축된 상기 음성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멀티플렉싱 수단 사이에서, 적어도 1Mbps의 속도로 송신하도록 적응된(adapted) 고속 링크를 포함하는 제1 통신링크; 및
    상기 멀티플렉싱 수단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 사이에서, 1Mbps 미만의 속도로 송신하도록 적응된 저속 링크를 포함하는 제2 통신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멀티플렉싱 수단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을 향해 비교적 고속으로 송신되는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고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상기 음성 데이타를 비교적 저속으로 재송신하는 버퍼링 수단(52);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수단으로부터 비교적 저속으로 도달한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고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버퍼링하고, 버퍼링된 상기 음성 데이타를 비교적 고속으로 재송신하는 버퍼링 수단(52)
    을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링크는 2-배선(2-wire)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링크는 4-배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링크는 약 192 kbps의 속도로 송신하는 장치.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링크는 2개의 2-배선쌍을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링크는 ISDN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링크는 높은 비트 속도(high-bit-rate) 디지탈 가입자 라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링크는 GSM 규정에 따라서 약 2048 kbps의 속도로 송신하는 송신 링크를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원격 통신 네트워크는 GSM 시스템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22)를 포함하는 장치.
  10. 셀룰러 TDMA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분산 기지국(decentralized base station)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이동 서비스 교환 센터(10');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원거리에 제공되며, 상기 기지국으로 송신될 음성 데이타를 디지탈 인코딩하여 압축하기 위한 변환코더 수단(transcoder means, 25);
    이동국과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14');
    네트위크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간에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송수신기 인터페이스(18");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와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비교적 높은 전송 속도로 송신하도록 적응된 제1 통신 링크;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와 각각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 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디지탈 인코딩되어 압축된 음성 데이타를 비교적 낮은 전송 속도로 송신하도록 적응된 적어도 하나의 제2통신 링크; 및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제1 통신 링크의 속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통신 링크의 낮은 속도로 적응시키기 위한 수단(52)
    을 포함하는 분산 기지국.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통신 링크는 2 또는 4 배선 접속을 포함하는 분산 기지국.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14')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18")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는 분산 기지국.
  1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14')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송수신기 인터페이스(18")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분산 기지국.
  14. 상기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셀룰러 원격 통신 네트워크는 GSM 시스템이며,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제어기(22)를 포함하는 분산 기지국.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링크의 상기 고속 전송 속도는 약 2 Mbps이며, 상기 제2 통신 링크의 상기 저속 전송 속도는 약 192 Kbps인 분산 기지국.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통신 링크에 접속되도록 적응된 저속 원거리 접속용 제1 접속기 및 고속 근거리 접속용 제2 접속기를 포함하는 분산 기지국.
KR1019950704663A 1994-02-25 1995-02-23 원격통신네트워크에서무선송신기-수신기로및무선송신기-수신기로부터의통신대역폭요구조건을줄이기위한분산기지국 KR1003623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7994A 1994-02-25 1994-02-25
US08/202179 1994-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62337B1 true KR100362337B1 (ko) 2003-04-08

Family

ID=2274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4663A KR100362337B1 (ko) 1994-02-25 1995-02-23 원격통신네트워크에서무선송신기-수신기로및무선송신기-수신기로부터의통신대역폭요구조건을줄이기위한분산기지국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555260A (ko)
EP (1) EP0696395B1 (ko)
JP (1) JPH09501034A (ko)
KR (1) KR100362337B1 (ko)
CN (1) CN1073315C (ko)
AU (1) AU688872B2 (ko)
DE (1) DE69528125T2 (ko)
FI (1) FI113992B (ko)
WO (1) WO19950234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96920T1 (de) * 1993-09-17 1997-07-31 Motorola Inc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gabe von Netzwerkbauteilsfunktionen zwischen Netzwerkbauteilen
US6088590A (en) 1993-11-01 2000-07-11 Omnipoi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bile controlled handoff and link maintenance in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US6021333A (en) * 1993-11-01 2000-02-01 Omnipoin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with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005856A (en) 1993-11-01 1999-12-21 Omnipoint Corporation Communication protocol for spread spectrum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6094575A (en) * 1993-11-01 2000-07-25 Omnipoint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R2719428A1 (fr) * 1994-04-27 1995-11-03 Trt Telecom Radio Electr Système de transmission formé au moins d'une station de base, d'une station satellite et d'une station nodale et station de base et station satellite convenant à un tel système.
FR2726958A1 (fr) * 1994-11-15 1996-05-15 Trt Telecom Radio Electr Systeme de radio-communication avec station radio deportee
US6535732B1 (en) * 1995-05-04 2003-03-18 Interwave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Ltd. Cellular network having a concentrated base transceiver station and a plurality of remote transceivers
US6101400A (en) * 1997-08-20 2000-08-08 Interwave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ed base station transceivers
US6580924B1 (en) * 1995-05-04 2003-06-17 Interwave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Ltd. Wireless co-tenant base station
US5758256A (en) * 1995-06-07 1998-05-26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of transporting speech information in a wireless cellular system
GB2308041B (en) * 1995-12-05 2000-03-29 Motorola Ltd Communication system with base station transceiver and radio communication units
NZ323993A (en) * 1995-12-22 1998-10-28 British Telecomm Mobile radio systems
US5809422A (en) * 1996-03-08 1998-09-15 Watkins Johnson Company Distributed micro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5708657A (en) * 1996-04-02 1998-01-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interfacing mobile switching center(MSC) with base station controller(BSC) of CDMA mobile system
JP3124229B2 (ja) * 1996-06-28 2001-01-15 富士通株式会社 Phsを利用したwll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その運用方法およびインタフェース変換装置
FI103850B (fi) * 1996-07-12 1999-09-30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tilan automaattinen ohjaus
GB2315643B (en) * 1996-07-24 1998-09-30 Nokia Telecommunications Oy Base station
DE19643774C1 (de) * 1996-10-23 1998-04-30 Siemens Ag Verfahren und Telekommunikationsschnittstelle zum Übertragen kontinuierlicher und/oder diskontinuierlicher Datenströme in einem hybriden Telekommunikationssystem, insbesondere einem "ISDN-DECT-spezifischen RLL/WLL"-System
US6018532A (en) * 1996-11-14 2000-01-25 Telefonaktiebolget L M Ericsson (Publ) Method for multiplexing adjacent transceiver/transcoder links into a single timeslot
KR100375143B1 (ko) * 1997-09-09 2003-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듈러,분산형무선장치구조및동일한안테나를사용하는이중반송파접속장치
DE19755379C2 (de) * 1997-12-12 2000-06-08 Siemens Ag Basisstation für ein Funk-Kommunkationssystem
US6243367B1 (en) * 1997-12-31 2001-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lient-server architecture for CDMA base stations
WO1999050989A1 (en) * 1998-03-30 1999-10-07 Northern Telecom Limited Adaptive modulation for cdma systems
KR100257884B1 (ko) * 1998-05-14 2000-06-01 김영환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과 기지국간트렁크 전송 효율향상 방법
US6792267B1 (en) * 1998-05-29 2004-09-14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plinking downsampled radiotelephone signals from cellular radiotelephone base stations to a cellular radio exchange
DE19827027C2 (de) * 1998-06-17 2000-05-18 Siemens Ag Basisstation
CN1135885C (zh) * 1998-09-03 2004-01-21 因特威夫通讯有限公司 蜂窝网通信系统
US6535737B1 (en) * 1999-04-14 2003-03-1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ignalling link capacity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US6292781B1 (en) * 1999-05-28 2001-09-18 Motorola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distributed speech process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329196B1 (ko) * 1999-07-19 2002-03-22 박종섭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고주파처리 유니트 원격 제어장치
US6631156B1 (en) * 1999-09-27 2003-10-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igital data communications system
US6839544B1 (en) * 1999-10-18 2005-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monitoring of a transmitter in a wireless base station
US6721331B1 (en) 1999-12-15 2004-04-13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centralized prioritized scheduling in a CSMA/CA wireless system
US7260078B1 (en) 2000-02-08 2007-08-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anagement protocol medi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US6628968B1 (en) 2000-11-02 2003-09-30 Ericsson Inc. Providing timing reference for radio heads
US6810270B1 (en) * 2000-11-02 2004-10-26 Ericsson Inc. Providing reference signal to radio heads
DE60120504T2 (de) * 2001-06-26 2006-12-07 Nokia Corp. Verfahren zur transcodierung von audiosignalen, netzwerkelement, drahtloses kommunikationsnetzwerk und kommunikationssystem
US20040015202A1 (en) * 2002-06-14 2004-01-22 Chandler Gilbert S. Combination epidural infusion/stimulation method and system
US7539161B2 (en) * 2003-10-20 2009-05-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Virtual cell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2844A (en) * 1979-09-20 1982-03-30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Transmitter-receiver synchronizer
US4377860A (en) * 1981-01-05 1983-03-22 American Microsystems, Inc. Bandwidth reduction method and structure for combining voice and data in a PCM channel
US4589110A (en) * 1981-06-24 1986-05-13 At&T Bell Laboratories Signal processor (system) for reducing bandwidth and for multiplexing a plurality of signals onto a single communications link
FR2545670B1 (fr) * 1983-05-04 1985-07-05 Billy Jean Claude Multiplexeur, demultiplexeur et equipement de multiplexage-demultiplexage a trames reconfigurables
US4660196A (en) * 1983-08-01 1987-04-21 Scientific Atlanta, Inc. Digital audio satellite transmission system
NL8500841A (nl) * 1985-03-22 1986-10-16 Philips Nv Kodeer- of dekodeerschakeling voor tijdmultiplex en simultane signalen.
JPH0831876B2 (ja) * 1985-09-20 1996-03-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パケツト交換網におけるル−チング制御方式
AU5589086A (en) * 1986-03-25 1987-10-2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dm communication device
US4922484A (en) * 1987-07-22 1990-05-01 Nec Corporation ISDN remote switching unit for accommodating analog and digital lines
US5029163A (en) * 1988-03-18 1991-07-02 At&T Bell Laboratories Synchronous protocol data formatter
US4975771A (en) * 1989-02-10 1990-12-04 Kassatly Salim A Method and apparatus for TV broadcasting
US4987570A (en) * 1989-02-09 1991-01-22 Data Genera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ime interleaved multiplexed rate adaptation for sub-rate channels in a digital data communication system
US4965787A (en) * 1989-02-09 1990-10-23 Data Genera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plexing sub-rate channels in a digital data communication system
US4964095A (en) * 1989-05-12 1990-10-16 Alcatel Na, Inc. Data communication bypass apparatus and method
US4995036A (en) * 1989-08-07 1991-02-19 General Dynamics Land Systems, Inc. Multichannel data compressor
US4965796A (en) * 1989-09-29 1990-10-23 At&T Bell Laboratories Microprocessor-based substrate multiplexer/demultiplexer
US5161152A (en) * 1989-12-15 1992-11-03 Alcatel Network Systems, Inc. High-speed synchronous transmission line access terminal
SE465992B (sv) * 1990-04-10 1991-11-25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telefonisystem avsett att brukas av abonnenter inomhus och utomhus
US5111454A (en) * 1990-08-16 1992-05-05 Motorola, Inc. Digital cellular tdm system employing 6:1 packing of transcoded information
US5278827A (en) * 1991-05-28 1994-01-11 British Technology Group Ltd. Variable data rate channels for digital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5023463A1 (en) 1995-08-31
EP0696395B1 (en) 2002-09-11
CN1123589A (zh) 1996-05-29
FI955068A (fi) 1995-10-24
AU1865995A (en) 1995-09-11
DE69528125T2 (de) 2003-05-22
US5555260A (en) 1996-09-10
AU688872B2 (en) 1998-03-19
FI113992B (fi) 2004-07-15
FI955068A0 (fi) 1995-10-24
CN1073315C (zh) 2001-10-17
DE69528125D1 (de) 2002-10-17
EP0696395A1 (en) 1996-02-14
JPH09501034A (ja)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337B1 (ko) 원격통신네트워크에서무선송신기-수신기로및무선송신기-수신기로부터의통신대역폭요구조건을줄이기위한분산기지국
KR0158040B1 (ko) 통신 네트워크에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0637179B1 (en) TDMA on a cellular communications system PCM link
KR100373740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고속데이터전송
CA2053137C (en) Digital wireless interface
KR20010032655A (ko) 고정 무선 루프 동기식 코드분할다중접속 통신 시스템에대한 파형 및 프레임 구조
AU694472B2 (e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22979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andem IWF interconnectivity
EP0656163B1 (en) Method of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link in a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US6018532A (en) Method for multiplexing adjacent transceiver/transcoder links into a single timeslot
CN110121156B (zh) 一种基于e1的lte和tetra通信方法
JPH0728441B2 (ja) 移動通信交換システム
EP1317082A2 (en) Method and base station for speech transmission
WO1998059454A9 (en) Extended range dds transport via loaded or unloaded facilities
WO1996039785A2 (en) Improvements of or relating to cordless telephony
KR19980077726A (ko) 무선통신 시스템의 교환기(mcs)와 기지국(cell sites)접속장치
JPH0744741B2 (ja) 中継交換方式
JPS58115999A (ja) デイジタル交換網構成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