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2217B1 - 평면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평면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2217B1
KR100362217B1 KR1020000035661A KR20000035661A KR100362217B1 KR 100362217 B1 KR100362217 B1 KR 100362217B1 KR 1020000035661 A KR1020000035661 A KR 1020000035661A KR 20000035661 A KR20000035661 A KR 20000035661A KR 100362217 B1 KR100362217 B1 KR 1003622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ezel
display
display cell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5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7541A (ko
Inventor
츠카모토다카요시
이케다미츠타카
가와치신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10007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7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22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22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셀측의 베젤과 틀체측 사이에 칫수 공차등에 의해 극간이 발생하여도 숫나사의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평면표시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베젤(22)측에 설치된 암나사부(26)를 틀체(25)의 내측면방향에 대해 변형가능하게 구성하여, 표시셀(11)을 수용하는 틀체(25)의 측벽부(25a) 및 베젤(22)의 측면부(24)를 관통하여 베젤(22)측에 설치된 암나사부(26)와 나사맞춤하여 세게 조여 고정하는 숫나사(27)의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해 대폭적인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Description

평면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평면형상의 표시셀을 베젤로 틀체내에 수용 고정한 평면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셀과 같은 평면형상의 표시셀을 갖춘 평면표시장치의 조립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형상의 표시셀(11)을 표시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틀체내에 수용하고, 베젤(12)에 대해 틀체의 측벽부측에 설치된 취부부품(13)으로부터 숫나사(14)를 삽입하여, 일반적으로 세게 조이는 소위 측방고정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여기서, 베젤(12)은 금속체의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이 거의 L형의 표면부(15) 및 측면부(16)를 갖추고, 이들 표면부(15) 및 측면부(16)에 의해 표시셀(11)의 표면 주위 테두리 및 측면을 덮어, 틀체측에 고정한다. 또한 17은 백라이트로서, 표시셀(11)의 이면에 플라스틱등으로 형성된 프레임(18)에 의해 유지된다. 그리고, 이 프레임(18)에 베젤(12)이 끼워 맞추어져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셀(11)의 외형 칫수 공차 및 틀체측의 칫수 공차등에 의해 베젤(12)의 측면부(16)와, 틀체측의 취부부품(13) 사이에 간격(a)이 발생된 경우, 숫나사(14)를 틀체측의 취부부품(13)으로부터 삽입하고, 베젤(12)의 측면부(16)에 형성된 암나사부(19)에 나사맞춤시켜 일체적으로 세게 조이면, 이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해 베젤(12) 또는 틀체측의 취부부품(13)에 변형이 생기고, 틀체 중심과 표면부(15)의 중심이 불일치로 되는 것이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7은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해 베젤(12)의 1변이 틀체측의 취부부품(13)측으로 인장되어 만곡 변형된 경우가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베젤(12)의 1변이 만곡 변형 되면, 베젤(12)의 표시창이 변형되어 버려 틀체의 표시창과 표시셀(11)의 표시부와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게 되는 결점이 발생된다. 또한, 이와 같이 베젤(12)의 1변이 만곡 변형된 경우, 베젤(12)의 표시부(15)의 내변(15a)에는 아래로 향하는 힘이 작용하여 표시셀(11)의 표면을 강하게 압박한다. 이 때문에, 평면표시장치로서의 사용시에 있어서 진동에 의한 풀링(pulling) 또는 나사 부하에 의한 탭(tab) 절단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숫나사(14)의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해 틀체측이 변형되는 것도 있지만, 불특정한 장소의 변형이기 때문에, 표시셀(11)과의 사이의 위치 정밀도가 나빠지게 되어 표시셀(11)의 표시부와 틀체의 프론트 마스크(front mask)와의 간섭등을 야기시킬 염려도 있다.
이와 같이 표시셀(11)의 베젤(12)과 틀체측과의 사이에 칫수 공차등에 의해 극간이 발생하면, 이들 표시셀(11)측의 베젤(12)과 틀체측의 사이를 세게 조여 고정하는 숫나사(14)의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해 변형이 발생하여 다양한 결함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는 문제를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표시셀측의 베젤과 틀체측과의 사이에 칫수 공차등에 의해 극간이 발생하여도 숫나사의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평면표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평면표시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좌측면도, c는 우측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부분의 틀체에 대한 취부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슬리트 형성상태를 나타낸 부분도,
도 5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암나사부분을 혀조각 형상으로 하여 플렉시블성을 갖추게 한 경우의 부분도,
도 6은 제3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의 우측면도,
도 8은 도 6에서 나타낸 틀체측과의 관계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8에서 나타낸 정면의 단면도,
도 10은 도 9에서 나타낸 부분에 대응하는 평단면도,
도 11은 도 8에서 나타낸 부분의 숫나사의 세게 조이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9에서 나타낸 부분의 숫나사의 세게 조이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의 단면도,
도 13은 도 10에서 나타낸 부분의 숫나사의 세게 조이는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의 단면도,
도 14는 제4실시예의 설명도,
도 15는 도 5의 실시예의 설명도,
도 16은 종래예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11 --- 표시셀 12 --- 베젤
13 --- 취부부품 14 --- 숫나사
15 --- 표면부 16 --- 측면부
17 --- 백라이트 18 --- 프레임
19 --- 암나사 19a --- 내변
22 --- 베젤 22a --- 기준변
23 --- 표면부 24 --- 측면부
25 --- 틀체 25a --- 측벽부
26 --- 암나사부 27 --- 숫나사
28 --- 슬리트 30 --- 개구
31 --- 버링 쇠장식 32 --- 프레임 측면부
33 --- 취부부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제1항의 발명은,평면형상이면서 표면에 표시부분을 갖춘 표시셀과,개구부를 갖추고서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표면부와, 이 표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설치된 측면부를 갖추고, 상기 표시셀의 표면의 주변 테두리 및 측면을 덮는 고정용의 베젤을 구비하고,이 베젤로 덮인 표시셀을 상기 표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틀체에 수납가능하게 구성되는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상기 베젤의 상기 측면부의 내, 적어도 일측면부에는 틀체에 대한 고정용의 암나사부가 설치되면서 상기 암나사부 근방에는 슬리트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암나사부 근방의 상기 일측면부를 변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이다.
청구항 제2항의 발명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부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부가 틀체에 대해 기준변을 이루고 고정용 암나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이다.
청구항 제3항의 발명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트가 상기 일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이다.
청구항 제4항의 발명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트가 상기 일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이다.
청구항 제5항의 발명은,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트가 상기 일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이다.
청구항 제6항의 발명은,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표면부와 측면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이다.
청구항 제7항의 발명은, 평면형상이면서 표면에 표시부분을 갖춘 표시셀과,상기 표시셀의 이면에 배치된 백라이트,상기 표시셀과 상기 백라이트를 일체로 유지하는 가요성 프레임 및,개구부를 갖추고서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표면부와, 이 표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설치된 측벽부를 갖추고, 상기 표시셀의 표면의 주변 테두리 및 측면을 덮는 고정용 베젤을 구비하고,이 베젤로 덮인 표시셀을 상기 표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틀체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상기 베젤의 상기 측면부의 내, 적어도 일측면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를 갖추고,상기 프레임이 상기 베젤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틀체에 대한 고정용 암나사부를 포함하면서 상기 암나사부 근방의 상기 프레임을 박판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이다.
청구항 제9항의 발명은, 평면형상이면서 표면에 표시부분을 갖춘 표시셀과,상기 표시셀의 이면에 배치된 백라이트,상기 표시셀과 상기 백라이트를 일체로 유지하는 가요성 프레임 및,개구부를 갖추고서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표면부와, 이 표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설치된 측벽부를 갖추고, 상기 표시셀의 표면의 주변 테두리 및 측면을 덮는 고정용 베젤을 구비하고,이 베젤로 덮인 표시셀을 상기 표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틀체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상기 베젤의 상기 측면부의 내, 적어도 일측면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를 갖추고,상기 프레임의 상기 베젤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틀체에 대한 고정용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버링 쇠장식이 가요성을 갖추고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이다.
제1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기초로 설명한다.
또한,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종래예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표시셀등의 평면형상의 표시셀(11)과 백라이트는 프레임에 수납되고, 이 프레임은 금속제의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베젤(22)에 수납되어 있다. 이 베젤(22)은 프레임에 끼워 맞추어져 양 부품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양 부품은 나사로 고정하여도 된다.
베젤(2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횡단면이 거의 L형인 표면부(23) 및 측면부(24)를 갖추고, 이들 표면부(23) 및 측면부(24)에 의해 표시셀(11)의 표면의 주변 테두리 및 측면을 덮으며, 도 3에 도시된 틀체(25) 자체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이 베젤(22)의 측면부(24)에는 암나사부(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체(25)의 측벽부(25a)를 관통하는 숫나사(27)가 삽입된다.
또한, 표시셀(11)의 배면에는 백라이트(17)가 설치되어 있고, 플라스틱등의 프레임(18)에 일체로 취부되어 있다.
또한 암나사부(26)는 틀체(25)의 내측면 방향에 대해 변형가능하게 되도록, 도 1c, 도 2,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나사부(26) 근처의 측면부(24)에 슬리트(28)를 설치하여 이 부분을 변형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 1a에 도시된 베젤(22)의 좌측변은 기준변(22a)이고, 이 기준변(22a)의 위치는 변하지 않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변(22a)에는 슬리트(28)가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조립의 경우에는 베젤(22)이 취부된 표시셀(11)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면으로 되는 표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틀체(25)내에 수용된다. 그후, 틀체(25)의 측벽부(25a)를 관통하는 숫나사(27)를 베젤(22)의 측면부(24)에 설치한 암나사부(26)에 나사맞춤시켜 일체적으로 세게 조여 고정한다.
이 때, 칫수 공차등에 의해 베젤(22)의 측면부(24)와 틀체(25)의 내측면 사이에 극간이 발생하고 있으면, 베젤(22)의 측면부(24)는 숫나사(27)에 의한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해 틀체(25)의 측벽부(25a)측으로 붙여진다.
따라서, 베젤(22)의 측면부(24)에 일체로 설치된 암나사부(26) 근처에 슬리트(28)를 설치하고, 이 슬리트(28)의 부분을 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측면부(24)의 이 슬리트(28)의 부분만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되어 틀체(25)의 측벽부(25a)로 붙여진다.
즉, 표면부(23)를 포함하는 다른 부분은 원래의 형상 그대로 유지되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의 1변을 크게 만곡시키는 것은 없게 된다. 따라서, 베젤의 표시창의 변형에 의해 틀체의 표시창과 표시셀(11)의 표시부와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게 되는 것과 같은 결함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2실시예
제2실시예를 도 5를 기초로 설명한다.
암나사부(26)가 일체로 형성된 베젤(22)의 측면부(24)를 혀조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혀조각 형상의 부분을 플렉시블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암나사부(26)의 부분만이 변형되는 것 뿐으로, 표면부(23)를 포함하는 다른 부분은 원래의 형상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틀체(25)의 표시창과 표시셀(11)의 표시부와의 위치가일치하지 않는 것과 같은 결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제1,제2실시예에 있어서, 암나사부(26) 부분이 변형될 때, 경우에 따라서는 베젤(22)의 표면부(23)의 내변부에 아래로 향하는 힘이 발생하는 것도 있지만, 이와 같은 경우에는 베젤(22)의 거의 L형인 표면부(23)와 측면부(24)와의 각도를 90°보다 근소하게 크게 설정하여 두면, 아래로 향하는 힘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표시셀(11)의 표면부에 큰 부담이 가해지는 것이 없어, 평면표시장치로서의 사용상태에서 발생되는 진동이나 비틀림등에 대해서도 탭 절단등이 발생하는 것은 없게 된다.
제3실시예
제3실시예를 도 6 내지 도 13을 기초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셀(11)과 백라이트(17)를 일체로 구성하는 프레임(18)이 프레임 측면부(32)를 갖추고 있다.
표시셀(11)에는 금속제의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베젤(22)이 취부되어 있다. 이 베젤(22)은 횡단면이 거의 L형인 표면부(23) 및 측면부(24)를 갖추고, 이들 표면부(23) 및 측면부(24)에 의해 표시셀(11)의 표면 주변 테두리 및 측면을 덮고 있다.
단, 암나사부(26)는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베젤(22)의 측면부(24)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별체로 구성되어 있다.
즉, 베젤(22)의 암나사부(26)가 위치하는 측면부(24)에는 잘려 나간 형상의 개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암나사부(26)를 갖춘 버링 쇠장식(31)이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22)의 측면부(24)의 내측에 있어서 플라스틱등의 프레임 측면부(32)의 가요성을 갖추도록 박판형상으로 구성된 부분에 일체적으로 유지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33은 취부부품으로, 이 취부부품(33)은 도시되지 않은 틀체의 측벽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조립시에는 베젤(22)이 취부된 표시셀(11)이 도시되지 않은 틀체내에 표시면인 표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수용된다. 그 후, 틀체의 측벽에 설치된 취부부품(33)을 관통하여 숫나사(27)를 베젤(22)의 측면부(24)에 설치된 개구(30)를 거쳐 버링 쇠장식(31)의 암나사부(26)에 나사 맞춤 하여 일체적으로 세게 조여 고정한다.
이 때, 칫수 공차등에 의해 베젤(22)의 측면부(24)와 틀체의 측벽측에 설치된 취부부품(33) 사이에 도 8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극간이 발생하고 있으면, 암나사부(26)를 갖춘 버링 쇠장식(31)이 숫나사(27)에 의한 세게 조이는 힘에 의해 틀체의 측벽에 설치된 취부부품(33)측으로 붙여진다. 또한, 베젤(22)의 측면부(24)에는 개구(30)를 설치하고, 별체의 암나사부(26)를 갖춘 버링 쇠장식(31)을 프레임 측면부(32)에 의해 가요성을 갖추도록 유지하여, 이 부분을 변형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11 내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링 쇠장식(31)을 유지한 프레임 측면부(32)의 가요성을 갖춘 갖춘 부분만이 붙여지는 힘에 의해 변형되고, 측면부(24)에 형성된 개구(30)를 통해 틀체의 측벽에 설치된 취부부품(33)에 붙여진다. 즉, 베젤(22)의 표면부(23)를 포함하는 다른 부분은 원래의 형상 그대로 유지되고,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젤의 1변이 크게 만곡되는 것과 같은 것이 없어, 베젤의 표시창의 변형에 의해 틀체의 표시창과 표시셀(11)의 표시부와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것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는 것은 없게 된다.
제4실시예
제4실시예에 대해 도 14를 기초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베젤(22)의 측면부(24)에 암나사부(26)를 설치하고, 그 상하부분에 슬리트(28,28)를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슬리트(28,28) 사이의 부분을 플렉시블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틀체(25)의 측벽부(25a)에 붙여진다. 즉, 표면부(23)를 포함하는 다른 부분은 원래의 형상 그대로 유지되어, 베젤(22)의 1변이 크게 만곡되는 것은 없게 된다. 따라서, 베젤의 표시창의 변형에 의해 틀체의 표시창과 표시셀(11)의 표시부와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는 것과 같은 결함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제5실시예
제5실시예에 대해 도 15를 기초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베젤(22)의 측면부(24)에 암나사부(26)를 설치하고, 그 좌우부분에 슬리트(28,28)를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도 슬리트(28,28) 사이의 부분을 플렉시블하게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이 틀체(25)의 측벽부(25a)에 붙여진다. 즉, 표면부(23)를 포함하는 다른 부분은 원래의 형상 그대로 유지되어, 베젤(22)의 1변이 크게 만곡되는 것은 없게 된다. 따라서, 베젤의 표시창의 변형에 의해 틀체의 표시창과 표시셀(11)의 표시부와의 위치가 일치되지 않는 것과 같은 결함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셀에 대폭적인 변형이 발생하는 것이 없어, 변형에 따른 다양한 결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평면형상이면서 표면에 표시부분을 갖춘 표시셀과,
    개구부를 갖추고서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표면부와, 이 표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설치된 측면부를 갖추고, 상기 표시셀의 표면의 주변 테두리 및 측면을 덮는 고정용의 베젤을 구비하고,
    이 베젤로 덮인 표시셀을 상기 표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틀체에 수납가능하게 구성되는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상기 측면부의 내, 적어도 일측면부에는 틀체에 대한 고정용의 암나사부가 설치되면서 상기 암나사부 근방에는 슬리트가 설치되고, 이에 의해 상기 암나사부 근방의 상기 일측면부를 변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면부에 대향하는 다른 측면부가 틀체에 대해 기준변을 이루고 고정용 암나사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트가 상기 일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트가 상기 일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상하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트가 상기 일측면부에 있어서 상기 암나사부의 좌우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표면부와 측면부가 이루는 각도가 90°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7. 평면형상이면서 표면에 표시부분을 갖춘 표시셀과,
    상기 표시셀의 이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상기 표시셀과 상기 백라이트를 일체로 유지하는 가요성 프레임 및,
    개구부를 갖추고서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표면부와, 이 표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설치된 측벽부를 갖추고, 상기 표시셀의 표면의 주변 테두리 및 측면을 덮는 고정용 베젤을 구비하고,
    이 베젤로 덮인 표시셀을 상기 표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틀체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상기 측면부의 내, 적어도 일측면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를 갖추고,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베젤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틀체에 대한 고정용 암나사부를 포함하면서 상기 암나사부 근방의 상기 프레임을 박판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변형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8. 삭제
  9. 평면형상이면서 표면에 표시부분을 갖춘 표시셀과,
    상기 표시셀의 이면에 배치된 백라이트,
    상기 표시셀과 상기 백라이트를 일체로 유지하는 가요성 프레임 및,
    개구부를 갖추고서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표면부와, 이 표면부의 각 변으로부터 설치된 측벽부를 갖추고, 상기 표시셀의 표면의 주변 테두리 및 측면을 덮는 고정용 베젤을 구비하고,
    이 베젤로 덮인 표시셀을 상기 표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틀체에 수용 가능하게 구성되는 평면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젤의 상기 측면부의 내, 적어도 일측면부가 상기 프레임의 일부를 노출하는 개구를 갖추고,
    상기 프레임의 상기 베젤의 상기 개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틀체에 대한 고정용 암나사부를 포함하는 버링 쇠장식이 가요성을 갖추고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면표시장치.
KR1020000035661A 1999-06-29 2000-06-27 평면표시장치 KR1003622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184344 1999-06-29
JP18434499A JP4377479B2 (ja) 1999-06-29 1999-06-29 平面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7541A KR20010007541A (ko) 2001-01-26
KR100362217B1 true KR100362217B1 (ko) 2002-11-23

Family

ID=16151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5661A KR100362217B1 (ko) 1999-06-29 2000-06-27 평면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24391B1 (ko)
JP (1) JP4377479B2 (ko)
KR (1) KR100362217B1 (ko)
TW (1) TW55419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7532B2 (ja) * 2000-07-05 2006-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モジュールおよびこの液晶モジュールを搭載した液晶モニター
JP3822037B2 (ja) * 2000-08-04 2006-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液晶表示装置
TWI224293B (en) * 2001-05-09 2004-11-21 Sanyo Electric Co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JP3871932B2 (ja) * 2001-12-28 2007-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バックライト装置
JP4225748B2 (ja) * 2002-07-31 2009-02-18 富士通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0474358C (zh) * 2003-06-13 2009-04-01 东芝松下显示技术有限公司 平面显示装置
JP4779314B2 (ja) * 2004-06-24 2011-09-28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20070103853A1 (en) * 2005-11-09 2007-05-10 Hung-Chen Kao Structure for assembling flat display
TWI326780B (en) * 2006-05-26 2010-07-01 Au Optronics Corp Housing structur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JP5382486B2 (ja) * 2007-05-02 2014-01-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8081267B2 (en) * 2010-03-08 2011-12-20 Peerless Industries, Inc. Display enclosure
US8102483B2 (en) 2010-03-08 2012-01-24 Peerless Industries, Inc. Display enclosure
KR101325913B1 (ko) * 2010-04-27 2013-11-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JP5624934B2 (ja) * 2011-05-10 2014-11-1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USD669075S1 (en) 2011-10-27 2012-10-16 Ciil Technologies, Llc Display enclosure for use with audio/visual devices or the like
US9078345B2 (en) 2012-01-20 2015-07-07 Ciil Technologies, Llc Enclosed television with improved cable cover sealing mechanism
US8714665B2 (en) 2012-01-20 2014-05-06 Ciil Technologies Llc Enclosed television with improved enclosure sealing arrangement
KR20140026808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용 바텀 샤시
CN103105683B (zh) * 2012-12-26 2015-07-08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显示装置
US9851493B2 (en) * 2013-03-19 2017-12-26 Sakai Display Products Corporation Backlight device and display apparatus
JP6236843B2 (ja) 2013-04-12 2017-11-29 船井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61531B1 (ko) * 2013-09-12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고정 부재
CN103901646B (zh) * 2014-04-24 2016-05-1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的安装结构
JP6399926B2 (ja) 2014-12-25 2018-10-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373003B1 (ko) * 2015-10-28 2022-03-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20190293987A1 (en) * 2016-12-12 2019-09-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JP6937070B2 (ja) * 2017-10-04 2021-09-22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パネル部材の固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6993B2 (ja) 1997-04-08 2002-07-02 エルジー フィリップス エルシーディー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液晶表示装置を備える携帯用コンピュータ
KR100256971B1 (ko) 1997-05-24 2000-05-15 구본준 노트북 퍼스날컴퓨터의 액정표시모듈 고정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54194B (en) 2003-09-21
JP2001013887A (ja) 2001-01-19
US6424391B1 (en) 2002-07-23
KR20010007541A (ko) 2001-01-26
JP4377479B2 (ja)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2217B1 (ko) 평면표시장치
US702711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nut member fixed on housing
US20060060732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unting flat panel displays
KR100890474B1 (ko) 평면 유닛 구조체
US20100213323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ounting flat panel displays
EP1491940B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639316B2 (en) Bezel, and liquid crystal module having a bezel
JP2001013889A (ja) 平面表示装置
US20020021382A1 (en) Liquid crystal display unit
JP2009258440A (ja) 薄型表示装置
JP2006010967A (ja) 液晶表示装置
US20050174506A1 (en) Position-variable locking structure for liquid crystal panel
US10983379B2 (en) Display device
JPH0567072U (ja) コネクタ基板の固定構造
JP2003157021A (ja) 液晶モジュールの固定構造及び固定方法
JPH08129165A (ja) 液晶表示装置
KR100541201B1 (ko) 액정표시모듈을 사용한 정보처리장치 및 액정표시모듈 실장방법
JP6976457B2 (ja) 表示装置
US20030174260A1 (en) Visual display device with display cell
JPH1195681A (ja) 平面表示装置
CN114609828A (zh) 一种膜片固定结构、背光模组及液晶显示装置
JP2000318487A (ja) 車両用表示装置の取付構造
JP200217502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2333844A (ja) 表示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JPH06344830A (ja) 建付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