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1657B1 - 아이디이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아이디이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1657B1
KR100361657B1 KR1019990054252A KR19990054252A KR100361657B1 KR 100361657 B1 KR100361657 B1 KR 100361657B1 KR 1019990054252 A KR1019990054252 A KR 1019990054252A KR 19990054252 A KR19990054252 A KR 19990054252A KR 100361657 B1 KR100361657 B1 KR 10036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means
ide
controller circuit
virtual
add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4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3752A (ko
Inventor
김정수
김용구
양성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54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1657B1/ko
Publication of KR20010053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3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1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6Reducing size or complexity of storag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G06F13/4004Coupling between buses
    • G06F13/4027Coupling between buses using bus brid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55Vertical data movement, i.e. input-output transfer; data movement between one or more hosts and one or more storage devices
    • G06F3/0661Format or protocol conversion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6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adopting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0671In-line storage system
    • G06F3/0683Plurality of storage devices
    • G06F3/0689Disk arrays, e.g. RAID, JBOD

Abstract

본 발명은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하드 디스크는 일측이 상기 컨트롤러 회로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수개의 저장수단들과 연결되는 IDE 브릿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드 디스크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와 다수개의 저장수단을 IDE 브릿지에 의해 연결하는 제1 과정과, 시스템이 부팅되면, 상기 IDE 브릿지를 통해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에 연결된 다수개의 저장수단들 각각으로 하드웨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IDE 브릿지가 다수개의 저장수단들로부터 전송된 해당 하드웨어 정보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한 후, 그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 회로로 전송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시스템에서 발생된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가상 목적지 주소를 해독하여 그 가상 목적지 주소에 해당되는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를 추출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추출된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 영역으로 명령어를 전달하는 제5 과정과, 별도의 데이터 전송 루프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 회로와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 영역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제6 과정으로 구성되어, 하드 디스크 용량의 확장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아이디이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Hard disk device of IDE typ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트롤러 회로를 내장하는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측이 상기 컨트롤러 회로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수개의 저장수단들과 연결되는 IDE 브릿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에 다수개의 저장수단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IDE(Integrated Device Electronics)란 하드 디스크(HDD: HardDisk Device)와 하드 디스크를 운영하는 컨트롤러 카드를 구분하는 일반장치와는 달리, 하드 디스크(HDD)와 컨트롤러 회로를 모두 내장하고 있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통신 규약을 말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하드 디스크와 컨트롤러 회로를 모두 내장하는 하드 디스크(HDD)를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라 하며, 오늘날 IBM-PC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도로서, 상기와 같이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HDD)에 포함되는 컨트롤러 카드를 IDE 제어기라 하는데,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는 하나의 IDE 제어기(100)에 4개의 하드 디스크(101~104)가 연결되었다.
즉, 종래에는 IDE 제어기(100)와 HDD들(101~104)을 IDE 케이블에 의해 직접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상기 IDE 제어기(100)는 복수개의 포트(A,B)를 가지며, 각 포트(A,B)에는 IDE 케이블에 의해 마스터/슬레이브로 이중화된 2개의 하드 디스크(HDD)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따라서, 종래의 경우, 한 포트에 2개씩 최대 4개의 하드 디스크(HDD)만을 연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으로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를 구성할 경우, 상기 포트에 하드 디스크가 아닌 다른 장치, 즉, CD-Rom과 같은 장치를 장착할 경우 장착 가능한 하드 디스크의 수는 그 수 만큼 줄어들게 되며, 하드 디스크(HDD)를 4개 이상 장착할 수 없으므로, 하드 디스크(HDD) 용량의 확장성에 제약을 받는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컨트롤러 회로를 내장하는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컨트롤러 회로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수개의 저장수단들과 연결되는 IDE 브릿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에 다수개의 저장수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는 일측이 상기 컨트롤러 회로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수개의 저장수단들과 연결되는 IDE 브릿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IDE 브릿지는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하드웨어 정보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 회로와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브릿지는 상기 컨트롤러 회로로부터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명령어를 받아 그 명령어의 목적지 주소를 해독하여 그 가상 목적지 주소에 해당되는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주소 영역으로 명령어를 전달하는 명령어 처리 루프와, 상기 컨트롤러 회로와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 간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루프와, 시스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명령어 처리 루프 또는 데이터 전송 루프를 선택 구동하는 라우팅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IDE 타입 하드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와 다수개의 저장수단을 IDE 브릿지에 의해 연결하는 제1 과정과, 시스템이 부팅되면, 상기 IDE 브릿지를 통해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에 연결된 다수개의 저장수단들 각각으로 하드웨어 정보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IDE 브릿지가 다수개의 저장수단들로부터 전송된 해당 하드웨어 정보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한 후, 그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 회로로 전송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시스템에서 발생된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가상 목적지 주소를 해독하여 그 가상 목적지 주소에 해당되는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를 추출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추출된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 영역으로 명령어를 전달하는 제5 과정과, 별도의 데이터 전송 루프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 회로와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 영역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제6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실시예에 따른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E 브릿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논리적 주소에 대한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명령어의 데이터 포맷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IDE 제어기 210 : IDE 브릿지
201~207 : HDD 211 : IDE 명령어 제어부
212 : 디코더 213 : 제1 버퍼
214 : 제3 버퍼 215 : 제2 버퍼
216 : 인버터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대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E 브릿지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논리적 주소에 대한 테이블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명령어의 데이터 포맷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는 두 개의 포트(A,B)를 갖는 IDE 제어기(200)의 각 포트에 마스터와 슬레이브로 이중화된 2개의 장치(210, 205~207)가 연결되는 형태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지만, 그 중 하나의 장치(210)는 하드 디스크(HDD)가 아닌 IDE 브릿지(210)로 구성되어, 그 IDE 브릿지(210)에 의해 다수개의 HDD(201~204)를 연결한다는 점이 종래의 경우와 다르다.
즉, 상기 IDE 브릿지(210)는 상기 IDE 제어기(200)의 한 포트(A)에 다수개의 하드 디스크(HDD)를 연결하여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측이 상기 IDE 제어기(200)의 한 포트에 연결되고, 타측이 4개의 하드 디스크(HDD0~HDD3)(201~204)에 연결된다.
이 때, 상기 IDE 브릿지(210)는 상기 4개의 하드 디스크(HDD)로부터 각각의 하드웨어 정보들을 받아 그 정보를 취합한 후, 그 정보에 의해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하며, 그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에 의해 상기 IDE 제어기(200)에서는 4개의 하드 디스크(HDD)들을 하나의 장치로 인식하게 된다.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는 4개의 하드 디스크(HDD)들 각각의 물리적인 주소를 재배열한 논리적 주소와, 각 하드 디스크(HDD)들의 총 용량 정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IDE 브릿지(210)는 상기 IDE 제어기(200)와는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4개의저장수단들(HDD)(201~204)과는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 각각의 하드웨어 정보에 의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E 브릿지의 구성도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IDE 브릿지(210)는 상기 IDE 제어기(200)로부터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명령어를 받아 그 명령어의 목적지 주소를 해독하여 그 가상 목적지 주소에 해당되는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주소 영역으로 명령어를 전달하는 명령어 처리 루프(211, 212, 213, 215)와, 상기 IDE 제어기(200)와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201~204) 간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루프(214)와, 시스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명령어 처리 루프 또는 데이터 전송 루프를 선택 구동하는 라우팅 수단(216)을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 제어 신호는 직접 메모리 접근 요청 신호(DMARQ: Direct Memory Access Request)로서, DMA란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해 하드 디스크(HDD)의 데이터를 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주기억 장치로 전송하도록 하는 작업을 말하는 것으로서, 시스템 내부에서 DMA 요청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라우팅 수단(216)은 IDE 브릿지(210)의 작업 경로를 데이터 전송 루프(214)로 선택하여, 상기 다수개의HDD(201~204)의 내용이 직접 IDE 제어기(200)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명령어 처리 루프(211, 212, 213, 215)는 제1 버퍼(213)와, IDE 명령어 제어부(211)와, 디코더(212)와, 제2 버퍼(215)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버퍼(213)는 상기 IDE 제어기(200)와 상기 IDE 명령어 제어부(211)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한다. 또한, 상기 제2 버퍼(215)는 시스템 부팅시 상기 IDE 명령어 제어부(211)로 전송되는 상기 HDD들(201~204)의 하드웨어 정보를 임시 저장하며, 상기 IDE 명령어 제어부(211)를 통해 상기 HDD들(201~204)로 전송되는 명령어를 임시 저장한다.
상기 IDE 명령어 제어부(211)는 시스템 부팅시 상기 HDD(201~204)들의 하드웨어 정보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한 후, 그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IDE 제어기(200)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IDE 제어기(200)를 통해 명령어가 전송될 경우 그 명령어에 포함된 가상 목적지 주소를 해독하여 그 가상 목적지 주소에 해당되는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를 추출한다.
상기 디코더(212)는 상기 IDE 명령어 제어부(211)에서 해독한 가상 목적지 주소의 상위 n비트 정보에 의해 다수개의 저장수단 중 하나의 저장수단을 식별하고 그 저장수단으로 선택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상기 데이터 전송 루프는 제3 버퍼(214)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3 버퍼(214)는 일측이 상기 IDE 제어기(200)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수개의 HDD(201~204)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 회로와 다수개의 저장수단간 전송되는 데이터들을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라우팅 수단은 인버터(216)로 구성되는데, 상기 DMA 요청 신호의 상태가 로우('L')이면 상기 제1 버퍼(213)를 구동시켜 명령어 처리 루프를 동작시키고, 상기 시스템 제어신호의 상태가 하이('H')이면 상기 제3 버퍼(214)를 구동시켜 데이터 전송 루프를 동작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논리적 주소에 대한 테이블로서, 도 3의 각 HDD들(201~204) 식별자와, 그 HDD 내부의 물리적인 주소(physical address)에 의해 생성된 가상적인 논리 주소(logical address)를 나타내었는데, 도 4를 참조하면, IDE 제어기의 한 포트에 4개의 HDD가 연결되고, 상기 HDD 각각의 물리적인 주소(physical address)들을 재배열하여 구성한 논리 주소(logical address)가 총 8비트로 구성된다고 할 때, 그 논리 주소의 상위 2비트는 4개의 HDD 중 하나의 HDD를 선택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되고, 나머지 6비트는 4개의 HDD 각각의 내부 주소(address)를 나타낸다.
따라서, 도 4의 테이블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첫번째 하드 디스크의 '000001'는 논리 주소(logical address) '00000001'를 나타내고, 세번째 하드 디스크의 '000010'는 논리 주소(logical address) '11000010'를 나타낸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 명령어의 데이터 포맷 구성도로서, 도 5의 'A'는 명령어의 주소 영역을 나타내고, 'B'는 실제 명령어가 저장되는 영역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명령어를 전달받은 상기 IDE 제어기(200)는 해독작업에 의해 상기 'A'영역에 기재된 논리주소(logicaladdres)에 해당되는 실제적인 주소(physical address)를 추출하는데, 상기 'A'영역에 기재된 논리주소(logical address)가 '01000001'이므로, 그 상위 2비트의 '01'값에 의해 HDD의 위치는 2번째이고, 그 내부의 주소는 '000001'임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상기 IDE 제어기(200)는 상위 2비트의 값('01')을 디코더(212)로 전송하고, 상기 디코더(212)는 그 값을 받아 2번째 HDD(HDD1)(202)로 선택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상기 'B'영역에 기재된 '11101000(E8h)'은 내부 규약에 의해 쓰기(write) 명령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의 제2 버퍼(215)를 거쳐 2번째 HDD(HDD1) (202)의 해당 주소('000001')로 전달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 6에 나타내었는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순서도로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6에 나타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IDE 제어기의 한 포트와 다수개의 저장 수단을 IDE 브릿지에 의해 연결하는 선행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선행 작업을 수행한 후, IDE 제어기로부터 명령어가 입력(s601)되면, 상기 IDE 브릿지는 그 명령어를 식별(s602)하여, 명령어의 종류(s603)에 해당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이때, IDE 브릿지에 의해 수행되는 작업은 '부팅(Booting)', '읽기(Reading)', '쓰기(Writing)'의 3종류가 있다.
이러한, 3종류의 작업을 시스템 부팅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먼저, 시스템 부팅시 시스템의 요청에 의해 상기 IDE 제어기가 상기 IDE 브릿지에 연결된 다수개의 HDD 각각의 하드웨어 정보를 요청할 경우, 상기 IDE 브릿지는 각 HDD들로 각각의 하드웨어 정보 요청 신호를 전달(s604)한다.
상기 요청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각 HDD들이 자신의 하드웨어 정보 즉, HDD 각각의 용량 정보와, 물리적인 주소(physical address)를 상기 IDE 브릿지로 전송하면, 상기 IDE 브릿지는 그 정보들을 취합(s605)하여,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s606)한 후, 그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상기 IDE 제어기로 전송(s607)한다.
이 때, 생성되는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는 상기 다수개의 HDD들로부터 전송된 각 저장수단들의 물리적인 주소(physical address)를 논리적인 주소(logical address)로 재배열하고, 각 HDD의 용량을 합한 값으로서, 상기와 같은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에 의해 IDE 제어기를 비롯한 전체 시스템에서는 상기 IDE 제어기의 해당 포트에 상기 각 HDD의 용량을 합한 용량을 갖는 하나의 HDD가 연결된 것으로 인식한다.
상기와 같은 작업에 의해 시스템 초기화 작업이 마무리되면, 상기 IDE 브릿지는 IDE 제어기로부터 읽기 또는 쓰기 명령을 수신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IDE 제어기에서 발생된 명령어들은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것으로서, 명령어의 목적지 주소는 물리적인 주소(physical address)가 재배열된 논리적 주소(logical address)이다.
따라서, 상기 IDE 제어기로부터 읽기(Reading) 또는 쓰기(Writing)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IDE 브릿지는 그 명령어에 포함된 가상 목적지 주소를 해독(s608, s612)하여 그 가상 목적지 주소에 해당되는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를 추출(s609, s613)하고, 상기 추출된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에 의해 명령어가 전송되어야할 위치를 파악한다. 한편,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별도로 구성된 데이터 전송 루프를 구동(s610, s611)시킨다.
그리고, 상기 명령어 식별 과정(s602)에서 식별된 명령어의 종류가 읽기(Reading)이면 상기 구동된 전송 루프를 통해 명령어의 목적지에 해당되는 위치의 데이터를 상기 IDE 제어기로 전송(s611)하고, 상기 명령어의 종류가 쓰기(Writing)이면 상기 구동된 전송 루프를 통해 IDE 제어기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명령어의 목적지에 해당되는 위치에 저장(s615)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IDE 타입 하드 디스크 장치는 IDE 제어기의 포트에 연결되어 다수개의 HDD를 하나의 장치처럼 인식하도록 하는 IDE 브릿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하나의 IDE 제어기에 연결되는 HDD의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컨트롤러 회로를 내장하는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컨트롤러 회로에 연결되고, 타측이 다수개의 저장수단들과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에 다수개의 저장수단이 연결되도록 제어하는 IDE 브릿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IDE 브릿지는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하드웨어 정보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한 후,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에 의해 상기 컨트롤러 회로와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 사이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하며,
    상기 IDE 브릿지는
    상기 컨트롤러 회로로부터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생성된 명령어를 받아 그 명령어의 목적지 주소를 해독하여 그 가상 목적지 주소에 해당되는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를 추출한 후, 상기 추출된 주소 영역으로 명령어를 전달하는 명령어 처리 루프와,
    상기 컨트롤러 회로와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 간 데이터 전송 경로를 제공하는 데이터 전송 루프와,
    시스템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명령어 처리 루프 또는 데이터 전송 루프를 선택 구동하는 라우팅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E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2. 컨트롤러 회로를 내장하는 IDE 타입 하드 디스크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와 다수개의 저장수단을 IDE 브릿지에 의해 연결하는 제1 과정과,
    시스템이 부팅되면, 상기 IDE 브릿지를 통해 컨트롤러 회로의 한 포트에 연결된 다수개의 저장수단들 각각의 하드웨어 정보를 요청하는 제2 과정과,
    상기 IDE 브릿지가 다수개의 저장수단들로부터 전송된 해당 하드웨어 정보들을 취합하여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한 후, 그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상기 컨트롤러 회로로 전송하는 제3 과정과,
    상기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참조하여 시스템에서 발생된 명령어를 수신하면, 상기 명령어에 포함된 가상 목적지 주소를 해독하여 그 가상 목적지 주소에 해당되는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를 추출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추출된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 영역으로 명령어를 전달하는 제5 과정과,
    별도의 데이터 전송 루프를 통해 상기 컨트롤러 회로와 실제 저장수단의 주소 영역간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제6 과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E 타입 하드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다수개의 저장수단들로부터 전송된 각 저장수단들의 물리적인 주소를 논리적인 주소로 재배열하고, 각 저장수단들의 총 용량을 계산하여 하나의 가상적인 저장수단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DE 타입 하드 디스크 장치의 제어 방법.
  4. 삭제
KR1019990054252A 1999-12-01 1999-12-01 아이디이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36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252A KR100361657B1 (ko) 1999-12-01 1999-12-01 아이디이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252A KR100361657B1 (ko) 1999-12-01 1999-12-01 아이디이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752A KR20010053752A (ko) 2001-07-02
KR100361657B1 true KR100361657B1 (ko) 2002-11-21

Family

ID=1962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252A KR100361657B1 (ko) 1999-12-01 1999-12-01 아이디이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1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723B1 (ko) * 2005-12-30 2007-11-26 (주)에이직뱅크 아이디이 컨트롤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621U (ko) * 1993-12-09 1995-07-26 컴퓨터 하드 디스크 제어 장치
KR960024474U (ko) * 1994-12-31 1996-07-22 Ide방식의 하드디스크 선택 제어회로
KR0135895B1 (ko) * 1995-03-28 1998-06-15 김광호 다수개의 아이 디 이 포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KR0135848B1 (ko) * 1993-11-20 1998-06-15 김광호 컴팩트 디스크-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회로
KR19980073519A (ko) * 1997-03-15 1998-11-05 김광호 Ide포트 선택전환기능을 갖는 컴퓨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5848B1 (ko) * 1993-11-20 1998-06-15 김광호 컴팩트 디스크-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회로
KR950020621U (ko) * 1993-12-09 1995-07-26 컴퓨터 하드 디스크 제어 장치
KR960024474U (ko) * 1994-12-31 1996-07-22 Ide방식의 하드디스크 선택 제어회로
KR0135895B1 (ko) * 1995-03-28 1998-06-15 김광호 다수개의 아이 디 이 포트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장치
KR19980073519A (ko) * 1997-03-15 1998-11-05 김광호 Ide포트 선택전환기능을 갖는 컴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3752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9621B2 (en) Transparent PCI-based multi-host switch
US20020095562A1 (en) Arithmetic unit comprising a memory shared by a plurality of processors
US10592455B1 (en) Computer interconnect isolation
US75332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n encryption/decryption engine using descriptors
JP2007102387A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暗号化パス切替え方法,暗号化パス切替え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20230018225A1 (en) Apparatus and mechanism to bypass pcie address translation by using alternative routing
KR20210033996A (ko) 전용 저 레이턴시 링크를 사용한 다수의 하드웨어 가속기에 대한 통합된 어드레스 공간
US7472158B2 (en) Initiator connection tag for simple table lookup
KR100450680B1 (ko) 버스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한 메모리 컨트롤러, 이를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 컴퓨터 시스템
JP2011507065A (ja) 制御パス入出力仮想化方法
US7389376B2 (en) HDD controller and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EP1513071B1 (en) Memory bandwidth control device
CN101556562A (zh) 存储器控制装置和用于控制存储器控制装置的方法
KR100361657B1 (ko) 아이디이 타입의 하드 디스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34354A (ko) 이중 모드 버스 브리지를 구비하는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JP2006268215A (ja) ストレージシステム
JP2019164661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8106443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並列コンピュータ
JP3897028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共有データ処理方法、共有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KR20050004157A (ko) 다중 코히런시 단위들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유닛
EP0464637B1 (en) Expanded memory unit
JP4209108B2 (ja) 記憶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用いる記憶装置、ディスクアレイ装置、及びディスクコントローラ
KR1008007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처리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4330541A (ja) 共通データ転送システム
JP2005327223A (ja) シリアルバスとバススイッチを使用した逐次命令実行型の計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