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015B1 - 세정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015B1
KR100360015B1 KR1020007006830A KR20007006830A KR100360015B1 KR 100360015 B1 KR100360015 B1 KR 100360015B1 KR 1020007006830 A KR1020007006830 A KR 1020007006830A KR 20007006830 A KR20007006830 A KR 20007006830A KR 100360015 B1 KR100360015 B1 KR 10036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shing
cleaning
lid body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3363A (ko
Inventor
우치노마사히데
Original Assignee
저팬휠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팬휠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저팬휠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33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3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GCLEANING OR DE-GREASING OF METALLIC MATERIAL BY CHEMICAL METHODS OTHER THAN ELECTROLYSIS
    • C23G5/00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 C23G5/02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by other methods; Apparatus for cleaning or de-greasing metallic material with organic solvents using organic solvents
    • C23G5/04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30/00Other cleaning aspects applicable to all B08B range
    • B08B2230/01Cleaning with steam

Abstract

피세정물의 세정장치에 있어서, 하나의 세정조에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설치하여 증기세정처리와 건조처리를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와의 연통 및 폐지를, 이것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밀폐뚜껑체의, 상하방향으로 작은 이동만으로 행한다. 그리고, 조밀하고 경제적인 세정장치를 얻는다. 그리고, 피세정물의 세정, 건조를 하는 증기세정부(3)를 윗쪽에 설치하여, 세정액(7)을 충전하여 이 세정액(7)을 증기화하는 증기발생부(4)를 아래쪽으로 설치하여 세정조 (1)를 형성한다. 이 증기세정부(3)와 증기발생부(4)를, 연통구(10)를 개재하여 연통가능하게 하여, 이 연통구(10)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밀폐뚜껑체(11)에 의해, 밀폐 또는 개구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세정장치{Cleaning device}
종래, 피세정물의 증기세정 및 건조 등의 처리를 하는 세정장치에는,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각각 별도의 조에 형성하고, 파이프 등을 개재하여 증기발생부의 세정증기를 증기세정부에 도입하여,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을 행하는 것이 있었다. 그리고, 증기세정이 종료하면, 증기발생부로부터의 세정증기의 도입을 차단하여, 피세정물의 건조처리를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별도의 조에 설치하면, 세정장치가 커져, 설치에는 넓은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장치를 고가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다른 종래예로서, 일본특개평6-15239호 공보 기재의 발명에서는, 세정조내부를 게이트밸브에 의해 상하로 이분할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피세정물의 세정 때는, 게이트밸브를 연 상태에서 세정조내에 충전한 세정액에 의해 피세정물을 침지세정한다. 이 침지세정 후, 세정액으로부터 피세정물을 끌어올려, 세정조내에서 증기세정을 하고 있다.
세정처리가 종료하면, 피세정물을 윗쪽으로 이동하여 세정조의 상부측에 배치한다. 그리고, 게이트밸브를 닫는 것에 의해, 피세정물을 배치한 세정조의 상부측을 밀폐한다. 그리고, 이 세정조의 상부측을 감압하는 것에 의해, 피세정물의 감압건조처리를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례예에서는, 게이트밸브를 열었을 때에, 이 게이트밸브가 세정조의 횡방향으로 크게 돌출하기 때문에, 넓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며, 공장 등에서 세정장치의 수납효율을 나쁘게 하고 있었다. 또한, 게이트밸브는, 슬라이드 시의 마찰에 의해, 밀봉부재가 마모하여, 세정조의 상부측의 기밀성이 저하하고, 감압건조를 효율적으로 행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기부품, 기계부품 및 그 밖의 부재에, 세정 및 건조처리를 시행하기 위한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처리를, 신속하고 또한 경제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증기세정을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2는 제 1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증기세정을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제 2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증기세정을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제 3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증기세정을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제 4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증기세정을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0은 제 5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방사부를 사용하여, 침지세정 또는 증기세정을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2는 제 6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방사부를 사용하여, 침지세정 또는 증기세정을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4는 제 7실시예에 있어서,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방사부를 사용하여, 침지세정 또는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6은 제 8실시예에 있어서, 증기세정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9실시예를 개시하는 것으로, 방사부를 사용하여, 침지세정 또는 건조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도 18은 제 9실시예에 있어서, 증기세정처리를 하고 있는 상태의 단면도, 및
도 19는 밀폐뚜껑체의 상면에 밀봉부재를 배치한 상태의 단면도.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세정조를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로 분할하고, 이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와의 사이의 연통구에, 밀폐뚜껑체를 설치하여, 이 밀폐뚜껑체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의 개구와 밀폐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그 결과, 하나의 세정조로 증기세정처리와 건조처리를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필요 없는 설치공간을 생략하여, 세정장치를 콤팩트하고 경제적으로 형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밀폐뚜껑체와 연통구와의 접속부에 배치하는 밀봉부재의 마모나 파손을 막아, 세정장치의 밀폐성이나 내구성을 지속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양호한 밀폐성에 의해, 세정액이나 에너지의 필요 없는 사용을 방지하여, 경제적인 건조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피세정물의 세정, 건조를 행하는 증기세정부를 윗쪽에 설치하고, 세정액을 충전하여 이 세정액을 증기화하는 증기발생부를 아래쪽으로 설치한 세정조에 있어서,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연통구를 개재하여 연통가능하게 하고, 이 연통구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밀폐뚜껑체에 의해, 밀폐 또는 개구가능하게 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연통구의 개구는, 연통구와 밀폐뚜껑체와의 사이에, 세정증기 또는 세정액만이 유통가능한 유통간극을 개재하여 행하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밀폐뚜껑체는,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분리하는 경계벽에 설치한 연통구 보다도 지름이 큰 판상부재로 형성하고, 이 판상부재를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경계벽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의 밀폐 또는 개구를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밀폐뚜껑체는,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분리하는 경계벽에 설치한 연통구보다 지름이 큰 판상부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판상부재의 일단을 경계벽에 지지하고, 이 지지부를 개재하여 밀폐뚜껑체를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의 밀폐 또는 개구를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연통구를 설치한 경계벽과 밀폐뚜껑체와의 접속부는, 상부측에 배치한 부재의 하면에, 밀봉부재를 배치해서 밀폐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증기발생부는, 방사(ejector)부에 접속하고, 이 방사부는, 세정액통에 펌프를 접속하여 세정액을 순환하는 순환로의 일부에 설치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증기세정부에서의 증기세정은, 감압증기세정 이어도 좋다.
또한, 증기세정부에서의 증기세정은, 대기압증기세정 이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우선,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증기세정부내에 피세정물을 배치한다. 그리고,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와의 사이의 연통구를 피복하는 밀폐뚜껑체를,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를 개구한다. 그렇게 하면, 증기발생부내의 세정증기가, 연통구를 개재하여 증기세정부내에 유동하고, 피세정물과 접촉하여 응축하는 것에 의해, 증기세정이 행하여진다. 이 밀폐뚜껑체는, 게이트밸브와 같은 큰 이동이 불필요하고, 상하로 이동하여, 밀폐뚜껑체와 연통구와의 사이에, 세정증기나 세정액만이 통과 가능한 약간의 유통간격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증기세정부내에 확실히 세정증기가 유동하여, 피세정물과 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피세정물과의 접촉에 의해 생긴 응축액이, 피세정물에 부착한 오물과 함께, 연통구방향으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응축액은, 이 연통구 및 유통간극을 개재하여, 증기발생부측에 흘러내리고, 피세정물과 증기세정부내는, 양호한 액절단이 행해진다.
또한, 이 증기세정은, 감압증기세정이어도, 대기압증기세정이어도 좋다.
그리고, 증기세정처리가 종료하면, 밀폐뚜껑체를 위방향 또는 하방으로 이동하여 연통구에 접속하여, 증기발생부로부터의 증기세정부에의 세정증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증기세정부내를 밀폐한다. 그리고, 증기세정부내에 찬바람, 온풍 등을 도입하거나, 증기세정부내를 감압하는 것에 의해, 피세정물의 건조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하나의 세정조에서,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처리와 건조처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장치를 콤팩트하고 염가로 형성할 수 있어,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밀폐뚜껑체를 상하로 간신히 이동하여,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와의 연통구의 개폐를 하는 것이므로, 밀폐뚜껑체의 이동공간을 고려하여 장치를 형성하거나, 넓은 설치장소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세정장치의 설치를 콤팩트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공간의 유효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밀폐뚜껑체는, 연통구보다도 지름이 크게 형성됨과 동시에, 종래 공지의 적절한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한다. 이 상하이동기구는, 예컨대, 밀폐뚜껑체에 실린더를 접속하고, 이 실린더를 상하이동해도 좋고, 볼나사방식, 전동식 피스톤, 체인블록 등의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도 2에 따라서 설명하면, (1)은 종형의 세정조로, 경계벽(2)을 개재하여 상부측을 증기세정부(3), 하부측을 증기발생부(4)로 하고 있다. 그리고, 증기세정부(3)에는, 피세정물(5)을 재치하기 위한 재치대(6)를 배치하고 있다. 이 재치대(6)는, 철망재나 파이프재 등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증기발생부(4)로 부터 도입되는 세정증기가, 재치대(6)를 통과하여, 피세정물(5)에 도달이 가능한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증기발생부(4)에는, 세정액(7)을 충전하고 있고, 전기히터, 가열오일을 유통한 가열파이프 등의 적절한 가열수단(8)에 의해, 이 세정액(7)의 증기화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증기발생부(4)에는, 서머스탯(32)을 설치하여, 가열수단(8)에 의한 세정액(7)의 가열을 제어하고 있다. 그리고, 경계벽(2)에는, 증기세정부(3)와 증기발생부(4)를 연통함과 동시에, 증기발생부(4)에서 발생하는 세정증기를 증기세정부(3)안에 도입하기 위한 연통구(10)를 개구하고 있다.
이 연통구(10)에는, 연통구(10)보다도 지름이 큰 판상부재로 형성한 밀폐뚜껑체(11)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증기세정부(3)와 증기발생부(4)와의 연통을 차단함과 동시에, 증기세정부(3)안의 밀폐도 가능하게 한다. 이 밀폐뚜껑체(11)는, 증기발생부(4)측에 배치하여, 도시하지 않은 적절한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경계벽(2)의 하면에 부착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밀폐뚜껑체(11)와 경계벽(2)과의 접속부에, 오-링, 팻킹(packing)등의 밀봉부재(12)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밀폐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이 밀봉부재(1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측에 위치하는 경계벽(2)의 하면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밀폐뚜껑체(11)의 상하이동기구는, 실린더, 볼나사방식, 전동식피스톤, 체인블록 등, 적절히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세정조(1)는, 피세정물(5)의 출입을 행하는 개구부에, 개폐뚜껑(30)을 탈착가능하게 접속하고 있다. 또한, 개폐뚜껑(30)과 세정조(1)와의 접속부에 있어서, 개폐뚜껑(30)의 하면에 밀봉부재(31)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밀폐성을 높임과 동시에, 접속부로의 응축액이나 오물의 부착을 방지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세정조(1)의 개구부를 개재하여 세정액(7)의 유통을 하는 것은 없고, 응축액이 부착할 가능성도 적기 때문에, 반드시 밀봉부재(31)를 개폐뚜껑(30)의 하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세정조(1)의 상면에 설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증기세정부(3)는, 제 1전자밸브(17)를 개재하여 진공펌프(14)에 연결하고, 증기세정부(3)내를 감압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제 1전자밸브(17)와 진공펌프(14)와의 사이에는, 응축기(15)를 개재하여, 증기세정부(3)의 감압시에, 증기세정부(3)안의 세정증기를 응축기(15)에 도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응축기(15)의 내부에는, 냉각수가 유통하는 냉각파이프(9)를 삽통하여, 응축기(15)에 도입된 세정증기를 응축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응축기(15)로 응축된 응축액은, 제 2전자밸브(35)를 개재하여 증기발생부(4)안에 이송되어, 재생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증기세정부(3)에는, 감압증기세정, 감압건조를 하는 경우에 대비하여, 압력조정밸브(미도시)등의 감압증기세정, 감압건조에 대응하는 적절한 밸브기구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세정조(1)에서 피세정물(5)의 증기세정 및 건조처리를 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대기압증기세정을 하기 위해서는, 증기세정부(3)안의 재치대(6)에, 피세정물(5)을 재치한다. 그리고, 경계벽(2)의 연통구(10)를 피복하는 밀폐뚜껑체(11)를, 증기발생부(4)측으로 하강하는 것에 의해, 세정증기가 유통하는 약간의 유통간극(27)을 개재하여 연통구(10)를 개구하여, 증기발생부(4)와 증기세정부(3)를 연통한다.
그렇게 하면, 적절한 가열수단(8)에 의해, 증기발생부(4)안에서 발생한 세정증기는, 도 1의 화살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뚜껑체(l1)와 경계벽(2)과의 좁은 유통간극(27)이라도, 확실히 통과한 후, 연통구(10)를 개재하여 증기세정부(3)안에 유입한다. 이와 같이, 연통구(10)의 개구에 밀폐뚜껑체(11)를 크게 이동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세정조(1)를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증기와 피세정물(5)이 접촉하여 응축하는 것에 의해, 대기압증기세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대기압증기세정과는 별개로 감압증기세정을 하기 위해서는, 증기발생부(4)와 증기세정부(3)와의 연통상태에서, 진공펌프(14)를 작동하여 감압한다. 그리고, 이 감압에 의해서 세정액(7)의 비점이 저하하여, 세정액(7)의 가열온도보다도 비점이 낮게 되면, 세정증기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세정증기가 증기세정부(3)측으로 유동하고, 피세정물(5)과 접촉하여 응축하는 것에 의해, 감압증기세정이 행하여진다. 이 감압증기세정은, 저온에서 증기세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액(7)의 열열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내열성이 낮은 피세정물(5)의 세정에 알맞은 것으로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세정처리로 응축된 응축액은, 피세정물(5)에서부터 씻어 내린 오물과 동시에, 연통구(10)를 개재하여 증기발생부(4)측으로 흘러내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 밀봉부재(12)는, 밀폐뚜껑체(11)와 경계벽(2)과의 접속부에 있어서, 경계벽(2)의 하면에 배치하고 있다. 만약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부재(12)를, 밀폐뚜껑체(11)의 윗면에 배치하면, 밀폐뚜껑체(11)의 상면과, 이 밀폐뚜껑체(11)의 상면에 돌출한 밀봉부재(12)의 내주면으로 구성되는 오목부(16)나, 밀봉부재(12)의 윗면에, 오물이나 세정액(7)이 체류하여 버린다. 이 상태에서, 밀폐뚜껑체(11)를 경계벽(2)에 접속하면, 이 접속부에 오물이 개재하게 되어, 밀봉부재(12)나 밀폐뚜껑체(11)를 파손하고, 밀폐성을 잃는 염려가 있다. 또, 다음 공정의 건조처리 시에, 오목부(16)에 체류한 세정액(7)도 건조하게 되어, 건조시간을 길게 하거나, 에너지효율을 나쁘게 할 가능성도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밀봉부재(12)를 경계벽(2)의 하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밀봉부재(12)에는, 밀폐뚜껑체(11)와의 접속면에, 오물 등의 이물질이 부착하는 일은 없다. 또한, 경계벽(2)과 밀봉부재(12)로 형성되는 오목부(1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측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오물이나 세정액(7)이 체류하는 일도 없다. 그 때문에, 피세정물(5)이나 증기세정부(3)의 내부에 부착한 응축액이, 증기발생부(4)측에 확실히 흘러내려, 증기세정부(3)안은 양호한 액절단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증기발생부(4)안에 흘러내린 응축액은, 증류재생사용이 가능해져, 쓸데없이 소비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세정액(7)의 경제적인 사용도 가능해진다.
그리고, 세정처리가 종료하면, 건조처리를 하지만, 그것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구(10)에 밀폐뚜껑체(11)를 접속하여 증기세정부(3)안으로의 세정증기의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증기세정부(3)안을 기밀적으로 밀폐한다. 이 밀폐뚜껑체(11)의 접속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계벽(2)에 배치한 밀봉부재(12)에는, 밀폐뚜껑체(11)와의 접속부에, 오물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접속에 의한 밀봉부재(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평성 제6-15239호의 종래 발명은, 게이트밸브의 상부측에서 건조를 하고, 게이트밸브의 하부측에서 세정을 하는 것이지만, 작업의 전환 때에, 게이트밸브를 접동하는 것에 의해, 게이트밸브의 밀봉부재가 마모하여, 건조 시의 밀폐성을 손상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밀폐뚜껑체(11)는, 상하이동에 의한 개폐이기 때문에, 마찰에 의한 밀봉부재(12)의 마모를 방지 할 수 있다. 따라서, 연통구(10)에 밀폐뚜껑체(11)를 양호하게 접속할 수 있고, 증기세정부(3)의 기밀성을 장기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이 증기세정부(3)에 접속하는 진공펌프(14)를 가동하여, 증기세정부(3)안을 급속히 감압한다. 이 급속감압에 의해, 피세정물(5)이나 증기세정부(3)안에 부착한 세정액(7)의 비점이 저하하여 급속한 건조가 가능해진다. 이 건조처리의 때도, 전술한 바와 같이, 피세정물(5)이나, 증기세정부(3)안의 여분의 세정액(7)의 액절단이 양호하게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에 사용하는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건조처리를 신속하고또한 경제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진공펌프(14)에 의해 증기세정부(3)안을 감압하면, 증기세정부(3)안에 잔류하고 있는 세정증기가, 제 1전자밸브(17)를 개재하여 응축기(15)에 이동하여, 응축액화한다. 그리고, 이 응축액을, 제 2전자밸브(35)를 개재하여 증기발생부(4)에 이송하는 것에 의해, 다시 세정증기화하여, 증류재생사용이 가능해져, 세정액(7)의 경제적인 재생사용이 가능해진다. 한편, 증기발생부(4)에는, 볼탭등의 액면제어기구(18)를 설치하고 있다. 이 액면제어기구(18)에 의해, 제 2전자밸브(35)의 개폐를 제어하여, 응축기(15)로 부터의 응축액의 이송을 조절하여, 증기발생부(4)안의 세정액(7)량을 적량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건조처리가 종료하면, 증기세정부(3)에 접속한 진공파괴밸브(26)를 개재하여, 증기세정부(3)안에 에어를 도입한다. 이 에어의 도입에 의해, 증기세정부(3)안이 상압상태로 돌아가기 때문에, 세정조(1)의 개폐뚜껑(30)을 떼어내고, 증기세정부(3)내의 피세정물(5)을 안전하게 집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증기세정부(3)안을 급속감압하는 것에 의해, 돌비건조처리를 하고 있지만, 그 외의 다른 실시예로서, 증기세정부(3)안에, 적절한 수단으로 찬바람이나 온풍을 도입하는 것에 의해, 건조처리를 하는 것이더라도 좋고, 다른 적절한 종래기술을 사용하여 건조처리를 하더라도 좋다. 어떠한 경우라도, 증기세정부(3)안의 액절단이 양호히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건조시간의 단축이나 에너지의 절약이 가능해져, 경제적인 건조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 1실시예에서는, 증기세정과 건조처리를 반복하는 동안에, 증기발생부(4)의 세정액(7)이 감소하여, 충분한 세정증기를 발생 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기타 다른 제 2실시예에서는,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4)와는 별개로, 세정액(7)의 저장탱크(19)를 설치하고 있다. 이 저장탱크(19)는, 제 1삼방밸브(13)를 개재하여, 응축기(15) 및 증기발생부(4)와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증기발생부(4)에 설치한 액면제어기구(18) 등이, 증기발생부(4)의 세정액(7)량의 부족을 감지하여, 저장탱크(19)에서 증기발생부(4)안으로 세정액(7)을 보충하기 때문에, 증기세정을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건조처리 때에, 응축기(15)로 응축한 응축액을, 제 1삼방밸브(13)를 개재하여 저장탱크(19)에 도입하여, 세정증기의 증류재생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저장탱크(19)는, 세정액(7)의 출입을 안내하는 배관(38, 39)을, 제 3, 제 4전자밸브(36, 37)를 개재하여, 상하로 접속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밀폐뚜껑체(11)를 증기발생부(4)측에 배치하여, 증기발생부(4)안에 있어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경계벽(2)의 밑면에 밀봉부재(12)를 배치하고 있다. 그러나, 기타 다른 제 3실시예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뚜껑체(11)를, 증기세정부(3)측에 배치하여, 증기세정부(3)안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밀봉부재(12)를, 밀폐뚜껑체(11)의 하면에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도, 밀봉부재(12)와 밀폐뚜껑체(11)의 표면으로 구성되는 오목부(16)는, 세정액(7)이나 오물이 부착하지 않는 것은 물론 이지만, 이 오목부(16)가, 건조를 위한 밀폐 시에,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4)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가령 액적 등이 부착하더라도, 건조처리에 전혀 영향을 미치게 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밀봉부재(12)에 오물이 부착하는 것도 없기 때문에, 양호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증기세정부(3)에 응축기(15)를 접속하여, 세정증기를 응축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이들은 제 2삼방밸브(33)를 개재하여 접속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제 2삼방밸브(33)를 개재하여, 응축기(15)는, 증기발생부(4)와도 접속하고 있다. 따라서, 이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를 증기세정부(3)를 개재하는 것 없이, 제 2삼방밸브(33)를 개재하여 응축기(15)안에 직접 도입하여, 증류재생만을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밀폐뚜껑체(l1)를 상하로 평행이동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10)의 밀폐와 개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밀폐뚜껑체(11)의 상면에 낙하한 오물이나 응축액이, 표면장력에 의해, 이 밀폐뚜껑체(11)의 상면에 잔류하여 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증기세정부(3)안을 밀폐하여 건조처리를 할 때에, 이 밀폐뚜껑체(11)의 상면에 잔류한 응축액까지 건조하는 것이 되고, 에너지효율이 저하할 염려가 있다.
여기서, 기타 다른 제 4실시예에서는, 도 7,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4)측에 배치한 판상의 밀폐뚜껑체(11)의 일측을, 경계벽(2)에 경첩 등의 축지지부(21)를 개재하여 축지지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이 축지지부(21)를 개재하여, 밀폐뚜껑체(11)를 적절하게 상하이동기구로, 상하로 경사회동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10)의 밀폐와 개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세정처리 때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뚜껑체(11)를 축지지부(21)를 개재하여 하방으로 회동하고, 밀폐뚜껑체(11)를 경사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10)를 개구한다. 이 연통구(10)를 개재하여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가 증기세정부(3)안에 유입하여, 피세정물(5)의 증기세정이 행하여진다. 또한, 이 증기세정처리는, 진공펌프(14)를 작동하여, 감압증기세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증기세정의 때에, 증기세정부(3)안에서 응축된 응축액이, 오물과 동시에 연통구(10)를 개재하여 밀폐뚜껑체(11)의 상면에 낙하하지만, 밀폐뚜껑체(11)를 경사하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응축액은, 이 경사면을 미끄러져 증기발생부(4)안에 확실히 낙하하여, 밀폐뚜껑체(l1)의 액절단도 양호히 행하여짐과 동시에, 오물의 부착도 막게 된다. 또, 상기 각 실시예와 비교해서, 밀폐뚜껑체(11)의 이동면적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세정조(1)의 보다 조밀한 형성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건조처리를 할 때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지부(21)를 개재하여 밀폐뚜껑체(11)를 윗쪽으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10)를 밀폐한다. 이 밀폐도, 밀봉부재(12)와 밀폐뚜껑체(11)와의 접속부에, 응축액이나 오물이, 부착해 있지 않기 때문에, 기밀성을 손상하는 것 없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증기세정부(3)안의 액절단이 양호하기 때문에, 시간이나 에너지를 절약하여, 효율적인 건조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경계벽(2)을 크게 개구하여 연통구(10)를 형성하여, 밀폐뚜껑체(11)도 이 연통구(10)에 합쳐서 지름이 큰 판상부재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통구(10)를 크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피세정물(5)의 오염이 강한 경우에, 피세정물(5)로부터 제거한 오물을 스무스하게 증기발생부(4)안에 이동낙하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렇지만, 세정증기는, 좁은 빈틈에서도 충분히 통과해서, 피세정물(5)에 도달 가능함과 동시에, 자신의 확산력으로, 넓은 공간에 균일하게 확산할 수 있다. 따라서, 피세정물(5)의 오염량이 적은 경우에는, 도 9, 도 10에 나타내는 기타 다른 제 5실시예와 같이, 연통구(10)의 지름을 작게 형성하더라도, 증기세정부(3)안에의 세정증기의 도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고, 오물로 연통구(10)를 폐지하는 것도 없다.
그리고, 이 연통구(10)에 접속하는 밀폐뚜껑체(11)는, 연통구(10)보다 약간 큰 판상부재로 형성하고, 이 판상부재에 상하이동기구로서 실린더(22)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밀폐뚜껑체(11)는, 증기세정부(3)측에 배치함과 동시에, 실린더(22)를 증기세정부(3)의 외부에 돌출하여, 이 실린더(22)를 상하이동 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10)의 밀폐와 개구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이 밀폐뚜껑체(11)의 하면에는, 경계벽(2)과의 접속부에, 밀봉부재(12)를 배치하여, 기밀성을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이 실린더(22)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밀폐뚜껑체(11)의 상하이동기구를,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밀폐뚜껑체(11)가 작기 때문에, 세정조(1)도 콤팩트하게 형성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세정장치에서, 증기세정부(3)안의 피세정물(5)을 세정하기 위해서는, 실린더(22)를 상승하는 것에 의해, 밀폐뚜껑체(11)를 상부방향에 이동하여, 약간의 유통간극(27)을 개재하여, 연통구(l0)를 개구한다. 그리고, 도 9의 화살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4)에서 발생한 세정증기를, 연통구(10)를 개재하여 증기세정부(3)안에 도입한다. 이 세정증기는, 좁은 연통구(10)나 유통간극(27)에도 양호하게 통과하여 증기세정부(3)안에 균일하게 확산하기 때문에, 피세정물(5)의 표면에 구석구석 잘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도, 진공펌프(14)를 작동하여, 감압증기세정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도, 밀폐뚜껑체(11)와 경계벽(2)과의 접속부에 있어서, 밀봉부재(12)를, 상부측의 밀폐뚜껑체(11)의 하면에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이물질을 포함한 응축액이 흘러내리더라도, 밀봉부재(12)에 오물 등이 부착하는 일은 없다. 그 때문에, 밀봉부재(12)의 기밀성을 장기적으로 보지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세정처리가 종료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22)를 하강하여 밀폐뚜껑체(11)를 하방으로 이동하여, 연통구(10)를 폐지한다. 이 폐지에 의해, 증기세정부(3)를 밀폐함과 동시에, 세정증기의 유입을 차단한다. 그리고, 증기펌프(14)에 의해, 증기세정부(3)안을 감압하여, 건조처리를 하지만, 응축액의 액절단이 양호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건조가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증기세정부(3)나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를, 응축기(15)로 응축하여, 증기발생부(4)에 도입하는 것에 의해, 증류재생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기타 다른 제 6실시예에서는, 도 11,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세정을 하는 세정조(1)와는 별개로 세정액조(20)를 설치하고, 이 세정액조(20)에 응축액을 도입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이 세정액조(20)에서, 증기세정의 전처리로서, 피세정물(5)의 침지세정을 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세정액조(20)는, 개구부에 개폐뚜껑(42)을 탈착가능하게 접속함과 동시에, 이 개폐뚜껑(42)의 하면에, 밀봉부재(43)를 배치하여, 세정액조(20)의 기밀성을 높이고 있다. 더욱이, 세정액조(20)에는, 진공파괴밸브(44)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세정액(7)의 출입을 안내함에 의한 세정액조(20)안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압상태를 보지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이 세정액조(20)의 세정액(7)을, 제 6전자밸브(41)를 개재하여 세정조(1)의 증기발생부(4)에 도입하여, 이 증기발생부(4)내에서 증기화한다. 그리고, 이 세정증기를, 증기세정처리로 사용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이 세정증기를, 제 5전자밸브(40)을 개재하여, 다시 세정액조(20)에 도입하여 증류재생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증기발생부(4)와 세정액조(20)와의 세정증기의 순환을, 증기발생부(4)에 접속한 방사부(24)의 흡인력에 의해, 효율적으로 행하고자 하고 있다.
한편, 이 방사부(24)를 사용하여 세정증기의 흡인을 하는 방법은 종래부터 존재하지만, 이 종래 방법에서는 세정조(1)나 세정액조(20)와는 별개로 설치한 버퍼조내의 세정액(7)을 펌프 등으로 순환하는 것에 의해, 방사부(24)에 흡인력을 발생시켜, 이 흡인력으로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를, 세정액조(20)에 공급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버퍼조를 형성하지 않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부(24)를, 곧바로 세정액조(20)에 접속하여, 이 세정액조(20)안의 세정액(7)을 펌프(25)로 순환하여 사용하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버퍼조를 생략하는 것에 의해, 조의 수를 감소하여, 장치를 조밀하고 염가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세정액(7)을 고속으로 순환하는 것에 의해 생기는 방사부(24)의 흡인력에 의해,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를, 제 5전자밸브(40)를 개재하여, 세정액조(20)에 효율적으로 도입한다. 그리고, 세정액조(20)의 냉각수단(23)에 의해, 냉각한 세정액(7)과 세정증기를 접촉하여 응축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방사부(24)는, 제 2전자밸브(35)를 개재하여 응축기(15)와도 접속하여, 응축기(15)에서 응축한 응축액도, 세정액조(20)에 도입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형성한 세정장치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액조(20)의 세정액(7)에, 피세정물(5)을 침지하여, 전세정처리를 한다. 다음에, 피세정물(5)을 세정액조(20)안에서 꺼내어, 세정조(1)의 증기세정부(3)안에 배치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와 같이, 연통구(10)를 개재하여 증기세정부(3)안에,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를 도입하여, 증기세정처리를 한다. 또한, 이 증기세정처리는, 증기펌프(14)를 작동하여, 감압증기세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증기발생부(4)에, 세정액조(20)안의 세정액(7)을, 제 6전자밸브(41)를 개재하여 공급하고, 증기화하여 증기세정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더러워진세정액(7)의 효율적인 증류재생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증기발생부(4)로의 세정액(7)의 공급은, 액면제어기구(18)에 의해, 증기발생부(4)안의 세정액(7)량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세정증기발생을 위한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있다.
증기세정처리가 종료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폐뚜껑체(11)로 연통구(10)를 닫는 것에 의해, 증기세정부(3)안을 밀폐하여, 감압건조처리를 한다. 그리고, 이 건조처리 때에, 방사부(24)의 흡인력에 의해, 응축기(15)로 응축된 응축액과, 증기발생부(4)안의 세정증기를, 제 2전자밸브(35)와 제 5전자밸브(40)를 개재하여, 세정액조(20)안에 도입하여 응축한다. 그리고, 이 응축액을 순환하여 다시 침지세정이나 증기세정으로 사용할 수 있고, 세정액(7)의 효율적인 증류재생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독립하여 행하고 있는 증기세정용의 세정증기의 발생작업과, 침지세정용의 세정액(7)의 정화작업을,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증기발생부(4)에서 행하기 때문에, 각 처리를 연동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처리공정이나 장치갯수를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에너지의 소비량도 억제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방사부(24)에, 응축액의 순환을 위한 버퍼조를 별도로 접속할 필요가 없고, 세정증기의 순환경로를 단순화함과 동시에, 보다 조밀하고 경제적인 세정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타 다른 제 7실시예는, 제 6실시예와 같은 장치이지만, 도 13,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4)와 방사부(24)와의 사이에, 제 2응축기(28)를 개재시키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그리고, 이 제 2응축기(28)에서,증기발생부(4)로부터의 세정증기를 응축한 뒤에, 방사부(24)의 흡인력으로 세정액조(20)안에 응축액을 이송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 방법으로라면, 세정증기를 응축액화하여 순환하기 때문에, 제 6실시예와 같이 기체를 순환하는 것보다도, 용적을 작게 하여 효율적인 순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방사부(24)를 사용한 기타 다른 제 8, 제 9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제 6 및 제 7실시예에서는, 지름이 큰 판상부재로 형성한 밀폐뚜껑체(11)를 배치한 세정조(1)에 있어서, 증기발생부(4)에 방사부(24)를 접속하고 있다. 한편, 기타 다른 제 8, 제 9실시예에서는, 도 15∼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작은 밀폐뚜껑체(11)를 배치한 세정조(1)에 있어서, 증기발생부(4)에 방사부(24)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이 약간 작은 밀폐뚜껑체(11)는, 실린더(22)로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고 있다.
더욱이, 제 8, 제 9실시예에서는, 증기세정의 전세정으로서 행하는 침지세정을, 세정조(1)의 증기세정부(3)안에서 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증기세정부(3)는, 세정액(7)을 충전한 세정액조(20)와, 제 7전자밸브(45)를 개재하여 연결하여, 이 세정액조(20)를, 침지세정에 사용하는 세정액(7)의 저장탱크로서 사용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세정액조(20)는, 제 6전자밸브(41)를 개재하여, 증기발생부(4)와도 접속하여, 증기발생부(4)안에의 세정액(7)의 이송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제 8실시예의 세정장치에서, 제 1공정의 침지세정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세정부(3)안에 피세정물(5)을 수납한 후, 밀폐뚜껑체(11)를 연통구(10)에 접속하여, 증기세정부(3)를 밀폐한다. 다음에, 증기세정부(3)와 접속하는 진공파괴밸브(26)와 제 7전자밸브(45)를 폐지한 후, 진공펌프(14)에 의해, 증기세정부(3)안을 감압하여, 진공상태로 한다. 이 진공상태에서 제 7전자밸브(45)를 개방하면, 세정액조(20)의 세정액(7)이, 제 7전자밸브(45)를 개재하여 증기세정부(3)안에 흡인되어, 도 15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세정부(3)안에, 침지세정을 위한 충분한 세정액(7)이 도입된다.
또한, 이 증기세정부(3)로의 세정액(7)의 도입시에, 세정액조(20)의 진공파괴밸브(44)를 개방하여 놓은 것에 의해, 세정액조(20)안의 감압을 방지하여, 스무스한 도입이 가능해진다. 이 도입이 완료하면, 제 7전자밸브(45)를 폐지하여, 피세정물(5)의 침지세정처리를 한다.
그리고, 침지세정이 종료하면, 제 7전자밸브(45)를 개방함과 동시에 진공파괴밸브(26)를 개방해서, 증기세정부(3)안에 에어를 도입한다. 그렇게 하면, 증기세정부(3)안의 세정액(7)이, 중력에 의해, 세정액조(20)안에 배출된다. 이 경우도, 세정액조(20)의 진공파괴밸브(44)를 개방하여 놓은 것에 의해, 세정액조(20)에의 세정액(7)의 스무스한 배출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제 2공정의 증기세정처리를 하기 위해서는, 실린더(22)를 상승하여, 밀폐뚜껑체(11)를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통구(10)를 개구한다. 이 개구에 의해, 증기세정부(3)와 증기발생부(4)를 연통한다. 그리고,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를, 연통구(10)를 개재하여 증기세정부(3)안에 도입하는 것에 의해, 피세정물(5)의 증기세정을 한다. 이 증기세정처리에 있어서, 세정증기나, 피세정물(5)이 미세한 요철이나 틈새에 들어가서 응축하고, 이 응축액은 더러워짐과 동시에 낙하하기 때문에, 침지세정에서는 떨어뜨릴 수 없었던 더러움을 확실히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증기세정처리는, 진공펌프(14)를 작동하여 감압증기세정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정액조(20)에서는, 냉수를 유통한 파이프 등의 냉각수단(23)에 의해, 세정액(7)을 냉각하고 있기 때문에, 제 1공정에서 침지세정한 피세정물(5)의 표면온도는 대단히 낮은 것이다. 그 때문에, 제 2공정의 증기세정에 있어서, 세정증기가 이 저온상태의 피세정물(5)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응축효과가 촉진되어, 세정효과가 향상하게 된다.
또한, 증기발생부(4)안의 세정액(7)이 부족하면, 액면제어기구(18)에 의해, 제 6전자밸브(41)를 개방하여, 세정액조(20)안의 세정액(7)을 도입하여, 보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증기발생부(4)에 세정액조(20)의 세정액(7)을 도입하여 증기화하는 것에 의해, 침지세정으로 더러워진 세정액(7)의 증류재생이 가능해진다. 이 때문에, 세정액(7)의 경제적인 사용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세정증기의 발생작업과 정화를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효율이나 에너지효울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그리고, 제3공정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린더(22)를 하강하여, 밀폐뚜껑체(11)를 연통구(10)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증기세정부(3)안을 밀폐한다. 그리고, 진공펌프(14)로 증기세정부(3)안을 감압하는 것에 의해, 피세정물(5)의 감압건조처리를 한다. 이 건조처리의 때도, 다른 실시예와 같이, 증기세정부(3)안의 액절단이 양호하게 행해지고 있기 때문에, 건조시간이나 에너지의 낭비를 생략하여, 효율적인 건조처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증기세정부(3)안의 여분의 세정증기는, 이 진공펌프(14)에 의한 흡인에 의해, 제 1전자밸브(17)를 개재하여 응축기(15)에 이송되어, 응축된다. 이 응축액은, 방사부(24)의 흡인력에 의해, 제 2전자밸브(35)를 개재하여 세정액조(20)안에 신속히 이송된다. 또한,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를, 방사부(24)의 흡인력에 의해, 제 5전자밸브(40)를 개재하여, 세정액조(20)에 곧 도입하여, 응축액화한다. 이것들의 응축액은, 다시 침지세정나 증기세정작업에 사용할 수 있고, 효율적인 증류재생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9실시예는, 제 8실시예와 같은 세정장치이지만, 도 17,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기발생부(4)와 방사부(24)와의 사이에, 제 2응축기(28)를 개재하고 있는 점에서 다르다. 이 제2응축기(28)에서, 증기발생부(4)의 세정증기를 응축하는 것에 의해, 응축액의 응축효율을 보다 높이고 있다.
이와 같이, 제 8, 제 9실시예에 있어서도, 종래는 독립으로 행하고 있는 증기세정용의 세정기기의 발생공정과, 침지세정용의 세정액(7)의 정화공정을, 같은 증기발생부(4)로 행하기 때문에, 각 처리를 연동하여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8, 제 9실시예의 방사부(24)에 의한 흡인력도, 세정액조(20)의 세정액(7)을 순환하여 발생시키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버퍼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고, 콤팩트하고 경제적인 세정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세정조에, 피세정물의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설치하여, 증기세정처리와 건조처리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세정장치를, 조밀하고 경제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밀폐뚜껑체는, 상하방향으로 간신히 이동할 뿐으로,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와의 연통 및 폐지가 가능하고, 세정장치의 컴팩트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밀폐뚜껑체의 상하이동에 의해, 증기세정부에의 세정증기의 도입을 효율적으로 행하여, 피세정물의 증기세정을 양호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증기세정처리후는, 증기세정부내의 응축액을 확실히 배제하여, 건조시간이나 에너지를 절약함과 동시에, 세정액의 쓸데없는 사용도 억제하여, 신속하고 경제적인 건조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게이트밸브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은 아니고,밀폐뚜껑체를 상하이동하여 연통부를 개폐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밀폐뚜껑과 연통구와의 접속부나, 이 접속부에 배치하는 밀봉부재의 마모나 파손을 막고, 기밀성을 장기적으로 보지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세정장치의 내구성을 향상하는 것으로 된다.

Claims (8)

  1. 피세정물의 세정, 건조를 하는 증기세정부를 경계부 윗쪽에 설치하고, 세정액을 충전하여 이 세정액을 증기화하는 증기발생부를 경계부 아래쪽으로 설치한 세정조를 포함하며,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경계벽에 마련된 연통구를 개재하여 연통가능하게 하고, 이 연통구를, 상하방향으로이동가능한 밀폐뚜껑체에 의해, 밀폐 또는 개구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와의 연통은, 경계벽과 밀폐뚜껑체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통간극을 개재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밀폐뚜껑체는,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분리하는 경계벽에 설치한 연통구보다도 지름이 큰 판상부재로 형성하고, 이 판상부재를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경계벽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의 밀폐 또는 개구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밀폐뚜껑체는, 증기세정부와 증기발생부를 분리하는 경계벽에 설치한 연통구보다도 지름이 큰 판상부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 판상부재의 일단을 경계벽에 축지지하고, 이 축지지부를 개재하여 밀폐뚜껑체를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상하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에 의해, 연통구의 밀폐 또는 개구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5.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연통구를 설치한 경계벽과 밀폐뚜껑체와의 접속부는, 상부측에 배치한 부재의 하면에, 밀봉부재를 배치하여 밀폐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증기발생부는, 방사부에 접속하고, 이 방사부는, 세정액조에 펌프를 접속하여 세정액을 순환하는 순환로의 일부에 설치하여 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 장치.
  7.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증기세정부에서의 증기세정은, 감압증기세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8. 제 1항, 제 2항,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증기세정부에서의 증기세정은, 대기압증기세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장치
KR1020007006830A 1998-11-26 1999-11-19 세정장치 KR100360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336077 1998-11-26
JP10336077A JP3011706B1 (ja) 1998-11-26 1998-11-26 洗浄装置
PCT/JP1999/006489 WO2000031321A1 (fr) 1998-11-26 1999-11-19 Dispositif de nettoy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3363A KR20010033363A (ko) 2001-04-25
KR100360015B1 true KR100360015B1 (ko) 2002-11-11

Family

ID=18295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830A KR100360015B1 (ko) 1998-11-26 1999-11-19 세정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011706B1 (ko)
KR (1) KR100360015B1 (ko)
CN (1) CN1138874C (ko)
TW (1) TW429172B (ko)
WO (1) WO2000031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25985B2 (ja) * 2005-06-01 2009-02-18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被洗浄物の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JP4575513B1 (ja) * 2009-08-26 2010-11-04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被乾燥物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CN103128074B (zh) * 2011-11-25 2016-06-22 株式会社Ihi 真空清洗装置以及真空清洗方法
CN102698996A (zh) * 2012-05-30 2012-10-03 圣睿太阳能科技(镇江)有限公司 非晶硅薄膜太阳能电池pecvd基片装载箱清洁系统及清洁方法
JP5076033B1 (ja) * 2012-06-08 2012-11-21 ジャパン・フィールド株式会社 被洗浄物の蒸気洗浄方法及びその装置
CN103343816B (zh) * 2013-07-11 2015-08-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棘爪开锁机构、蒸汽密闭正压洗罐装置以及槽罐车
CN103721970B (zh) * 2013-12-19 2015-09-02 攀钢集团工程技术有限公司 用于清洗脱硫系统的冷却器的清洗装置及方法
CN105177614A (zh) * 2015-08-19 2015-12-23 苏州吴江春宇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清洗生产线用高温脱脂槽
CN106238372B (zh) * 2016-08-26 2018-10-02 重庆新红旗缸盖制造有限公司 缸盖蒸汽清洗装置
CN107842840A (zh) * 2016-09-21 2018-03-27 苏州润桐专利运营有限公司 一种发动机缸盖清洗的蒸汽加热装置
JP7037206B2 (ja) * 2020-01-27 2022-03-16 アクトファイブ株式会社 蒸気洗浄減圧乾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4335A (ja) * 1987-01-26 1988-07-29 Nec Corp 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874C (zh) 2004-02-18
TW429172B (en) 2001-04-11
JP3011706B1 (ja) 2000-02-21
KR20010033363A (ko) 2001-04-25
CN1293718A (zh) 2001-05-02
WO2000031321A1 (fr) 2000-06-02
JP2000160378A (ja) 2000-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0015B1 (ko) 세정장치
KR100357316B1 (ko) 기판 건조장치 및 기판 건조방법
CN1047870C (zh) 化学处理基片的方法和装置
US200301597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and drying semiconductor wafer
JP2006241599A (ja) めっき処理ユニット
KR100802122B1 (ko) 도금 장치 및 도금액 제거 방법
KR20080104971A (ko) 세정건조장치
US9177838B2 (en) Liquid process apparatus and liquid process method
KR100636035B1 (ko) 웨이퍼를 건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웨이퍼 건조 장치를 포함하는 웨이퍼 처리 장치
JP3892687B2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処理方法
JPH06283497A (ja) 洗浄処理後の基板の乾燥処理装置
JP4025146B2 (ja) 処理液用タンク及び処理装置
JP2004500705A (ja) 基板を洗浄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100436900B1 (ko) 웨이퍼 세정 장치
KR100992651B1 (ko) 매엽식 기판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523143B1 (ko) 이에프이엠
JP2004158549A (ja) 基板乾燥装置および基板乾燥方法
JP3240180U (ja) 密閉型洗浄装置
US2022020856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ubstrate
JP3049213B2 (ja) 蒸気脱脂装置及び脱脂方法
US20220375769A1 (en) Drying environments for reducing substrate defects
KR100599435B1 (ko) 기판을 세정하기 위한 장치
KR100354664B1 (ko) 웨이퍼 세척 장치
JPH0480924A (ja) 半導体ウエハの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EP0747140B1 (en) A process and an apparatus for rinsing and/or drying articles that have been subjected to a wash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