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8115B1 -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8115B1
KR100358115B1 KR1020000076689A KR20000076689A KR100358115B1 KR 100358115 B1 KR100358115 B1 KR 100358115B1 KR 1020000076689 A KR1020000076689 A KR 1020000076689A KR 20000076689 A KR20000076689 A KR 20000076689A KR 100358115 B1 KR100358115 B1 KR 10035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input
optical fiber
wave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6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6491A (ko
Inventor
윤지욱
김광준
정희상
이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00076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8115B1/ko
Priority to US09/827,211 priority patent/US6529319B2/en
Publication of KR2002004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6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8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 H01S3/1301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in optical amplifiers
    • H01S3/130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in optical amplifiers by controlling the optical pu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2301/00Functional characteristics
    • H01S2301/04Gain spectral shaping, flatte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05Construction or shape of optical resonators; Accommodation of active medium therein;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Construction or shape of active medium
    • H01S3/063Waveguide lasers, i.e. whereby the dimensions of the waveguide are of the order of the light wavelength
    • H01S3/067Fibre lasers
    • H01S3/06754Fibre amplifiers
    • H01S3/06758Tandem amplif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0007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 H01S3/10015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in optical amplifiers by monitoring or controlling, e.g. attenuating,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3/00Lasers, i.e.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the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wave range
    • H01S3/10Controlling the intensity, frequency,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the emitted radiation, e.g. switching, gating, modulating or demodulating
    • H01S3/13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 H01S3/1301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e.g. frequency or amplitude in optical amplifi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ser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전송 선로 손실 또는 입력 채널 수의 변화에 무관하게 광증폭기의 채널별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며, 빠른 동작 속도와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를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증폭 장치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제 1 광분기 수단; 상기 광섬유 증폭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제 2 광분기 수단; 상기 제 1 광분기 수단에 의해 일부 분기된 입력측 광신호를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 위한 광분배 수단; 상기 광분배 수단에 의해 분배된 일측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광파장 선택 수단; 상기 제 2 광분기 수단에 의해 일부 분기된 출력측 광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광파장 선택 수단; 상기 광분배 수단에 의해 분배된 타측의 광신호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파장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이용하여 총 입력 신호 세기 및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측정된 총 입력 신호 세기 및 입력 채널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광분기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광신호를 증폭 및 감쇄시켜 상기 제 2 광분기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증폭 및 감쇄 수단을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Dynamic gain-controlled erbium-doped fiber amplifier}
본 발명은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용 어븀 첨가 광섬유 증폭 장치(Erbium Doped Fiber Amplifier) 등에 있어서 전송 선로 손실 또는 입력 채널 수의 변화에 무관하게 광섬유 증폭 장치의 채널별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며, 빠른 동작 속도와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증폭 장치는 증폭 매질(Erbium Doped Fiber)을 이용하여 광신호를 직접 증폭하는 장치로서, 현재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중계기 및 스위치 소자 등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세기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원인에는 크게 전송 선로의 손실이 변화하는 경우와 네트워크 재구성이나 광 분기 결합기에 의해 신호들이 분기 결합되어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의 수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의 다중파장 광전송 시스템은 점 대 점(Point-to-Point) 전송 방식으로 운용되었기 때문에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 수는 변화없이 고정되었다. 따라서, 광섬유 증폭 장치에서의 입력 신호 세기의 변화는 오직 전송 선로의 손실 변화에만 의존하였다.
그러나, 현재의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의 경우는 점 대 다점(Point-to-Multipoint) 전송 방식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각 노드에서의 신호의 분기, 결합이 발생하게 되어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 수 또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광섬유 증폭 장치를 현재의 점 대 다점 방식의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신호의 세기 변화가 전송선로 손실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입력 채널 수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를 알 수 있어야 하며, 이에 따라서 채널별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주어야만 한다.
도 1a 는 종래의 2단 증폭 구조를 가지는 광섬유 증폭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섬유 증폭 장치는 1단 증폭부(110), 2단 증폭부(120) 및 귀환부(feed-back, 130)를 구비한다.
각 증폭부(110,120)는 입력 신호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광학탭(111,121)과 광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 매질(112,122), 출력 신호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광학탭(113,123) 및 입출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한 후 여기광의 전류를 제어하여 증폭부의 이득을 제어하기 위한 이득 제어 장치(114,124)를 포함하며, 또한, 귀환부(130)는 2단 증폭부(120)의 출력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광학탭(131)과 분기된 광신호의 세기를 검출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가변 광 감쇄기(133)의 감쇄 정도를 제어하기 위한 광 감쇄기 제어 장치(132) 및 제어 신호에 따라 광신호를 감쇄시키기 위한 광 감쇄기(133)를 포함한다.
이때, 입력 신호는 증폭 매질(112)에 의해서 1단 증폭된 후, 가변 광 감쇄기(133)에 의해서 적당한 값으로 감쇄되고 증폭 매질(122)에 의해서 2단 증폭되어 출력된다.
광섬유 증폭 장치의 파장별 이득은 입력 신호의 세기에 따라서 변화하기 때문에, 입력 신호의 세기 변화에 따라 여기광의 세기를 조절하여야만 광섬유 증폭 장치의 파장별 이득 특성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득 제어 장치(114,124)는 각각 증폭부의 입출력 신호의 세기를 검출한 후, 이를 비교하여 파장별 이득이 항상 일정한 값을 유지하도록 여기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이득 제어 방식은 입출력 신호의 총 세기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신호의 분기, 결합에 의해서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 수가 변화할 경우 생존 채널(surviving channel)에서의 과도 응답(power transients)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입력 채널 수가 줄어들 경우, 도 1a 의 구조를 가진 광섬유 증폭 장치는 이를 입력 신호의 총 세기가 줄어든 것으로 인식하여 파장별 이득을 증가시켜 결국, 출력 신호에 과도 응답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도 1b 는 종래의 2단 구조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신호 수의 변화에 따른 출력에서의 과도 응답 현상의 일예시도이다.
도 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a 의 구조를 가지는 광섬유 증폭 장치에 있어서 입력 채널 수의 변화에 따라 생존 채널에서 과도 응답 현상이 나타난다. 즉,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 수가 변화할 경우, 광섬유 증폭 장치는 출력되는 신호의 총 세기만을 일정하게 고정시켜줌으로 인하여 출력에서의 과도 응답 현상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현상은 분기, 결합되어지는 채널의 총 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심각해진다.
이러한 광섬유 증폭 장치의 출력에서의 과도 응답 현상은, 광전송 선로에서 비선형 현상을 일으켜 광신호 대 잡음비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의 광전송 성능을 보장해주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의 세기 변화에 무관하게 광섬유 증폭 장치의 채널별 이득 제어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 2 는 종래의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의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의 구성 예시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는 증폭 매질(202,204)을 통해서 증폭되어진 후, 광분리기(203,206)와 가변 광 감쇄기(210)를 통해서 출력된다. 이때, 가변 광 감쇄기(210)는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세기 변화에 따른 출력에서의 과도 응답 현상을 억제해 준다. 이를 좀더 자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광학탭(211)에 의해서 분기된 출력 신호는, 제 3 광결합기(220)에 의해서 각각 제 1 광검출기(225)와 광스위치(230)로 입력된다. 상기 제 1 광검출기(225)에 의해서 검출된 신호는 광섬유 증폭 장치의 총 출력 세기를 나타내며, 이는 복조기(240)에서 복조된 후 신호처리기(250)로 입력된다.
반면에, 광스위치(230)로 입력된 신호는 광순환기(260)에 의해서 일렬로 연결된 광섬유 브래그 격자(265)로 입력된다. 광섬유 브래그 격자(265)는 각각 입력되는 신호의 중심 파장과 동일한 브래그 파장을 가지고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있어 광섬유 증폭 장치의 출력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는 채널 파장별로 분리해 준다.
제 2 광검출기(270)에 의해서 검출된 신호는 저대역 필터(275)를 거친 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280)에 의해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처리기(250)로 입력된다. 상기 신호처리기(250)는 제 1 광검출기(225)에서 검출된 신호를 이용하여 광섬유 증폭 장치의 총 출력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며, 제 2 광검출기(270)에서 검출되는 신호로부터 채널별 출력 세기와 채널 수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기(250)는 측정된 총 출력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여기광 제어 회로(251,253)를 통해 여기광(252,254)의 세기를 조절함으로써 광섬유 증폭 장치 전체의 이득을 제어한다. 또한, 측정된 채널 수를 이용하여 가변 광 감쇄기(210)를 제어함으로써, 입력 신호 수의 변화에 의한 과도 응답 현상을 억제해 준다.
일반적으로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 수의 변화에 의한 과도 응답 현상은 전송 선로 손실 변화에 의한 것과 비교하여 매우 빠르게 일어나며, 이는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광섬유 증폭 장치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빠른 속도의 이득 제어를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광전송 성능의 저하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매우 빠른 시간 내에 이를 억제해 주어야 하며, 이는 광전송 성능을 보장해 주기 위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의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는 출력 신호를 시간상으로 분리해 주기 때문에, 생존 채널에서의 과도 응답 현상을 적절한 시간 내에 억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광섬유 증폭 장치는, 입력 신호의 분기, 결합과 무관하게 항상 분기되는 채널 신호가 없을 경우의 총 신호 수 만큼의 광섬유 브래그 격자가 필요하다는 단점을 가지기 때문에, 전송 채널 수가 증가할수록 시스템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광스위치와 클럭 발생기 등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신호처리기가 상대적으로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는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전송되어지는 채널 수가 증가할 경우, 시스템의 실제 구현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전송 선로 손실 또는 입력 채널 수의 변화에 무관하게 광섬유 증폭 장치의 채널별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며, 빠른 동작 속도와 단순한 구조를 가지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파장 선택 필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임의의 한 채널 신호에 대한 입력에서의 세기와 출력에서의 자연 증폭 방출(Amplified Spontaneous Emission : 이하 'ASE'라 함) 잡음의 세기에 의해 입력 채널 수를 계산한 후, 이를이용하여 광섬유 증폭 장치에 있어 전송 선로 손실 또는 입력 채널 수의 변화와 무관하게 채널별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는 종래의 2단 증폭 구조를 가지는 광섬유 증폭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1b 는 종래의 2단 구조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신호 수의 변화에 따른 출력에서의 과도 응답 현상의 일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의 구성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증폭 장치의 출력에서 측정된 임의의 한 신호 파장에서의 자연 증폭 방출 잡음 세기의 일예시도.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증폭 장치에서의 입력 신호 수의 변화에 따른 출력에서 측정된 자연 증폭 방출 잡음 세기 변화의 일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1, 312 : 증폭 매질 313 : 가변 광 감쇄기
321, 322 : 파장 선택 필터 330 : 신호처리기
341, 342 : 여기광 제어기 343 : 가변 광 감쇄기 제어회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증폭 장치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제 1 광분기 수단; 상기 광섬유 증폭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제 2 광분기 수단; 상기 제 1 광분기 수단에 의해 일부 분기된 입력측 광신호를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 위한 광분배 수단; 상기 광분배 수단에 의해 분배된 일측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광파장 선택 수단; 상기 제 2 광분기 수단에 의해 일부 분기된 출력측 광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광파장 선택 수단; 상기 광분배 수단에 의해 분배된 타측의 광신호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파장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이용하여 총 입력 신호 세기 및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측정된 총 입력 신호 세기 및 입력 채널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광분기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광신호를 증폭 및 감쇄시켜 상기 제 2 광분기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증폭 및 감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의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의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는, 입력 신호의 일부를 분기하는 제 1 광학탭(301), 출력 신호의 일부를 분기하는 제 2 광학탭(302), 상기 제 1 광학탭(301)의 출력을 각각 신호 처리기(330)와 제 1 파장 선택 필터(321)로 분배해 주는 1x2 광결합기(303), 상기 1x2 광결합기(303)의 출력 신호 중 일측의 신호로부터 임의의 한 채널 신호를 분리하는 제 1 파장 선택 필터(321), 상기 제 2 광학탭(302)의 분기 신호 중 임의의 한 채널 신호를 분리하는 제 2 파장 선택 필터(322), 상기 1x2 광결합기(303) 및 파장 선택 필터(321,322)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총 입력 신호 세기 및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 처리기(330), 상기 신호 처리기(330)의 신호 처리 결과에 따라 증폭 및 감쇄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40) 및 상기 제 1 광학탭(301)에 의해 입력된 일부 신호가 분기된 광신호를 상기 제어부(340)의 제어에 따라 증폭 및 감쇄하여 상기 제 2 광학탭(302)으로 출력하는 광증폭 및 감쇄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광학탭(301,302)은 진행 신호의 극히 일부만을 분기하여 나누어 출력하고 나머지 신호는 진행시키는 분기기를 의미하며, 1x2 광결합기(303)는 진행신호를 똑같이 나누어 출력하는 분배기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340)는, 상기 1x2 광결합기(303) 및 파장 선택 필터(321,322)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총 입력 신호의 세기 및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하는 상기 신호 처리기(330)로부터 입력받은, 상기의 측정 결과에 따른 제어 신호에 의해, 가변 광 감쇄기(313)를 제어하는 가변 광 감쇄기 제어 회로(343) 및 여기광의 전류를 제어하는 여기광 제어기(341,3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증폭 및 감쇄부(310)는 상기 여기광 제어기(341,342)에 의해 제어된 여기광의 전류에 따라 입력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 매질(311,312) 및 상기 가변 광 감쇄기 제어 회로(343)에 의해 감쇄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 2 증폭 매질(312)의 입력 세기를 감쇄하는 가변 광 감쇄기(3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섬유 증폭 장치는, 입력 채널의 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를 채널별로 분리하거나 별도의 감시 제어 채널을 삽입하지 않고, 입력되는 신호들 중 임의의 한 채널의 신호의 세기를 파장 선택 필터(321,322)를 이용하여 각각 1단 증폭부의 입력(301)과 2단 증폭부의 출력(302)에서 측정하였다.
이때,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에서의 채널별 파장은 ITU-T 규격에 의해서 미리 결정되어 있다. 따라서, 파장 선택 필터(321,322)를 사용하여 임의의 파장에서의 채널 신호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되어지는 임의의 채널 신호의 세기는 그 신호의 분기, 결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즉, 파장 선택 필터(321,322)의 중심 파장과 동일한 파장의 신호(이하 '샘플신호'라 함)가 광섬유 증폭 장치의 앞단에서 분기되지 않고 입력될 경우, 신호 처리기(330)는 제 1 파장 선택 필터(321)로부터 샘플 신호의 세기를 검출하게 되며, 이는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에서의 1개 채널 신호의 세기가 된다.
따라서 신호처리기(330)는, 전송 선로 손실을 고려하여, 1x2 광결합기(303)의 일측 출력 포트로부터 측정된 총 입력 신호의 세기와, 타측 출력 포트로부터 상기 제 1 파장 선택 필터(321)를 통해 측정된 입력에서의 1개 채널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총 입력 신호의 세기 및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할 수 있다.
하지만, 만일 샘플 신호가 광섬유 증폭 장치의 앞단에서 분기되었다면, 제 1 파장 선택 필터(321)는 샘플 신호를 측정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신호처리기(330)는 내부의 비교기를 통해 샘플 신호가 입력되지 않았음을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광섬유 증폭 장치의 출력측에 위치한 제 2 파장 선택 필터(332)에서 측정된, 샘플 신호 파장에서의 ASE 잡음을 이용하여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입력 채널 수에 따라 변화하는 광섬유 증폭 장치의 출력에서의 ASE 잡음의 특성에 대한 일예시 그래프를 도 4b 에 도시하였다.
도 4a 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증폭 장치의 출력에서 측정된 임의의 한 신호 파장에서의 ASE 잡음 세기의 일예시도이다.
-17 dBm의 신호 세기를 가지는 7개 채널 신호가 상기 도 3 의 구성을 가지는 광섬유 증폭 장치에 입력되었을 경우, 파장 선택 필터(도 3 의 322)에 의해 측정된 샘플 신호 파장에서의 ASE 잡음은 도 4a 에 도시된 바와 같다. 여기서 샘플 신호는 1530.3 nm의 중심 파장을 가진다.
도 4b 는 본 발명에 따른 광섬유 증폭 장치에서의 입력 신호 수의 변화에 따른 출력에서 측정된 ASE 잡음 세기 변화의 일예시도이다.
도 4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 의 구성을 가지는 광섬유 증폭 장치에서,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신호가 하나씩 분기됨에 따라서 샘플 신호의 세기는 적어도 0.5 dB 이상 변화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샘플 신호가 광섬유 증폭 장치의 앞단에서 분기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파장 선택 필터(도 3 의 322)에 의해 측정된 광섬유 증폭 장치의 출력에서의 샘플 신호 파장의 ASE 잡음의 세기로,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정된 ASE 잡음의 세기가 약 -20 dBm인 경우의 입력 채널 수는 9개이며, ASE 잡음의 세기가 약 -22 dBm인 경우의 입력 채널 수는 12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에 비하여 입력 신호를 채널별로 분리할 필요가 없어 구성이 단순하며,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파장 선택 필터를 추가적으로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대용량 다중 파장 광전송 시스템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샘플 신호의 분기, 결합과 무관하게 광섬유 증폭 장치의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할 수 있어, 광섬유 증폭 장치의 실시간 채널별 이득 제어가 가능하므로 보다 빠른 동작 속도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에 있어서,
    상기 광섬유 증폭 장치로 입력되는 광신호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제 1 광분기 수단;
    상기 광섬유 증폭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의 일부를 분기하기 위한 제 2 광분기 수단;
    상기 제 1 광분기 수단에 의해 일부 분기된 입력측 광신호를 입력받아 나누어 출력하기 위한 광분배 수단;
    상기 광분배 수단에 의해 분배된 일측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 1 광파장 선택 수단;
    상기 제 2 광분기 수단에 의해 일부 분기된 출력측 광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제 2 광파장 선택 수단;
    상기 광분배 수단에 의해 분배된 타측의 광신호와 상기 제 1 및 제 2 광파장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이용하여 총 입력 신호 세기 및 입력 채널 수를 측정하기 위한 신호 처리 수단;
    상기 신호 처리 수단에 의해 측정된 총 입력 신호 세기 및 입력 채널 수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제어 수단; 및
    상기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제 1 광분기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광신호를 증폭 및 감쇄시켜 상기 제 2 광분기 수단으로 출력하기 위한 광증폭 및감쇄 수단
    을 포함하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광분배 수단 및 상기 제 1 광파장 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에 의해 총 입력 신호의 세기와 입력 채널의 수를 측정하되, 상기 제 1 광파장 선택 수단으로부터의 입력 신호가 없을 경우, 상기 제 2 광파장 선택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광신호에 의해 측정한 자연 증폭 방출(ASE) 잡음을 이용하여 입력 채널의 수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증폭 및 감쇄 수단은,
    상기 제 1 광분기 수단에 의해 일부 신호가 분기된 광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 1 증폭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력 광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제 1 광섬유 증폭 수단;
    상기 제 1 광섬유 증폭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증폭 신호의 강도를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감쇄 제어 신호에 따라 감쇄시키기 위한 광 감쇄 수단; 및
    상기 광 감쇄 수단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 수단으로부터의 제 2 증폭 제어 신호에 따라 증폭하기 위한 제 2 광섬유 증폭 수단
    을 포함하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광 감쇄 수단은,
    상기 제 1 광섬유 증폭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증폭 신호를 상기 제 2 광섬유 증폭 수단의 입력에 적합한 강도를 가지는 신호로 감쇄시키되, 그 강도의 범위가 조절 가능한 가변 광 감쇄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광섬유 증폭부의 여기광을 제어하여, 상기 제 1 광섬유 증폭부의 신호 증폭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1 여기광 제어 수단;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광 감쇄기의 조절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광 감쇄 제어 수단; 및
    상기 신호 처리 수단의 측정 결과에 따라 상기 제 2 광섬유 증폭부의 여기광을 제어하여, 상기 제 2 광섬유 증폭부의 신호 증폭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 2 여기광 제어 수단
    을 포함하는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KR1020000076689A 2000-12-14 2000-12-14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KR10035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689A KR100358115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US09/827,211 US6529319B2 (en) 2000-12-14 2001-04-06 Automatic gain-controlled optical fiber ampl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6689A KR100358115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6491A KR20020046491A (ko) 2002-06-21
KR100358115B1 true KR100358115B1 (ko) 2002-10-25

Family

ID=19703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6689A KR100358115B1 (ko) 2000-12-14 2000-12-14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29319B2 (ko)
KR (1) KR1003581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221B1 (ko) * 2000-09-06 2002-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어븀첨가 광섬유 증폭기의 이득 제어 장치 및 방법
ITPS20010006A1 (it) * 2001-02-23 2002-08-23 Canti & Figli Srl Procedimento e macchina atti ad ottenere goffrature su superfici verniciate di pannelli o di pellicole di rivestimento ed elementi ottenuti
US6989923B2 (en) * 2001-08-08 2006-01-24 Photuris, Inc. Optical amplifier having automatic gain control with improved performance
FR2843505B1 (fr) * 2002-08-09 2006-06-02 Cit Alcatel Dispositif d'amplification optique pour reseau optique a controle de gain automatique
US6747791B1 (en) * 2002-12-03 2004-06-08 Bayspec, Inc. Optical amplifier with a spectral gain monitor using a volume phase grating
KR100526560B1 (ko) * 2002-12-07 2005-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파워조절 기능을 갖는 광섬유 증폭기 및 그 자동 파워조절 방법
US7466478B2 (en) * 2002-12-19 2008-12-16 Fujitsu Limited Optical-level control method, optical-level control apparatus and wavelength-multiplexing optical network
US7361171B2 (en) * 2003-05-20 2008-04-22 Raydiance, Inc. Man-portable optical ablation system
US7483205B1 (en) * 2003-05-29 2009-01-27 Ciena Corporation Transient optical power suppressing apparatus, method, and network
US7367969B2 (en) * 2003-08-11 2008-05-06 Raydiance, Inc. Ablative material removal with a preset removal rate or volume or depth
US20050065502A1 (en) * 2003-08-11 2005-03-24 Richard Stoltz Enabling or blocking the emission of an ablation beam based on color of target
US7115514B2 (en) * 2003-10-02 2006-10-03 Raydiance, Inc. Semiconductor manufacturing using optical ablation
US9022037B2 (en) 2003-08-11 2015-05-05 Raydiance, Inc. Laser ablation method and apparatus having a feedback loop and control unit
US20050038487A1 (en) * 2003-08-11 2005-02-17 Richard Stoltz Controlling pulse energy of an optical amplifier by controlling pump diode current
US8173929B1 (en) 2003-08-11 2012-05-08 Raydiance, Inc. Methods and systems for trimming circuits
US7143769B2 (en) * 2003-08-11 2006-12-05 Richard Stoltz Controlling pulse energy of an optical amplifier by controlling pump diode current
US7057149B2 (en) * 2003-08-26 2006-06-06 Fujitsu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econdary amplifier with a primary amplifier in an optical network
US20050111077A1 (en) * 2003-11-24 2005-05-26 Ching-Wen Hsiao Gain controller with selectable wavelength feedback
US7413847B2 (en) * 2004-02-09 2008-08-19 Raydiance, Inc. Semiconductor-type processing for solid-state lasers
US7349452B2 (en) * 2004-12-13 2008-03-25 Raydiance, Inc. Bragg fibers in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high peak power light
US7375876B2 (en) * 2004-12-21 2008-05-20 Nec Corporation Optical transmitting apparatus having variable optical transmitting unit including plurality of paths
US8135050B1 (en) 2005-07-19 2012-03-13 Raydiance, Inc. Automated polarization correction
US7245419B2 (en) * 2005-09-22 2007-07-17 Raydiance, Inc. Wavelength-stabilized pump diodes for pumping gain media in an ultrashort pulsed laser system
JP4746951B2 (ja) * 2005-09-28 2011-08-10 富士通株式会社 光増幅器および光増幅方法
US7444049B1 (en) * 2006-01-23 2008-10-28 Raydiance, Inc. Pulse stretcher and compressor including a multi-pass Bragg grating
US8189971B1 (en) 2006-01-23 2012-05-29 Raydiance, Inc. Dispersion compensation in a chirped pulse amplification system
US9130344B2 (en) * 2006-01-23 2015-09-08 Raydiance, Inc. Automated laser tuning
US8232687B2 (en) * 2006-04-26 2012-07-31 Raydiance, Inc. Intelligent laser interlock system
US7822347B1 (en) 2006-03-28 2010-10-26 Raydiance, Inc. Active tuning of temporal dispersion in an ultrashort pulse laser system
JP5239141B2 (ja) * 2006-09-26 2013-07-17 富士通株式会社 光増幅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903326B2 (en) 2007-11-30 2011-03-08 Radiance, Inc. Static phase mask for high-order spectral phase control in a hybrid chirped pulse amplifier system
US7961380B2 (en) * 2008-02-19 2011-06-14 Oclaro North America Fast power transient supression in constant power-mode controlled optical amplifiers
US20090289382A1 (en) * 2008-05-22 2009-11-26 Raydiance, Inc. System and method for modifying characteristics of a contact lens utilizing an ultra-short pulsed laser
US8125704B2 (en) * 2008-08-18 2012-02-28 Raydianc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pulsed laser by combining laser signals
US8498538B2 (en) * 2008-11-14 2013-07-30 Raydiance, Inc. Compact monolithic dispersion compensator
CN101610111A (zh) * 2009-07-09 2009-12-2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监控多个光纤放大器的方法和装置
WO2012037465A1 (en) 2010-09-16 2012-03-22 Raydiance, Inc. Laser based processing of layered materials
US10239160B2 (en) 2011-09-21 2019-03-26 Coherent, Inc. Systems and processes that singulate materials
CN103117508B (zh) * 2013-01-24 2015-05-13 天津大学 多波长高重复频率超短脉冲光源
KR102417238B1 (ko) * 2016-04-13 2022-07-06 주식회사 쏠리드 분산 안테나 시스템 및 그 신호 처리 방법
WO2023183078A2 (en) * 2022-03-17 2023-09-28 Exciting Technology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igital holographic vibration imaging with integrated system phase correctio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3676A (ja) * 1994-11-16 1996-08-20 Oki Electric Ind Co Ltd 光ファイバ増幅器
JPH08248455A (ja) * 1995-03-09 1996-09-27 Fujitsu Ltd 波長多重用光増幅器
JPH09214034A (ja) * 1996-02-06 1997-08-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増幅器
JPH09219696A (ja) * 1996-02-14 1997-08-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増幅装置
KR970075964A (ko) * 1996-05-02 1997-12-10 세키자와 다다시 파장 다중화 광섬유 증폭기용 파워 레벨 제어기
JPH1051057A (ja) * 1996-05-02 1998-02-20 Fujitsu Ltd 波長多重用光増幅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998006314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이득 평탄화 광섬유증폭기
KR19980073495A (ko) * 1997-03-14 1998-11-05 유기범 이득 평탄화 광섬유증폭기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8643B2 (ja) * 1991-06-03 1997-09-03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増幅器
JPH05211482A (ja) * 1992-01-31 1993-08-20 Fujitsu Ltd 光増幅中継器
GB9411061D0 (en) * 1994-06-02 1994-07-20 Northern Telecom Ltd Optical waveguide amplifiers
JP3379052B2 (ja) * 1994-09-26 2003-02-17 富士通株式会社 波長多重光増幅装置及び光波長多重伝送システム及び光波長多重伝送方法
JP2809132B2 (ja) * 1995-06-07 1998-10-08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増幅監視装置
JP2871547B2 (ja) 1995-09-08 1999-03-17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スペクトルアナライザ装置および光増幅器の制御方法
US5631758A (en) * 1995-10-26 1997-05-20 Lucent Technologies Inc. Chirped-pulse multiple wavelength telecommunications system
JP2904114B2 (ja) * 1996-04-23 1999-06-14 日本電気株式会社 光増幅装置とこれを用いた波長多重光伝送装置
JPH09321701A (ja) * 1996-05-31 1997-12-12 Fujitsu Ltd 光通信システム及び光増幅器
US6008932A (en) 1996-10-07 1999-12-28 Lucent Technologies Inc. Erbium-doped fiber amplifier with automatic gain control
JP2991131B2 (ja) * 1996-10-07 1999-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信号光チャネル数計数器とこれを用いた光増幅装置
JPH10229386A (ja) * 1997-02-17 1998-08-25 Nec Corp 光ファイバアンプとこれを用いた光通信システム
JPH11266047A (ja) * 1998-03-17 1999-09-28 Fujitsu Ltd 光増幅器及び該光増幅器を備えたシステム
JP2000269578A (ja) * 1999-03-18 2000-09-29 Fujitsu Ltd 光増幅のための方法、装置及びシステム
US6366393B1 (en) * 1999-08-25 2002-04-02 Lucent Technologies Inc. Fast gain control for optical amplifiers
US6356386B1 (en) * 2000-02-29 2002-03-12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abilizing transient control in amplified optical network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3676A (ja) * 1994-11-16 1996-08-20 Oki Electric Ind Co Ltd 光ファイバ増幅器
JPH08248455A (ja) * 1995-03-09 1996-09-27 Fujitsu Ltd 波長多重用光増幅器
JPH09214034A (ja) * 1996-02-06 1997-08-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増幅器
JPH09219696A (ja) * 1996-02-14 1997-08-1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光増幅装置
KR970075964A (ko) * 1996-05-02 1997-12-10 세키자와 다다시 파장 다중화 광섬유 증폭기용 파워 레벨 제어기
JPH1051057A (ja) * 1996-05-02 1998-02-20 Fujitsu Ltd 波長多重用光増幅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9980063141A (ko) * 1996-12-31 1998-10-07 유기범 이득 평탄화 광섬유증폭기
KR19980073495A (ko) * 1997-03-14 1998-11-05 유기범 이득 평탄화 광섬유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29319B2 (en) 2003-03-04
US20020075562A1 (en) 2002-06-20
KR20020046491A (ko) 200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8115B1 (ko) 자동 이득 제어된 광섬유 증폭 장치
US6088152A (en) Optical amplifier arranged to offset Raman gain
JP3992749B2 (ja) 可変な利得を有する光ファイバ増幅器
JP3553361B2 (ja) 光増幅器の動的ゲイン制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414603B2 (ja) 増幅光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過渡現象制御を安定させる方法および装置
US6560008B1 (en) Controlling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optical amplifier
JPWO2008105202A1 (ja) 光ファイバ伝送装置及び光通信ネットワーク
US6337764B1 (en) Optical fiber amplifier for controlling gain flatness
JPH10135549A (ja) 波長多重光伝送用光増幅装置
US6292291B1 (en) Optical fiber amplifier having constant output power for each channel and amplifying method thereof
US8055127B2 (en)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optical ring network
US7612936B2 (en) Optical amplifying apparatus for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d signals
JPH09219696A (ja) 光増幅装置
US7061670B2 (en) Optical fiber amplifier having automatic power control function and automatic power control method
JP4666364B2 (ja) 光増幅器
JP3551418B2 (ja) 光伝送装置及び波長多重光通信システム
US20020118443A1 (en) Optical amplifier
US6483634B1 (en) Optical amplifier
KR100280048B1 (ko) 채널별 출력파워가 일정한 파장분할다중화광섬유 증폭기의 특성 측정장치
KR100198459B1 (ko) 이득 등화 유지를 위한 에르븀 첨가 광증폭기
KR100305106B1 (ko) 이득평탄도모니터링및제어장치를구비한광섬유증폭기
KR100564745B1 (ko) 광학적 지연을 이용한 광증폭기 및 이득제어방법
JP2022077675A (ja) 光伝送装置
JP2001036475A (ja) 波長分割多重光ファイバ増幅器のチャンネル数に対応した出力安定化装置及び方法
KR100424771B1 (ko) 다채널 신호광에 대한 광섬유증폭기의 특성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