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892B1 -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57892B1 KR100357892B1 KR1020000025600A KR20000025600A KR100357892B1 KR 100357892 B1 KR100357892 B1 KR 100357892B1 KR 1020000025600 A KR1020000025600 A KR 1020000025600A KR 20000025600 A KR20000025600 A KR 20000025600A KR 100357892 B1 KR100357892 B1 KR 1003578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yer
- information
- shoes
- shoe
- purchas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신발을 판매하는 판매 장치로부터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를 제공받아서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한 다음에,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하는 구매자에게 착화 정보에 따라 신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구매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신발 구매를 신청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리드한 다음에, 이 착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자의 발길이, 발넓이 등의 발특성을 토대로 대응되는 길이 및 넓이를 가지는 신발 정보를 찾아서 구매자의 구매 장치로 제공하여, 구매자가 자신의 신체적 특징에 맞는 편안한 신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전자 상거래에서 구매자는 직접 신발을 신어보지 않고도 자신의 발에 편안한 신발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신발 판매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다 많은 구매자를 확보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구매자가 직접 신발 매장에 가지 않아도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신의 발 특성에 맞는 신발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상품 판매 방식은 판매자가 판매샵에 상품을 진열하여 방문하는 구매자에게 직접 판매하는 방식이었으나, 구매자가 카달로그나 TV 등에 광고되는 상품을 전화를 통하여 주문하면 판매자가 해당 상품을 구매자에게 배달시키는 간접적인 판매 방식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인터넷 보급이 급격하게 증가됨에 따라 인터넷이라는 동질의 매체를 통하여 전 세계인을 대상으로 하는 전자 상거래 판매 방식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인터넷이라는 네트워크를 통한 전자 상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구매자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쇼핑물 싸이트에 접속하여 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되는 상품들을 보면서 원하는 상품들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신발과 같이 구매자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구매 변수가 변화되는 상품들은 단순히 화면상에 표시되는 디자인이나 색상만으로는 선택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자 상거래를 통한 신발 구매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일반적으로 발의 편안함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크고, 발의 편안함은 신발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발은 인체의 1/4에 해당하는 52개의 뼈와 60개의 관절, 214개의 인대, 38개의 근육을 비록하여 수많은 모세 혈관과 자율 신경이 어느 신체 부위보다도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인체에 중요한 경혈과 경락도 집중되어 있다. 그러므로 발은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신발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구매자가 직접 신발을 신어보는 것 즉, 착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전자 상거래에서 신발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구매자가 판매되는 신발을 신어보지 못하고 단순히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신발 사이즈만을 보고 선택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편안한 신발을 구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단점에 의하여 신발에 대한 전자 상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전자 상거래에서 구매자가 신체적 특징에 맞는 신발을 용이하게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측정부의 구조 및 신발 측정 과정을 나타낸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은,판매자별로 판매하는신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신발 정보 데이터 베이스; 구매자별로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판매자별로 판매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상기 구매자가 구매 장치를 통하여 신발 구매를 신청하면 상기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리드한 다음에,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발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구매자의 발특성에 맞는 신발 정보를 선택한 후 상기 구매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구매자가 해당 신발을 구매하도록 하는 처리 서버; 및구매자의 발 형상을 측정하여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처리 서버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판매 처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착화 정보를 상기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구매자별로 저장한다.
여기서, 판매 처리 장치는, 구매자의 발의 측면 형상을 측정하는 제1 형상 측정부; 구매자의 평면 형상을 측정하는 제2 형상 측정부; 상기 제1 및 제2 형상 측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구매자의 발의 측면 형상 및 평면 형상을 토대로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를 생성하는 착화 정보 생성부; 및 상기 착화 정보를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처리부를 포함한다.
또한, 이 발명의 특징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방법은 구매자별로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구매자가 구매 장치를 통하여 신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구매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신발 구매를 신청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리드하는 단계; 및 상기 구매자의 착화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신발 정보를 상기 구매자의 구매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구매자가 상기 신발을 구입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외에도, 상기 착화 정보를 상기 신발을 판매하는 판매 장치로부터 제공받아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착화 정보는 구매자의 발 넓이, 발 길이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구매자의 발등 높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신발 정보는 신발의 전체 길이 및 넓이를 포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신발 구매 시스템은, 구매자가 판매되는 상품의 정보를 제공받고 상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구매 장치(10)와, 인터넷(20, 퓨처 네트워크 포함)을 통하여 구매자에게 상품을 판매하는 다수의 판매 장치(30), 및 인터넷(20)에 연결되어 구매 장치(10)와 판매 장치(30) 사이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중개하는 중개 장치(40)를 포함한다.
구매 장치(10)로는 인터넷(20)을 통하여 중개 장치(40)에 접속할 수 있는 통신 장치가 이용되며, 예를 들어, 컴퓨터나 이동 통신 단말기 또는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구매 장치(10)는 인터넷(20)을 통하여 중개 장치(40)에 접속할 수도 있으며, 또한 무선 통신망(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중개 장치(40)에 접속할 수도 있다.
판매 장치(30)는 인터넷(20)을 통하여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판매자에 의하여 운영되는 서버이며, 특히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매자의 발특성을 측정하여 착화 정보를 생성하는 측정부(31)와, 측정부(31)에 의하여 생성된 착화 정보를 중개 장치(40)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부(32)로 이루어진다.
도 2a∼도 2c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부(31)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한 도 1, 도 2a∼도 2c에 도시되어 있듯이, 측정부(31)는 구매자의 발의 측면 형상을 측정하는 제1 형상 측정부(311), 구매자의 발의 평면 형상을 측정하는 제2 형상 측정부(312), 제1 및 제2 형상 측정부(312)에 의하여 측정된 발의 측면 형상 및 평면 형상을 토대로 구매자의 발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정보 생성부(31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및 제2 형상 측정부(311,312)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구매자의 발의 측면 형상 및 평면 형상을 측정하며, 이를 위하여 제1 형상 측정부(311)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듯이, 적외선이 통과 가능하게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투명판(A)에 위치되는 구매자의 발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투명판(A)으로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1 적외선 발광기(3111), 투명판(A)의 하측에 설치되어 제1 적외선 발광기(3111)로부터 조사되어 투명판(A)을 통과하는 적외선을 수광하여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적외선 수광기(3112)를 포함한다.
제2 형상 측정부(312)는 도 2c에 도시되어 있듯이, 투명판(A)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적외선을 조사하는 제2 적외선 발광기(3121), 제2 적외선 발광기(3121)에 대응하여 투명판(A)의 타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2 적외선 발광기(3121)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을 수광하여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적외선 수광기(3122)를 포함한다. 제2 적외선 발광기(3121) 및 제2 적외선 수광기(3122)는 투명판(A)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적외선 발광기(3111)와 제1 적외선 수광기(3112)는 서로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적외선 발광기(3121)와 제2 적외선 수광기(3122)도 서로 연동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정보 생성부(313)는 제1 적외선 수광기(3112)와 제2 적외선 수광기(312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한 다음에, 이 디지털 신호를 영상 처리하여 측정된 구매자의 발 형상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생성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측정부(31)가 적외선을 이용하여 구매자의 발 형상을 측정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레이저 스캔, 압력 측정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발 형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3차원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발형상을 측정할 수도 있다.
정보 전송부(32)는 측정부(31)에 의하여 측정된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구매자의 이름 등을 포함하는 구매자의 정보, 판매자의 회사 코드 등을 포함하는 판매자 정보와 함께 전자 메일을 이용하여 중개 장치(40)로 전송하거나, 또는 별도의 착화 정보 전송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중개 장치(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정보 전송부(32)가 인터넷(20)을 통하여 착화 정보를 중개 장치(40)로 전송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판매 장치(30)가 중개 장치(40)에 유선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착화 정보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중개 장치(40)는 구매자의 발 특성에 맞는 신발을 판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맹점으로 등록된 판매자의 판매 장치(30)로부터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전송받은 다음에, 이 착화 정보를 토대로 하여 인터넷(20)을 통하여 접속하는 구매자의 구매 장치(10)로 구매자의 발 특성에 맞는 신발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중개 장치(40)는 가맹점으로 등록된 판매자 정보, 구매자 정보,구매자의 착화 정보 등 신발 구매에 필요한 다수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 모듈(41)과, 이 데이터 베이스 모듈(41)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하여 구매자의 발특성에 맞는 신발 정보 제공, 신발 판매 등을 수행하는 처리 모듈(42)을 포함한다.
데이터 베이스 모듈(41)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1), 판매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2), 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413),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414), 매출 정보 데이터 베이스(415)를 포함한다.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1)에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발특성에 맞는 상품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는 구매자에 대한 다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에게 할당된 회원 분류 코드별로 해당 구매자의 성명, 로그인(login)을 위한 식별 번호(이하, ID라고 명명함) 및 패스워드, 전자 메일 주소, 우편 주소, 이동 전화 번호, 주민 등록 번호, 신용 카드 번호, 신용 카드 결제를 위한 비밀 번호 등의 구매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이외에도 구매자의 회원 분류 코드별로 구매자의 구매 성향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개인 특성에 따라 신발을 자신의 실제 사이즈(발길이 또는 발넓이)보다 5mm 정도 더 크게 신는 사람이 있을 수 있으며, 또는 특정 색깔이나 특정 디자인의 신발만을 구입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매자의 구매 성향을 반영하는 신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1)에 구매자의 구매 성향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판매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2)에는 중개 장치(40)를 통하여 상품을 판매하는 가맹점으로 등록된 다수 판매자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각 판매자별로 할당된 회사 코드별로, 회사명, 회사 ID, 패스워드, 우편 주소, 사업자 등록 번호, 전자 메일 주소, 은행 계좌 번호, 거래 은행 코드, 그리고 해당 판매자의 판매 장치(30)의 인터넷 상의 위치 정보 URL(uniform resource location)이 저장되어 있다.
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413)에는 가맹점으로 등록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상품 즉, 신발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으로 등록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모든 신발 정보가 카테고리별로 저장되어 있으며, 각 카테고리의 신발마다 할당된 상품 코드별로 해당 신발 판매를 의뢰한 판매자의 회사 코드, 상품명, 그리고 상품 가격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이 발명의 특징에 따른 구매자의 발특성에 맞는 신발 판매를 위하여, 각 신발 코드별로 신발 사이즈, 신발 넓이 등 신발의 구조적 정보와, 색상, 디자인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신발은 사람들이 신는 구두, 운동화, 등산화 등 모든 종류의 신발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크게 남자 신발과 여자 신발로 분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두의 경우 남자 구두는 슬립온(slip-on) 타입과, 끈이 있는 옥스포드(oxford) 타입, 옆에 밸트가 있는 몽크 타입으로 나뉘어지고, 여자 구두는 하이힐 스타일의 정장 신발인 드레스(dress) 타입, 발등 부위에 장식이 부착된 구두인 보우(bow) 타입, 굽이 낮은 복고풍 스타일의 구두인 트래디션(tradition)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이 발명에서는 이러한 카테고리별로 가맹점으로 등록된 판매자가 판매하는 신발을 분류시켜서 이후에 구매자가 원하는 디자인의 신발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신발의 타입은 위에 기술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414)에는 판매 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에게 할당된 회원 분류 코드별로 구매자의 ID 및 패스워드, 구매자의 발길이, 발넓이, 발등 높이 등 구매자의 발특성에 따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매출 정보 데이터 베이스(415)에는 판매자의 회사 코드별로 판매된 신발의 상품 코드, 상품 가격, 상품 수량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신발을 구입한 구매자의 ID 및 패스워드가 저장되어 있어서 이후에 이러한 정보를 토대로 구매자의 구매 성향 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품 배송을 위한 배송지, 배송일 등의 배송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다수 데이터 베이스(411∼415)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하여 구매 장치(10)와 판매 장치(30) 사이에 상거래가 이루어지도록 중개하는 처리 모듈(42)은 싸이트 운영 서버(421), 착화 정보 관리 서버(422), 구매 처리 서버(423) 및 메일 서버(424)를 포함한다.
싸이트 운영 서버(421)는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1)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구매 장치(10)를 이용하여 접속하는 구매자의 인증 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회원으로 등록되어 있는 구매자만이 상품 구매가 가능하도록 하며, 이외에도 인터넷(20)을 통하여 접속하는 구매자의 구매 장치(10)로 회원 가입 등의 다양한메뉴가 게시되어 있는 홈 페이지를 제공하여 상품 구매가 가능한 회원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착화 정보 관리 서버(422)는 판매 장치(30)의 정보 전송부(32)로부터 제공되는 착화 정보를 처리하여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414)에 구매자별로 저장하며, 구매자의 신발 선택시에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414) 및 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413)를 검색하여 구매자의 발특성에 맞는 신발 정보를 추출하여 구매 장치(10)로 제공하여, 구매자가 자신의 발특성에 맞는 신발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매 처리 서버(423)는 구매자가 구매 장치(10)를 통하여 신발에 대한 구매 의사를 제공하면, 해당 신발에 대한 구매자와의 판매 계약을 체결하고 그에 따른 대금 결제 등을 처리하며, 결제 처리된 매출 정보를 매출 정보 데이터 베이스(415)에 기록한다. 메일 서버(424)는 구매 장치(10) 및 판매 장치(3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구조를 토대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신발 판매를 중개하는 중개 장치(40)는 상품 판매를 희망하는 다수의 판매자로부터 가입 신청을 받아서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판매자들을 가맹점으로 가입시키고, 각 판매자들의 판매자 정보를 제공받아서 판매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2)를 구축한다. 그리고 각 판매자들이 판매하고자 하는 신발에 대한 목록을 제공받아서 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413)를 구축한다.
또한, 싸이트 운영 서버(421)는 신발을 구매할 수 있는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구매자들로부터 회원 가입 신청을 받고, 구매자들의 신상 정보를 제공받아서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1)를 구축한다. 이러한 회원 및 가맹점 계약은 인터넷(20)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우편이나 별도의 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에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방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구매자가 자신의 발특성에 맞는 신발을 인터넷(20)을 통하여 용이하게 구입하기 위하여 중개 장치(40)의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는 판매자의 판매샵 에 방문하면, 판매자는 측정부(31)를 이용하여 구매자의 발특성을 측정한다.
구매자가 도 2a에 도시되어 있듯이, 투명판(A) 위에 자신의 발을 놓으면, 측정부(31)의 제1 형상 측정부(311)의 제1 적외선 발광기(3111) 및 제1 적외선 수광기(3112)가 도 2b에 도시되어 있듯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며, 이 때, 제1 적외선 발광기(3111)가 적외선을 조사하면서 이동한다.
제1 적외선 발광기(3111)와 연동하여 동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적외선 수광기(3112)는 제1 적외선 발광기(3111)로부터 조사된 다음에 투명판(A)을 통과하는 적외선을 수광하여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정보 생성부(313)로 출력한다. 한편 제1 적외선 발광기(3111)로부터 투명판(A) 위에 놓여진 구매자의 발로 조사된 적외선은 구매자의 발에 의해 반사되기 때문에 제1 적외선 수광기(3112)로 수광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구매자의 발 넓이에 따라 제1 적외선 수광기(3112)의 적외선 수광 영역이 달라짐으로써, 제1 적외선 수광기(311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구매자의 발 넓이를 측정할 수가 있다.
제1 적외선 발광기(3111) 및 수광기(3112)의 이동과 동시에 또는 별도로 제2 적외선 발광기(3121) 및 제2 적외선 수광기(3122)도 투명판(A)의 측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 적외선 수광기(3122)가 제2 적외선 발광기(3121)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의 수광 여부에 따라 해당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정보 생성부(313)로 출력한다. 이 경우에는 구매자의 발 길이 및 발 등 높이 등에 따라 제2 적외선 수광기(3122)가 적외선을 수광하는 영역이 가변됨으로써, 제2 적외선 수광기(312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토대로 구매자의 발 길이, 발등 높이 등을 측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수광기(3112, 3122)는 적외선 수광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정보 생성부(313)는 제1 및 제2 형상 측정부(31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다음에, 통상의 영상 처리 기술에 따라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구매자의 발 형상에 따른 착화 정보를 생성한다. 특히,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안한 신발 선택시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구매자의 발 넓이, 발길이 정보를 포함하는 착화 정보를 생성하여 정보 전송부(32)로 출력하며, 정보 전송부(32)는 이 착화 정보에 구매자의 성명이나 주민 등록 번호 등의 구매자 정보와 판매자의 회사 분류 코드 등의 판매자 정보를 포함시켜 중개 장치(40)로 전송한다(S100∼S120).
중개 장치(40)의 착화 정보 관리 서버(422)는 판매 장치(30)로부터 저장되는착화 정보를 구매자별로 분류하여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414)에 저장하여 이후에 구매자가 신발을 구매하는 경우에 신발 선택시의 중요 변수로서 사용한다(S130).
이와 같이 다수 구매자에 대한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414)가 구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특정 구매자가 신발을 구매하기 위하여 구매 장치(10) 상에서 인터넷(20) 접속을 위한 웹 브라우저를 구동시키고 중개 장치(40)로 접속하기 위한 URL을 입력하면, 이 URL 정보는 웹 브라우저에서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해 변환되고 패킷화 된 다음에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를 통하여 중개 장치(40)로 전송된다(S140).
이에 따라 중개 장치(40)의 싸이트 운영 서버(421)는 URL 정보에 해당하는 홈 페이지를 구매 장치(10)로 전송하며, 전송된 홈 페이지는 구매 장치(10)의 웹 브라우저 상에 윈도우 상태로 변환되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구매 장치(10)의 화면상에 나타난 홈 페이지를 통하여 중개 장치(4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를 확인하게 된다(S150). 이 홈페이지에서는 중개 장치의 상호 및 로고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회원 등록 메뉴, 신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구매 메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구매자가 상품 구매 메뉴를 선택하면 싸이트 운영 서버(421)는 판매되는 상품의 카테고리별로 상품 정보(신발 정보)를 구매 장치(10)로 제공한다(S160∼S170). 이에 따라 구매자가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하거나 특정 신발을 선택하면 중개 장치(40)의 싸이트 운영 서버(421)는 구매자가 발특성에 맞는 신발을 구매할 수 있는 회원인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ID 및 패드워드 입력문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구매 장치(10)를 통하여 입력되는 구매자의 ID 및 패스워드를 토대로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1)를 검색하여 회원 인증 과정을 수행한다(S180).
구매자가 회원으로 인증되면 첨부한 도 3b에 도시되어 있듯이,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414)는 구매자의 ID 또는 구매자 이름이나 주민 등록 번호 등을 토대로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414)를 검색하여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를 찾는다.
다음에 착화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자의 발넓이, 발길이 등을 토대로 상품 정보 데이터 베이스(413)를 검색하여 구매자의 발특성에 맞는 신발 목록을 추출하여 구매 장치(10)로 제공한다(S190). 이 때, 구매자의 발특성에 맞는 디자인을 가지는 신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으며 또한, 회원 정보 데이터 베이스(411)에 구매자의 구매 성향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구매자의 구매 성향 정보를 반영하여 신발 목록을 추출한다.
예를 들어 구매자의 구매 성향이 자신의 실제 사이즈보다 5mm 정도 더 크게 신는 경우에는, 구매자의 구매 성향을 반영하여 착화 정보에 따른 구매자의 발넓이, 발길이보다 5mm정도 더 큰 사이즈를 가지는 신발 목록만을 추출하여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구매자는 직접 신발을 신어보지 않아도 자신의 발에 편안한 신발 정보를 구매 장치(10)를 통하여 제공받게 되며, 또한 자신의 구매 성향에 따른 신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매자가 제공되는 신발 정보 중 특정 신발에 대한 구매 의사를 전송하면 구매 처리 서버(423)는 구매 장치(10)로 결제 방법을 제공하는 결제 페이지를 제공하며(S200∼S210), 구매자가 신용 카드 결제 방식, 계좌 입금 방식, 전자 화폐 지불 방식 등 다양한 결제 방식을 이용하여 상품 대금을 지불하면(S220), 중개 장치(40)의 구매 처리 서버(423)는 매출 정보 데이터 베이스(415)에 결제된 상품 코드별로 구매자의 ID, 결제 여부, 배송일, 배송지 등의 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판매자의 판매 장치(30)로 배송일, 배송지 등의 배송 정보를 제공하여 해당 상품이 구매자에게 배송되도록 한다(S230).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는 구매자가 특정 신발을 선택하거나 특정 카테고리를 선택한 경우에 구매자의 착화 정보에 따라 해당하는 신발의 정보를 제공하였으나, 이와는 달리 구매자가 특정 신발이나 카테고리를 선택하지 않아도 구매자가 로그인하면 구매자의 착화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특성을 가지는 신발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판매 장치가 측정부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구매자의 발형상을 측정하도록 기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측정부 이외에 수동으로 구매자의 발형상을 측정(줄자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외에도 중개 장치는 구매자가 원하는 디자인과 색상을 선택하면,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에 따라 신발을 제조하여 구매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즉, 중개 장치를 운영하는 중개자가 자체적으로 구매자의 착화 정보에 따라 구매자가 요구한 디자인의 신발을 제작하거나 또는 가맹점으로 등록되어 있는 신발제조 회사의 서버로 구매자가 선택한 신발 디자인 정보와 함께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전송하여 신발 제조가 이루어지도록 중개할 수도 있다.
또한, 구매자가 구매한 신발 정보를 토대로 해당 신발의 노후 정보를 분석하여 일정 기간마다 구매자의 구매 장치로 수선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위의 실시예에서는 중개 장치가 판매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토대로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별도의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가맹점으로 등록된 판매 장치의 자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수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에 기술된 실시예에서는 중개 장치가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서 판매자의 신발 판매를 중개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이와는 달리 중개 장치가 판매 중개를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신발을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중개 장치가 자체적으로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며, 위에 기술된 판매 장치의 측정부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구매자의 발형상을 측정하여 자동으로 착화 정보를 생성하거나 또는 수동으로 구매자의 발형상을 측정하여 착화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이러한 신발 구매 시스템에서는 신발을 구입한 구매자나 인터넷 이용자를 대상으로 간단한 설문이나 점수표를 작성하게 하여 일정 기간 동안 집계된 설문 데이터를 통계 처리하여 우수 상품을 선정하고, 이와 같이 선정된 우수 상품을 접속하는 구매자에게 제공하거나 또는 신발을 구매한 구매자를 대상으로 추첨하여 선정된 우수 상품을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설문에 응한 인터넷 이용자나 실제로 신발을 구입한 구매자에게 포인트 점수를 부여하고, 포인트 점수에 따라 신발 구입시 가격 할인을 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이 발명은 다음의 기술되는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자 상거래에서 구매자는 직접 신발을 신어보지 않고도 자신의 발에 편안한 신발을 용이하게 구입할 수 있으며, 신발 판매자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다 많은 구매자를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판매자는 별도의 신발 매장 등을 운영하지 않아도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발을 판매할 수 있으므로, 매장 운영에 소요되는 경비를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에 따라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호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으므로, 전자 상거래를 보다 활성화시킬 수 있다.
Claims (6)
- (정정) 다수의 구매자가 구매 장치를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상거래의 신발 구매 시스템에서,판매자별로 판매하는신발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신발 정보 데이터 베이스;구매자별로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판매자별로 판매자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판매자 정보 데이터베이스;상기 구매자가 구매 장치를 통하여 신발 구매를 신청하면 상기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리드한 다음에,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토대로 상기 신발 정보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구매자의 발특성에 맞는 신발 정보를 선택한 후 상기 구매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구매자가 해당 신발을 구매하도록 하는 처리 서버; 및구매자의 발 형상을 측정하여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처리 서버로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처리 서버는 상기 판매 처리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착화 정보를 상기 착화 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구매자별로 저장하는신발 구매 시스템.
- (정정) 제1항에 있어서,상기 판매 처리 장치는,구매자의 발의 측면 형상을 측정하는 제1 형상 측정부;구매자의 평면 형상을 측정하는 제2 형상 측정부;상기 제1 및 제2 형상 측정부에 의하여 특정된 구매자의 발의 측면 형상 및 평면 형상을 토대로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를 생성하는 착화 정보 생성부; 및상기 착화 정보를 상기 처리 서버로 전송하는 정보 전송 처리부를 포함하는 신발 구매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착화 정보는 구매자의 발 넓이, 발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신발 정보는 신발의 전체 길이 및 넓이를 포함하는 신발 구매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착화 정보는 구매자의 발등 높이를 더 포함하는 신발 구매 시스템.
- (정정) 구매자별로 구매자의 발특성을 나타내는 착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다수의 구매자가 구매 장치를 통하여 신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신발 구매 방법에서,상기 착화 정보를 상기 신발을 판매하는 판매 장치로부터 제공받아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상기 구매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하여 신발 구매를 신청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구매자의 착화 정보를 리드하는 단계; 및상기 구매자의 착화 정보에 따라 대응되는 신발 정보를 상기 구매자의 구매 장치로 제공하여 상기 구매자가 상기 신발을 구입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발 구매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25600A KR100357892B1 (ko) | 2000-05-13 | 2000-05-13 |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25600A KR100357892B1 (ko) | 2000-05-13 | 2000-05-13 |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4144A KR20010104144A (ko) | 2001-11-24 |
KR100357892B1 true KR100357892B1 (ko) | 2002-10-25 |
Family
ID=45811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25600A KR100357892B1 (ko) | 2000-05-13 | 2000-05-13 |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5789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4565B1 (ko) * | 2000-06-23 | 2002-12-16 | 박해수 | 인체공학에 의한 인터넷상의 신발정보 제공방법 |
KR200447121Y1 (ko) * | 2008-12-15 | 2009-12-28 | 김형주 | 보온성이 강화된 카페트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06804A (en) * | 1990-05-11 | 1993-04-27 | Foot Image Technology, Inc. | Footwear visual image cataloging and sizing |
US5615342A (en) * | 1992-05-05 | 1997-03-25 | Clear With Computers, Inc. | Electronic proposal preparation system |
-
2000
- 2000-05-13 KR KR1020000025600A patent/KR10035789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206804A (en) * | 1990-05-11 | 1993-04-27 | Foot Image Technology, Inc. | Footwear visual image cataloging and sizing |
US5615342A (en) * | 1992-05-05 | 1997-03-25 | Clear With Computers, Inc. | Electronic proposal preparation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104144A (ko) | 2001-11-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40152989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and accessing product information in a database | |
US8078499B1 (en) | Server-based processing for on-line viewing, purchasing and related analytics | |
US2006014964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lational linking based upon customer activities | |
US20010039517A1 (en) | Method for selling product and product sales system | |
JP2001175766A (ja) | 誂え型ショッピングモール構築システム及び方法 | |
KR102257596B1 (ko) | 스마트 제품 등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국경간 온라인 상거래 시스템 | |
US2015012041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sale of goods and services using influencer hosting sites | |
TWI584214B (zh) | 資訊處理裝置、資訊處理方法、及資訊處理程式產品 | |
KR100896613B1 (ko) |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 |
KR20140008200A (ko) | 오프라인 거래정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 중개 시스템 및 방법 | |
WO2002071283A1 (en) | System for enabling internet shopping experience | |
KR20000058351A (ko) | 인터넷을 이용한 지역 중심의 전자상거래 방법 | |
KR20000012239A (ko) | 전자상거래 시스템 | |
KR101838242B1 (ko) | 장바구니 할인율을 이용한 전자상거래 시스템 | |
KR20080029064A (ko) | 고객 관심상품 흥정 거래 방법 및 시스템 | |
KR100357892B1 (ko) | 네트워크를 통한 신발 구매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130038534A (ko) | 온라인 쇼핑몰의 상품 판매시스템 및 그 판매방법 | |
KR20020004736A (ko) | 인터넷을 이용한 신발 온라인 판매 방법 | |
JP2002074166A (ja) | オンラインショッピングモールシステム | |
KR20210004455A (ko) | 할인폭을 변경할 수 있는 할인쿠폰을 이용한 결제시스템 및 결제방법 | |
KR20230105841A (ko) | 여성의류 토탈 정보제공 플랫폼 | |
KR100439146B1 (ko) | 인터넷을 통한 라벨 부착 제품 판매 방법 | |
KR100457324B1 (ko) | 네트워크를 통한 마일리지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20030066135A (ko) | 인터넷을 통한 맞춤형 스포츠슈즈 제작 방법 | |
JP2022158710A (ja) | 商品販売促進サー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11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