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7249B1 -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7249B1
KR100357249B1 KR1019990018961A KR19990018961A KR100357249B1 KR 100357249 B1 KR100357249 B1 KR 100357249B1 KR 1019990018961 A KR1019990018961 A KR 1019990018961A KR 19990018961 A KR19990018961 A KR 19990018961A KR 100357249 B1 KR100357249 B1 KR 100357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shock
frame
transport cart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486A (ko
Inventor
유재원
Original Assignee
유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원 filed Critical 유재원
Priority to KR1019990018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249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0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wheel axis is disposed between the load and the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물 운반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구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에서 흡수·완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운반 손수레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보다 안전하게 소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소화물을 적재하는 수단 및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소화물 운반 손수레에 있어서, 프레임의 후면 하부 양측에 후방을 향하여 삼각형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완충재로 스프링, 유압, 공기압, 가스압 및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을 완충시키는 쇽 업소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운반 손수레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보다 안전하게 소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소화물 파손 및 인명의 상해 사고와 같은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Description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SHOCK-ABSORBING APPARATUS OF SMALL GOODS HAND TRUCK}
본 발명은 소화물 운반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평지는 물론 계단을 오르내릴시 노면으로부터 전해져 오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 손수레라 함은 경·중량물의 소화물(小貨物)을 적재하여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 이러한 운반 손수레는 평지는 물론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는 것도 개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운반 손수레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소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및 손수레를 이동시키기 위한 바퀴로 이루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장치가 구비된 운반 손수레도 개발되어 있다.
특히,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구성된 운반 손수레의 경우에는 그 구성에 있어 운반 손수레의 용이한 이동을 위하여 바퀴를 구동시키는 전동장치를 필수 구성요소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은 종래의 소화물 운반 손수레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종래의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소화물 운반 손수레(10)는 골격을 이루는 소정 크기의 프레임(20), 소화물(小貨物)을 적재하여 지지하기 위한 소화물적재부(30) 및 프레임(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름체(40)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더하여 프레임(20)의 상부측에는 운반 손수레(10)를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22, 22a)가 구성되는데, 이 손잡이(22, 22a)는 사용자의 신체를 고려하여 상·하에 두 개가 구성되나, 두 개 이상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구름체(40)는 운반 손수레(1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구름체(40)에 구성된 바퀴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나, 보통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도록 한 운반 손수레(10)의 경우 세 개의 바퀴(42, 42a, 42b)로 구성된다. 이처럼 세 개의 바퀴(42, 42a, 42b)로 구성되는 경우 그 각각은 120°의 각도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름체(40)가 적용된 운반 손수레(10)의 경우 평지를 이동할시에는 두 개의 바퀴{(42, 42a)이거나, (42, 42b) 또는 (42a, 42b)}를 통해 이동되고, 계단을 오르내릴시에는 구름체(40)를 통해서 이동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구름체(40)를 전기적인 힘으로 구동시켜 보다 편리하고 용이하게 상용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와 배터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 전동수단이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운반 손수레(10)는 소화물 적재부(30)에 소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내릴 경우,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음)를 구동시키면 구름체(40)가 회전하면서 한 계단씩 오르게 된다. 이때, 도 2 에서와 같이 세 개의 바퀴(42, 42a, 42b) 중 하나의 바퀴(42)는 하위 계단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바퀴(42a)는 상위 계단에 지지되며, 또 다른 하나의 바퀴(42b)는 다음 상위 계단을 향하여 회전 이동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운반 손수레는 바퀴로부터 전해져 오는 충격을 흡수·완충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평지를 이동하거나 계단을 오르내릴시 바퀴에 충격이 전해지게 되면, 이 충격은 지지대를 통해서 프레임에 전해지고, 이어서 운반 손수레를 조정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전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동 중에 있는 운반 손수레를 놓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위험이 초래될 수 있음은 물론, 소화물을 떨어뜨려 파손의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구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에서 흡수·완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운반 손수레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보다 안전하게 소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면으로부터 전해져 오는 충격이 운반 손수레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하여 충격으로 인한 소화물의 파손 및 인명의 상해와 같은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소화물 운반 손수레를 보인 측면도.
도 2 는 종래의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다른 완충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또 다른 완충수단을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300. 소화물 운반 손수레
110, 210, 310. 프레임
112, 112a. 손잡이
120, 220, 320. 소화물 적재부
130, 230, 330. 구름체
132, 132a, 132b, 232, 232a, 232b, 332, 332a, 332b. 바퀴
134, 234, 334. 회전축
140, 140a. 쇽 업소버
142, 142a, 242, 344. 회전축 지지 브라켓
150. 구동모터
152. 배터리
240, 240a. 파형관
340, 340a. 쇽 업소버
342, 342a. 파형관
A, A', A", B, B', B". 주름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소화물을 적재하는 수단 및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소화물 운반 손수레에 있어서, 프레임의 후면 하부 양측에 후방을 향하여 삼각형의 형태로 설치되어 구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완충재로 스프링, 유압, 공기압, 가스압 및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을 완충시키는 쇽 업소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게다가, 상기한 쇽 업소버는 관면에 주름을 형성한 파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 예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수단을 보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를 보인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0), 소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소화물 적재부(120),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름체(130) 및 구름체(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프레임(110)은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의 본체 즉,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소화물(小貨物)의 중량, 부피 및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은 크기로 제작되는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프레임(110)의 상부측에는 운반 손수레(100)를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112, 112a)가 구성된다. 이때, 손잡이(112, 112a)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성되나,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손잡이(112, 112a)를 구성하여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은 손잡이(112, 112a)는 그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도 있고, 고정식으로 되어 있는 것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110)을 제작할시 하나의 봉재로 단일 프레임(110)을 완성하고, 프레임(110)의 상부측을 절곡시켜 손잡이(112) 부분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레임(110)과 손잡이(112)는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또 다른 손잡이(112a)는 별도로 제작하여 프레임(110)의 적소에 연결한 것이다.
전술한 소화물 적재부(120)는 소화물을 적재하여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110)의 하부측 전면 방향으로 설치된다. 또한, 소화물 적재부(120)는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를 세워 놓기 위한 수단이기도 하다.
그리고, 구름체(130)는 운반 손수레(1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구름체(130)에 구성된 바퀴(132, 132a, 132b)는 각각 120°의 각도로 세 개가 구성된다. 이러한 구름체(130)가 적용된 운반 손수레(100)는 평지를 이동할시에는 두 개의 바퀴{(132, 132a)이거나, (132, 132b) 또는 (132a, 132b)}를 통해 이동되고, 계단을 오르내릴시에는 구름체(130)를 통해서 이동된다. 한편, 구름체(130)는 회전축(134)의 양측에 설치·고정되어 회전축(134)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게 되는데, 이회전축(134)은 프레임(110)의 배면에 설치되어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을 흡수·완충시키기 위한 완충수단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완충수단은 본 발명이 목적하는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를 실현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 완충수단에는 쇽 업소버(140, 140a)가 이용된다. 이러한 쇽 업소버(140, 140a)는 완충재로 스프링, 유압, 공기압, 가스압 및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한다. 즉, 쇽 업소버(140, 140a)로는 스프링식 쇽 업소버, 유압식 속 업소버, 공기압식 쇽 업소버, 가스압식 쇽 업소버 및 고무를 이용한 쇽 업소버 등이 이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쇽 업소버(140, 140a)의 설치구조는 프레임(110)의 후면 양측 상하에 일단이 지지되고, 타단은 회전축(134)을 지지하기 위한 회전축 지지 브라켓(142, 142a)에 연결되어 꼭지점이 이루어진 구조이다. 즉, 프레임(110)과 두 쇽 업소버(140, 140a)가 이루는 모양은 프레임(110)의 양측 후면이 밑변을 이루고 두 개의 쇽 업소버(140, 140a)는 나머지 두 변을 이루는 삼각형의 형태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전술한 각각의 쇽 업소버(140, 140a)는 그 일단이 프레임(110)의 후면 각각의 양측에 상·하로 지지되고, 쇽 업소버(140, 140a) 각각의 타단은 회전축 지지 브라켓(142, 142a)에 의해 연결되어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룬다. 이처럼 설치된 쇽 업소버(140, 140a)는 프레임(110)의 후면 좌우 양측에 각각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프레임(110)과 삼각형의 형태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구조의 쇽 업소버(140, 140a)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바퀴(132, 132a, 132b)를 통해서 전달되면, 이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키게 된다. 따라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거의 미치지 않게 되어 사용자는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쇽 업소버(140, 140a)와 구름체(130)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쇽 업소버(140, 140a)의 일단이 프레임(110)의 후면 각각의 양측에 상·하로 지지되고, 타단이 회전축 지지 브라켓(142, 142a)에 의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회전축(134)이 두 회전축 지지 브라켓(142, 142a)의 중심의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처럼 두 회전축 지지 브라켓(142, 142a)의 중심에 지지된 회전축(134)의 양단에 세 개의 바퀴(132, 132a, 132b)가 120°의 각도로 구성된 구름체(130)가 결합·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의 구성에 더하여 운반 손수레(100)를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름체(130)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동수단이 구성된다. 이러한 전동수단에는 회전축(134)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50), 구동모터(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52) 및 구동모터(150)의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이때, 구동모터(150)의 구동력은 기어(136)의 치(齒)결합에 의해 회전축(134)으로 전달된다. 또한, 전술한 전동수단에는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감속장치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를정리·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즉,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는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10), 소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소화물 적재부(120) 및 프레임(1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름체(130)가 구비된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의 구조에서, 일단이 프레임(110)의 후면 각각의 양측에 상·하로 지지되게 하고, 타단은 회전축 지지 브라켓(142, 142a)으로 연결한 쇽 업소버(140, 140a)를 설치하여 노면으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을 전술한 쇽 업소버(140, 140a)에서 완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회전축(134)은 회전축 지지 브라켓(142, 142a)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134)의 양단에는 세 개의 바퀴(132, 132a, 132b)가 120°의 각도로 구성된 구름체(130)가 결합·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먼저 소화물 적재부(120)에 소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평지를 이동하는 경우, 두 개의 바퀴{(132, 132a)이거나, (132, 132b) 또는 (132a, 132b)}를 통해 이동된다. 이때, 전동수단을 통해 구동모터(150)를 구동시켜 이동할 수도 있다.
반면,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는 소화물 적재부(120)에 소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계단을 오르내릴 경우, 구동모터(150)를 구동시키면 회전축(134)의 회전에 의해 구름체(130)가 회전하면서 한 계단씩 오르게 된다. 이때, 도 5 에서와 같이 세 개의 바퀴(132, 132a, 132b) 중 하나의 바퀴(132)는 하위 계단에 지지되고, 다른 하나의 바퀴(132a)는 상위 계단에 지지되며, 또 다른 하나의 바퀴(132b)는 다음 상위 계단을 향하여 회전 이동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평지 또는 계단을 오르내릴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바퀴(132, 132a, 132b)에 전달되면 회전축(134)을 통해 쇽 업소버(140, 140a)로 전달되어 온다. 이때, 쇽 업소버(140, 140a)로 전달되어 온 충격은 쇽 업소버(140, 140a)의 완충재인 스프링, 유압, 공기압, 가스압 또는 고무 등의 작용 즉, 수축 및 이완에 의해 그 충격이 흡수·완충된다.
이와 같이 쇽 업소버(140, 140a)로 전달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은 쇽 업소버(140, 140a)에서 대부분 흡수·완충되어 프레임(110)을 통해서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그 영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안전하게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화물 운반 손수레(100)를 사용하는데 따른 안전이 른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다른 완충수단을 보인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또 다른 완충수단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다른 완충수단을 보이기 위한 것으로, 먼저 도 6 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물 운반 손수레(200)의 다른 완충수단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210), 소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소화물 적재부(220) 및 프레임(2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름체(230)가 구비된 소화물 운반 손수레(200)의 구조에서, 관면에 주름(A, A')이 형성된 파형관(240, 240a)의 일단은 프레임(210)의 후면 각각의 양측에 상·하로 지지되게 하고, 타단은 회전축 지지 브라켓(242)으로 삼각형의 형태가 이루어지도록 설치하여 노면으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이 파형관(240, 240a)의 주름(A, A') 부분에서 완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두 파형관(240, 240a)과 프레임(210)이 이루는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하는 프레임(210) 부분에도 주름(A")이 형성된다.
한편, 회전축(234)은 회전축 지지 브라켓(242)의 중심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234)의 양단에는 세 개의 바퀴(232, 232a, 232b)가 120°의 각도로 구성된 구름체(230)가 결합·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소화물 운반 손수레(200)는 평지 또는 계단을 오르내릴시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바퀴(232, 232a, 232b)에 전달되면 회전축(234)을 통해 파형관(240, 240a)으로 전달되어 온다. 이때, 파형관(240, 240a)으로 전달되어 온 충격은 파형관(240, 240a)에 형성된 주름(A, A')과 프레임(210)에 형성된 주름(A")의 수축 및 이완에 의해 그 충격이 흡수·완충된다.
이와 같이 파형관(240, 240a)으로 전달된 충격은 주름(A, A', A") 부분에서 대부분 흡수·완충되어 프레임(210)을 통해서 소화물 운반 손수레(200)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그 영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안전하게 소화물 운반 손수레(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 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격완충장치 역시 도 2 내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310), 소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소화물 적재부(320) 및 프레임(31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름체(330)가 구비된 소화물 운반 손수레(300)의 구조를 갖는 것은 마찬가지이나, 그 완충수단에 있어 관면에 주름(B, B')이 형성된 파형관(342, 342a)을 이용한 쇽 업소버(340, 340a)로 이루어진다.
이때, 관면에 주름(B, B')이 형성된 파형관(342, 342a)을 이용한 쇽 업소버(340, 340a) 역시 도 2 내지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설치된다. 즉, 전술한 각각의 쇽 업소버(340, 340a)는 그 일단이 프레임(310)의 후면 각각의 양측에 상·하로 지지되고, 쇽 업소버(340, 340a) 각각의 타단은 회전축 지지 브라켓(344, 344a)에 의해 연결되어 삼각형의 꼭지점을 이룬다. 이처럼 설치된 쇽 업소버(340, 340a)는 프레임(310)의 후면 좌우 양측에 각각 두 개가 한 조를 이루어 프레임(310)과 삼각형의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두 쇽 업소버(340, 340a)와 프레임(310)이 이루는 삼각형의 밑변에 해당하는 프레임(310) 부분에도 주름(B")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소화물 운반 손수레(300)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바퀴(332, 332a, 332b)와 회전축(334)을 통해서 쇽 업소버(340, 340a)에 전달되면 쇽 업소버(340, 340a)의 완충재인 스프링, 유압, 공기압, 가스압 또는 고무 등의 작용 즉, 수축 및 이완에 의해 그 충격이 흡수·완충됨은 물론, 주름(B, B', B") 부분에서의 수축 및 이완에 의해서도 그 충격이 흡수·완충된다.
이와 같이 쇽 업소버(340, 340a)로 전달된 충격은 쇽 업소버(340, 340a)의 완충작용 및 주름(B, B', B") 부분에서 대부분 흡수·완충되어 프레임(310)을 통해서 소화물 운반 손수레(300)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그 영향이 미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안전하게 소화물 운반 손수레(300)를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에 의한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바퀴에 전해지는 충격을 구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에서 흡수·완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면으로부터의 충격이 운반 손수레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함은 물론, 이로 인하여 보다 안전하게 소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은 노면으로부터 전해져 오는 충격이 운반 손수레를 조정하는 사용자에게 미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격으로 소화물 파손 및 인명의 상해 사고와 같은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4)

  1.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 소화물을 적재하는 수단 및 상기 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름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소화물 운반 손수레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면 하부 양측에 후방을 향하여 삼각형의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구름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더불어, 완충재로 스프링, 유압, 공기압, 가스압 및 고무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노면으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을 완충시키는 쇽 업소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쇽 업쇼버는 관면에 주름을 형성한 파형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4. 삭제
KR1019990018961A 1999-05-26 1999-05-26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KR100357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961A KR100357249B1 (ko) 1999-05-26 1999-05-26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961A KR100357249B1 (ko) 1999-05-26 1999-05-26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486A KR19990068486A (ko) 1999-09-06
KR100357249B1 true KR100357249B1 (ko) 2002-10-18

Family

ID=3749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961A KR100357249B1 (ko) 1999-05-26 1999-05-26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2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280B1 (ko) * 2008-11-26 2011-03-29 유한회사 삼신기업 선명한 차선 도색구조를 갖는 융착식 스프레이 도색차량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752U (ko) * 1975-06-24 1977-01-10
JPS61142670U (ko) * 1985-02-27 1986-09-03
JPH04262964A (ja) * 1990-11-09 1992-09-18 Nobuaki Sugimoto 階段昇降用運搬車
KR19980033438U (ko) * 1996-12-07 1998-09-05 박병재 자동차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04668U (ko) * 1997-07-07 1999-02-05 홍창기 물류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752U (ko) * 1975-06-24 1977-01-10
JPS61142670U (ko) * 1985-02-27 1986-09-03
JPH04262964A (ja) * 1990-11-09 1992-09-18 Nobuaki Sugimoto 階段昇降用運搬車
KR19980033438U (ko) * 1996-12-07 1998-09-05 박병재 자동차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04668U (ko) * 1997-07-07 1999-02-05 홍창기 물류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486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660609B (zh) 用于城市运输的单人车辆
US7500680B2 (en) Suspensions for wheeled transport devices
CN209834466U (zh) 一种计算机硬件运输装置
CN214985460U (zh) 一种防止车载物晃动的可折叠手推物流车
KR100873537B1 (ko) 양륜 이동체 및 이를 가지는 오토바이
KR100357249B1 (ko)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EP1332693B1 (en) A mounting element for the wheels of rolling containers
CN206983619U (zh) 减震万向轮和玻璃搬运车
CN114222693A (zh) 具有滚动体的输送装置
CN217260167U (zh) 一种道路桥梁施工用物料运输装置
CN213862360U (zh) 一种装配建筑用预制件运输装置
CN212313581U (zh) 一种防止运输破片的芯片盒推车
CN111392213B (zh) 一种具有货物加固结构的智能物流运输机器人
CN206900436U (zh) 玻璃搬运车
CN212921621U (zh) 一种家具移动式可防碰撞运输包装平台
CN112572566A (zh) 一种用于物流转运的具有防抖落结构的仓储物流推车
CN111038833A (zh) 一种安全运输电脑显示器用的箱子
CN210618208U (zh) 一种可调节减震幅度的多用途玻璃运输车
JP3641825B2 (ja) キャスター
CN219883889U (zh) 一种平稳性高的电动助力车
CN210912733U (zh) 一种便携的减震折叠车
CN217076899U (zh) 一种具有人员保护功能的装载叉车
KR20060133733A (ko) 다용도 카트
CN206900413U (zh) 用于玻璃搬运车的车轮及玻璃搬运车
CN218825435U (zh) 一种便携式计算主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