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668U - 물류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물류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668U
KR19990004668U KR2019970017866U KR19970017866U KR19990004668U KR 19990004668 U KR19990004668 U KR 19990004668U KR 2019970017866 U KR2019970017866 U KR 2019970017866U KR 19970017866 U KR19970017866 U KR 19970017866U KR 19990004668 U KR19990004668 U KR 199900046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ive shaft
wheel drive
loading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8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5093Y1 (ko
Inventor
이병태
Original Assignee
홍창기
중소기업은행청주지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창기, 중소기업은행청주지점 filed Critical 홍창기
Priority to KR20199700178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09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46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6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0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0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2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providing for travelling up or down a flight of st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물류 이송장치를 개시한다.
화물을 싣기 위한 적재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구동축과, 상기한 바퀴구동축 주위의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바퀴구동축을 중심으로 자전 및 공전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유성바퀴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유성바퀴가 공전하도록 하는 바퀴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으로 상기 본체의 적재대에 결합수단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며 본체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설치되는 보조 적재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지면에 대해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지지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류이송장치
본 고안은 물류이송장치(物類移送裝置)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화물을 수평상태를 유지상태로 평지 또는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는 물류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물을 운반함에 있어서, 원시적인 방법을 피하고 힘을 덜 들일 수 있도록 그리고 비교적 많은 량을 운반할 수 있도록 바퀴달린 운반기구가 개발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층계를 오르내리는 물류 이송장치가 개발되었다.
화물을 싣고 계단을 오르내릴 수 있는 운반기구가 실용신안 공고번호 91-4554와 동 91-5206에 개시되어 있다.
전자는 2개의 바퀴를 전후에 배치하되 상대적으로 상하요동하게 하여, 뒷바퀴가 지면에 닿을 때 앞바퀴가 들려서 그 앞바퀴로 상층 계단을 오를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그리고 후자는 복수의 바퀴를 한 지지축 주위의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지지축을 중심으로 공전 및 자전가능하게 하여, 계단 각 층에 순차적로 접지되게 함으로써 계단을 오를 수 있게 고안된 것이다. 한편, 유사장치로서 실용신안 공고번호 88-2589와 동 92-531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유모차에 궤도바퀴를 장착한 예도 있었다.
이들 종래의 운반기구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오직 인력에 의해서 견인되는 것이다. 따라서 계단을 오를 때에는 그 운반기구에 실린 화물과 그 운반기구를 포함한 총 하중을 능가하는 힘으로 그 운반기구를 끌어 올려야 한다. 그래서 비교적 부피가 크거나 무거운 소화물을 싣고 계단을 오를 경우에 여전히 힘이 많이 든다. 더욱이 계단에서는 견인하는 사람이 대개 편한 자세를 취할 수 없으므로 큰 힘을 쓰기 어렵다. 이 때문에 간혹 힘에 겨워서 운반기구를 놓치거나 화물을 떨어 트리는 등 사고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 특허출원 제1995-396호로 계단을 자유롭게 오르내릴 수 있는 물류 이송장치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물류 이송장치는 화물을 싣기 위한 적재대와 손잡이를 가지는 본체틀을 구비하고, 상기한 본체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구동축을 구비하며, 상기한 바퀴구동축 주위의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바퀴구동축을 중심으로 자전 및 공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유성바퀴를 구비하고,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포함하며 이 모터로부터 상기한 복수의 유성바퀴가 공전하도록 그 바퀴구동축을 구동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물류 이송장치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은 상태로 평지에서의 화물운반이 가능하며, 계단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한 모터를 구동시켜 유성바퀴를 공전시킴으로써 힘들지 않게 그리고 안전하게 오르내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역시 동력을 이용하여 적재대를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켜서 화물을 원하는 높이에서 손쉽게 적재 및 이재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물류 이송장치는 편지 또는 계단을 오르내릴 때에 물건을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없으며, 물류 이송장치의 정지시 물건이 지지된 본체를 임의 각도로 조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특히 본체에 지지된 물건을 수평상태로 유지하면서 본체를 세워둘 수 없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적재대는 그 목이 높아 물건의 하면 가장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물건의 하면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본체에 지지되어 이동되는 물건의 임의의 각도로 지지할 수 있으며, 지면에 대해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유지할 수 있는 물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역시 동력을 이용하여 계단을 쉽게 오르내릴 수 있게 하면서, 물건을 수평상태로 운송할 수 있는 물류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이송장치의 외관을 보인 일부절재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이송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류이송장치로 평지에서의 물류를 운반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면에 대한 주요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11': 지지부
13,13' : 지지판 30 : 보조 적재대
40 : 결합수단 50 : 각도 조절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화물을 싣기 위한 적재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구동축과, 상기한 바퀴구동축 주위의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바퀴구동축을 중심으로 자전 및 공전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유성바퀴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유성바퀴가 공전하도록 하는 바퀴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물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재대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며 본체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설치되는 보조 적재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지면에 대해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지지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물류 이송장치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이 본체(10)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양측 단부에 동일 원주상에 적어도 세 개의 유성기어가 설치된 지지판(15a)이 장착되는 구동바퀴축(15)과, 상기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바퀴축(15)을 정역회전시키는 구동수단(16)과,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지면에 대해 본체(10)의 각도를 임으로 조정하는 각도 조절수단(50)과, 본체(10)의 적재대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며 본체(10)에 수평을 유지하도록 설치가능한 보조 적재대(30)로 대별된다.
상기 본체(10)은 좌우 측부를 이루는 지지부(11)(11')와, 지지부(11,11')의 상부와 하단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연결부(12,12'), 지지부(11,11')의 후방을 받치는 받침부(13,13')와 상기 지지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그 양단부가 상기 연결부에 고정되는 보조지지부(14)(1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의 지지부(11)(11') 상단에는 손잡이부(18)가 설치되는데, 이 손잡이(18)는 본체(10)의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측 전면 즉, 지지부(11)(11')의 단부에는 화물을 싣기 위한 적재대(1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바퀴구동축(11)은 받침부에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지지되어 있으며, 3개의 유성바퀴(12,12')는 그 바퀴구동축(15)의 양단부에 일체적으로 결합된 지지판(13,13')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3개의 유성바퀴(12,12')는 지지판(13,13')이 바퀴구동축(15)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것에 의하여 그 바퀴구동축(15)을 중심으로 공전을 하게 된다. 물론 그 유성바퀴(12,12')는 지지판(13,13')에 지지된 각각의 축(부호없음)을 중심으로 자전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구동수단(16)은 본체(10)에 지지된 구동바퀴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체의 지지부에 고정된 모우터와 이 모우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바퀴축에 전달하는 감속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보조적재대(30)은 본체에 형성된 적재대의 면적을 넓히거나 본체에 수평상태로 장착되는 것으로, 본체의 적재대와 결합수단(40)에 의해 결합되는 판상의 판부재(31)와, 이 판부재(31)의 하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캐스터볼(32)과, 상기 판부재(31)의 하면에 길이 조정가능한 복수개의 지주부재(33)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지주부재(33)은 중공을 가진 제 1판부재(33a)과, 상기 중공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제 2판부재(33b)와, 상기 제 1판부재에 나사 결합 되어 제 1판부재(33a)에 대해 제 2판부재(33b)의 위치를 고정하고 고정부재(33c)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40)은 본체(10)의 적재대(17)에 결합공(41a)이 형성된 결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31)의 일측에서 상기 결합공(41a)에 끼워지는 끼움부재(42)가 형성되고, 상기 판부재(31)의 일측에는 본체(10)의 보조 지지부(14)(14')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관통공에 끼워지는 훅부재(44)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상기 각도 조절수단(50)은 지면에 대해 본체(10)의 각도를 임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본체(10)하단 즉, 적재대(17)와 본체(10)의 경계부위에 회동가능하게 각도 조절부재(51)의 기부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적재대측으로 연장되며, 이 각도조절부재(51)의 기부에는 본체(10)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브라켓(52)이 설치되며, 이 브라켓(52)에는 링크(53)의 일측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링크의 타측단부에는 볼스크류(54)가 결합되는데, 상기 볼스크류(54)는 연결부재에 설치되는 레버유니트(56)에 의해 정역회전됨으로써 상기 각도조절부재(51)를 본체(10)에 대해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볼스크류(54)에 의해 상기 브라켓(52)과 연결부재 사이의 길이의 가변이 용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쇽업쇼바(57)의 하단이 하측 연결부재(12')에 고정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링크(53)에 고정되고, 상기 링크(53)의 에는 양측으로 가이드부재(58)가 형성되고 이 가이드부재(58)는 보조지지부재(14)(14')의 상호 대향되는 면에 형성된 장공(59)을 따라 가이드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물류 이송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넓은 적재대가 필요한 물건을 운반하기 위해서는 상기 보조적재대(30)의 끼움부(40)를 본체(10)의 하면에 형성된 결합공(41a)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적재대의 면적은 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적재대의 면적과 보조적재대의 면적이 합쳐진 상태가 되므로 대형 물류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 적재대(30)가 결합수단(40)에 의해 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판부재(31)의 하면에 서리된 지주부재(33)는 판부재(31)의 하면에 밀착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넓어진 적재대에 물류가 장착된 상태에서 지면에 대한 본체(10)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레버유니트(56)의 레버를 회전시켜 링크(53)와 결합된 볼스크류(54)가 인입되거나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각도 조절부재(51)를 회전시켜 지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본체(10)를 비퀴지지지축(15)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에 상기 레버 유니트에 대한 볼스크류(54)의 회전은 상기 쇼바가 링크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 이므로 큰 힘들이지 않고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보조 적재대의 하면에는 캐스터 볼(32)이 장착되어 있으므로 키스터볼이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본체(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경사진 본체(10)에 대해 물류를 기울이지 않고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보조 적재대(30)의 끼움부(42)를 결합공(41a)으로부터 분리한 후 본체(10)의 하면에 설치된 지주부재(33)를 회동시켜 편다. 이상태에서 상기 판부재(31)의 훅부재(44)를 보조 지지부(14)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한 후 상기 지주부재(33) 본체(10)의 적재대(17)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 때에 상기 지주부재(33)의 길이는 보조 적재대(30)가 평행을 이루도록 조정한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보조 적재대가 설치된 상태에서 물류를 적재한다.
상기와 같은 물류를 적재할 때에 상기 본체의 각도조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이루져 본체가 물류 적재에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물류 적재장치는 각도 조절수단에 의해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조정하여 물류의 적재가 용이하도록 하며, 이송하고자하는 물류를 최상의 상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적재대에 의해 물건을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각종 물류의 운반조건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Claims (6)

  1. 화물을 싣기 위한 적재대를 가지는 본체와, 상기한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바퀴구동축과, 상기한 바퀴구동축 주위의 동일 원주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그 바퀴구동축을 중심으로 자전 및 공전하도록 지지되는 복수의 유성바퀴와,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복수의 유성바퀴가 공전하도록 하는 바퀴구동수단을 구비하여 된 물류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적재대에 결합수단에 결합 및 분리가능하며 본체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설치되는 보조 적재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지면에 대해 본체를 임의의 각도로 지지하는 각도 조절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본체의 적재대 하면에 결합공을 형성하고 이 결합공에 보조적재대의 끼움부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적재대의 하면에 복수개의 캐스터볼과 높이 조절가능한 복수개의 지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이 보조 적재대의 일측에 상기 보조 지지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결합되는 훅부재와, 상기 보조 적재대의 하면에 설치된 지주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각도 조절수단이 본체의 하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각도 조절부재와, 상기 각도 조절부재의 기부에 형성된 브라켓과 힌지 연결되는 링크와, 상기 링크의 단부와 나사 결합되며 연결부재에 지지된 레버유니트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볼스크류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와 하부 연결부재에 각각 그 양단부가 고정되는 쇽업쇼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류 이송장치.
KR2019970017866U 1997-07-07 1997-07-07 물류이송장치 KR2001550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866U KR200155093Y1 (ko) 1997-07-07 1997-07-07 물류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866U KR200155093Y1 (ko) 1997-07-07 1997-07-07 물류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668U true KR19990004668U (ko) 1999-02-05
KR200155093Y1 KR200155093Y1 (ko) 1999-08-16

Family

ID=19505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866U KR200155093Y1 (ko) 1997-07-07 1997-07-07 물류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0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249B1 (ko) * 1999-05-26 2002-10-18 유재원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249B1 (ko) * 1999-05-26 2002-10-18 유재원 소화물 운반 손수레의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5093Y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2532A (en) Personal transport vehicle and method of improving the maneuverability of a vehicle
CA1224725A (en) Portable golf car
US5195726A (en) Portable luggage carrier
WO2010013386A1 (ja) 搬送車及び連結機構
US5284218A (en) Motorized cart with front wheel drive
US11505230B1 (en) Motorized stroller accessory
JPH0534190B2 (ko)
US5636728A (en) Expandable conveyor with power module
US5938217A (en) Dolly for moving pianos and other heavy goods
JPH02280788A (ja) 会場用遊戯施設
US3229782A (en) Collapsible three wheeled power vehicle
US4413833A (en) Two-wheel hand truck
US5468010A (en) Hand truck apparatus
CN106043377A (zh) 轨道式助力车
KR200155093Y1 (ko) 물류이송장치
US5332243A (en) Load carrying cradle with separable wheel assemblies
EP0021808A1 (en) Lifting and transporting apparatus
GB2273691A (en) A movable, load-supporting apparatus
US20120103715A1 (en) Cart-A-Kart
JP2933152B2 (ja) 乗用電動式作業車
CN216034604U (zh) 一种在扶手支架设置握把的平板推车
CN211252658U (zh) 一种通用型能调节的航弹尾舱转运车
JPH01132401A (ja) タイヤ運搬装置
CN219312816U (zh) 一种缓冲减震的运输架
KR200295635Y1 (ko) 가방의 탈부착이 가능한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