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6265B1 - 콘크리트 폼 패널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폼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6265B1
KR100356265B1 KR1019990036041A KR19990036041A KR100356265B1 KR 100356265 B1 KR100356265 B1 KR 100356265B1 KR 1019990036041 A KR1019990036041 A KR 1019990036041A KR 19990036041 A KR19990036041 A KR 19990036041A KR 100356265 B1 KR100356265 B1 KR 100356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s
vertical
horizontal
gas
foam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6972A (ko
Inventor
최운선
Original Assignee
대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의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의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6265B1/ko
Publication of KR2000005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2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9/05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the form surface being of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37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using gas or stea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02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 E04G2009/028Forming boards or similar elements with reinforcing ribs on the under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이용되는 가스 홀이 형성된 "―"형 콘크리트 폼 패널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직 테두리(13)와 수직리브(15) 및 수평리브 (16)에 의해 구획된 양쪽 측부(19a)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17)가 구비되고, 수직/수평 테두리(13,14)와 수직리브(15) 및 수평리브(16)에 의해 구획된 4개의 모서리부(19b)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17)와 경사리브(18)가 구비되어진 구조로 되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자체 중량이 크게 감소되도록 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폼 패널{CONCRETE FORM PANEL}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시 이용되는 가스 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폼 패널에 관한 것으로, 일반 평판형태의 콘크리트 폼 패널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폼 패널(흔히 거푸집으로 칭함)을 조립하여 임의의 공간을 구획하고, 이 구획된 임의의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면 콘크리트 구조물의 만들어지는데, 종래에는 목재의 콘크리트 폼 패널이 주로 이용되었지만 재활용이 불가능하고, 이용이 불편한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일반 수지류의 사출성형으로 제작되어진 GMT(Glassfiber Metreinforced Thermoplastic)형 콘크리트 폼 패널이 발명되어 이미 실용화되고 있는바, 이러한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은 재활용이 가능하고, 상기 목재 콘크리트 폼 패널에 비해 이용이 편리하지만,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자체 강도를 충분히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두께를 두껍게 할 수 밖에 없고, 강도 보강을 위해 보강 프레임등이 자체 구비되어야 하므로 자중이 증가되어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고자 최근에는 본 출원인이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98-18013호로 이미 선출원 한 바 있는 가스주입식 콘크리트 폼 패널이 제안되었는 바, 이에 따른 수지류 재질의 콘크리트 폼 패널은, 전면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 리브 및 수평 리브와, 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상기 수직 리브(15a,15n,15c,15d,15e,15f) 및 후면 (11b,12b,13b)의 경계부와, 상기 테두리(14) 및 후면(11b,12b,13b)의 경계부에 각각 보강부(14´,15´)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14´,15´) 내부에 가스 홀(18)이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가스주입식 콘크리트 폼 패널은 고강도의 수지류를 얇은 두께로 형성하더라도, 성형후 냉각시 각 경계부에 형성된 가스홀(18)을 갖춘 보강부(14´,15´)에 의해 자체 변형이 억제되므로, 종래 GMT형 콘크리트 폼 패널에 비해 자체 중량이 크게 감소되어 작업자의 노동부하가 저하되고, 강도 보강을 위해 별도의 보강재를 인서트 성형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부품수가 절감되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기 실용신안출원 제98-18013호에는 그 실시예로서 계단형태의 콘크리트 폼 패널(10)이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이의 콘크리트 폼 패널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형 즉, 평판형태의 콘크리트 폼 패널 등에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된 바 있는 실용신안출원 제98-18013호의 다른 실시예로서, 일반적인 "―"형의 수지류 재질의 콘크리트 폼 패널을 가스주입식으로 성형하여, 수직 리브 및 후면의 경계부와, 테두리 및 후면의 경계부에 각각 보강부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 내부에 가스 홀이 형성하도록 하되, 충분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된 콘크리트 폼 패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Ⅰ-Ⅰ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Ⅹ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2의 Y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메인 가스라인의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들간의 상호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 콘크리트 폼 패널, 11 ; 전면(前面),
12 ; 후면(後面), 12a ; 성형재료 주입부,
13,14 ; 테두리, 13a, 14a ; 체결홀,
15 ; 수직리브, 15´ ; 보강부,
16 ; 수평리브, 16´ ; 보강부,
17 ; 보강 수평리브, 18 ; 경사리브,
19a ; 측부, 19b ; 모서리부,
20,21 ; 메인 가스라인, 20a,21a ; 가스 주입부,
22 ; 연결용 리브, 22a ; 가이드 홈,
23 ; 보강 수직리브, 24 ; 가스 홀,
30 ; 가이드 부재, 31 ; 연결파이프,
32 ; 앵커 보울트, 33 ; 횡방향 지지파이프,
34 ; 와샤, 35 ; 너트,
40 ; 콘크리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고, 후면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리브 및 수평리브와, 테두리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수직리브 및 후면의 경계부와, 각각의 수직테두리 및 후면의 경계부에 보강부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 내부에는 가스 홀이 형성되어진 "―"형 콘크리트 폼 패널에 있어서, 상기 수직 테두리와 수직리브 및 수평리브에 의해 구획된 양쪽 측부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가 구비되고, 수직/수평 테두리와 수직리브 및 수평리브에 의해 구획된 4개의 모서리부에는 각각다수의 보강 수평리브와 경사리브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10)은, 전면(11)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고, 후면(12)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리브(15) 및 수평리브(16)와, 테두리(13,14)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수직리브(15) 및 후면(12)의 경계부와, 각각의 수직 테두리(13) 및 후면(12)의 경계부에 보강부(13´,15´)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13´,15´) 내부에는 가스 홀 (2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수직 테두리(13)와 수직리브(15) 및 수평리브 (16)에 의해 구획된 양쪽 측부(19a)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17)가 구비되고, 특히 수직/수평 테두리(13,14)와 수직리브(15) 및 수평리브(16)에 의해 구획된 4개의 모서리브(19b)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17)와 경사리브(18)가 구비되어, 양쪽 측부(19a)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17)와 경사리브(18)가 구비되어, 양쪽 측부(19a)와 모서리부(19b)가 보강되어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폼 패널(10)의 각 구성요소들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하더라도, 콘크리트의 타설/양생시 가해지는 외력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폼 패널(10)의 성형작업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금형 내에 강도가 보강된 액상의 수지류를 주입하고 가스를 분사한 후 냉각하여 상기 보강부(13´,15´)의 내부에 가스 홀(24)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들 보강부(13´, 15´)에 가스를 분사하여 가스 홀(24)이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폼 패널의 성형장치에 다수의 가스 인젝터를 설치하여 1개의 가스 인젝터가 1개의 보강부(13´,15´)의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가스를 주입시켜서 각각의 보강부 (13´,15´)에 가스 홀(24)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다수의 가스 인젝터가 필요하게 되어 콘크리트 폼 패널을 성형하는 장치의 부품수가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세로 길이의 대략 중심 위치에서 수평리브(16)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가스라인(20,21)이 후면(12)에 형성되도록 하되 2개의 라인으로 구분되도록 하고, 이들 각각의 메인 가스라인(20,21)의 대략 중위치에 가스 주입부(20a,21a)가 별도로 형성되도록 하면서, 메인 가스라인 (20,21)의 가스 홀(24 ; 도 5참조) 및 상기 보강부(13´,15´)의 가스홀(24)이 연통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단지 2개의 가스 인젝터만으로도 적절하게 콘크리트 폼 패널(10)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즉, 콘크리트 폼 패널을 성형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금형에 액상의(가열상태의) 수지류를 주입 한 후, 2개의 가스 인젝터를 매개로 상기 각각의 주입부(20a,21a)에 가스를 주입하면, 주입부(20a,21a)를 통해서 주입되는 가스가 메인 가스라인(20,21)의 가스 홀(24) 및 상기 보강부(13´,15´)의 가스 홀(24)이 연통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메인 가스라인을 실용신안출원 제98-18013호의 콘크리트 폼 패널과 유사하게 하나의 라인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1개의 가스 인젝터만이 필요하게 되므로 도 1의 콘크리트 폼 패널용 성형장치에 비해서 그 부품수가 더욱 절감되지만, 가스의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가스 주입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면, 실용신안출원 제98-18013호의 계단식 콘크리트 폼 패널은 콘크리트의 타설/양생시 외력이 크게 가해져서 그 크기가 상당히 제한될 수 밖에 없으므로 단지 1개의 가스 인젝터만을 이용하여 가스를 주입하더라도 가스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형 콘크리트 폼 패널(10)은 계단식 콘크리트 폼 패널에 비해서 콘크리트의 타설/양생시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가 작으므로 계단식 콘크리트 폼 패널의 크기보다 크게, 대략 600×1200cm 정도로 제작되어 이용되는 것이 통상적이며, 이러한 경우에는 1개의 가스 인젝터만으로는 가스 주입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못하여 불량률이 크게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폼 패널의 전체 크기를 보다 크게 하는 경우에는 메인 가스라인을 셋 이상의 라인으로 구분하면서, 각각의 가스라인에 가스 주입부를 형성시켜서 가스 주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만, 콘크리트 폼 패널의 재질상의 문제, 혹은 콘크리트 타설/양생시 콘크리트 폼 패널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 등을 고려해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1에 따르면, 콘크리트 폼 패널(10)의 수평 길이의 중심위치에 배치된 수직리브(15)들에 의해 구획되어진 수직리브(15)들 사이의 후면(12)에는, 수직리브 (15)들 사이에 배치된 수평리브(16)들의 대략 중심부분에 가이드 홈(22a)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연결용 리브(22)가 구비되고, 이 연결용 리브(22)들과 상호 연결되면서 수직리브(15)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강 수직리브(23)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연결용 리브(22) 및 보강 수직리브(23)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타설/양생을 위해서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콘크리트 폼 패널(10)들을 직접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바, 이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폼 패널들간의 상호 연결상태를 도시한 도면인 바, 이에 따르면, 전면(11)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한 쌍의 콘크리트 폼 패널(10) 사이에 파이프형태의 가이드 부재(30)를 설치하되, 임의의 연결용 리브 (22)의 가이드 홈(22a)을 관통시킨 후, 마주보는 한 쌍의 콘크리트 폼 패널(10)의 관통된 가이드 홈(22a)들과 가이드 부재(30)의 내부 홀이 연통되도록 배치한다. 이후, 양단에 앵커 보울트(32)가 갖추어진 연결파이프(31)를 상기 연통된 홀에 삽입하여 연결파이프(31)의 양단에 고정된 앵커 보울트(32)가 각각의 콘크리트 폼 패널(10)의 후면(12)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고, 각각의 앵커보울트(32)에 와셔(34) 및 너트(35)를 끼워 넣은 후 너트(35)에 토오크를 가하여 각각의 콘크리트 폼 패널(10)의 리브(15,16) 외측면에 한 쌍의 횡방향 지지파이프(33)를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부재(30)는 대향된 콘크리트 폼 패널(10)의 가이드 홈(22a)으로 연결파이프(31)가 관통/삽입되도록 안내하면서, 콘크리트의 타설/양생 공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하고, 횡방향 지지파이프(33)는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상호 연결되어진 콘크리트 폼 패널(10)들이 콘크리트 타설/양생시 가해지는 외력(콘크리트 자중에 의한)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결용 리브(22)는 연결파이프(31)를 삽입하기 위한 홀 가공위치를 가시적으로 안내하면서, 보강 수직리브(23)와 함께 연결부재(30,31,32,33,34,35)를 매개로 하는 체결에 의해 콘크리트 폼 패널(1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따르면, 중심부분에 위치되어진 수직리브(15)들 사이의 단지 하나의 후면(12)에만 연결용 리브(22) 및 보강 수직리브(23)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복수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스주입식 콘크리트 폼 패널에 있어서, 양쪽 측부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가 구비되고, 4개의 모서리부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와 경사리브가 구비되어,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면서 자체 중량이 크게 감소되므로, "―"형 콘크리트 폼 패널의 상용화가 가능하게 되고,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면(11)은 비교적 매끄러운 표면으로 형성되고, 후면(12)에는 상호 90도로 교차되는 다수의 수직리브(15) 및 수평리브(16)와, 테두리(13,14)가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되, 수직리브(15) 및 후면(12)의 경계부와, 각각의 수직 테두리(13) 및 후면(12)의 경계부에 보강부(13´,15´)가 형성되고, 이 보강부(13´,15´) 내부에는 가스 홀(24)이 형성되어진 "―"형 콘크리트 폼 패널에 있어서,
    상기 수직 테두리(13)와 수직리브(15) 및 수평리브(16)에 의해 구획된 양쪽측부(19a)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17)가 구비되고, 수직/수평 테두리 (13,14)와 수직리브(15) 및 수평리브(16)에 의해 구획된 4개의 모서리부(19b)에는 각각 다수의 보강 수평리브(17)와 경사리브(18)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12)에는 전체 세로 길이의 대략 중심 위치에서 수평리브(16)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메인 가스라인(20,21)이 구비되되 2개의 라인으로 구분되고, 이들 메인 가스라인(20,21)이 대략 중심부분에는 각각 가스주입부 (20a,21a)가 구비되며, 메인 가스라인(20,21)의 가스 홀(24) 및 상기 보강부(13´, 15´)의 가스 홀(24)이 연통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3. 제 1항 내지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리브(15)들에 의해 구획된 수직리브(15)들 사이의 하나의 또는 다수의 후면(12)에는, 수직리브(15) 사이에 배치된 수평리브(16)들의 대략 중심부분에 가이드 홈(22a)이 형성되도록 다수의 연결용 리브(22)가 구비되고, 이 연결용 리브(22)들과 상호 연결되면서 수직리브(15)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보강 수직리브(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폼 패널.
KR1019990036041A 1999-08-28 1999-08-28 콘크리트 폼 패널 KR100356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041A KR100356265B1 (ko) 1999-08-28 1999-08-28 콘크리트 폼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041A KR100356265B1 (ko) 1999-08-28 1999-08-28 콘크리트 폼 패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7982U Division KR200169444Y1 (ko) 1999-02-23 1999-08-27 콘크리트 폼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72A KR20000056972A (ko) 2000-09-15
KR100356265B1 true KR100356265B1 (ko) 2002-10-25

Family

ID=19609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041A KR100356265B1 (ko) 1999-08-28 1999-08-28 콘크리트 폼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626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6972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07078B (zh) 混凝土梁柱浇筑模框及其安装方法
KR100356265B1 (ko) 콘크리트 폼 패널
KR200169444Y1 (ko) 콘크리트 폼 패널
KR100585495B1 (ko) 흙막이용 패널
KR100384617B1 (ko) 콘크리트 폼 패널
CN202299394U (zh) 组合式建筑面模板系统
EP1032740A1 (en) Concrete form panel
KR200169443Y1 (ko) 콘크리트 폼 패널
CN109680855B (zh) 自承式桁架复合材料楼承板制备方法
KR102222833B1 (ko) 경량 허니컴 패널
KR100469849B1 (ko) 보강 구조를 가지는 유로폼 타입 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JP3129749B2 (ja) ハニカムパネルの補強方法
CN220146222U (zh) 一种接触网基础用模具
JP2571276Y2 (ja) 繊維強化樹脂成形用コア材
CN215038574U (zh) 一种可以循环使用的装配式模具
JPH10140823A (ja) コンクリート型枠
CN214575066U (zh) 带钢塑一体连接件的eps空腔模块
JP3078862U (ja) コンクリートフォームパネル
CN217000832U (zh) 建筑浇筑模具
KR102402885B1 (ko) 거푸집용 패널구조
CN212154133U (zh) 阳角及应用该阳角的建筑模板系统
JP7451843B2 (ja) 型枠、型枠セット及び型枠構造体
CN211221242U (zh) 一种可翻转的外墙模具
CN219794637U (zh) 阴角组件及墙模加固体系
CN220954621U (zh) 一种电梯井道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